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아나야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아나야섬은 카리브해에 위치한 온두라스의 섬으로, 150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상륙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파얀스 인디언이 거주했으며, 16세기에서 17세기에는 해적이 활동하기도 했다. 허리케인 미치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지만 재건되었으며, 2021년 대화재로 인해 섬의 일부가 소실되기도 했다. 주민들은 카라콜족과 메스티소, 아프리카계, 백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가지고 있다. 주요 교통 수단은 보트이며, 구아나하 공항을 통해 항공편을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두라스의 람사르 등록 습지 - 우틸라섬
    우틸라섬은 온두라스 바히아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다이빙 명소와 선잼 축제로 관광객을 유치하며, 중요한 조류 지역 및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이슬라스데라바이아주 - 가리푸나
    가리푸나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연안에 거주하며 아프리카, 아라와크, 유럽 혈통이 혼합된 민족으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여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이슬라스데라바이아주 - 우틸라섬
    우틸라섬은 온두라스 바히아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다이빙 명소와 선잼 축제로 관광객을 유치하며, 중요한 조류 지역 및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온두라스의 섬 - 우틸라섬
    우틸라섬은 온두라스 바히아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다이빙 명소와 선잼 축제로 관광객을 유치하며, 중요한 조류 지역 및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온두라스의 섬 - 엘티그레섬
    엘티그레섬은 태평양 폰세카 만에 위치한 온두라스의 섬으로, 활화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적은 38.5km²이다.
구아나야섬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구아나하의 NASA 위성 사진
구아나하의 NASA 위성 사진
위치카리브해
군도바이아 제도
지리
면적50 km²
행정 구역
국가온두라스
행정 구역 단위바이아 제도
인구 통계
인구 (2015년)5538명
지정
람사르 습지Sistema de Humedales de la Isla de Guanaja (2021년 10월 25일 지정, 번호 2456)

2. 역사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502년 4차 항해에서 구아나야에 상륙했는데, 이는 그가 카카오를 처음 접한 시기였다.[1] 이후 케이맨 제도 사람들이 베이 제도에 정착하면서 스페인어와 영어가 확산되었다.

1998년 허리케인 미치로 섬 대부분의 건물과 주택이 파괴되었다. 섬 주민들은 재건했지만, 경제적 여파는 아직 남아있다. 허리케인으로 파괴된 맹그로브와 소나무 숲은 천천히 회복되고 있다.

호머 히캄은 1973년 구아나야를 탐험한 최초의 스쿠버 다이버 중 한 명이다. 그는 섬 주변의 암초 시스템을 스포츠 다이버를 위해 광범위하게 매핑했다. 그는 여전히 섬 북동쪽 끝에 재산을 소유하고 있다.

2. 1. 콜럼버스 상륙 이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1502년 7월 30일 4차 항해를 통해 구아나야에 상륙하기 전, 이 섬에는 파얀스 인디언이 거주하고 있었다.

2. 2. 콜럼버스 상륙과 유럽인의 유입 (16세기~18세기)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502년 4차 항해에서 구아나야에 상륙했다. 이는 그가 초콜릿의 핵심인 카카오를 처음 접한 시기였다. 그는 섬 북쪽에 위치한 솔다도 해변에 상륙했다.[1] 이후 몇 년 동안 케이맨 제도 사람들이 베이 제도에 정착하면서 스페인어와 영어가 확산되었다.[1]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502년 7월 30일에 상륙했고,[1] 페드로 모레노는 1524년에 상륙했으며, 1516년에서 1526년까지 스페인 노예 습격이 있었고, 16세기와 17세기에는 해적이 활동했으며, 인디언들은 골페테 둘세로 이주했다.[1]

구아나야는 다음과 같이도 알려졌다.[1]

이름연도
카구아마라1600
이슬라 피노스1600
구아나카1601
구아나이아1657
구아나야1749
보나카오1771
보나카1779


2. 3. 영국 식민지 시대와 온두라스 귀속 (19세기)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502년 4차 항해에서 구아나야에 상륙했다. 이때 콜럼버스는 초콜릿의 핵심 재료인 카카오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그는 섬 북쪽에 위치한 솔다도 해변에 상륙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케이맨 제도 사람들이 베이 제도에 정착하면서 스페인어와 영어가 확산되었다.

1516년에서 1526년까지 스페인의 노예 습격이 있었고, 16세기와 17세기에는 해적이 활동했으며, 원주민인 파얀스 인디언들은 골페테 둘세로 이주했다. 1852년 베이 제도는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가 1861년 온두라스 공화국에 양도되었다.

2. 4. 정착민과 마을 형성

150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이 섬에 도착했을 때, 그는 이 섬을 ''Isla de Los Pinos''(소나무 섬)라고 불렀지만, 이미 주민들에게는 ''Guanaca''로 알려져 있었다. 이 이름은 1511년 피터 마터 지도에 처음 등장했다. 그러나 나중에 영국 해적, 사략선, 정착민들에 의해 ''Bonacca''로 발음되었다. 영국, 네덜란드, 스페인 사람들이 이름을 자신들의 취향에 맞게 변경하면서, 이 섬에는 여러 이름이 생겼다. 이후 베이 아일랜드가 온두라스에 넘겨졌다.

베이 아일랜드를 소유하게 된 온두라스 정부는 ''Guanaja''를 섬의 공식 명칭으로 지정했지만, 주민들은 가능한 한 오랫동안 옛 이름을 유지했고, 섬 전체의 나이 많은 주민들은 여전히 그것을 Bonacca라고 부른다. 주요 정착지는 원래 이름인 Lower Cays의 약자인 The Cay라고 불린다. 이곳은 처음에는 잔잔한 밤에 그들을 괴롭히는 파리를 피하기 위해 본섬 남쪽 해안에서 약 0.5km 떨어진 두 개의 작은 섬으로 이주한 Haylocks에 의해 정착되었다. 그들은 결국 그곳에 정착했고, 나중에 가장 남쪽 섬(Hog Cay)을 Kirkconnells에게 넘겨주었다. Boddens(나중에 Boddens의 일부는 Bordens로 개명됨), Phillips, Woods 등 많은 다른 가족들이 나중에 왔고, 1880년대에는 번성하는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Bonacca


사바나 바이트 마을은 올란초에서 온 Escalantes, Peraltas, Zunigas 가족에 의해 설립되었다. 나중에는 케이맨 제도 출신 Watlers도 그곳에 거주하게 되었다.

이후, 그랜드 케이맨에서 온 Tatums, Merrens, Bennetts, Forbes 등이 사바나 바이트 동쪽에 정착하여 그 지역을 이스트 엔드라고 불렀고, Parchmonts는 일부 상부 Cays에 정착했다. 노스 이스트 바이트에 처음 정착한 가족은 Ebanks, Hydes, Greenwoods였다. 로탄에 거주했던 베이 아일랜드의 첫 번째 치안 판사의 아들인 안젤로 엘윈은 섬 북쪽 상부에 정착한 최초의 사람이었다. 엘윈의 신부는 Moore였고, 그녀의 형제 3~4명이 Barbarat에서 Bonacca로 그녀를 따라왔다. Moore 가족은 Elwins처럼 벨리즈에서 베이 아일랜드로 왔다. 다른 정착민들과 달리 안젤로 엘윈은 로탄 당국이 서명한 증서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이 증서는 그에게 마이클스 록과 만 아래쪽 사이의 토지를 허가했다. Moore 가족은 Elvin으로부터 재산을 취득하여 현재 망그로브 바이트라고 불리는 곳에 집을 지었다. 그들은 나중에 Powerys와 훨씬 나중에 Johnsons와 Jacksons에 합류했다.[3]

2. 5. 허리케인 미치와 재건 (20세기 말)

1998년 10월 말, 허리케인 미치로 섬의 대부분의 건물과 주택이 파괴되었다. 그 이후 섬 주민들은 재건했으며, 미치로 인한 경제적 여파가 아직 남아 있지만 관광 산업은 회복되고 있다. 이틀 동안 섬을 휩쓸었던 허리케인의 직접적인 결과로 파괴된 대부분의 맹그로브와 소나무 숲은 천천히 회복되고 있다.

3. 환경

구아나야섬은 열대 몬순 기후(쾨펜 ''Am'')에 가까우며, 열대 우림 기후(''Af'')와 매우 근접해 있다. 연중 매우 따뜻하고 덥고 습하며, 강수량은 북동 무역풍과 카리브 허리케인의 강도에 따라 달라진다.[11]

이 섬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이 지정한 중요 조류 지역(IBA)인 바히아 제도와 코치노스 암초의 일부이다. 흰머리비둘기, 굴뚝새, 노랑목아마존 등의 조류 개체 수를 지원하여 IBA로 지정되었다.[5]

3. 1. 기후

구아나야섬은 열대 몬순 기후(쾨펜 ''Am'')에 가까우며, 열대 우림 기후(''Af'')에 매우 근접해 있다. 날씨는 연중 매우 따뜻하고 덥고 습하며, 강수량은 북동 무역풍의 세기와 카리브 허리케인의 강도에 따라 보통에서 매우 많은 수준으로 변동한다.[1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약 27.8°C약 28.3°C약 30.0°C약 30.6°C약 31.1°C약 31.7°C약 31.1°C약 31.1°C약 31.7°C약 30.0°C약 29.4°C약 28.9°C약 30.0°C
평균 최저 기온 (°C)약 25.0°C약 25.0°C약 25.6°C약 26.7°C약 27.2°C약 27.8°C약 27.2°C약 27.8°C약 27.8°C약 26.7°C약 25.6°C약 25.0°C약 26.7°C
평균 강수량 (mm)약 21.84cm약 11.94cm약 8.13cm약 5.84cm약 6.86cm약 14.73cm약 26.42cm약 17.53cm약 15.49cm약 45.21cm약 41.66cm약 35.56cm약 251.71cm


3. 2. 중요 조류 지역(IBA)

이 섬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이 지정한 중요 조류 지역(IBA)인 바히아 제도와 코치노스 암초의 일부이며, 흰머리비둘기, 굴뚝새 및 노랑목아마존의 상당한 개체 수를 지원하기 때문에 IBA로 지정되었다.[5]

4. 주민

구아나야섬에는 19세기 초부터 바히아 제도에 정착한 카라콜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2013년 온두라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과나하 시의 인구는 5,445명이며, 인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인종비율
메스티소70.19%
흑인 또는 아프로-온두라스인12.18%
백인9.91%
원주민3.22%
미스키토족2.66%
기타4.51%


4. 1. 카라콜족

카라콜족은 19세기 초부터 온두라스 북부, 특히 바히아 제도에 정착한 영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주로 아프리카계이며 일부 유럽인의 혈통도 섞여 있다. 이들은 원래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를 위해 철도 건설과 바나나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온 영어를 사용하는 카리브해 이주민들이다. 카라콜은 스페인어로 '소라', '달팽이', '껍데기'를 의미하며, 바히아 제도 사람들을 그들의 독특한 환경과 항해 문화와 연관시킨다.

영어는 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토착 섬 주민의 모국어이며, 스페인어는 두 번째로 사용된다. 반면 온두라스 본토는 주로 스페인어를 사용한다. 이는 섬이 영국의 식민지였던 과거의 결과이다. 본토 온두라스인들의 꾸준한 유입으로 인해 스페인어 사용이 증가했지만, 섬을 지원하는 관광 및 크루즈 선박 산업으로 인해 영어는 토착 섬 주민들 사이에서 계속해서 첫 번째 언어이자 지배적인 언어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카라콜족이 사용하는 영어 형태가 바뀌었다. 이 언어는 형태, 발음, 억양에서 대부분 다르며, 다른 영국령 카리브해 식민지의 영어와 비교하여 문법과 어휘에서도 조금 다르다. 섬 전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옛 표준 영어 용어와 단어의 사용으로 입증된다. 이들은 상호 이해가 가능할 정도로 유사하며 바히아 제도 전체에서 이해된다. 이 언어는 또한 배울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르치지 않으며, 억양은 북미와 유럽에서 섬에서 거주하고 일하는 다양한 외국인들로부터 파생되었다.

4. 2. 인구 구성

2013년 온두라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과나하 시의 인구는 5,445명이었다. 인종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인종비율
메스티소70.19%
흑인 또는 아프로-온두라스인12.18%
백인9.91%
원주민3.22%
미스키토족2.66%
기타4.51%


5. 문화

구아나야섬 주민들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매년 중요한 날들을 기념한다.

5. 1. 특별 기념일 전통

구아나야섬 주민들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어, 매년 중요한 날들을 기념한다. 예를 들어, 9월 15일(온두라스 독립 기념일), 10월 31일(할로윈), 12월 25일(크리스마스) 등이 있다. "올드 정크" 또는 "준카누"(오래된 쓰레기)라고 부르는 행사에서는 가면을 쓰고 낡은 옷(심지어 야자수 잎)을 걸친 사람들이 엘 카요(El Cayo) 또는 "더 키(The Key)" 거리를 질주한다. 이 행사는 주민들이 자신들의 문화의 일부로서 매우 즐겁게 여기며, 수년 동안 이어져 온 전통이다.

6. 교통

교통 수단은 드문 편이며, 2006년 기준 섬에는 차량이 3대뿐이었지만, 2011년 말에는 대략 40대 정도로 늘어났다. 망그로브 바이트에서 사바나 바이트까지 이어지는 단 하나의 도로가 있지만, 가장 흔한 교통 수단은 보트이다. 현지에서 "운하"로 알려진 수로는 섬의 남쪽에서 북쪽으로 돌아가지 않고도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구아나하 공항(GJA)이 구아나하를 운항한다. 2011년 기준, 구아나하로 가는 방법은 온두라스 본토의 라 세이바에서 출발하는 항공편과 트루히요에서 출발하는 주 2회 페리뿐이었다. 개인 보트와 전세 비행기와 함께, 현재 로탄에서 구아나하까지 매일 항공편이 운항한다. 로탄과 구아나하 사이의 이동은 현재 주중 특정 요일에 갤럭시 페리로도 가능하다.

현재 주요 교통 수단은 보트로 제한된다. 일부 자동차와 소형 오토바이를 빌릴 수 있지만, 도로는 3.2km에 불과하다.

참조

[1] 웹사이트 Sistema de Humedales de la Isla de Guanaja https://rsis.ramsar.[...]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2021-10-27
[2] 웹사이트 HONDURAS: Administrative Division: Departments and Municipalities https://www.citypopu[...] 2022-03-14
[3] 문서 Section on the settlers of the island written by resident Alfonso B. Ebanks (published?)
[4] 뉴스 Fire devastates Honduras Caribbean resort island https://www.reuters.[...] 2021-10-02
[5] 웹사이트 Islas de la Bahía y Cayos Cochinos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09-19
[6]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Guanaja, Honduras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1
[7] 웹사이트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INE), bases de datos en línea https://www.ine.gob.[...]
[8] 웹사이트 Hnd 2017-01-22
[9] 간행물 110 2016
[10] 웹인용 Sistema de Humedales de la Isla de Guanaja https://rsis.ramsar.[...]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2021-11-27
[11] 웹인용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Guanaja, Honduras http://www.weatherba[...] Weatherbase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