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레오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오 3세는 795년부터 816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로마 출신으로, 교황 하드리아노 1세 선종 후 빠르게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프랑크 왕국 카롤루스 대제에게 지지를 구하고, 그의 도움으로 로마 귀족들의 반발과 암살 시도를 극복했다. 800년 성탄절에 카롤루스 대제에게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관을 씌워 서유럽의 새로운 역사를 열었다. 167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6월 12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16년 사망 - 마힌다 3세
  • 교황 클레멘스 10세가 시성한 성인 - 페르난도 3세
    페르난도 3세는 카스티야와 레온을 통합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을 몰아내는 데 기여했으며, 레콩키스타를 추진하여 코르도바와 세비야를 함락하고 1671년 시성되었다.
  • 교황 클레멘스 10세가 시성한 성인 - 리마의 로사
    리마의 로사(1586-1617)는 아메리카 대륙 최초의 가톨릭 성인으로, 평생 독신으로 고행과 봉사를 실천하다가 31세에 사망했으며, 페루, 아메리카 원주민 등의 수호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750년 출생 - 아부 누와스
    아부 누와스는 8세기 압바스 왕조 시대의 아랍 시인으로, 술과 소년애를 주제로 한 파격적인 시를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아랍 문학사에서 새로운 시풍을 개척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750년 출생 - 심기제
    심기제는 당나라의 문인이자 사관으로, 몽환적인 설정과 인생의 무상함을 다룬 전기 소설 《침중기》와 《임씨전》을 저술하고 역사서 《건중실록》을 집필했으며, 양염의 천거로 관직에 등용되어 예부원외랑에 이르렀다.
교황 레오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경칭교황 성
이름레오 3세
직책로마 주교
재임 시작795년 12월 27일
재임 종료816년 6월 12일
이전 직책산타 수산나의 추기경 사제
전임자하드리아누스 1세
후임자스테파노 4세
축일6월 12일
숭경로마 가톨릭교회
시성일1669년
시성자클레멘스 10세
개인 정보
출생750년경
출생지동로마 제국, 라벤나 총독부, 로마
사망816년 6월 12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다른 이름레오
로마자 표기Leo PP. III
이미지 정보
교황 레오 3세 - 레오닌 트라이클리니움
레오닌 트라이클리니움의 모자이크
레오 3세
레오 3세 (카를에게 제관을 수여)

2. 생애

레오 3세는 로마 출신으로 아티우피우스와 엘리사벳의 아들로 태어났다.[2] 교황으로 선출될 당시 그는 산타 수산나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이자 교황의 금고와 의복을 관리하는 행정관들의 수장이었다. 교황 하드리아노 1세가 795년 12월 26일에 선종한 다음 날인 12월 27일, 레오 3세가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이러한 신속한 선출은 프랑크 왕국의 간섭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였을 가능성이 높다.[21]

카롤루스는 교황 선출을 축하하는 서한과 함께 아바르족에게서 탈취한 보물 대부분을 레오 3세에게 선물했다. 레오 3세는 카롤루스로부터 받은 재산을 통해 로마의 여러 성당을 후원하거나 자선 활동을 펼칠 수 있었다.[22]

빈민 계층 출신으로 성직자의 길을 걸어 교황에 취임했으나, 출신 배경 때문에 로마 귀족들의 반발에 직면했다. 799년에는 암살 시도에서 간신히 살아남아 카롤루스 대제에게 의탁하기도 했다.

카롤루스 대제의 도움으로 로마에 돌아온 레오 3세는 800년 크리스마스에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카롤루스에게 '''신성 로마 제국 황제'''[19][20]의 관을 수여했다. 이는 동로마 제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서유럽의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한 결정이었다.

레오 3세는 816년에 사망했으며, 1673년에 시성되었다.

2. 1. 로마 귀족들의 반발과 암살 시도

레오 3세는 로마 출신으로, 교황으로 선출될 당시 산타 수산나 성당의 사제급 추기경이자 교황청 행정관들의 수장이었다. 795년 교황 하드리아노 1세가 선종한 다음 날, 레오 3세가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이러한 신속한 선출은 프랑크 왕국의 간섭을 막기 위한 조치였을 가능성이 높다.[21]

당시 로마 귀족들은 귀족 가문 출신이 교황직을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비주류 출신인 레오 3세에 대한 반발이 심했다. 799년 4월 25일, 전임 교황 하드리아노 1세의 친척들은 레오 3세를 암살하려는 음모를 꾸몄다. 대 리타니 행렬 도중 레오 3세는 무장 괴한들의 공격을 받아 쓰러졌고, 혀를 뽑히고 눈을 찢길 뻔한 위기에 처했으나, 카롤루스의 사절들이 이끌고 온 군대에 의해 구조되었다.[6] 스폴레토 공작 위니게스는 교황을 보호했고, 이후 레오 3세는 카롤루스의 진영이 있던 파더보른으로 피신했다.[22]

한편, 레오 3세의 정적들은 그를 간통위증 혐의로 고발했다. 카롤루스는 그들을 파더보른으로 소환했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결국 카롤루스는 레오 3세를 로마로 호송했고, 800년 11월 직접 로마로 가서 12월 1일에 양측 대표가 참석하는 공의회를 열었다. 레오 3세는 12월 23일 정화의 서약을 통해 혐의를 벗었고, 그의 반대자들은 추방되었다.[6]

3. 카롤루스 대제의 대관식

카롤루스에게 황제관을 씌워주는 레오 3세


800년 12월 25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예수 성탄 대축일 미사 중 레오 3세는 카롤루스에게 왕관을 씌워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언하였다. 카롤루스 대제의 전기 작가인 아인하르트는 카롤루스가 사전에 이 일을 알았다면 황제 대관을 받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23]

레오 3세는 카롤루스 1세의 보호를 받아 로마로 돌아온 후, 800년 12월 크리스마스에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하던 중 카롤루스 1세에게 '''신성 로마 제국 황제'''[19][20]의 관을 수여했다. 이로써 서유럽의 강대국과 로마 교황의 제휴라는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었다.

라파엘의 ''샤를마뉴의 대관식'' (1517)에서 발췌한 부분

3. 1. 대관식의 의미

800년 12월 25일,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거행된 예수 성탄 대축일 미사 중에 레오 3세는 무릎을 꿇고 있던 카롤루스에게 왕관을 씌워주며 그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선언하였다. 카롤루스의 전기 작가 아인하르트는 카롤루스가 이 사실을 사전에 알았다면 황제 대관을 받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3] 그러나 당시 동로마 제국콘스탄티노폴리스 정부는 불안정한 반면, 프랑크 왕국(카롤링거 왕조)은 안정적이고 강력했기에, 카롤링거 왕조의 황제 대관식이 계획되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22]

이 대관식은 동로마 제국에 대한 도발로 여겨졌는데,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여전히 로마의 정당한 수호자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시 동로마 제국의 여황제 이리니유스티니아누스 1세 이후 황제들과 마찬가지로 로마를 보호하기에는 너무 약했다.

카롤루스의 황제 대관식은 중세 유럽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이 사건을 통해 카롤루스는 '유럽의 아버지'로 불리게 되었다. 카롤루스 대제는 앨퀸 등 지식인들을 초빙하고, 수도자들과 필경자들의 고대 기독교 문헌 필사 및 보존을 지원하였다. 또한 수도원과 주교좌 성당에 부속 학교를 설립했는데, 이들은 훗날 유럽 명문 대학의 전신이 되었다. 카롤루스 대제 시대에는 건축(아헨 대성당, 잉겔하임 대성당 등), 기술(쇠 말편자, 말 안장 등), 농업(삼중 윤작 농법) 등에서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카롤링거 르네상스'라 불리는 문예 부흥이 일어났다. 카롤루스 대제는 유럽 대륙의 정치적 통합은 이루지 못했지만, 유럽 문화의 통일을 달성하였다.[24]

레오 3세가 카롤루스의 황제 대관식을 주재한 이유는 프랑크 궁정의 사전 개입 여부,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등 여러 논쟁이 있지만, 이 대관식을 통해 교황의 권위는 강화되었고, 기독교와 프랑크 왕국의 제휴는 더욱 밀착되어 기독교는 더 이상 동로마 제국에 의존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이 대관식은 중세 유럽 역사에서 가장 의미 있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4. 죽음과 유산

레오 3세는 20년이 넘는 재위 기간을 마치고 816년에 사망했다.[15] 그는 사후 성 베드로 대성전에 마련된 개인 무덤에 안장되었으나, 몇 년 후 레오 1세, 레오 2세, 레오 4세와 합장되었다. 하지만 18세기에 레오 1세의 유해는 단독으로 그의 이름을 딴 경당으로 이장되었다.[26]

레오 3세는 1673년 교황 클레멘스 10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어 《로마 순교록》에 이름이 등재되었다.[16] 축일은 6월 12일이다.

카롤루스 1세에게 제관을 수여하고 서유럽에 새로운 역사의 문을 연 교황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조

[1] 논문 Migranten und Stadtgesellschaft im frühmittelalterlichen Rom: Griechischsprachige Einwanderer und ihre Nachkommen im diachronen Vergleich https://doi.org/10.1[...] De Gruyter 2020
[2] 논문 The Declining Knowledge of Greek in Eighth- and Ninth-Century Papal Rome 1985
[3] 논문 Die Herkunft des Papstes Leo III 1969
[4] 간행물 Prosopography of the Byzantine Empire http://www.pbe.kcl.a[...] 2014
[5] 웹사이트 Leone (?–816) https://webdept.fiu.[...]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2018-04-24
[6] 백과사전 Pope St. Leo III
[7] 백과사전 Charlemagne
[8] 서적 The Life of Charlemagne https://sourcebooks.[...] Harper & Brothers
[9] 서적 The Lives of the Ninth-century Popes (Liber Pontificalis): The Ancient Biographies of Ten Popes from A.D. 817–891 Liverpool University Press 1995
[10] 서적 The Republic of St. Peter: The Birth of the Papal State, 680–825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11] 서적 Mohammed and Charlemagne Routledge 2013
[12] 백과사전 Councils of Clovesho
[13] 서적 The filioque : history of a doctrinal controvers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4] 서적 The lives of the eighth-century popes (Liber pontificalis): the ancient biographies of nine popes from AD 715 to AD 817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7
[15] 서적 The deaths of the Pop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16] 서적 The Lives of the Saints https://books.google[...] J. Hodges 2018-04-24
[17] 서적 西欧中世史事典 ミネルヴァ書房
[18] 서적 ビザンツ皇妃列伝 白水社
[19] 문서 神により加冠されし至尊なるアウグストゥス、偉大にして平和的なる、ローマ帝国を統べるインペラトル
[20] 문서 이帝位는東로마皇帝와의対比から西로마皇帝로表記されることもあるが、あくまで797年に追放されたコンスタン티노스6世の後継者としての「로마帝国全土の皇帝」であって、롬ulus・아우구스투루스以降に途絶えていた(同じく西로마皇帝로表記される)西方正帝로를復活させたものではないことに注意를要する。
[21] 웹사이트 Pope St. Leo II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3-01-05
[22] 웹사이트 Charlemagne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3-01-05
[23] 웹인용 "Einhard: The Life of Charlemagne, translated by Samuel Epes Turner, New York, Harper & Brothers,(1880)" http://www.fordham.e[...] 2014-04-07
[24] 웹인용 Reardon, Patrick Henry, "Turning Point: The Crowning of Charlemagne", Christianity Today, January 1, 2006 http://www.christian[...] 2014-04-28
[25] 웹인용 Agreed Statement of the North American Orthodox-Catholic Theological Consultation, 2003년 10월 25일 http://www.usccb.org[...] 2014-05-12
[26] 서적 The deaths of the Popes. https://archive.org/[...] McFar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