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스키토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스키토족은 온두라스와 니카라과의 모스키토 해안에 거주하는 원주민이다. 16세기 스페인과의 접촉 이후 영국과 동맹을 맺고 미스키토 왕국을 건설했으나, 19세기 말 니카라과에 합병되었다. 전통적으로 화전 농업과 어업을 하며, 미스키토어를 사용한다. 현재는 토지 분쟁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일부는 니카라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메리카의 원주민 - 피필족
    피필족은 8세기경 멕시코에서 엘살바도르로 이주한 나우아족의 일파로, 쿠스카탄 왕국을 건설하며 번성했으나 스페인의 침략과 학살을 겪으며 쇠퇴했고, 현재는 소수의 후손들이 언어 복원 운동을 통해 민족의 정체성을 되살리고 있다.
  • 니카라과의 민족 - 가리푸나
    가리푸나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연안에 거주하며 아프리카, 아라와크, 유럽 혈통이 혼합된 민족으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여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니카라과의 민족 - 중국계 니카라과인
    중국계 니카라과인은 19세기 후반부터 니카라과로 이주한 중국 광둥성 출신 이민자들의 후손으로, 상업, 서비스업,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니카라과 경제에 기여하며 거주하고 있다.
  • 온두라스의 민족 - 가리푸나
    가리푸나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연안에 거주하며 아프리카, 아라와크, 유럽 혈통이 혼합된 민족으로,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여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온두라스의 민족 - 온두라스의 인구
    온두라스의 인구는 1791년 12만 명에서 2022년 약 1,059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메스티소, 아메리카 원주민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스페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기독교가 주된 종교이다.
미스키토족
일반 정보
민족 명칭미스키토족
고유 명칭Miskitu Uplica Nani
니카라과 빌위와 크루키라 사이에서 버스 타이어를 교체하는 미스키토족 사람들
니카라과 빌위와 크루키라 사이에서 버스 타이어를 교체하는 미스키토족
인구70만 ~ 80만 명
거주 지역니카라과
온두라스
언어미스키토어
스페인어
영어
미스키토 해안 크리올
종교모라비아 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관련 민족마양나족
카카오페라족
가리푸나족
마룬
아프로-카리브인

2. 역사

미스키토족의 역사는 크게 식민 시대 이전, 영국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미스키토 왕국 시대, 니카라과로의 합병 이후 시기, 그리고 현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미스키토"라는 이름은 전설적인 지도자 '미스쿠트'에서 유래한 "미스쿠트 우플리카난"(Miskut uplikanan, 미스쿠트의 사람들)이라는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식민 시대 이전, 이 지역에는 고대 미스키토어를 사용하는 여러 원주민 집단이 평등한 사회를 이루며 살고 있었다. 16세기 스페인 제국이 이들을 발견하고 기록했으나, 지리적 고립으로 인해 직접적인 지배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17세기 중반, 난파된 노예선에서 살아남은 아프리카인들이 해안 북부에 정착하여 원주민과 통혼하면서 미스키토 삼부(Miskito Sambu) 또는 모스키토 잠보(Zambo)라 불리는 혼혈 집단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남부의 비교적 순혈에 가까운 미스키토(현대의 타위라 미스키토)와 경쟁 관계에 있기도 했다.[4][5][6]

17세기 영국 사략선들이 미스키토족과 비공식적인 동맹을 맺으면서, 영국은 이들의 지도자를 왕으로 인정하고 그 영역을 "미스키토 왕국"이라 칭하기 시작했다.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미스키토족, 특히 삼부 세력은 주변의 스페인령 영토나 다른 원주민 집단을 습격하여 포로를 유럽 노예 상인에게 팔아넘기는 등 노예 무역에 관여하기도 했다.[10] 1740년에는 잠보 미스키토 지도자와 영국 사이에 공식적인 우호 조약이 체결되었고, 영국은 미스키토 해안을 보호령으로 삼아 영향력을 행사했다.[12] 미국 독립 전쟁 이후 영국은 공식적으로 해안 통제권을 스페인에 넘겼으나, 비공식적인 영향력은 유지하며 스페인의 침략으로부터 미스키토족을 보호하기도 했다.[14]

지리적 고립과 영국의 지원 덕분에 미스키토족은 19세기 초 중앙아메리카 국가들이 독립한 이후에도 자치권을 유지했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미국의 영향력 확대와 영국의 관심 감소로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 결국 1860년 마나과 조약을 통해 영국은 미스키토 보호구역의 자치권을 조건으로 니카라과의 영유권을 인정했다. 미스키토족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1894년 니카라과 군대가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미스키토 왕국은 완전히 소멸하고 니카라과 영토로 편입되었다.[15] 이 과정에는 대규모 바나나 농장을 운영하던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와 같은 미국 기업들의 이해관계도 작용했는데, 이들은 소규모 토지 소유주보다 중앙 정부의 통제를 선호했다.[17]

20세기 들어 미스키토족은 니카라과 정부와의 복잡한 관계를 겪었다. 특히 1979년 산디니스타 혁명 이후, 정부의 통제 강화 시도에 반발하여 일부 미스키토족은 콘트라 반군에 가담하거나 독자적인 저항 운동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탄압으로 마을 폭격, 강제 이주 등의 비극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많은 미스키토족이 온두라스로 피난했다.[19][21] 계속되는 저항 끝에 1987년 니카라과 정부는 미스키토족에게 자치권을 부여하는 법령을 통과시켰다.

21세기에도 미스키토족은 여전히 토지 권리를 둘러싼 분쟁과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정착민들의 유입과 불법적인 토지 거래로 인해 원주민 공동체와의 갈등 및 폭력 사태가 발생하고 있으며,[27] 니카라과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28] 2009년에는 일부 미스키토 원로들이 경제난과 다니엘 오르테가 정부에 대한 반감을 이유로 '모스키티아 공동체 국가'라는 이름으로 독립을 선언하기도 했으나, 국내외적인 인정을 받지는 못했다.[29] 또한 미스키토족 거주 지역은 허리케인 미치, 허리케인 펠릭스, 그리고 2020년의 허리케인 에타와 허리케인 이오타 등 강력한 자연재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큰 피해를 입고 있다.[30]

2. 1. 식민 시대 이전

16세기 초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 이 지역에는 고대 미스키토어를 사용하는 여러 소규모의 평등주의적인 아메리카 원주민 집단들이 살고 있었다. 스페인 제국은 이 지역을 타구즈갈파와 톨로갈파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약 30개의 부족이 존재한다고 기록했다. 역사학자 칼 오펜(Karl Offen)은 당시 기록을 분석하여, 강 유역을 따라 정착하고 언어 방언에 따라 구분되는 약 6개의 주요 집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3] 16세기 동안 니카라과온두라스카리브해 연안 대부분은 스페인 당국의 실질적인 통제 밖에 있었다. 지리적 고립 덕분에 미스키토족은 스페인의 직접적인 지배를 피할 수 있었다.

17세기 초, 이 지역은 네덜란드, 영국, 웨일스 출신의 사략해적(예: 헨리 모건, 다니엘 몽바르, 윌리엄 댐피어)들이 활동하는 은신처가 되기도 했다.

17세기 중반에는 카리브해 등으로 향하던 중 난파된 노예선에서 살아남은 일부 아프리카인들이 미스키토 해안 북부, 오늘날의 그라시아스아디오스 주 근처에 도착했다. 또한 프로비던스 섬 식민지에서 탈출한 노예들도 이곳에 정착하여 원주민들과 통혼했다.[4][5] 스페인인들은 이들의 혼혈 후손을 "모스키토 삼보"라고 불렀다. 반면, 남부(현재 니카라과 지역)에 거주하던 미스키토족은 상대적으로 혼혈이 적었는데, 현대 학자들은 이들을 타위라 미스키토로 분류한다. 미스키토 삼부와 타위라 미스키토 사이에는 경쟁과 영토 분쟁이 있었으며, 이는 종종 전쟁으로 이어져 18세기에는 두 집단 간의 분열을 야기했다.[6]

같은 시기, 프로비덴시아섬 등지를 개척하던 영국 프로비던스 아일랜드 회사 소속 사략해적들이 미스키토족과 비공식적인 동맹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영국인들은 미스키토족의 추장을 인정하며 이들의 영역을 "미스키토 왕국"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니카라과의 미스키토족 오두막집

2. 2. 미스키토 왕국 시대 (17세기~19세기)

17세기 중반, 카리브해 등으로 향하다 난파된 노예선에서 살아남은 아프리카인들이 미스키토 해안 북부에 도달하여 원주민과 통혼하며 정착했다.[4][5] 이들의 혼혈 후손은 미스키토 삼부(Miskito Sambu) 또는 모스키토 잠보(Zambo)라고 불렸으며, 이들은 남부의 비교적 순혈에 가까운 미스키토어 사용 미스키토(현대의 타위라 미스키토(Tawira Miskito))와 경쟁하며 때때로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6] 스페인인들은 이 혼혈 후손을 '모스키토 삼보'라고 불렀다.

같은 시기, 프로비덴시아섬 등을 개척하던 영국 프로비던스 섬 회사 소속 사략선들은 미스키토족과 비공식적인 동맹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영국인들은 이들의 지도자를 왕으로 인정하며 그 영토를 "미스키토 왕국"이라고 불렀다. 1699년 기록에 따르면 왕국은 해안을 따라 여러 공동체에 걸쳐 있었으나, 모든 미스키토 영토나 영국인 정착촌까지 포함하지는 않았다.[7] 미스키토 왕은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지 않았으며, 1699년 기록은 왕과 총독이 전쟁 시 외에는 사법적 권한이 제한적이었고 그 외에는 평등한 사회였음을 시사한다.[8] 영국인들은 미스키토 지도자들에게 왕, 총독, 장군, 그리고 1750년대까지는 제독과 같은 직함을 부여했다.[9] 다만 초기 왕들에 대한 정보는 불분명하며 일부는 반신화적인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왕'들은 원주민 타위라 미스키토에게는 인정받지 못했다.

미스키토족 왕의 그림 (1869)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미스키토족, 특히 삼부 세력은 인접한 스페인령 영토와 아직 독립을 유지하던 다른 원주민 집단들을 공격하는 습격을 감행했다. 이들의 습격 범위는 북쪽으로는 유카탄에서 남쪽으로는 코스타리카에 이르렀다. 습격으로 잡힌 포로 중 다수는 자메이카의 설탕 농장 노동력을 찾던 유럽 노예 상인들에게 팔려나갔다.[10] 또한 1720년부터 자메이카 식민 당국은 미스키토족에게 마룬(탈주 노예)들을 블루 마운틴 지역에서 추적하여 포획하도록 의뢰하기도 했다.[11]

1740년, 잠보 미스키토 지도자와 영국 사이에 공식적인 우호 및 동맹 조약이 체결되었고, 영국은 존 호지슨을 감독관으로 임명하며 미스키토 해안 지역을 사실상의 보호령으로 삼아 통치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12]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미스키토 왕국은 영국을 도와 스페인 식민지를 공격하는 등 동맹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1783년 평화 조약으로 영국이 전쟁에서 패하면서, 영국은 미스키토 해안의 통제권을 스페인에게 넘겨주어야 했다. 영국군은 1787년 6월 말 철수를 완료했으며, 이 과정에서 미스키토 지지자였던 537명의 잠보 아프리카인과 그들의 노예 1,677명을 영국령 온두라스(현재의 벨리즈)로 이주시켰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공식적인 철수 이후에도 이 지역에 대한 비공식적인 영향력을 유지하며 종종 스페인의 침략으로부터 미스키토족을 보호하기 위해 개입했다.[14]

미스키토 왕국의 문장


지리적 고립과 영국의 간헐적인 지원 덕분에 미스키토족은 19세기 초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과 니카라과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이후에도 상당 기간 자치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세기 중반부터 먼로 독트린을 내세운 미국이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영국의 지배력에 도전하기 시작했고, 영국의 개입은 점차 줄어들었다. 결국 1860년, 영국과 니카라과는 마나과 조약을 체결하여 미스키토 보호구역의 자치권을 보장한다는 조건 하에 니카라과의 영유권을 인정했다. 미스키토족은 이에 반발했지만, 1894년 호세 산토스 셀라야 대통령이 이끄는 니카라과 군대가 미스키토 해안을 무력으로 점령하면서 왕국은 완전히 소멸하고 니카라과 영토로 편입되었다.

2. 3. 니카라과 합병과 20세기 (1894년~1990년대)

19세기 중반부터 영국의 미스키토 해안에 대한 관심은 점차 줄어들었다. 결국 1860년 마나과 조약을 통해 영국은 니카라과가 미스키토 해안에 대한 영유권을 갖는 것을 인정했다. 이 조약은 미스키토족에게 일정 수준의 자치권을 보장하는 '미스키토 보호 구역'을 설정했지만, 1894년 니카라과 군대가 이 지역을 무력으로 점령하고 국가에 완전히 합병했다. 영국은 같은 해 7월 잠시 보호 구역을 복원하려 했으나, 니카라과 군대가 8월에 다시 점령하면서 미스키토족의 독립은 완전히 끝나게 되었다.[15][17]

이러한 니카라과의 권력 장악 과정에는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와 같은 미국의 대형 과일 회사들의 지지가 있었다. 이들 회사는 미스키토 보호 구역에서 대규모 바나나 농장을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미스키토 엘리트들이 소규모 토지 소유주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니카라과 중앙 정부의 통치를 선호했다. 미국 기업들은 미스키토 엘리트보다 니카라과 정부를 선호했는데, 이는 소규모 토지 소유주의 권리 보호보다 대규모 농장 운영에 유리했기 때문이다.[17]

니카라과 프린자폴카 강가에 사는 미스키토족 가족 (1957-1961년경)


20세기 들어 미스키토족 내부에서도 지역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북부 카리브 해 자치 지역 서쪽의 히노테가 주에 거주하는 미스키토족은 해안가의 미스키토족과 다른 경험을 했다. 이들은 스페인 식민 통치의 영향으로 가톨릭 신자가 많았고, 영국과의 동맹 관계도 없었으며, 태평양 연안의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메스티소들과 교류했다. 특히 1927년부터 1933년까지 아우구스토 세사르 산디노미국의 니카라과 점령에 맞서 싸울 당시, 히노테가 지역의 많은 미스키토족은 산디노와 그의 군대에 합류하여 식량과 수송을 지원했다. 이들은 이후 산디니스타 민족 해방 전선(FSLN)과도 비교적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산디니스타는 이 지역에 농업 협동조합을 조직하고 학교와 보건소를 건설했다.[18]

그러나 1960년대와 1970년대 니카라과 정부는 원주민 소유 토지를 국유화하려는 시도를 계속했으며, 미스키토족은 선거 때 니카라과 국민 자유당에 대한 지지를 요청받을 때를 제외하고는 정치적으로 소외되었다.

니카라과에 있는 미스키토족 가족의 집 밖 모습


1979년 산디니스타 혁명 이후,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산디니스타 정부는 '산디니스타 방어 위원회'를 통해 미스키토족 거주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 했다. 이에 반발한 여러 미스키토 집단들은 반혁명 부대, 즉 콘트라와 연계하거나 독자적인 무장 단체를 결성하여 산디니스타 정부에 맞서 싸웠다. 이 과정에서 미스키토 지도자 중 한 명인 스테드만 파고스는 1982년 약 3,000명의 미스키토족과 함께 온두라스로 피난했다.[19] 산디니스타 정부는 코코 강 유역에서 콘트라의 활동이 활발해지자, 1983년 이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1988년까지 유지했다.[20] 이 시기 산디니스타 정부에 의해 미스키토족 마을 폭격, 주민 총격, 강제 이주 등이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은 1986년 다큐멘터리 영화 ''니카라과, 우리의 고향이었다''(Nicaragua Was Our Home)를 통해 국제 사회에 알려지기도 했다.[21][22][23][24]

미스키토족의 저항이 계속되자, 산디니스타 정부는 1987년 9월, 미스키토족에게 자치권을 부여하는 법령을 통과시켰다. 이는 미스키토족의 저항을 완화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1990년 니카라과 총선에서 산디니스타가 패배한 후, 새로 들어선 정부는 미스키토족과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은 미스키토족 거주 지역에 "안보 구역"을 설정하고, 국립 경찰 병력의 복귀를 준비하며, 50명의 미스키토족을 경찰에 통합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한, 미스키토 게릴라 지도자였던 브루클린 리베라는 1987년 자치법에 따라 설립된 니카라과 자치 지역 개발 연구소(INDERA)의 소장이 되었으나,[25] 이 기구는 몇 년 후 미스키토족과 다른 원주민 집단 간의 갈등을 이유로 정부에 의해 해산되었다.[26] 1990년대까지 미스키토족은 공식적인 자치권을 확보했지만, 토지 문제와 정치적 갈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게 되었다.

2. 4. 21세기: 현재

1987년 9월, 니카라과 입법부는 미스키토족에게 자치권을 부여하는 법령을 통과시켰다. 이는 미스키토족의 저항을 일정 부분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1990년 산디니스타가 전국 선거에서 패배한 후, 미스키토족은 새로 임명된 내무부 장관 카를로스 우르타도와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은 "안보 구역" 설정, 국립 경찰의 해당 지역 복귀 준비, 미스키토족 50명을 경찰에 통합하는 내용을 포함했다.

미스키토 게릴라 지도자 중 한 명인 브루클린 리베라는 1987년 자치법에 따라 설립된 INDERA(니카라과 자치 지역 개발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으나, 이 기구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기구였다.[25] 니카라과 정부는 몇 년 후 미스키토족과 다른 원주민 집단 간의 갈등을 이유로 INDERA를 해산시켰다.[26]

1987년 평화 협정으로 미스키토족에게 상당한 영토가 부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토지 권리를 둘러싼 분쟁은 21세기 들어서도 계속되고 있다. 가뭄과 금 및 목재 채굴에 대한 관심 증가는 정착민들이 미스키토족의 조상 땅으로 이주하는 현상을 심화시켰다. 원주민 토지의 불법적인 구매는 정착 농부들에게 법적 효력이 없는 토지 권리를 부여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정착민과 미스키토족, 라마족, 울와족 사이에 폭력 사태가 발생하여 마을이 불타고, 여성이 강간당하며, 납치와 최소 3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심각한 인권 침해가 보고되었다.[27] 이로 인해 약 600명의 원주민이 온두라스로 피난하기도 했다.[28]

양측 모두 니카라과 정부가 이러한 분쟁을 완화하는 데 소극적이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미주 인권 위원회는 미스키토족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반복적으로 요구했지만, 정부는 실질적인 대응을 하지 않았다.[27] 다니엘 오르테가 대통령은 미스키토족의 토지 청구가 정당하며 어떠한 토지 판매도 불법이라고 인정했지만, 정부는 폭력 사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 더욱이 불법 토지 판매에 연루된 일부 공무원은 오르테가 대통령이 속한 산디니스타 당의 구성원이라는 의혹도 제기되었다.[28] 정부는 불법 토지 판매를 승인한 일부 공증인을 체포하고 검찰총장 산하에 관련 특별 위원회를 구성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으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이르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다.

2009년 4월, 미스키토족 원로들은 니카라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고 국명을 '''모스키티아 공동체 국가'''로 정했다.[29] 이러한 선언의 배경에는 전통적인 어업 기반을 훼손하는 심각한 경제 문제와 다니엘 오르테가의 니카라과 대통령 재집권에 대한 반감이 작용했다. 독립 운동을 주도한 헥터 윌리엄스(Hector Williams)는 미스키토족 지도자로서 "위타 타라"(Wihta Tara, 대판관)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독립을 지지하는 미스키토족 중 다수는 과거 니카라과 내전 당시 오르테가에 맞서 콘트라로 싸웠던 경험이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29] 그러나 이 독립 선언에 대해 니카라과 정부는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며, 국제 사회로부터도 승인을 받지 못했다.

미스키토족은 자연재해에도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왔다. 1998년 허리케인 미치는 미스키토족이 거주하는 해안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2007년 9월 4일에는 최대 지속 풍속 160mph의 Category 5 허리케인 펠릭스가 푼타 고르다 강 근처 니카라과 해안을 강타하여 당시 약 1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제 피해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30]

특히 기록적인 2020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 말에는 미스키토 해안이 2주 간격으로 두 개의 강력한 허리케인(Category 4)의 직격탄을 맞았다. 느리게 이동하던 허리케인 에타는 11월 3일 이 지역의 주요 도시인 빌위 바로 남쪽에 상륙하여 온두라스를 거쳐 카리브해로 빠져나갔다. 불과 2주 뒤인 11월 16일, 허리케인 이오타가 에타의 상륙 지점에서 불과 25km 남쪽에 상륙하여 니카라과 북부를 관통하며 서쪽으로 이동했다. 연이은 강력한 허리케인 내습은 미스키토족 공동체에 막대한 피해를 남겼다.

3. 주요 인물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생략)

3. 1. 미스키토 왕 (영국 왕정 시대)



17세기 프로비덴시아섬 등을 개척하던 프로비던스 섬 회사 소속 사략선들은 미스키토족과 비공식적인 동맹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이 영국인들은 미스키토 지도자들을 왕(부족장)으로 인정하며 그들의 영토를 "미스키토 왕국"이라고 불렀다. 1699년의 기록에 따르면, 왕국은 해안을 따라 여러 공동체에 걸쳐 있었으나 왕은 절대적인 권력을 가지지 않았으며, 전쟁 시 외에는 사법 문제에서도 권한이 제한적이었다.[8] 영국인들은 왕 외에도 총독, 장군, 그리고 1750년대까지는 제독과 같은 직책을 부여했다.[9] 왕에 대한 역사적 정보는 종종 불분명하며, 일부 왕들은 반신화적인 존재로 여겨지기도 한다. 남부의 타위라 미스키토는 이러한 왕들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1740년, 잠보 미스키토 지도자와 영국 사이에 공식적인 우호 및 동맹 조약이 체결되었고, 영국은 존 호지슨을 감독관으로 임명했다.[12] 영국은 미스키토 해안 지역을 보호령으로 설정하고 통치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미스키토 왕국은 영국을 도와 스페인 식민지를 공격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1783년 평화 조약 체결 시 영국은 해안에 대한 통제권을 스페인에 양도해야 했다. 영국군은 1787년 6월 말 철수를 완료했지만, 이후에도 비공식적인 보호 관계를 유지하며 스페인의 침략으로부터 미스키토족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종종 개입했다.[14]

다음은 영국 왕정 시대 및 그 이후의 미스키토 왕 및 추장 목록이다.

기간이름 및 칭호
1650년경–1687년경올드맨
1687년경–1720년제레미 1세
1720–1728H.M. 제레미 2세
1729–1739H.M. 페테르 1세
1739–1755H.M. 에드워드 1세
1755–1776H.M. 조지 1세
1777–1800H.M. 조지 2세 프레데릭
1800–1816H.M. 스테판 왕자 (섭정왕)
1816–1824
모스키토 국가의 왕 조지 프레데릭 아우구스투스 1세
H.M. 조지 프레데릭 아우구스투스 1세
1825–1842H.M. 로버트 찰스 프레데릭
1842–1864H.M. 조지 아우구스투스 프레데릭 2세
1865–1879
모스키토 보호 구역의 세습 추장 윌리엄 헨리 클래런스
H.E. 윌리엄 헨리 클래런스, 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1879–1888
모스키토 보호 구역의 세습 추장 조지 윌리엄 앨버트 헨디
H.E. 조지 윌리엄 앨버트 헨디, 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1888–1889H.E. 앤드류 헨디, 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1889–1890
모스키토 보호 구역의 세습 추장 조나단 찰스 프레데릭
H.E. 조나단 찰스 프레데릭, 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1891–1908
모스키토 보호 구역의 세습 추장 로버트 헨리 클래런스
H.E. 로버트 헨리 클래런스, 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3. 2. 현대 인물

'''미스키토 왕 및 추장'''

재위 기간이름칭호/직위비고
1650년경–1687년경올드맨미스키토 왕
1687년경–1720년제레미 1세미스키토 왕
1720–1728제레미 2세미스키토 왕
1729–1739페테르 1세미스키토 왕
1739–1755에드워드 1세미스키토 왕
1755–1776조지 1세미스키토 왕
1777–1800조지 2세 프레데릭미스키토 왕
1800–1816스테판 왕자섭정왕
1816–1824조지 프레데릭 아우구스투스 1세미스키토 왕
1825–1842로버트 찰스 프레데릭미스키토 왕
1842–1864조지 아우구스투스 프레데릭 2세미스키토 왕
1865–1879윌리엄 헨리 클래런스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1879–1888조지 윌리엄 앨버트 헨디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1888–1889앤드류 헨디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1889–1890조나단 찰스 프레데릭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1891–1908로버트 헨리 클래런스미스키토의 세습 추장



'''기타 주요 인물'''


  • 로티 커닝햄 렌 (1959년 출생): 니카라과의 변호사, 환경 운동가, 아메리카 원주민 권리 운동가.
  • 마이르나 커닝햄: 정치인.
  • 루델 칼레로

4. 지리

미스키토족은 주로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연안의 모스키토 해안으로 알려진 지역에 거주한다. 이 지역은 북쪽으로는 온두라스의 카보 카마론에서 남쪽으로는 니카라과의 리오 그란데 데 마타갈파에 이르는 습지가 많은 동부 해안 지방이다.

16세기 초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 이 지역은 고대 미스키토어를 사용하는 여러 소규모 원주민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다. 스페인인들은 스페인식 지리 구분에 따라 타구즈갈파와 톨로갈파 지역에 약 30개의 부족이 있다고 기록했다. 역사학자 칼 오펜(en)은 당시 기록을 분석하여 강 유역을 따라 분포하며 언어 방언으로 구분되는 약 6개의 주요 집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3] 지리적 고립성 때문에 이 지역은 오랫동안 외부 세력의 직접적인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다.

미스키토족 영토의 역사적 중심지는 코코 강(es) 또는 왕크스 강(es) 유역으로, 이 강은 현재 니카라과와 온두라스 사이 국경의 일부를 이룬다. 오늘날 미스키토족은 니카라과와 온두라스 양국의 카리브해 연안을 따라 분포하며 살아가고 있다.

4. 1. 주요 거주 지역

미스키토족은 역사적으로 니카라과대서양 연안과 수많은 강과 숲이 있는 내륙 산악 지역에 흩어져 살았다.[31] 미스키토족 영토의 중심지는 니카라과온두라스 사이의 국경 역할을 하는 코코 강(왕크스 강) 유역이다.

오늘날 약 15만 명의 미스키토족이 니카라과에 거주하며, 카리브해 저지대와 모스키토 해안 전역의 23개 영토에 걸쳐 300개 이상의 공동체에 분포되어 있다.[33] 주요 거주 지역으로는 북부 카리브 해안 자치 지역과 남부 카리브 해안 자치 지역이 있으며, 블루필즈, 콘 제도, 푸에르토 카베자스(현재 미스키토족의 수도) 등이 주요 도시이다. 아와스타라는 미스키토족의 주요 인구 중심지이자 역사적인 장소이다.[34]

온두라스 측에서는 카리브해 연안의 그라시아스 아 디오스 주에 주로 거주한다. 1859년 영국과의 와이크-크루즈 조약으로 미스키토족이 해당 지역에 대한 권한을 부여받았으나, 온두라스 당국은 이를 오랫동안 인정하지 않았다. 지리적 고립 덕분에 어느 정도 자율성이 유지되었으며,[35] 2013년 온두라스 정부는 5개의 미스키토족 공동체에 전통적인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했다. 이 지역은 총 면적이 약 6475km2에 달하며, 약 22,000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100개의 마을을 포함한다.[36]

빅토르 트라프 마누엘. 온두라스 국립 자치 대학교에서 열린 의회에서 온두라스 미스키토족을 대표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미스키토족은 온두라스니카라과 양국의 습지가 많은 동부 해안 지방인 모스키토 해안에 거주하며, 북쪽으로는 온두라스의 카보 카마론에서 남쪽으로는 니카라과의 리오 그란데 데 마타갈파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한다.

4. 2. 지리적 특징

미스키토족은 주로 중앙아메리카카리브해 연안, 특히 모스키토 해안으로 알려진 지역에 거주한다. 이 지역은 북쪽으로는 온두라스의 카보 카마론(es)에서 남쪽으로는 니카라과의 리오 그란데 데 마타갈파(es)까지 이어지는 습지가 많은 동부 해안 지방이다.[31] 역사적으로 이들은 수많은 강과 숲이 우거진 내륙 산악 지역에도 흩어져 살았다.[31] 미스키토족 영토의 중심지는 코코 강(es) 또는 왕크스 강(es)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강은 현재 니카라과와 온두라스 사이 국경의 일부를 형성한다.

오늘날 약 15만 명의 미스키토족이 니카라과에 거주하며, 카리브해 저지대와 모스키토 해안 전역의 23개 영토에 걸쳐 300개 이상의 공동체에 분포되어 있다.[33] 아와스타라(mis)는 미스키토족의 주요 인구 중심지이자 역사적인 장소 중 하나이다.[34] 빌위(es) 역시 이 지역의 주요 도시이다.

온두라스 측 모스키토 해안에도 미스키토족이 거주한다. 1859년 영국과 온두라스가 체결한 와이크-크루즈 조약(en)은 해당 지역에 대한 미스키토족의 권한을 인정했으나, 온두라스 당국은 이를 오랫동안 무시해왔다. 그럼에도 지리적 고립 덕분에 미스키토족은 상당한 자율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35] 2013년, 온두라스 정부는 5개의 미스키토족 공동체에 전통적인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부여했으며, 이는 총면적 약 6475km2에 달한다. 이 지역에는 약 22,000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100여 개의 마을이 있다.[36]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인 16세기 초, 이 지역은 고대 미스키토어를 사용하는 여러 소규모 원주민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다. 스페인인들은 타구즈갈파(es)와 톨로갈파(es) 지역에 약 30개의 부족이 있다고 기록했다. 칼 오펜(en)의 연구에 따르면, 당시 강 유역을 중심으로 언어 방언에 따라 구분되는 약 6개의 주요 집단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3] 니카라과와 온두라스의 카리브해 연안 대부분은 지리적 고립성 때문에 16세기 동안 스페인 당국의 실질적인 통제 밖에 있었으며, 17세기에는 유럽 사략해적들의 은신처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지리적 고립은 이후 영국과의 관계 속에서 미스키토족이 독립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모스키토 해안 지역은 허리케인의 영향을 자주 받는다. 1998년 허리케인 미치는 해안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2007년 9월에는 Category 5 등급의 허리케인 펠릭스가 푼타 고르다 강(es) 근처 니카라과 해안을 강타하여 2007년 당시 약 100명으로 추정되지만,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보이는 사망자를 냈다.[30] 특히 기록적인 2020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에는 2주 간격으로 두 개의 강력한 허리케인이 연달아 상륙하는 이례적인 일이 발생했다. 11월 3일, 허리케인 에타가 빌위 남쪽에 상륙했고, 11월 16일에는 허리케인 이오타가 에타 상륙 지점에서 불과 25km 남쪽에 상륙했다. 두 허리케인 모두 상륙 당시 강력한 Category 4 등급으로, 미스키토족 거주 지역에 큰 피해를 남겼다.

5. 문화

미스키토족은 고유한 언어, 전통 신앙과 기독교가 혼합된 종교, 구전 문학, 음악 및 예술 등 다채로운 문화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미스키토족은 미수말판어족에 속하는 고유 언어인 미스키토어를 사용하며, 일부는 수무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역사적 교류와 현대 사회의 영향으로 영어와 스페인어 사용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37][38][39]

종교적으로는 과거 다신교 신앙과 샤머니즘 전통을 가지고 있었으나, 19세기 이후 모라비안 교회와 가톨릭교가 전파되면서 기독교 신앙이 널리 퍼졌다. 현재 미스키토족의 종교는 전통 신앙 요소와 기독교 신앙이 혼합된 양상을 보인다.[40][41]

문학적으로는 '키시'(Kihsi)라 불리는 민간 설화가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며, 교활한 토끼 '티방'(Tibang) 이야기나 노움과 비슷한 '두힌두'(Duhindu) 신화 등이 포함된다.[42][43] 출판된 문학 작품은 드물고, 지역 미디어는 대부분 스페인어로 제공된다.[39]

음악과 예술 분야에서는 원무와 전통 민요, 미스키토 왕의 상징을 담은 연극 등이 있으며, 장례 의식에는 나무 가면을 사용하는 등 고유한 장식 예술 전통을 가지고 있다.[44]

5. 1. 언어

미스키토족의 대다수는 그들의 모국어인 미스키토어를 사용한다.[37] 미스키토어는 미수말판어족에 속한다.[38] 일부 마을에서는 이 민족 집단 내에서 밀접하게 관련된 수무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많은 미스키토족은 이중 언어 사용의 증가로 인해 영어와 스페인어의 표현 방식을 차용했다. 자메이카, 벨리즈, 산 안드레스, 프로비덴시아, 콜롬비아의 카리브해 지역은 미스키토 해안 인구와 언어적 공통점을 공유하며, 이는 토착 언어, 아프리카 언어, 그리고 식민지 언어의 혼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39]

5. 2. 종교

과거 미스키토족은 다신교를 믿었으며, 라프타(태양신), 카티(달의 신) 등 다양한 자연 현상과 개념을 관장하는 신들을 섬겼다. 하지만 마야잉카와 같은 인신공양에 대한 기록은 없다. 또한 샤머니즘의 일종을 실천했는데, '수키야'(Sukya)로 불리는 샤먼은 공동체 내에서 치유자로 여겨졌다. 수키야는 꿈을 통해 치료법을 찾고, 아픈 부위에 연기를 불어넣는 방식으로 병을 치료했다. 공동체 의례로는 특정한 춤을 추고 '미슐라'(mishla)라는 음료를 마시는 전통이 있었다. 장례 전통으로는 사람이 죽은 지 1년 후에 '시크로'(Sikro)라는 기념 의식을 치렀다. '오쿨리'(Okuli) 또는 최고 수키야로 알려진 단 한 명의 최고 샤먼이 존재했으며, 그는 주변 부족들에게도 존경받는 존재였다. 오쿨리는 '라사스'(Lasas)라고 불리는 악령의 대리인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러한 샤머니즘 전통과 집단 의례는 1980년대에도 비공개적으로 이어졌다.[40]

19세기 중반 이후 기독교가 전파되기 시작했다. 모라비안 교회는 1849년부터 미스키토족에게 선교 활동을 시작했다. 모라비안 교회는 개신교의 한 분파로, 공동체의 단결과 단순한 삶을 강조했다. 1894년 무렵에는 니카라과 대서양 연안 지역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가진 집단으로 성장했으며, 이는 니카라과 정부의 지역 재통합 과정과 맞물려 진행되었다. 20세기 들어 모라비안 교회는 미스키토 원주민 언어로 학교를 세우고 종교 자료를 보급하며 제도적 기반을 더욱 강화했다. 그러나 미스키토족과 스페인계 가톨릭 신자들 사이의 오랜 적대감을 완화하는 데는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 1960년대까지 모라비안 교회는 미스키토 공동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가받았다.[41]

가톨릭교는 1930년대 초부터 미스키토 지역에 전파되었다. 하지만 제대로 훈련된 성직자를 파견할 자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미스키토족 가톨릭 신자들은 지역 특유의 방식으로 신앙을 실천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지역 가톨릭 지도자들은 모라비아 교회의 관행을 상당 부분 받아들이기도 했다. 그 결과, 많은 미스키토족은 모라비아 교회와 가톨릭교의 차이를 신학적인 것보다는 제도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미스키토족에게 교회 건물 자체보다는 공동체가 모여 활동하는 공간으로서의 신성함이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 또한 그들은 꿈, 선과 악, 인간의 영에 대한 논의를 통해 신성을 경험한다. '프라피트'(Prapit) 또는 '파사 야프티'(Pasa Yapri)라고 불리는 샤먼만이 신성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이처럼 미스키토족의 가톨릭 신앙은 영적 세계와의 교감을 중시하며 샤머니즘적 요소가 남아있어, 니카라과의 주류인 전통적인 스페인식 가톨릭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41]

5. 3. 사회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인 16세기 초, 이 지역에는 고대 미스키토어를 사용하는 여러 소규모 평등주의 사회 집단들이 존재했다.[3] 스페인 기록에 따르면 약 30개의 부족이 있었으며, 학자들은 언어 방언에 따라 약 6개의 주요 집단으로 추정한다.[3]

17세기 중반, 난파된 노예선에서 온 아프리카인들과 프로비던스 섬 식민지에서 탈출한 노예들이 그라시아스아디오스 주 인근에 정착하며 원주민과 통혼했다.[4][5] 이들의 후손은 스페인인들에 의해 '모스키토 삼보'(잠보 미스키토)로 불렸으며, 남부 지역의 혼혈이 덜 이루어진 집단은 타위라 미스키토로 구분되었다. 이 두 집단 간의 경쟁은 때때로 전쟁으로 이어져 18세기에는 분열을 야기했다.[6]

영국 사략선들은 미스키토와 동맹을 맺고, 그들의 지도자를 왕으로 추대하며 미스키토 왕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7] 그러나 왕은 절대적인 권력을 갖지 못했으며, 1699년 기록에 따르면 전쟁 시를 제외하고는 사법권도 제한적이었고 사회는 비교적 평등했다.[8] 영국은 왕 외에도 총독, 장군, 제독 등의 직위를 부여했다.[9]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미스키토족은 스페인령 영토와 다른 원주민 집단을 공격하는 습격을 감행하여 유카탄에서 코스타리카까지 이르렀다. 포로 중 다수는 유럽 노예 상인에게 팔려 자메이카 등지에서 노역했으며[10], 자메이카 식민 당국의 의뢰를 받아 마룬을 추적하기도 했다.[11]

미스키토족은 역사적으로 단일 민족으로 인식되기보다는 다양한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었다.[31] 주요 집단으로는 맘(Mam), 타위라(Tawira), 왕키(Wangki)가 있다.[32] 왕키 미스키토는 영국과 강한 유대 관계를 맺었으며, 미스키토어의 '왕키 빌라(Wanki Bila)' 방언을 사용했다.[32] 반면, 타위라 미스키토는 원주민적 특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며 '카보 빌라(Kabo Bila)' 방언을 사용했고, 역사 기록에서는 "순수한 인디언"으로 묘사되기도 했다.[32] 잠보 미스키토의 지배에 맞서 타위라 미스키토는 18세기에 스페인과의 동맹을 모색하기도 했다.[32]

전통적으로 미스키토족은 샤머니즘을 따랐으며, 샤먼(수키야, Sukya)은 공동체의 치유자로 여겨졌다. 수키야는 꿈을 통해 치료법을 찾고 병든 부위에 연기를 불어넣는 방식으로 치유를 행했다. 집단 의례에는 춤과 미슐라(mishla)라는 음료를 마시는 것이 포함되었고, 장례 후 1년 뒤에는 시크로(Sikro)라는 기념 의식을 치렀다. 최고 샤먼(오쿨리, Okuli)은 단 한 명만 존재했으며 주변 부족들에게도 존경받았다.[40] 1980년대 이후 샤머니즘과 집단 의례는 주로 비공개적으로 행해지고 있다.[40]

미스키토족의 정치 구조는 영국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크게 형성되었다.[45] 영국인들은 미스키토 지도자들을 왕으로 인정하고 정치 구조에 영향을 미쳤지만[45], 중앙집권적인 정치 체제를 완전히 구축하지는 못했다. 미스키토 사회는 본질적으로 부족적 성격이 강했으며, 지도자들의 권력은 특정 마을 범위 내로 제한되었다.[45] 19세기 영국 철수 후 미스키토족은 상당한 자율성을 누렸으나, 이후 아프리카계 크리올 세력이 부상하면서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었다.[45] 니카라과로의 재통합 과정에서 미스키토족은 '재통합 법령'을 통해 자치권과 정치적 권위를 회복하려 노력했다.[45] 20세기에는 라틴 아메리카 전역의 인디헤니즘 정책에 대응하여, 정치·사회·문화적 통합과 시민권 증진을 위한 활동을 조직했다. 이들은 토지 소유권 확보를 통해 니카라과 국가 경제에 참여하고, 교육 및 기술 훈련과 같은 정부 지원을 요구하며 국가와의 관계를 증진시키고자 했다.[45]

현대 미스키토 사회는 전통적인 문화적 특성을 상당 부분 유지하고 있다. 영국과의 접촉으로 생긴 왕의 지위는 현재 상징적인 역할에 그친다.[46] 미스키토 문화 내 성 역할은 지역 경제 상황에 큰 영향을 받는다.[47] 남성들은 주로 장기간 집을 떠나 바다에서 랍스터 잡이 등 어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아[49][50], 남성들이 부재한 동안 공동체는 모계 거주의 특징을 보인다.[51] 남성들이 가계 수입의 대부분을 책임지는 것으로 여겨지지만[52], 여성들이 모든 경제적 결정을 내리고 토지에 대한 권리를 상속받는다.[53] 여성들은 남성과의 관계 유지를 중요하게 여기며 ''마기아 아모로사''(사랑 마법)를 행하기도 한다.[54] 여성들은 보통 15세경 관계를 시작해 18세 이전에 어머니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높은 이혼율과 사생아 비율로 인해 버려진 아이들은 주로 모계 친척(이모나 할머니)에 의해 양육된다.[55] 나이 든 여성, 특히 존경받는 연장자인 ''쿠카스''(Kukas)는 마을 내에서 올바른 행동 규범을 제시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56] 과거에는 일부다처제가 허용되었으며, 이는 노예 여성을 포함한 관계를 통해 인구 증가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16] 미스키토족은 유럽식 복장과 영어 이름을 채택하는 경향도 보였다.[16]

5. 4. 기타

미스키토족은 오락을 위해 '키시'라고 불리는 민간 설화를 공유한다. 키시에는 종종 족장, 권위와 인간 본성, 일반적인 주제를 다루는 왕 이야기와 함께, '티방' 또는 '방방'이라는 교활한 토끼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된다.[42] 일부 이야기에는 때때로 아이들을 납치하는 노움과 비슷한 존재인 '두힌두'에 대한 신화도 들어 있다.[43] 연구원 켄 데커와 앤디 키너에 따르면, 미스키토족은 시와 이야기를 공유하지만 널리 퍼진 문학 작품은 없으며 출판된 것도 없다. 이 지역의 미디어는 대부분 스페인어로 되어 있고, 일부 프로그램은 영어와 지역 언어로 제공된다.[39]

미스키토족은 원무와 전통 민요를 포함한 음악적 전통뿐만 아니라, 미스키토 왕의 상징을 담은 연극 작품도 가지고 있다. 장식 예술 분야에서는 장례 의식에 나무 가면을 사용한다.[44]

6. 경제

1600년대 후반부터 1700년대 초반까지 활동한 영국과 프랑스 해적 및 청교도 식민지 개척자들의 초기 기록에 따르면, 미스키토족은 항해, 어업, 거북이와 매너티 사냥, 사슴과 같은 육상 동물 사냥에 능숙한 해양 민족으로 묘사된다.[58]

그러나 리처드 W. 매그너스가 니카라과의 펄 라군 주변에서 수행한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유럽인 접촉 이전의 해안 정착지는 영구적인 거주지라기보다는 임시적인 조개류 채집 및 소금 제조 장소였을 가능성이 높다.[59] 해안 유적지에서 메타테와 같은 농업 도구가 발견되기는 했지만, 영구적인 정착이나 해양 환경에 특화된 전문 도구의 증거는 부족하다. 또한 저지대 해안 토양은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영구 정착지를 유지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59]

매그너스와 온두라스 리오 틴토 유적지를 연구한 다른 학자들은 미스키토족이 본질적으로 강가, 즉 하천 변두리에 거주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60] 내륙의 고고학 유적지에서는 주거지, 동물 및 물고기 뼈, 난로, 농경지 등 영구적인 정착의 증거가 더 많이 발견된다. 이를 바탕으로, 강가에 살던 사람들이 소금을 만들고 농업 식단을 보충하기 위해 계절적으로 해안으로 이동했지만, 주된 생활 터전은 내륙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59] 이러한 이론은 1732년 영국 해적 "M.W."가 계절적으로 해안에 도착하여 소금을 만든 뒤 강을 따라 내륙으로 돌아가는 부족을 관찰했다는 기록과도 일치한다.[61] 인류학자 메리 W. 헬름스와 지리학자 버나드 니에치만은 현대 미스키토족의 해안 지향성이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과의 접촉 및 그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관계 형성 과정에서 발달했다고 주장한다.

현대의 미스키토족은 화전 농업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돼지, , 염소, , 과 같은 가축을 사육한다. 주식은 카사바와 야생에서 얻는 식량이다.

7. 미스키토족의 시대 구분


  • '''군주제 이전 시대''' (미스키토족의 기원부터 16세기까지): 미스키토 신들의 시대로 알려져 있다.
  • '''군주제 시대''' (16세기 ~ 19세기): 미스키토 왕들이 통치했으며, 유럽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 시기이다.
  • '''군주제 이후 시대''' (20세기): 미스키토 왕국이 끝나고, 온두라스니카라과가 미스키토 영토를 침략한 시기이다.
  • '''현대''' (21세기): 현재 미스키토족은 온두라스니카라과의 대서양 연안에 거주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eople Name: Miskito of Nicaragua https://www.peoplegr[...] 2024-01-01
[2] 서적 Endangered peoples of Latin America: struggles to survive and thrive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3] 논문 The Sambu and Tawira Miskitu: The Colonial Origins of Intra-Miskitu Differentiation in Eastern Nicaragua and Honduras
[4] 서적 Shipwrecked Identities: Navigating Race on Nicaragua's Mosquito Coast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006-04-05
[5] 문서 Letter of [[Benito Garret y Arlovi]] to King of Spain, 30 November 1711, in Manuel de Peralta, ed., ''Costa Rica y Costa de Mosquitos. Documentos para la historia de la jurisdicción territorial de Costa Rica y Colombia'' (Paris, 1898), pp. 57–58 Garret y Arlovi had gotten his information from missionaries near Segovia and Chontales, who reported what the indigenous people said. In addition, he interviewed Juan Ramón, an ancient African (negro). By these sources, Garret y Arlovi dated the shipwreck to 1641.
[6] 문서 Offen (2002), ''Sambu and Tawira Miskitu'', pp. 337–40.
[7] 문서 M. W. "The Mosqueto Indian and His Golden River," in [[Awnsham Churchill]], ''A Collection of Voyages and Travels'' (6 vols., London, 1728) vol. 6 pp. 285–290.
[8] 문서 M. W. "Mosketo Indian" p. 293.
[9] 논문 General, Governor and Admiral: Three Miskito Lines of Succession
[10] 논문 Miskito Slaving and Culture Contact: Ethnicity and Opportunity in an Expanding Population
[11] 서적 Las sociedades del Atlántico de Nicaragua en los siglos XVII y XVIII
[12] 서적 The Anglo-Spanish Struggle for Mosquitia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3] 논문 In the Shadow of Empire – The Emergence of Afro-Creole Societies in Belize and Nicaragua http://www.iai.spk-b[...]
[14] 문서 Floyd, ''Anglo-Spanish Struggle'', pp. 119–140.
[15] 뉴스 Nicaragua's green lobby is leaving rainforest people 'utterly destitute' https://www.theguard[...] 2007-09-07
[16] 문서 E. George Squier, ''Adventures on the Mosquito Shore'' (New York, 1891) pp. 346–52.
[17] 문서 Gabbert, "Shadow of Empire," pp. 52–53.
[18] 뉴스 Jinotega's Miskitos and Sumus: Little Noted Victims of the Contra War http://www.envio.org[...] Central American University – UCA 2007-09-07
[19] 서적 Nicaragua: Those Passed By Galde Press
[20] 논문 Cambios culturales y sociopolíticos en las comunidades Mayangnas y Miskitos del río Bocay y del alto río Coco, Nicaragua (1979–2000) http://jsa.revues.or[...]
[21] 뉴스 ON 13, SANDINISTAS VS. MISKITOS https://query.nytime[...] 1986-07-29
[22] 웹사이트 How to Read the Reagan Administration: The Miskito Case http://www.envio.org[...] Envio.org.ni 2012-07-13
[23] 웹사이트 Public TV Tilts Toward Conservatives http://www.fair.org/[...] Fairness & Accuracy in Reporting
[24] 웹사이트 Sundance Film Festival: 1986 https://www.imdb.com[...] IMDb
[25] 뉴스 "Il y a Miskitos et Miskitos" https://www.humanite[...] 1992-02-27
[26] 간행물 Observations finales du Comité pour l'élimination de la discrimination raciale : Nicaragua. 22/09/95. http://www.unhchr.ch[...] UNHCR
[27] 뉴스 Lush heartlands of Nicaragua's Miskito people spark deadly land disputes https://www.theguard[...] 2017-03-22
[28] 뉴스 Nicaragua Dispute Over Indigenous Land Erupts in Wave of Killings https://www.nytimes.[...] 2017-03-22
[29] 뉴스 Nicaragua's Miskitos seek independence http://news.bbc.co.u[...] 2010-05-12
[30] 뉴스 Nicaraguan Indians sought refuge in canoes from Category 5 hurricane, others sucked out of homes https://www.thestar.[...] 2007-09-07
[31] 웹사이트 An Overview of the Miskito Natives {{!}} A Journey Through Nicaragua 2015 http://sites.dartmou[...] 2017-04-03
[32] 서적 MISKITU TAKAIA: MISKITO IDENTITY AND TRANSFORMATION 1600 – 1979 Arizona State University
[33] 웹사이트 INDIGENOUS TERRITORIES IN NICARAGUA FACE VIOLENT ATTACKS https://latindispatc[...] Latin America News Dispatch 2024-02-19
[34] 서적 The Miskitu People of Awastar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35] 뉴스 Miskito Indians of Honduras Finally Granted Over 1 Million Acres of Traditional Land http://firstpeoples.[...] 2017-04-09
[36] 뉴스 Honduras's gift to indigenous Miskito people https://www.thetimes[...] 2017-04-09
[37] 뉴스 Mískito https://www.ethnolog[...] 2017-04-09
[38] 뉴스 Mískito https://www.ethnolog[...] 2017-04-03
[39] 웹사이트 A Report on the English-Lexifier Creole of Nicaragua, also known as Miskito Coast Creole, with special reference to Bluefields and the Corn Islands http://www-01.sil.or[...] 1998
[40] 웹사이트 Music of the Miskito Indians of Honduras & Nicaragua http://media.smithso[...] 1981
[41] 논문 A journey into symbolic disorder: Miskitu reactions to Mestizo Catholic ritual in Nicaragua 2010-01-01
[42] 논문 Kingship among the Miskito 1984-01-01
[43] 웹사이트 Miskito Legends, Myths, and Traditional Indian Stories (Miskitu) http://www.native-la[...] 2017-04-09
[44] 웹사이트 Miskito facts, information, pictures {{!}} Encyclopedia.com articles about Miskito http://www.encyclope[...] 2017-04-09
[45] 서적 MISKITU TAKAIA: MISKITO IDENTITY AND TRANSFORMATION 1600 – 1979 Arizona State University
[46] 논문 Kingship among the Miskito.
[47] 논문 Matrifocality and Women's Power on the Miskito Coast
[48] 논문 Matrifocality and Women's Power on the Miskito Coast
[49] 문서 Honduras: a country study Merrill, Tim L. 1995
[50] 논문 Matrifocality and Women's Power on the Miskito Coast.
[51] 논문 Sexual Magic and Money: Miskitu women's Strategies in Northern Honduras.
[52] 논문 Sexual Magic and Money: Miskitu women's Strategies in Northern Honduras.
[53] 논문 Sexual Magic and Money: Miskitu women's Strategies in Northern Honduras.
[54] 논문 Sexual Magic and Money: Miskitu women's Strategies in Northern Honduras.
[55] 논문 Matrifocality and Women's Power on the Miskito Coast.
[56] 논문 Matrifocality and Women's Power on the Miskito Coast.
[57] 논문 Conservación, autodeterminación y el Area Protegida Costa Miskita, Nicaragua 1995
[58] 서적 Between land and Water: The subsistence ecology of the Miskito Indians, Eastern Nicaragua Seminar Press
[59] 문서 The Prehistoric and Modern Subsistence Patterns of the Atlantic Coast of Nicaragua: A Comparison Academic Press
[60] 문서 Archaeology of the Mosquito Coast: A reconnaissance of the Pre-Columbian and Historic Settlement along the Río Tinto Center of Latin American Studies
[61] 문서 Coastal Adaptations and Contact Phenomena among the Miskito and Cuna Indians of Lower Central America Academic Press
[62] 서적 Historical Atlas of Central America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63] 서적 Culture Contact in a Miskito Community University of Florida Press
[64] 문서 When the Turtle Collapses, The World Ends The Bobbs-Merril Company Inc.
[65] 논문 The Cultural Ecology of a Colonial Tribe
[66] 문서 Indigenous Honduras (Chapter 2) Green Wood Press
[67] 웹사이트 A New Voyage Round the World http://gutenberg.net[...]
[68] 문서 Subsistence and Market: When the Turtle Collapses
[69] 서적 Shipwrecked Identities: Navigating race on Nicaragua's Mosquito Coast Rutgers University Press
[70] 논문 Notas para una historia económica de municipio de Puerto Cabezas
[71] 서적 Lobster in the Rain Forest: The Political Ecology of Miskito Wage Labor and Agricultural Deforestation http://jpe.library.a[...] 2012-01-02
[72] 간행물 Censo de Buzos de Gracias a Dios, Honduras Centro de Estudios Marinos
[73] 웹사이트 MY VILLAGE, MY LOBSTER http://www.thelobste[...] Nomading Films and Fall Line Pictures
[74] 간행물 La Herencia Cultural de la Reserva de la Biósfera del Río Plátano: Un Area De Confluencias Étnicas En La Mosquitia
[75] 논문 Diving methods and decompression sickness incidence of Miskito Indian underwater harvesters http://archive.rubic[...] 2012-01-02
[76] 서적 Endangered peoples of Latin America: struggles to survive and thrive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77] 웹사이트 Lobsters, Reefs and Livelihoods https://2012-2017.us[...]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18-04-22
[78] 웹사이트 Empresas de EE UU ya no comprarán langosta extraída por buceo https://www.elherald[...] 2019-11-20
[79] 뉴스 A Doctor Devoted to Keeping Honduras's Lobster Divers Alive https://www.nytimes.[...] 2019-11-20
[80] 웹사이트 My Village, My Lobster http://www.thelobste[...]
[81] 웹사이트 My Village, My Lobster (2012). https://www.imdb.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