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리 협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리 협곡은 멕시코 치와와주에 위치한 산악 지형으로, 깊은 협곡과 다양한 생태계를 자랑한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은이 발견되어 원주민인 타라후마라족이 광산 작업에 동원되었으며, 현재는 고산 및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 구리 협곡은 소나무와 참나무 등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며, 인구 증가와 관광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이곳에는 타라후마라족이 거주하며, 지구력 달리기 선수로 알려져 있다. 관광객들은 하이킹, 자전거 타기, 기차 여행 등을 통해 구리 협곡을 탐험할 수 있으며, 치와와 태평양 철도가 주요 교통 수단으로 이용된다.

2. 역사

17세기에 스페인 사람들이 구리 협곡 지역에 도착하여 타라후마라라고 불리는 원주민들을 만났다. 스페인 사람들은 금과 은을 찾고 기독교를 전파하려 했다. 일부 학자들은 '타라후마라'라는 단어가 '달리는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추정한다. 17세기 스페인 사람들은 타라후마라 부족의 땅에서 은을 발견하고, 일부 원주민들을 광산 노예로 삼았다. 타라후마라족은 봉기를 일으켰지만 실패하고, 결국 협곡 절벽으로 쫓겨났다.[1]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17세기에 스페인 사람들이 구리 협곡 지역에 도착하여 치와와 전역에서 원주민들과 만났다. 스페인 사람들에게 아메리카는 금과 은을 탐사하고 기독교를 전파할 새로운 땅이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원주민들이 자신들의 남자를 부르는 단어인 Rarámuri에서 유래된 "타라후마라"라고 불렀다. 일부 학자들은 이 단어가 '달리는 사람들'을 의미할 수 있다고 본다.[1] 17세기 동안 타라후마라 부족의 땅에서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은이 발견되었다. 일부 원주민은 광산 작업에 동원되어 노예가 되었다. 타라후마라족은 작은 봉기를 일으켰지만 별 소용이 없었다.[1] 그들은 결국 더 살기 좋은 땅에서 쫓겨나 협곡 절벽으로 올라가야 했다.[1]

1000px

3. 지리 및 기후

구리 협곡의 산악 지역은 10월에서 11월, 3월에서 4월까지 온화한 기온을 보이는 고산 기후를 나타낸다. 협곡의 바닥은 연중 습하고 따뜻하다. 가장 더운 달인 4월부터 6월까지는 가뭄이 만성적인 문제이며, 우기가 시작되는 7월까지 강수량이 거의 없다.

4. 생태

리오 우리케, 구리 협곡.


시에라 타라후마라 옥시덴탈 지역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지만, 인구 증가와 개발로 인해 많은 위협을 받고 있다.

4. 1. 동식물

시에라 타라후마라 옥시덴탈 지역에는 수많은 종의 소나무와 참나무가 서식한다.

멕시코 가문비나무는 해발 2400m 이상의 고지대를 덮고 있지만, 이 지역의 산림 벌채로 인해 많은 야생 동물 종이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퓨마는 가장 외딴 지역에 서식하며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여름 우기가 지나면 이 상부 지역은 10월까지 야생화로 만개한다.

1200m~2400m에서는 참나무는 거대한 숲뿐만 아니라 음영에 더 강한 유형의 나무에서도 자란다. 가을에는 안데스 오리나무(*Alnus acuminata*)와 포플러(*Populus* spp.) 나무의 색깔로 숲이 화려해진다. 협곡 경사면에는 관목과 관목이 자라며 건기를 견딜 수 있다. 거대한 무화과나무(*Ficus* spp.)와 야자수는 물이 풍부하고 기후가 열대 기후인 바닥에서 잘 자란다.

4. 2. 생태계 위협

인구 증가로 인해 시에라 타라후마라 옥시덴탈 지역의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2] 정부가 관광 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원하면서 환경과 원주민 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전에는 고립되었던 산악 지역에 도로가 건설되었고, 농업, 방목, 장작 마련을 위한 활엽수 및 기타 나무 벌채로 토양 침식이 가속화되고 있다.

메스키트(`Prosopis` spp.)와 사막 철목(`Olneya tesota`)은 숯 생산을 위해 주로 미국으로 수출되고, 아마파(`Tabebuia chrysantha`)는 건축 및 가구 제작에 사용된다. 이러한 과도한 벌채로 황제 딱따구리와 멕시코 늑대가 멸종되었으며, 원래 원시림은 약 2%만 남아있다.[3] 세계 은행은 이 지역의 대규모 산림 벌채 프로젝트를 중단시켰다. 멕시코 산림청은 이 나무들을 "법적으로 보호"한다고 하지만, 실제 시행은 어렵다.

양귀비대마초 재배를 막기 위해 정부가 제초제를 살포하면서 다른 종들도 위협받고 있다. 특히, 원주민들이 의례에 사용하는 번데기를 가진 거대한 산누에나방의 일종인 `Rothschildia cincta`가 위협받고 있다.

구리, 금 등 광물 노천 채굴제련 과정에서 대기 오염을 유발하며, 타라후마라 개구리(`Rana tarahumarae`)의 심각한 감소와 관련이 있다. 모든 강 시스템이 댐으로 막혀 인근 사막 지역 사회의 담수 부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리오 푸에르테에 건설 중인 대형 댐은 열대 우림과 서식지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비공식적이고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멕시코는 환경법을 가지고 있지만 재정적 자원이 부족하여 시행이 느슨하거나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관들은 자연 보호 구역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4. 3. 보존 노력

인구 증가로 인해 시에라 타라후마라 옥시덴탈 지역의 생태계에 많은 위협이 가해지고 있다.[2] 정부의 "관광 친화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자금 지원은 환경과 원주민 문화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 이전에는 고립되었던 산악 지역에 도로가 건설되었다. 농업과 방목, 그리고 장작을 위한 활엽수 및 기타 나무의 벌채는 토양 침식 문제를 가속화시켰다. 메스키트(`Prosopis` spp.)와 사막 철목(Olneya tesota) 나무는 숯을 만들기 위해 주로 미국으로 잘려져 수출된다. 아마파(Tabebuia chrysantha) 나무는 건축 및 가구 제작을 위한 매우 귀중한 목재를 생산한다. 다른 나무들도 비싼 목재를 위해 잘리고 판매된다. 이 지역의 산림 과도한 벌채는 황제 딱따구리와 멕시코 늑대의 멸종을 초래했다. 원래의 원시림은 약 2%만 남아있다.[3] 그러나 이 지역의 대규모 산림 벌채 프로젝트는 현재 세계 은행에 의해 중단되었다. 멕시코 산림청은 이러한 나무 종을 "법적으로 보호"한다고 간주했지만, 시행은 어렵다.

정부는 작물을 제초제로 살포하여 양귀비대마초 재배를 중단하거나 늦추기 위한 조치를 취했는데, 이는 많은 다른 종의 개체에 위협을 가한다. 거대한 산누에나방 ''Rothschildia cincta''는 살포로 인해 위협받는 종 중 하나이다. 그들의 고치는 원주민들이 의례적인 목적으로 사용한다.

구리, 금 및 기타 금속에 대한 노천 채굴제련에서 대기 오염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타라후마라 개구리 (''Rana tarahumarae'')의 심각한 감소와 관련이 있다. 모든 강 시스템이 댐으로 막혀 인근 사막 지역 사회에 담수 부족을 야기했다. 거대한 댐이 리오 푸에르테에 건설되고 있는데, 이는 주요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열대 우림과 서식지의 대규모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비공식적이고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멕시코는 환경법을 가지고 있지만 재정적 자원이 부족하다. 시행은 느슨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기관들은 자연 보호 구역에 대한 보호를 적극적으로 강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5. 원주민

라라무리족은 구리 협곡의 원주민이다. 라라무리족의 인구는 35,000명에서 70,000명 사이로 추정된다. 이들은 주로 자급자족 농업에 기반한 식단을 유지하며, 사육하는 가축, 야생 동물, 민물고기 등을 섭취한다. 특히 옥수수는 이들 식단의 가장 중요한 주식이다. 라라무리족은 지구력 달리기로 유명하며, 라라하파리라는 전통 경주를 즐긴다.

라라무리족은 여름에는 시원한 산악 지역에, 겨울에는 따뜻한 협곡 깊숙한 곳에 거주하며,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고유 문화를 보존한다. 그러나 관광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이들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에 대한 논쟁이 지역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다.

5. 1. 라라무리족 (타라후마라족)

라라무리족은 구리 협곡의 전통적인 거주민이다. 공식적인 인구 조사는 없지만, 라라무리족의 인구는 35,000명에서 70,000명 사이로 추정된다.

많은 라라무리족은 더운 여름철에는 시원한 산악 지역에 거주하고, 기후가 더 온화한 추운 겨울철에는 협곡 깊숙이 이동한다. 그들의 생존 전략은 도시 사람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관광객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는 지역을 점유하여 고립되고 독립적인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들의 문화를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일부 지역 사회는 도로, 식당 및 숙박 시설 건설을 위한 정부 자금을 받아 관광객을 유치한다. 다른 많은 라라무리족 집단은 도시 생활에서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며 독립성을 유지한다. 그들의 생활 방식은 산악 지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그들의 식단은 주로 자급자족적인 농업에 기반하지만, 사육된 소, 닭, 염소의 고기, 야생 동물, 민물고기로 구성된다. 옥수수(마이즈)는 라라무리족 식단에서 가장 중요한 주식이다.

라라무리족은 지구력 달리기 선수로 알려져 있다. 협곡에 살면서 그들은 엄청난 수직 거리를 이동하며, 종종 몇 시간 동안 멈추지 않고 달린다. 라라하파리라고 불리는 인기 있는 라라무리족 공동체 경주는 가파른 협곡의 길을 따라 나무 공을 차면서 진행된다.

5. 2. 관광과의 관계

관광은 구리 협곡에서 성장하는 산업이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서는 지역 사회에서 논쟁이 있다. 일부 지역 사회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도로, 식당, 숙박 시설 건설에 필요한 정부 자금을 지원받는다. 다른 많은 라라무리족 집단은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도시 생활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지역에 거주한다. 그들의 생활 방식은 산악 지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6. 관광

구리 협곡을 탐험하는 방법에는 하이킹, 자전거 타기, 자동차 여행, 승마 등이 있다. 가장 인기 있는 방법은 기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치와와 태평양 철도(ChePe)는 치와와와 로스 모치스 사이의 주요 협곡인 우리케 협곡을 따라 운행하며, 이는 캘리포니아 만에 위치해 있다.

치와와 태평양 철도는 19세기 말에 시작되었으나, 멕시코 혁명, 자금 부족, 그리고 이러한 지형에 철도를 건설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1961년에야 완공되었다. 총 405km 길이의 레일은 39개의 다리와 86개의 터널을 지나며, 총 여행 시간은 약 15시간이다. 기차는 마을과 협곡의 우뚝 솟은 절벽을 지나가며, 철도를 따라 많은 타라후마라족이 음식, 공예품 등을 판매한다.

멕시코는 이 외딴 지역을 선보이기 위해 구리 협곡 국립공원(Parque Nacional Barranca del Cobre)을 설립했다. 이 공원은 바토필라스, 보코이나, 과초치, 우리케 자치체에 걸쳐 있다.

바사세아치 폭포 국립공원은 바사세아치 폭포 주변에 위치하며, 협곡 지역 내에 자리 잡고 있다.

바토필라스로 가는 길은 구리 협곡으로 이어진다.

7. 주요 도시 및 마을


  • 바우이치보(Bahuichivo): 체페(ChePe) 기차역이 있으며, 세로카우이, 우리케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 바사세아치: 칸다메냐 협곡의 바사세아치 폭포 근처에 있다.
  • 바토필라스: 1632년경 스페인이 은광 개발을 위해 건설한 마을이다. 바토필라스 강에 있으며, 우리케에서 남동쪽으로 30km 떨어져 있다.
  • 보코이나: 크릴에서 동쪽으로 30km 떨어져 있으며, 리오 콘초스 강이 흐른다.
  • 세로카우이: 바우이치보 기차역에서 남쪽으로 14km 떨어져 있다.
  • 크릴: 협곡 꼭대기에 위치하며, 해발 2350m로 체페 철도(Ferrocarril Chihuahua al Pacífico|ChePe railroad) 노선에서 가장 높은 지점 중 하나이다. 상업과 관광의 중심지이다.
  • 디비사데로: 우리케 협곡을 내려다볼 수 있는 중요한 기차역이자 전망대이다. 체페(ChePe) 기차는 방문객들이 경치를 감상할 수 있도록 15~20분간 정차한다.
  • 테모리스: 체페(ChePe) 기차가 나선형 선로를 통해 계곡을 3번 횡단하는 곳이다.
  • 우리케: 우리케 강에 위치한 마을로, 바토필라스에서 북서쪽으로 30km 떨어져 있다.

8. 대중문화

디스커버리 채널의 ''인간 대 자연'' 시즌 1 에피소드 12 "라라무리 이야기"에 구리 협곡이 등장했다.[4]

크리스토퍼 맥두걸의 논픽션 도서 ''본 투 런''은 울트라 러너 미카 트루가 구리 협곡에서 타라후마라 족에게 더 나은 달리기 방식을 배운 이야기를 담고 있다.[5][6] 미카 트루는 구리 협곡 울트라 마라톤의 레이스 디렉터였으며,[7][8] 이 경주는 우리케의 광장에서 끝난다. 경주 코스는 약 80.47km 길이의 싱글 트랙 트레일과 비포장 도로를 포함한다.[5][8]

참조

[1] 논문 Análisis regional para estimar precipitaciones de diseño en la república mexicana 2018
[2] 논문 Punitive damages and their alternatives in Mexican environmental law 2013-07
[3] 서적 Self Directedness 2013-05-13
[4] 웹사이트 raramuritale.co.uk http://www.raramurit[...]
[5] 뉴스 Search Is On in New Mexico for Revered Ultrarunner https://www.nytimes.[...] 2012-03-30
[6] 뉴스 Officials expand search for missing Colorado ultrarunner in New Mexico http://www.foxnews.c[...] Fox News 2012-03-31
[7] 웹사이트 Copper Canyon Ultra Marathon home page http://coppercanyonu[...]
[8] 웹사이트 Born to Run: Caballo Blanco Interview http://www.outsideon[...] 2010-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