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호기사단 치하의 로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호기사단 치하의 로도스는 1291년 예루살렘 왕국 멸망 이후 구호기사단이 키프로스에서 로도스섬으로 거점을 옮기면서 시작되었다. 구호기사단은 비잔틴 제국의 로도스섬을 정복한 후, 섬에 요새를 건설하고 방어 시설을 강화했다. 14세기에는 비잔틴 제국, 이슬람 세력과 전투를 벌였으며, 특히 바르바리 해적과 싸우면서 군사력을 키웠다. 1522년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대제에게 로도스섬을 빼앗기면서 멸망했고, 이후 몰타섬으로 이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타 기사단의 역사 - 구호기사단 치하의 몰타
    구호기사단 치하의 몰타는 16세기부터 18세기 말까지 성 요한 기사단이 몰타를 통치하며 몰타 공방전 승리, 발레타 건설 등의 활동을 펼쳤으나 나폴레옹에게 점령당해 멸망한 역사이다.
  • 로도스섬 - 로도스 (도시)
    로도스는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잇는 요충지이자 해상 무역으로 번성했으며,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로도스 거상이 건설되었고,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로도스 섬의 행정 중심지이다.
구호기사단 치하의 로도스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1450년 동지중해에서 구호기사단이 보유한 영토
1450년 동지중해에서 구호기사단이 보유한 영토
로도스 섬 지도 (그리스)
로도스 섬 지도 (그리스)
기본 정보
통칭구호기사단령 로도스
정식 명칭구호기사단 치하의 로도스
몰타 기사단의 깃발
깃발과 문장
구호기사단의 문장
문장
역사
시작사건: 점령
날짜: 1310년
종료사건: 오스만 제국의 정복
날짜: 1522년 12월 22일
정치
정치 체제선거군주제
수도로도스
종교로마 가톨릭교
통치자
총장 (1310~1319)폴크 드 빌라레
총장 (1521~1522)필리프 빌리에르 드 릴 아담
이전 국가
이전 국가 1국가: 비잔티움 로도스 (팔레올로고스 왕조)
깃발: Byzantine imperial flag, 14th century.svg
이전 국가 2멘테셰
이후 국가
이후 국가 1국가: 오스만령 로도스
깃발: Flag of the Ottoman Empire (1844–1922).svg
현재 국가
현재 국가그리스

2. 역사

1291년 아크가 함락되면서 예루살렘 왕국이 멸망한 후, 구호기사단키프로스 왕국으로 피신했다. 기사단장 기욤 드 빌라레는 키프로스 정치에 얽매이는 대신 독자적인 영토를 확보하고자 비잔틴 제국의 영토였던 로도스를 새로운 거점으로 삼았다.[1]

키프로스 국왕 앙리 2세와의 불화가 계속되자, 후임 기사단장 풀크 드 빌라레는 기사단을 로도스 섬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하고 아비뇽파리에서 교황 클레멘스 5세와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의 도움을 받았다.[1]

1310년 8월 15일, 4년여에 걸친 전투 끝에 로도스 시는 기사단에 항복했다. 기사단은 로도스 인근의 여러 섬과 아나톨리아할리카르나소스 항구, 카스텔로리조 섬도 장악했다.[1]

로도스 기사단 성


로도스에서 기사들은 각 방언별로 거주하며 베일리의 지휘를 받았다. 1334년, 로도스 기사단은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와 그의 튀르크 용병들을 격파했다.[1] 1374년에는 1344년 십자군이 정복한 스미르나 방어를 맡았고, 1402년 티무르에게 함락될 때까지 도시를 지켰다.[2]

로도스에서 구호기사단은 바르바리 해적과의 전투를 통해 더욱 군사적인 세력이 되었다. 15세기에는 1444년 이집트 맘루크 왕조의 세이프 앗딘 자크마크, 1480년 오스만 제국메흐메트 2세 등 두 차례의 침략을 막아냈다. 메흐메트 2세는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여 비잔틴 제국을 멸망시킨 후 기사단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1]

1402년, 기사단은 할리카르나소스 반도(현재 보드룸)에 요새를 건설하고,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의 잔해를 사용하여 페트로니움 성벽을 강화했다.[4]

1522년, 쉴레이만 1세가 이끄는 400척의 배와 10만 명의 병력이 로도스를 침공했다.[5] (다른 자료에서는 20만 명[6]). 기사단은 필리프 빌리에 드 릴아담 대수도원장 지휘 아래 약 7,000명의 병력으로 맞섰으나, 6개월간의 공방전 끝에 시칠리아로 철수해야 했다.

2. 1. 구호기사단의 로도스 정복 (1310년)

1291년 예루살렘 왕국이 멸망하고 아크가 함락되자, 구호기사단은 키프로스 왕국으로 피신했다. 구호기사단 총장 기욤 드 빌라레는 키프로스 정치에 휘말리는 대신 독자적인 영토를 확보하고자 비잔틴 제국 영토였던 로도스섬을 주목했다.[1]

키프로스 국왕 앙리 2세와의 갈등이 계속되자, 후임 총장 폴크 드 빌라레는 비잔틴 황제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의 공식 지배하에 있던 로도스섬으로 기사단을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아비뇽파리로 가서 교황 클레멘스 5세와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에게 도움과 동의를 구했다. 교황은 이 계획을 승인했고, 새로운 십자군 파견을 명령했다. 1308년 9월, 제노바 공화국나폴리 왕국의 함대가 브린디시에서 출항했다.[1]

황제는 빌라레의 경의 표명 제안을 거절하고 섬 방어를 위해 지원군을 보냈지만, 구호기사단은 이들을 격퇴했다. 4년 이상의 전투 끝에 1310년 8월 15일, 로도스 시는 구호기사단에게 항복했다. 구호기사단은 인근의 여러 섬과 아나톨리아할리카르나소스 항구, 카스텔로리조 섬도 장악했다.[1]

2. 2. 로도스 정착 및 개발

1309년, 구호기사단은 7세기에 지어진 요새를 개조하여 총장궁을 건설했다. 로도스섬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구호기사단은 섬 전역에 걸쳐 요새를 건설하고 방어 시설을 강화했다.[8] 중세 도시는 4킬로미터 길이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여러 성문이 설치되었다. 1440년에서 1489년 사이에는 기사의 거리 남쪽에 대병원이 건설되었다.

구호기사단이 로도스시에 지은 요새 배치도

2. 3. 팔레올로고스 왕조와의 전쟁

1334년, 로도스 기사단은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와 그의 튀르크 보조군을 격파했다.[9] 14세기에는 비잔틴 제국과 구호기사단 사이에 여러 차례 전투가 있었다.[1]

2. 4. 이슬람 세력과의 전투

1374년, 기사단은 1344년 십자군에 의해 정복된 스미르나의 방어를 맡았다.[10] 기사단은 1402년 티무르에 의해 포위되어 함락될 때까지 이곳을 지켰다.[10] 로도스에서 구호기사단원들은 특히 바르바리 해적들과 싸우면서 더욱 군사화된 군대가 될 수 밖에 없었다.[11] 15세기에 구호기사단은 두 차례의 침공을 격퇴했는데, 하나는 1444년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 술탄인 세이프 앗딘 자크마크가 침략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1480년 오스만 제국메흐메트 2세가 침공한 것이었다. 메흐메트 2세는 1453년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키고 비잔틴 제국을 정복한 이후 구호기사단을 목표로 삼았다.[1]

2. 5. 로도스 공방전과 멸망 (1522년)

1522년, 오스만 제국쉴레이만 1세는 400척의 배와 10만 명(다른 자료에서는 20만 명[6])의 병력을 이끌고 로도스섬을 침공했다.[5] 구호기사단은 필리프 빌리에 드 릴아담 대수도원장의 지휘 아래 약 7,000명의 병력으로 요새를 지켰다. 6개월 간의 공방전 끝에, 생존한 구호기사단원들은 시칠리아로 철수할 수 있었다. 패배에도 불구하고, 필리프 빌리에 드 릴아담은 기독교인과 무슬림 모두에게 매우 용감한 인물로 여겨졌으며, 교황 아드리아노 6세는 그를 신앙의 수호자로 선포했다. 이후 구호기사단은 유럽 각지를 떠돌다가 1530년 몰타섬에 정착하게 된다.

3. 주요 유적지



구호기사단은 1309년에 7세기에 지어진 요새를 개조하여 총장궁을 만들었고, 14세기 초반에 여러 차례 개조했다.[8] 오스만 제국과의 근접성 때문에 로도스 일대에 여러 요새를 건설했다. 중세 도시는 4킬로미터 길이의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북쪽의 고읍과 남쪽 및 남서쪽의 하읍으로 나뉘었다. 기사단의 첫 호스피스 부지 근처 북쪽에는 오베르뉴 여관이 있었으며, 원래 호스피스였던 곳은 15세기에 기사의 거리 남쪽에 대병원(1440년~1489년 건설)으로 대체되었다. 중세 시가지 성벽에는 여러 성문이 있었는데, 일부는 1480년 공방전 이후 용도가 변경되었다.

1402년, 구호기사단은 할리카르나소스 반도(현재 보드룸)에 요새를 건설하면서,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의 일부 파괴된 조각들을 사용해 페트로니움 성벽을 강화했다.[4]

3. 1. 로도스섬



1309년 구호기사단은 7세기에 지어진 요새를 개조해 총장궁을 만들었으며, 14세기 초반에 여러 차례 개조를 거쳤다.[8] 섬의 위치가 오스만 제국과 가까워, 구호기사단은 로도스 일대에 여러 요새를 건설했다. 중세 도시는 4킬로미터 길이의 성벽 안에 있었으며, 북쪽의 고읍과 남쪽-남서쪽의 하읍으로 나뉘었다. 기사단의 첫 호스피스 부지와 가까운 북쪽에는 오베르뉴 여관이 있었고, 원래 호스피스였던 지역은 15세기에 기사의 거리 남쪽에 1440년에서 1489년 사이에 지어진 대병원으로 대체되었다. 중세 시가지를 둘러싼 성벽 사이로 여러 성문을 뚫었으며, 그 중 일부는 1480년 공방전 이후 용도가 변경되었다.

1291년 예루살렘 왕국이 아크 함락으로 멸망한 후, 기사단은 키프로스 왕국으로 피난했다. 키프로스 국왕 앙리 2세와의 잦은 불화로 기사단의 특권이 변경되지 않자, 풀크 드 빌라레는 기사단을 비잔틴 제국의 로도스 섬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교황 클레멘스 5세와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의 도움과 동의를 얻어, 1310년 8월 15일, 4년 이상에 걸친 전투 끝에 로도스 시는 기사단에 항복했다.

로도스에서 기사들은 베일리의 지휘를 받았으며, 1334년에는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와 그의 터키 용병들을 격파했다.[1] 1374년, 기사단은 1344년 십자군에 의해 정복된 스미르나의 방어를 맡았고,[2] 1402년 티무르에 의해 함락될 때까지 이 도시를 지켰다.[2]

바르바리 해적과의 전투를 통해 더욱 군사화된 구호기사단은[3] 15세기에 두 차례의 침략을 견뎌냈다. 1444년 이집트의 맘루크 술탄 세이프 앗딘 자크마크와 1480년 오스만 제국 술탄 메흐메트 2세의 침략이었다. 1402년, 그들은 할리카르나소스 반도(현재 보드룸)에 요새를 건설하고,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의 조각들을 사용하여 페트로니움을 강화했다.[4]

1522년, 쉴레이만 1세의 지휘 아래 400척의 배가 10만 명의 병사를 섬으로 수송했고,[5] 공방전은 6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결국 살아남은 구호기사단은 시칠리아로 철수했고, 교황 아드리아노 6세는 대수도원장 필리프 빌리에 드 릴아담을 신앙의 수호자로 선포했다.

3. 2. 기타 지역

1402년, 구호기사단은 할리카르나소스 반도(현재 보드룸)에 요새를 건설했다. 이들은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의 부분적으로 파괴된 조각들을 사용하여 성벽인 페트로니움을 강화했다.[4]

참조

[1] 서적 Elementary History of the Progress of the Art of War https://books.google[...] R. Bentley
[2] 서적 The Knights Hospitaller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1
[3] 웹사이트 Diasporic Communities in Rhodes 1350–1450 https://www.academia[...]
[4] 웹사이트 Castle of St Peter http://www.bodrum-bo[...] 2019-08-09
[5] 서적 The Ottoman Centuries: The Rise and Fall of the Turkish Empire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6] 백과사전 Süleymān
[7] 간행물
[8] 웹인용 Palace of the Grand Master of Rhodes https://web.archive.[...] 2015-07-17
[9] 서적 Elementary History of the Progress of the Art of War https://books.google[...] R. Bentley
[10] 서적 The Knights Hospitaller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1
[11] 웹인용 Diasporic Communities in Rhodes 1350–1450 https://www.academ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