맨위로가기

교황 그레고리오 4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고리오 4세는 827년부터 844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로마 귀족 출신으로, 교황 선출 전에는 사제이자 추기경이었다. 그는 로마의 건축을 장려하여 산 마르코 성당을 개축하고, 여러 성당을 보수했으며, 오스티아 항구를 요새화하고 새로운 개척지를 건설했다. 또한 카롤링거 제국의 내분에 개입하여 로타르 1세를 지지했으나, 프랑크 주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성상 숭배 금지 논쟁이 종식되었으며, 모든 성인 대축일 기념 행사가 성대하게 개최되었다. 840년 루트비히 1세가 사망한 후 프랑크 왕국에서 계승 분쟁이 발생하자 중재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844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44년 사망 - 니타르두스
    9세기 카롤링거 왕조 시대의 니타르두스는 샤를마뉴 대제의 외손자이자 군사적, 정치적으로 중요한 인물이며, 퐁트누아 전투 참여와 스트라스부르크 서약 기록 참여, 그리고 《루트비히 경건왕의 아들들의 역사》 저술을 통해 프랑크 왕국의 분열 과정과 당시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 844년 사망 - 후고 (생 캉탱)
    후고(생 캉탱)는 1115년경 출생하여 수도원장과 성 베르티노 수도원장을 지낸 인물이자, 802년경 카롤루스 대제의 서자로 태어나 백작, 수상, 대법관, 대주교, 제국의회 의원 등 정치 활동을 펼치고 841년 퐁트누아 전투에 참전, 855년 사망한 인물로, 공정하고 포용적인 리더십과 교육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9세기 교황 - 교황 파스칼 1세
    교황 파스칼 1세는 98대 교황으로, 프랑크 황제 루트비히 1세의 승인 하에 동로마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을 피해 망명한 수도자들을 보호하고 로마의 여러 성당을 재건 및 장식하는 데 힘썼으며, 특히 성녀 체칠리아의 유해를 찾아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을 재건하고 산타 프라세데 성당을 보수하는 데 기여한 후 시성되었다.
  • 9세기 교황 - 교황 레오 4세
    교황 레오 4세는 847년부터 855년까지 재위하며 사라센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로마 성벽을 보수하고 오스티아 해전에서 승리했으며, 파괴된 성당들을 재건하고 세 차례의 시노드를 소집했다.
  • 9세기 대주교 - 교황 파스칼 1세
    교황 파스칼 1세는 98대 교황으로, 프랑크 황제 루트비히 1세의 승인 하에 동로마 제국의 성상 파괴 운동을 피해 망명한 수도자들을 보호하고 로마의 여러 성당을 재건 및 장식하는 데 힘썼으며, 특히 성녀 체칠리아의 유해를 찾아 산타 체칠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을 재건하고 산타 프라세데 성당을 보수하는 데 기여한 후 시성되었다.
  • 9세기 대주교 - 교황 레오 4세
    교황 레오 4세는 847년부터 855년까지 재위하며 사라센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로마 성벽을 보수하고 오스티아 해전에서 승리했으며, 파괴된 성당들을 재건하고 세 차례의 시노드를 소집했다.
교황 그레고리오 4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그레고리오 4세
직함로마 교황
재임 시작827년 10월
재임 종료844년 1월 25일
선임자발렌티노
후임자세르지오 2세
교황 그레고리오 4세 미니어처 (840년경)
교황 그레고리오 4세 미니어처 (840년경)
개인 정보
출생 연도795년경
출생지교황령 로마
사망일844년 1월 25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서임 정보
추기경 서임797년
추기경 서임자레오 3세

2. 생애 초기

로마 귀족 요한네스의 아들인 그레고리오는 겉으로는 활동적이지만, 내면은 온화한 성직자로 알려져 있었다.[40] 교황 파스칼 1세 재위 시기에 사제로 서품받았으며, 827년 교황 발렌티노 선종 당시 로마 산 마르코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이었다.[41] 전임 교황과 마찬가지로 그레고리오 역시 로마 귀족들에게 지명받았으며, 선거인단은 만장일치로 그가 새 교황으로 적합하다는 데 동의하였다. 그들은 산티 코스마 에 다미아노 성당에 있던 그레고리오를 찾아내어 그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라테라노 궁전으로 데려갔다. 827년 10월, 그레고리오는 교황직을 수락했다.[42][43] 이는 교황 에우제니오 2세 때부터 시작된 로마 정국 통제 시도의 연장으로 여겨진다.[44]

그레고리오의 주교 서임식은 828년 3월 29일까지 연기되었는데, 이는 루트비히 1세 황제가 그의 선출을 승인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연은 824년 상호 조약에 따라 프랑크 황제의 승인 전에는 새 교황이 즉위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45] 루트비히 1세는 그레고리오 4세가 자신의 승인 전에 즉위하려 한 것에 대해 항의했다고 전해진다.[46] 황제지상주의에 따른 이러한 요구를 수용한 그레고리오 4세는 828년과 829년에 루트비히 1세에게 사절단을 보내 여러 가지 사항을 논의했다.

829년 1월, 그레고리오 4세는 로마 교회의 수도원 영지 소유권을 놓고 파르파 수도원과 분쟁을 벌였다. 주교와 황제의 대리인이 판관으로 참여한 법정에서 파르파 수도원장 인고알드는 역대 프랑크 황제들이 파르파 수도원의 영지 소유권을 인정했으며, 교황 하드리아노 1세교황 레오 3세가 불법적으로 수도원 소유지를 점거했다고 주장했다.[47] 황제 대리인은 수도원 측의 손을 들어주었고,[48] 로마 교회가 소유한 땅을 수도원에 반환하라는 판결이 내려졌다. 그레고리오 4세는 이 판결에 따르지 않았지만, 항소했다는 기록은 없다.[49]

3. 카롤링거 제국의 내분

Gregorius IVla는 카롤링거 왕조에서 발생한 내분에 중재자로 참여했지만, 그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다.

817년, 파스칼 1세에 의해 승인된 문서에 따라, 루트비히 1세는 첫 번째 결혼에서 얻은 세 아들, 즉 로타르 1세, 피핀 1세, 루트비히 2세에게 제국을 분할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교황은 루트비히 1세와 그의 아들들 간의 다툼 속에서 카롤링거 왕조 황제에 대한 의존도가 약해졌다. 829년, 루트비히 1세가 막내 아들 카를에게 왕국을 할당하여 제국을 분할하는 817년의 합의를 파기하기로 결정하자, Gregorius IVla프랑크 주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를 비판했다.[50] 830년, 루트비히 1세와 그의 아들들 사이에 짧은 반란과 화해가 있은 후, Gregorius IVla는 루트비히 1세의 두 번째 아내 유디트가 수녀원에서 풀려나 루트비히 1세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선언했다.[51]

833년 예수 부활 대축일에 루트비히 1세와 그의 아들들 사이에 전쟁이 다시 시작되자, 로타르 1세는 Gregorius IVla에게 중재를 요청했다. Gregorius IVla는 로타르 1세와 만나기 위해 로마를 떠났으나,[52] 루트비히 1세를 따르던 프랑크 주교들은 그가 로타르 1세를 지지한다고 생각하고 분개했다. 그들은 교황의 뜻에 따르기를 거부했으며, 심지어 교황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소리까지 나왔다.[53] 이에 Gregorius IVla는 성 베드로의 후계자로서 교황이 황제보다 더 우월한 위치에 있다고 응답했다.[54] 그러나 대다수 프랑크 주교들은 교황이 왕국의 내부 문제에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하며 반발했다.[55]

833년 6월 24일, 루트비히 1세의 군대와 그의 두 아들이 이끄는 군대가 콜마르 근처 로트펠트에서 맞닥트렸다. 루트비히 1세의 아들들은 Gregorius IVla에게 협상을 요청했고, Gregorius IVla는 루트비히 1세와 만나 평화를 주선하려 했으나, 로타르 1세에게 속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Gregorius IVla는 루트비히 1세에게 돌아가려 했으나, 로타르 1세에게 저지당했다. 루트비히 1세는 지지자들에게 버림받고 폐위되었으며, 로타르 1세가 황제를 선언했다.[57] Gregorius IVla는 로마로 돌아갔다. 834년, 루트비히 1세는 권좌를 되찾았고, Gregorius IVla에게 자신의 폐위에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해 안스가리오를 대표로 하는 사절단을 보냈다. Gregorius IVla는 자신의 의도는 평화적인 해결이었다고 해명했고, 루트비히 1세의 대표단은 그의 말을 받아들였다.[58]

836년, 로타르 1세가 로마 교회의 재산을 약탈하기 시작하자, Gregorius IVla는 루트비히 1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루트비히 1세는 조사단을 보냈지만, Gregorius IVla는 병상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사단에게 상황을 설명하고 로타르 1세의 침략을 알리는 서신을 전달하도록 요청했다. 그러나 황제의 칙사는 볼로냐에서 로타르 1세의 군대에 가로막혔다.[60] 840년, 루트비히 1세가 사망하고 로타르 1세가 황제에 즉위하면서 형제들 간의 내전이 다시 발발했다. Gregorius IVla는 라벤나 대주교 제오르지오를 사절로 파견하여 중재하려 했으나,[61] 트루아의 프루덴시오에 따르면 로타르 1세의 방해로 실패했다. 안드레아스 아넬루스는 제오르지오가 로타르 1세를 매수하려다 퐁트누아 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고 주장했다.[62] 843년, 베르됭 조약이 체결되면서 카롤루스 대제의 제국은 분열되었고, 로타르 1세는 황제의 지위와 이탈리아의 지배권을 유지했다.

4. 건축과 종교 문제

그레고리오 4세는 로마의 건축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833년 산 마르코 성당을 비잔티움 양식의 모자이크로 벽을 장식하는 등[63] 완전히 새로운 형태로 탈바꿈시켰으며, 로마 시내의 많은 성당을 보수하거나 신축하였다. 그는 성 베드로 대성전의 안마당을 새로 포장했으며,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유해를 대성전 안에 새로 설치한 부속 경당 안에 이장하였다. 그리고 로마의 카타콤베에서 성 세바스티아노와 성 티부르시오, 성 고르고니오의 유해를 다른 곳으로 이장하였다.[64] 더불어 산타 마리아 인 트라스테베레 성당의 제대를 높이 만들고, 성당과 가까운 곳에 수도원을 세우도록 지시하였다.[65]

그레고리오 4세의 지시로 산 마르코 성당에 장식된 비잔티움 양식의 모자이크화


그레고리오 4세는 또한 교황 레오 3세 재위기간 중에 훼손되었던 트라야나 수도를 보수하였다.[66] 841년에는 사라센족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오스티아 항구를 다시 지어 요새화하였다.[67] 동시에 그는 포폴리아 가도 언저리에 있는 갈레리아 개척지를 복구하였으며, 테베레 강가를 따라 왼쪽으로 드라라고 불리는 새로운 개척지를 구축하였다. 이곳은 로마로부터 오스티엔시스 가도를 따라 약 17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이었다. 이는 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교황이 자신의 관리구역을 토지 개발한 사례가 되었다.[68]

그레고리오 4세의 재위기간 동안 동로마 제국에서는 성화상 논쟁이 종지부를 찍었으며,[69] 교황 자신은 프랑크 왕국 영역인 라인강 인근에서 모든 성인 대축일 기념 행사를 성대하게 개최하였다.[70] 그레고리오 4세는 또한 832년에 안스가리오를 함부르크와 브레멘의 주교로 서임했으며, 유럽의 북동부 지역을 담당하는 교황 사절을 겸임하도록 하였다.[71]

그레고리오는 루이 황제의 대표인 메츠의 아마라리우스로부터 메츠의 교회 예배에 사용할 안티폰을 제공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는데, 이미 여러 개를 코르비의 왈라에게 주어 프랑키아로 가져갔기 때문에 황제에게 적합한 것은 없다고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39]

5. 사망

844년 1월 25일, 재위 16년 3개월 만에 사망하였다.

참조

[1] CathEncy Pope Gregory IV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History of the Church, Vol II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The Papacy in the Eighth and Ninth Centuries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The Rome of Pope Paschal I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Mann
[37] 서적 Mann
[38] 서적 Mann
[39] 서적 Mann
[40] 서적 Mann
[40] 서적 DeCormenin
[41] 서적 Mann
[42] 서적 Mann
[43] 서적 History of the Church, Vol II
[44] 서적 Levillain
[45] 서적 Levillain
[45] 서적 Mann
[46] 서적 DeCormenin
[47] 서적 Mann
[48] 서적 DeCormenin
[49] 서적 Mann
[50] 서적 Mann
[51] 서적 Mann
[52] 서적 Mann
[53] 서적 Mann
[53] 서적 DeCormenin
[54] 서적 Mann
[55] 서적 The Papacy in the Eighth and Ninth Centuries
[56] 서적 Mann
[57] 서적 Mann
[58] 서적 DeCormenin
[59] 서적 Levillain
[59] 서적 Mann
[60] 서적 Mann
[61] 서적 Mann
[62] 서적 Mann
[63] 서적 Mann
[64] 서적 The Rome of Pope Paschal I
[65] 서적 Mann
[66] 서적 Mann
[67] 서적 Mann
[67] 서적 DeCormenin
[68] 서적 Levillain
[68] 서적 Mann
[69] 서적 Mann
[70] 서적 Mann
[71] 서적 Mann, pgs. 219-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