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기록원은 대한민국 정부의 기록물 관리 기관으로, 1962년 내각사무처 촬영실 설치를 시작으로 1969년 정부기록보존소로 개편되었다. 200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행정안전부 소속으로 운영된다. 주요 업무는 기록물 관리, 보존, 정보 서비스 제공이며, 대통령기록관, 나라기록관, 역사기록관 등의 소속 기관을 두고 있다. 역대 기관장 목록이 있으며, 과거 기록물 열람 및 폐기 절차 간소화 시도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 아카이브 - 바티칸 비밀문서고
바티칸 사도 문서고는 바티칸 시국에 위치한 로마 교황청 소유의 기록 보관소로, 기독교 1세기부터 수집된 기록을 소장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바티칸 비밀 문서고"로 불렸으나 "교황의 개인적인"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 국립 아카이브 - 소비에트연방공산당 중앙위원회부설 마르크스-레닌주의 연구원
소비에트연방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설 마르크스-레닌주의 연구원은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 연구 및 보급을 담당하며, 1920년 설립된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와 레닌 연구소를 통합하여 1931년 출범, 1991년 사회주의 이론 및 역사 연구소로 변경 후 폐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아카이브 -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상자료원은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한국 영화의 수집, 보존, 복원, 상영, 연구 등을 수행하며, 한국영화박물관과 시네마테크 등을 운영한다. - 대한민국의 아카이브 - 규장각
규장각은 조선시대 정조가 창덕궁에 설치한 왕립 도서관이자 학술 연구 기관으로, 왕의 글과 서책 보관, 과거 시험 주관, 문신 교육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조선 후기 문예 부흥에 기여했고,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이어져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특허법원
대한민국 특허법원은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종자 관련 사건을 전담하는 고등법원급 법원으로서 특허청과 농림수산식품부 소관 사건을 전속 관할하며, 특허심판원 또는 품종보호심판위원회의 심결에 대한 불복 소송을 통해 특허 관련 소송을 2심제로 운영한다. - 대전 서구 소재의 관공서 - 대전지방법원
대전지방법원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를 관할하는 지방법원으로, 1895년 공주재판소로 설치되어 1938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본원은 대전 서구 둔산동에 위치하고 5개의 지원과 여러 시·군법원 및 등기소를 두며 2031년 세종지방법원이 분리 신설될 예정이다.
국가기록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국가기록원 |
로마자 표기 | Guggagirogwon |
한자 표기 | 國家記錄院 |
영어 표기 |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
설립일 | 2004년 5월 24일 |
전신 | 정부기록보존소 |
소재지 |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
직원 | 249명 |
기관장 성명 | 이용철 |
기관장 직책 | 원장 |
상급기관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
웹사이트 | 국가기록원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산하기관 | 행정기록관 외 2 |
기타 | |
좌표 | 36.360828°N 127.385407°E |
2. 연혁
- 1962년 5월 - 내각사무처 총무과에 촬영실을 설치했다.
- 1969년 8월 23일 - 총무처 소속 정부기록보존소를 설치했다.
- 1984년 11월 1일 - 부산지소를 설치했다.
- 1998년 2월 28일 - 행정자치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 1998년 7월 22일 - 정부대전청사로 본소를 이전하고, 서울사무소를 설치했다.
- 1999년 1월 29일 -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 2004년 5월 24일 - 정부기록보존소에서 국가기록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부산지소도 부산지원으로 변경했다.
- 2005년 5월 9일 - 하부조직을 4과에서 6팀으로 개편하고, 부산지원을 부산기록정보센터로, 서울사무소를 서울기록정보센터로 변경했다.
- 2006년 10월 4일 -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전면 개정했다(법률명 변경).
- 2006년 12월 12일 - 하부조직을 6팀에서 3부·13팀·1센터로 개편하고, 부산기록정보센터를 부산지원으로 변경했다.
- 2007년 4월 27일 -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했다.
- 2007년 7월 1일 - 서울지원을 설치했다.
- 2007년 11월 30일 - 대통령기록관리팀을 대통령기록관으로 개편하고 소속기관으로 했다. 서울지원을 나라기록관, 부산지원을 역사기록관으로 변경했다.
- 2008년 2월 29일 - 행정안전부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 2008년 5월 14일 - 하부조직을 3부·12팀·1아카데미·1센터에서 3부·12과로 개편했다.
- 2013년 3월 - 안전행정부 소속으로 개편되었다.
- 2014년 11월 - 행정자치부 소속으로 개편되었다.
- 2017년 7월 - 행정안전부 소속으로 개편되었다.
3. 조직
국가기록원은 원장 아래 기록정책부, 기록관리부, 기록정보서비스부를 두고 있다.
- 기록정책부: 행정지원과, 정책기획과, 표준협력과, 기록관리교육과
- 기록관리부: 사회기록관리과, 경제기록관리과, 특수기록관리과, 보존관리과, 보존복원연구과
- 기록정보서비스부: 기록편찬문화과, 공개서비스과, 기록정보화과
3. 1. 원장
국가기록원 원장 아래에는 기록정책부, 기록관리지원부, 기록보존서비스부가 있다.[4][8]- 기록정책부에는 행정지원과, 정책기획과, 연구협력과, 전자기록관리과, 기록정보기반과가 있다.[5][6][7]
- 기록관리지원부에는 지원정책과, 지원기준과, 공공지원과가 있다.[5][6]
- 기록보존서비스부에는 공개서비스과, 보존인수과, 복원관리과, 기록관리교육센터가 있다.[5][6][7]
3. 2. 소속기관
나라기록관은 서고동, 사무동, 전시열람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 역사기록관, 행정기록관, 대통령기록관, 서울기록정보센터가 있다.[1] 대통령기록관은 대통령기록물의 관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1]4. 역대 기관장
국가기록원의 역대 기관장 정보는 다음과 같다. 기관장의 변천사는 정부기록보존소장과 국가기록원장으로 나뉜다.
하위 섹션에서 정부기록보존소장과 국가기록원장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표로 요약하여 제시한다.
구분 | 대수 | 이름 | 임기 |
---|---|---|---|
정부기록보존소장 | 초대 | 신태섭 | 1969년 8월 23일 ~ 1969년 10월 14일 |
2대 | 이종학 | 1969년 10월 15일 ~ 1971년 2월 22일 | |
3대 | 박해철 | 1971년 2월 23일 ~ 1971년 8월 20일 | |
4대 | 이종학 | 1971년 8월 21일 ~ 1972년 2월 15일 | |
5대 | 양낙준 | 1972년 4월 6일 ~ 1972년 6월 19일 | |
6대 | 이종협 | 1973년 6월 20일 ~ 1974년 11월 14일 | |
7대 | 조경도 | 1974년 11월 15일 ~ 1978년 4월 26일 | |
8대 | 성기태 | 1978년 4월 27일 ~ 1980년 1월 7일 | |
9대 | 윤무섭 | 1980년 1월 8일 ~ 1980년 7월 8일 | |
10대 | 주민회 | 1980년 7월 9일 ~ 1980년 8월 15일 | |
11대 | 이송용 | 1980년 8월 16일 ~ 1980년 9월 23일 | |
12대 | 박해준 | 1980년 9월 24일 ~ 1984년 1월 9일 | |
13대 | 남용구 | 1984년 1월 10일 ~ 1985년 1월 9일 | |
14대 | 김상덕 | 1985년 1월 10일 ~ 1987년 7월 25일 | |
15대 | 김충호 | 1987년 7월 26일 ~ 1987년 8월 18일 | |
16대 | 소유영 | 1987년 8월 19일 ~ 1990년 4월 19일 | |
17대 | 김기수 | 1990년 4월 20일 ~ 1992년 5월 29일 | |
18대 | 안조일 | 1992년 5월 30일 ~ 1993년 3월 11일 | |
19대 | 김기옥 | 1993년 3월 12일 ~ 1994년 11월 9일 | |
20대 | 이수기 | 1994년 11월 10일 ~ 1996년 1월 3일 | |
21대 | 석순용 | 1996년 1월 4일 ~ 1996년 3월 6일 | |
22대 | 김선영 | 1996년 3월 7일 ~ 2000년 2월 8일 | |
23대 | 남효채 | 2000년 2월 14일 ~ 2000년 11월 15일 | |
24대 | 조기현 | 2001년 1월 16일 ~ 2001년 5월 14일 | |
25대 | 송광운 | 2001년 5월 15일 ~ 2002년 1월 31일 | |
26대 | 이재충 | 2002년 3월 19일 ~ 2003년 3월 31일 | |
colspan="4" | | |||
국가기록원장 | 초대 | 김한욱 | 2003년 4월 1일 ~ 2004년 9월 30일 |
2대 | 박찬우 | 2004년 10월 1일 ~ 2006년 7월 10일 | |
3대 | 김윤동 | 2006년 7월 11일 ~ 2007년 2월 22일 | |
4대 | 조윤명 | 2007년 2월 23일 ~ 2008년 2월 4일 | |
5대 | 정진철 | 2008년 3월 12일 ~ 2008년 11월 13일 | |
6대 | 박상덕 | 2008년 12월 30일 ~ 2010년 9월 12일 | |
7대 | 이경옥 | 2010년 9월 13일 ~ 2011년 9월 15일 | |
8대 | 송귀근 | 2011년 10월 17일 ~ 2012년 11월 25일 | |
9대 | 박경국 | 2012년 11월 26일 ~ 2014년 2월 27일 | |
직무대리 | 김경원 | 2014년 3월 2일 ~ 2014년 10월 21일 | |
10대 | 박동훈 | 2014년 10월 22일 ~ 2016년 2월 24일 | |
11대 | 이상진 | 2016년 2월 25일 ~ 2017년 11월 28일 | |
12대 | 이소연 | 2017년 11월 29일 ~ 2020년 11월 28일 | |
직무대리 | 안경원 | 2020년 11월 29일 ~ 2021년 2월 | |
13대 | 최재희 | 2021년 2월 ~ 2022년 12월 30일 | |
14대 | 구만섭 | 2023년 1월 16일 ~ 2023년 9월 1일 | |
15대 | 하병필 | 2023년 9월 4일 ~ 2024년 1월 7일 | |
직무대리 | 곽진욱 | 2024년 1월 8일 ~ 2024년 3월 31일 | |
16대 | 이용철 | 2024년 4월 1일 ~ |
4. 1. 정부기록보존소장
대수 | 이름 | 임기 |
---|---|---|
초대 | 신태섭 | 1969년 8월 23일 ~ 1969년 10월 14일 |
2대 | 이종학 | 1969년 10월 15일 ~ 1971년 2월 22일 |
3대 | 박해철 | 1971년 2월 23일 ~ 1971년 8월 20일 |
4대 | 이종학 | 1971년 8월 21일 ~ 1972년 2월 15일 |
5대 | 양낙준 | 1972년 4월 6일 ~ 1972년 6월 19일 |
6대 | 이종협 | 1973년 6월 20일 ~ 1974년 11월 14일 |
7대 | 조경도 | 1974년 11월 15일 ~ 1978년 4월 26일 |
8대 | 성기태 | 1978년 4월 27일 ~ 1980년 1월 7일 |
9대 | 윤무섭 | 1980년 1월 8일 ~ 1980년 7월 8일 |
10대 | 주민회 | 1980년 7월 9일 ~ 1980년 8월 15일 |
11대 | 이송용 | 1980년 8월 16일 ~ 1980년 9월 23일 |
12대 | 박해준 | 1980년 9월 24일 ~ 1984년 1월 9일 |
13대 | 남용구 | 1984년 1월 10일 ~ 1985년 1월 9일 |
14대 | 김상덕 | 1985년 1월 10일 ~ 1987년 7월 25일 |
15대 | 김충호 | 1987년 7월 26일 ~ 1987년 8월 18일 |
16대 | 소유영 | 1987년 8월 19일 ~ 1990년 4월 19일 |
17대 | 김길수 | 1990년 4월 20일 ~ 1992년 5월 29일 |
18대 | 안조일 | 1992년 5월 30일 ~ 1993년 3월 11일 |
19대 | 김기옥 | 1993년 3월 12일 ~ 1994년 11월 9일 |
20대 | 이수기 | 1994년 11월 10일 ~ 1996년 1월 3일 |
21대 | 석순용 | 1996년 1월 4일 ~ 1996년 3월 6일 |
22대 | 김선영 | 1996년 3월 7일 ~ 2000년 2월 8일 |
23대 | 남효채 | 2000년 2월 14일 ~ 2000년 11월 15일 |
24대 | 조기현 | 2001년 1월 16일 ~ 2001년 5월 14일 |
25대 | 송광운 | 2001년 5월 15일 ~ 2002년 1월 31일 |
26대 | 이재충 | 2002년 3월 19일 ~ 2003년 3월 31일 |
4. 2. 국가기록원장
대수 | 이름 | 임기 |
---|---|---|
초대 | 김한욱 | 2003년 4월 1일 ~ 2004년 9월 30일 |
2대 | 박찬우 | 2004년 10월 1일 ~ 2006년 7월 10일 |
3대 | 김윤동 | 2006년 7월 11일 ~ 2007년 2월 22일 |
4대 | 조윤명 | 2007년 2월 23일 ~ 2008년 2월 4일 |
5대 | 정진철 | 2008년 3월 12일 ~ 2008년 11월 13일 |
6대 | 박상덕 | 2008년 12월 30일 ~ 2010년 9월 12일 |
7대 | 이경옥 | 2010년 9월 13일 ~ 2011년 9월 15일 |
8대 | 송귀근 | 2011년 10월 17일 ~ 2012년 11월 25일 |
9대 | 박경국 | 2012년 11월 26일 ~ 2014년 2월 27일 |
직무대리 | 김경원 | 2014년 3월 2일 ~ 2014년 10월 21일 |
10대 | 박동훈 | 2014년 10월 22일 ~ 2016년 2월 24일 |
11대 | 이상진 | 2016년 2월 25일 ~ 2017년 11월 28일 |
12대 | 이소연 | 2017년 11월 29일 ~ 2020년 11월 28일 |
직무대리 | 안경원 | 2020년 11월 29일 ~ 2021년 2월 |
13대 | 최재희 | 2021년 2월 ~ 2022년 12월 30일 |
14대 | 구만섭 | 2023년 1월 16일 ~ 2023년 9월 1일 |
15대 | 하병필 | 2023년 9월 4일 ~ 2024년 1월 7일 |
직무대리 | 곽진욱 | 2024년 1월 8일 ~ 2024년 3월 31일 |
16대 | 이용철 | 2024년 4월 1일 ~ |
5. 사건·사고 및 논란
이명박 정부 시절 대통령기록물 및 정부기관 기록물 관리 절차 변경 시도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5. 1. 기록물 열람 및 폐기 절차 간소화 논란
이명박 정부 시절 대통령기록물 열람 절차 간소화 및 기록물 폐기 절차 간소화 시도는 공공기록물 관리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대통령기록물관리법에 따르면 대통령지정기록물 열람은 국회 재적의원 2/3 이상의 동의, 관할 고등법원장이 발부한 영장 등이 필요하지만, 이명박 정부는 대통령기록관장을 측근으로 임명하여 이전 정권 기록물을 열람할 가능성을 높였다는 비판을 받았다.[9]2010년 7월 정부기관의 기록물 중 보존기간이 1년 또는 3년인 기록물을 각 생산기관에서 쉽게 폐기할 수 있는 방안이 추진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는 사실상 문서 전반을 손쉽게 폐기하겠다는 위험한 발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국가기록관리위원회에서 부결된 개정안을 무효화시키고 개정을 강행하려 했다는 절차상의 문제점도 지적되었다.[10]
6. 관련 사항
- 국립공문서관
-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
참조
[1]
논문
https://www.proquest[...]
[2]
논문
https://www.proquest[...]
[3]
기타
[4]
기타
[5]
기타
[6]
기타
[7]
기타
[8]
기타
[9]
뉴스
MB맨에게 노무현 전 대통령 기록 관리 맡기나
https://news.naver.c[...]
2010-03-16
[10]
뉴스
'국가기록물 폐기 쉽게' 추진 논란
http://news.nate.com[...]
2010-07-1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입양인 뿌리' 입양 기록 26만 권 한 곳에…고양에 임시 서고 개관
솔트룩스, 국가기록원 지능형 검색 환경 구축 사업 수주 – 바이라인네트워크
“그날의 진실 밝혀내길…” 이태원참사 31개월 만에 특조위 가동
대통령기록물 현장점검 이번주로 연장…대통령실 등 점검 안 끝나
5·18조사위 후속 조치 미흡…12·3 내란사태 뒤 5·18의 과제 산적
‘블록체인 선도’ 12개 공공서비스 적용사업·3개 민간주도 프로젝트 본격 착수 – 바이라인네트워크
2월3일 알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