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심플리치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심플리치오는 468년부터 483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이다. 그는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옹호하고 유티케스 이단에 맞서 싸웠으며, 동방 교회의 이단 주교들을 비난했다. 또한 서방 교회의 권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했고, 성직 임명 시기를 확대했다. 심플리치오는 산타 비비아나 교회를 건설했으며, 서로마 제국 멸망과 오도아케르의 이탈리아 왕국 수립을 지켜봤다. 그는 483년에 사망하여 성 베드로 대성당에 묻혔으며, 축일은 3월 10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세기 교황 - 교황 레오 1세
    레오 1세는 440년부터 461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훈족과 반달족의 침공을 막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며 교황 무류성의 사례를 제시하여 로마의 수호자이자 교황 수위권을 강화한 인물이다.
  • 5세기 교황 - 교황 젤라시오 1세
    교황 젤라시오 1세는 교황 수위권을 강조하고 '두 권력' 사상을 제시하며 교황권 강화와 교회 재산 관리 체계 확립에 힘쓴 5세기 로마 교황이다.
  • 5세기 대주교 - 교황 레오 1세
    레오 1세는 440년부터 461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훈족과 반달족의 침공을 막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며 교황 무류성의 사례를 제시하여 로마의 수호자이자 교황 수위권을 강화한 인물이다.
  • 5세기 대주교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412년부터 444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지낸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에서 테오토코스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도했으나 이교도와 유대인 탄압, 히파티아 피살 사건 연루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교황 심플리치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교황 성인
이름심플리치오
직함로마의 주교
교회가톨릭교회
재임 시작468년 2월 25일
재임 종료483년 3월 2일 또는 3월 10일
이전 교황힐라리오
다음 교황펠릭스 3세
출생지서로마 제국, 라치오, 티볼리
사망일483년 3월 10일
사망지오도아케르 왕국, 로마
축일3월 10일
공경정교회, 가톨릭교회
교황 심플리치오 (뉘른베르크 연대기)
교황 심플리치오 (뉘른베르크 연대기)

2. 생애 초기

심플리치오는 이탈리아 티볼리에서 카스티누스라는 로마 시민의 아들로 태어났다.[1] 교황 힐라리우스 사망 후 10일간 공석 기간을 거쳐 468년 2월 25일에 심플리치오가 착좌했다.[2]

3. 교황 재위 기간의 주요 활동

심플리치오 교황은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옹호하고 유티케스 이단에 맞서 싸웠다.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에서 로마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산타 비비아나 등 여러 교회를 건설하고 봉헌했다. 또한, 서로마 제국 멸망 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이탈리아 국민을 돕기 위해 노력했다. 메츠의 아마라리우스에 따르면, 심플리치오는 크리스마스 전 12월 이외의 다른 시기에 서임을 행한 최초의 교황이었으며, 2월에도 성직을 수여하기 시작했다.[7]

3. 1. 동방 교회와의 관계

교황 심플리치오는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유티케스 이단에 맞서 옹호했다. 유티케스파가 안티오키아에서 일어나 페트루스 몽구스를 세우자, 심플리치오는 가톨릭 주교 복귀를 위해 바실리스쿠스동로마 제국의 황제인 레오 1세에게 반복적으로 항의했다.[3] 그는 또한 페트루스 풀로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자리를 찬탈했을 때도 같은 행동을 했으며, 티모테오스 솔로파키올루스 총대주교를 복권시켰다.[3] 478년에 심플리키우스는 로마에서 시노드를 열어 동방의 이단 주교인 페테르 풀로, 아파메이아의 요한, 에페소스의 바울에게 저주를 내렸다.[4]

3. 2. 서방 교회에서의 권위 강화

교황 심플리치오는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유티케스 이단에 맞서 옹호했다. 유티케스파가 안티오키아에서 일어나 페트루스 몽구스를 세우자, 심플리치오는 가톨릭 주교 복귀를 위해 바실리스쿠스동로마 제국의 황제인 레오 1세에게 반복적으로 항의했다. 그는 또한 페트루스 풀로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자리를 찬탈했을 때도 같은 행동을 했으며, 티모테오스 솔로파키올루스 총대주교를 복권시켰다.[3] 478년에 심플리치오는 로마에서 시노드를 열어 동방의 이단 주교인 페테르 풀로, 아파메이아의 요한, 에페소스의 바울에게 저주를 내렸다.[4]

심플리치오는 서방에서 로마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1] 그는 히스팔리스(세비야)의 주교인 제노를 스페인의 교황 대리로 임명했다.[5] 482년, 모데나의 주교인 그레고리우스는 라벤나의 요안네스 1세 대주교에 의해 본인의 의사와는 다르게 주교로 서임되었는데, 이는 심플리키우스 교황으로부터 강력한 질책을 받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6]

3. 3. 로마에서의 활동

교황 심플리치오는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유티케스 이단에 맞서 옹호했다. 유티케스파가 안티오키아에서 일어나 페트루스 몽구스를 세우자, 심플리치오는 가톨릭 주교 복귀를 위해 바실리스쿠스동로마 제국의 황제인 레오 1세에게 반복적으로 항의했다. 그는 또한 페트루스 풀로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자리를 찬탈했을 때도 같은 행동을 했으며, 티모테오스 솔로파키올루스 총대주교를 복권시켰다.[3] 478년에 심플리키우스는 로마에서 시노드를 열어 동방의 이단 주교인 페테르 풀로, 아파메이아의 요한, 에페소스의 바울에게 저주를 내렸다.[4] 심플리키우스는 서방에서 로마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1] 그는 히스팔리스(세비야)의 주교인 제노를 스페인의 교황 대리로 임명했다.[5]

482년, 모데나의 주교인 그레고리우스는 라벤나의 요안네스 1세 대주교에 의해 본인의 의사와는 다르게 주교로 서임되었는데, 이는 심플리키우스 교황으로부터 강력한 질책을 받는 원인이 되었다.[6]

메츠의 아마라리우스에 따르면, 심플리키우스 교황은 크리스마스 전 12월 이외의 다른 시기에 서임을 행한 최초의 교황이었다. 그는 또한 2월에도 성직을 수여하기 시작했다.[7]

심플리키우스는 성녀이자 순교자인 성 비비아나를 기념하여 산타 비비아나 교회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또한 첼리오 언덕에 있는 산 스테파노 로톤도 교회, 산타 마리아 마조레 인근의 산 안드레아 교회, 그리고 캄포 베라노에 있는 성 라우렌시오에게 헌정된 교회도 봉헌했다.[8] 그는 야만족 침략자들의 약탈적인 습격으로부터 이탈리아 국민을 돕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헤룰리 용병들이 반란을 일으켜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폐위시키고, 오도아케르를 476년에 이탈리아의 왕으로 선포하는 것을 지켜봤다.[9] 오도아케르는 로마의 행정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았고, 도시는 심플리키우스 주교의 손에 굳건히 남겨졌다.

3. 4. 서로마 제국 멸망과 오도아케르

심플리치오는 야만족 침략자들의 약탈적인 습격으로부터 이탈리아 국민을 돕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헤룰리 용병들이 반란을 일으켜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를 폐위시키고, 오도아케르를 476년에 이탈리아의 왕으로 선포하는 것을 지켜보았다.[9] 오도아케르는 로마의 행정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았고, 도시를 심플리치우스 주교의 손에 굳건히 남겨 두었다.

4. 죽음과 유산

심플리치오는 483년 3월 2일 성 베드로 대성당에 묻혔다. 이후 6일 동안 교황 자리가 비어 있었다.[10] 1971년 이후,[11] 성 심플리치오의 축일은 3월 10일에 기념되고 있다.[12][1]

참조

[1] 서적 Catholic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ppleton
[2] 간행물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Thiel
[3] 간행물 Thiel
[4] 서적 A History of the Councils of the Church, from the Original Documents https://books.google[...] T. & T. Clark
[5] 간행물 Thiel
[6] 간행물 Italia Pontificia https://archive.org/[...] Thiel
[7] 간행물 Thiel
[8] 간행물
[9] 웹사이트 Lives of the Saints http://www.sacred-te[...] Benziger Bros.
[10] 간행물 Regesta pontificum Romanorum Thiel
[11] 웹사이트 Simplicio, santo http://www.treccani.[...]
[12]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3]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4] 웹사이트 Pope St. Simplicius https://en.wikisourc[...] Catholic Encycl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