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인권상황정기검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별인권상황정기검토(UPR)는 유엔 인권 이사회(HRC)의 결의안에 따라 모든 유엔 회원국의 인권 상황을 정기적으로 검토하는 제도이다. UPR은 객관적이고 협력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각 국가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고, 인권 의무 이행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검토는 4~5년 주기로 진행되며, 각 국가의 보고서, NGO 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보고서,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보고서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UPR 실무 그룹과 트로이카의 역할을 통해 검토가 진행되며, 결과는 인권 이사회 본회의에서 채택된다. 대한민국은 UPR을 통해 사형제, 집회 및 시위의 자유, 국가보안법 등 다양한 인권 문제에 대한 검토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권 - 집회의 자유
집회의 자유는 평화적인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사되어야 하며, 국가별로 보장 범위가 다르고,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는 집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과도하거나 불법적인 집회에 대한 제한을 인정한다. - 인권 - 복지국가
복지국가는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안정을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등장하여 20세기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국가에서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모델과 지속적인 논의 및 비판이 존재한다.
| 국가별인권상황정기검토 | |
|---|---|
| 개요 | |
| 유형 | 국제 연합 인권 메커니즘 |
| 목표 | 모든 유엔 회원국의 인권 상황 개선 |
| 주체 | 인권 이사회 |
| 참가국 | 모든 유엔 회원국 |
| 빈도 | 4년 6개월 주기 |
| 첫 검토 | 2008년 4월 |
| 과정 | |
| 정보 출처 | 국가 보고서 국제 연합 조약 기구 특별 절차 기타 이해 관계자 (NGO 포함) |
| 검토 그룹 | 인권 이사회에서 선정된 3개국 |
| 검토 | 공개 토론 |
| 결과 | 권고 및 자발적 약속 |
| 후속 조치 | 국가, 인권 이사회, 기타 이해 관계자 |
| 중요성 | |
| 특징 | 보편적, 협력적, 국가 주도적 |
| 영향 | 국가 정책 및 법률 개선, 국제 협력 증진 |
| 한계 | 정치적 고려, 이행 부족 가능성 |
| 추가 정보 | |
| 관련 문서 | 세계 인권 선언 인권 이사회 결의 5/1 |
| 웹사이트 | 국가별 인권 상황 정기검토 공식 웹사이트 |
2. UPR 제도
국가별 정례 인권 검토(UPR)는 유엔 인권 이사회 주도로 각국의 인권 상황을 정기적으로 검토하는 제도이다. 2007년 유엔 인권 이사회(HRC)는 [http://ap.ohchr.org/documents/E/HRC/resolutions/A_HRC_RES_5_1.doc 결의안 5/1]과 [http://ap.ohchr.org/documents/E/HRC/decisions/A_HRC_DEC_6_102.pdf 결정 6/102]를 통해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첫 번째 주기의 UPR 기능을 상세히 설명했다.[3] 2011년에는 HRC [http://ap.ohchr.org/documents/dpage_e.aspx?si=A/HRC/RES/16/21 결의안 16/21]과 [https://web.archive.org/web/20111114172632/http://www2.ohchr.org/english/bodies/hrcouncil/17session/docs/A-HRC-DEC-17-119.pdf 결정 17/119]를 통해 UPR에 몇 가지 수정 사항이 도입되었다.[3] HRC 결의안 16/21은 두 번째 및 그 이후의 주기가 수용된 권고의 이행과 심사 대상 국가의 인권 상황 발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규정한다.
2. 1. UPR의 원칙과 목표
유엔 인권 이사회(HRC) 결의안 5/1은 국가별인권상황정기검토(UPR)가 갖춰야 할 원칙을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3]- 모든 인권의 보편성, 상호 의존성, 불가분성 및 상호 관련성 증진.
-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상호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협력 메커니즘.
- 모든 국가에 대한 보편적인 적용과 동등한 대우 보장.
- 정부 간 프로세스, UN 회원국 주도의 행동 지향성.
- 심사 대상 국가의 완전한 참여.
- 다른 인권 메커니즘과의 보완 및 부가가치 창출.
- 객관성, 투명성, 비선택성, 건설성, 비대립성, 비정치성.
- 국가나 HRC 의제에 과도한 부담 방지.
- 적절한 시간 내 완료, 과도한 자원 소모 방지.
- 긴급한 인권 상황 대응 역량 유지.
- 성 평등 관점 통합.
- 국가의 발전 수준과 특수성 고려.
- 비정부 기구(NGO) 및 국가 인권 기구(NHRI)를 포함한 모든 관련 이해 관계자의 참여 보장.
UN-UPR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4]
- 현장 인권 상황 개선.
- 국가의 인권 의무 및 약속 이행, 긍정적 발전과 국가가 직면한 과제 평가.
- 해당 국가와 협의 및 동의를 얻은 역량 강화 및 기술 지원.
- 국가와 기타 이해 관계자 간의 모범 사례 공유.
- 인권 증진 및 보호를 위한 협력 지원.
- HRC, 기타 인권 기구 및 유엔 인권 최고 대표 사무소(OHCHR)와의 완전한 협력 및 참여 장려.
2. 2. UPR 절차
국가별 인권 상황 정기 검토(UPR)는 4~5년 주기로 진행되며, 매년 42개 국가가 인권이사회(HRC) UPR 실무 그룹의 3차례 회의에서 검토된다. 각 회의에서는 14개 국가가 검토된다.[5] 인권이사회는 2007년 9월 21일 제비뽑기를 통해 첫 번째 UPR 주기의 http://www.ohchr.org/EN/HRBodies/UPR/Documents/uprlist.pdf 검토 순서를 결정했으며[5], 이 순서는 두 번째 및 이후 주기 동안 유지된다. 첫 번째 검토 순서는 결의안 5/1의 요구 사항[6]에 따라, 인권이사회 47개 회원국 전체가 임기 동안 검토받도록 지시했다.2. 3. 검토 근거
유엔 헌장, 세계 인권 선언, 국가가 당사국인 인권 조약, 국가가 HRC 선거 출마를 신청할 때 포함하여 자발적으로 한 약속 및 공약, 관련 국제 인도법을 검토 근거로 한다.[7]2. 4. 검토 문서
국가별인권상황정기검토(UPR) 심사는 다음 세 가지 문서를 기반으로 한다.[3]- 심사 대상 국가가 작성한 20페이지 분량의 국가 보고서
-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가 작성한 10페이지 분량의 UN 정보 요약본 (특별 절차 보고서, 인권 조약 기구 보고서 및 기타 관련 UN 문서 포함)
- OHCHR이 작성한 10페이지 분량의 이해 관계자 (국가인권기구, NGO, 기타 시민 사회 행위자 포함) 정보 요약본
인권 이사회는 결정 6/102에서 UPR 정보 준비 지침을 제공하며, 국가 보고서 준비 시 다음 사항을 다루도록 명시한다.
- UPR 정보 준비 방법론 및 광범위한 협의 과정 설명
- 심사 대상 국가의 배경 및 인권 증진/보호 프레임워크 (규범적/제도적 프레임워크): 헌법, 법률, 정책 조치, 국내 판례, 국가인권위원회를 포함한 인권 인프라 및 결의안 5/1의 "심사 기반"에 명시된 국제적 의무 범위
- 현장 인권 증진/보호: 결의안 5/1의 "심사 기반"에 명시된 국제 인권 의무 이행, 국내 법률 및 자발적 약속, 국가인권위원회 활동, 인권 대중 인식, 인권 메커니즘 협력
- 성과, 모범 사례, 과제 및 제약 사항 식별
- 국가가 과제/제약 극복 및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해 수행할 주요 국가적 우선순위, 이니셔티브, 약속
- 역량 구축 측면에서 국가의 기대와 기술 지원 요청 (해당하는 경우)
- 두 번째 및 후속 UPR 주기에서는 이전 심사 후속 조치에 대한 국가 작업 발표 포함
2. 5. UPR 실무 그룹
UPR 실무 그룹은 HRC 의장이 의장을 맡고 있는 HRC의 47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가별 검토를 수행한다. 실무 그룹은 2008년에 첫 번째 검토를 진행했다. 각 검토에 3시간 30분을 할당하며, 이 중 70분은 검토 대상 국가가 자국의 국내 인권 체계, 자국 내 인권 증진 및 보호를 위해 취한 조치, 특히 국가적으로 중요한 인권 문제, 위반 사항 해결 및 시정을 위해 취한 조치를 논의하는 데 할애된다. 또한, 국가는 자발적인 인권 공약과 약속을 발표할 기회를 갖는다. 국가 발표 후 140분 동안 상호 대화가 이어지며, 이 동안 UN 회원국들은 해당 국가에 질문을 하고 인권 상황 및 성과 개선을 위한 권고를 한다. 193개 모든 UN 회원국(HRC 회원국 및 비회원국 모두)이 발언할 수 있다.[8]국가별 검토 과정에서는 매우 다양한 문제가 다루어졌으며, 잠재적으로 모든 인권 문제를 이 세션에서 다룰 수 있다. 실무 그룹 보고서에서 권고 사항이 함께 묶여 있어 실제 권고 사항 수를 계산하는 것은 복잡하지만, NGO UPR Info는 UPR의 첫 번째 주기가 총 21,356개의 권고 사항과 599개의 자발적 공약을 제공했다고 계산했다.[8]
2. 6. 트로이카의 역할
각 심의는 "트로이카"로 알려진 3개 국가로 구성된 그룹에 의해 진행되며, 이들은 보고관 역할을 수행한다. 트로이카는 심의 대상 국가에 대한 유엔 회원국의 사전 질문을 받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심의 절차 요약, 국가가 제안한 권고, 결론 및 심의 대상 국가가 제시한 자발적 약속 등을 포함하는 심의 결과 문서를 준비한다. 심의 결과 문서는 UPR 사무국의 지원을 받아 준비되며, 심의 결과에 포함된 권고는 심의 대상 국가와 권고를 한 국가의 완전한 참여와 동의를 얻어 주제별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9]2. 7. 결과 채택
실무 그룹 회의 후반부 30분 동안 결과 문서 채택이 이루어지며, 심사 대상 국가는 다른 국가가 제안한 권고 사항과 결과 문서에 반영된 결론에 대한 지지 여부를 예비적으로 밝힐 기회를 갖는다.[1] 채택이 완료되면 결과 문서는 본회의에서 논의 및 채택을 위해 인권 이사회로 이관된다.[1] 실무 그룹 회의와 본회의 사이에 심사 대상 국가는 UPR 권고 사항 수용 여부를 확정해야 한다.[1]2. 8. 인권이사회 본회의
UPR은 HRC 의제(의제 6)의 상시 안건이다. 각 HRC 회기에서 UPR 실무 그룹에서 이관된 결과 문서의 검토 및 채택에 시간이 할당된다. 각 문서 채택에는 1시간이 할당되며, 이 시간 동안 심사 대상 국가는 실무 그룹의 상호 대화 과정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질문이나 문제에 대한 답변을 제시할 기회를 갖는다.[10] HRC 회원국과 옵저버 국가는 HRC가 조치를 취하기 전에 검토 결과에 대한 입장을 표명할 기회를 갖는다.[11] 'A' 등급의 국가 인권 기구[12]와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ECOSOC)와 협의 지위를 가진 비정부 기구(NGO)는 결과 보고서 채택 전에 '일반 의견'을 제시할 기회를 갖는다.[13] 이는 시민 사회가 UPR 동안 발언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이다.2. 9. UPR 결과 후속 조치
검토 결과는 협력 메커니즘으로서 주로 해당 국가가 이행해야 하지만, 각 국가는 이와 관련하여 모든 관련 이해 관계자와 광범위한 협의를 수행하도록 권장된다.각 국가는 수락된 권고 사항에 대한 후속 조치에 대한 중간 보고서를 자발적으로 이사회에 제공하도록 권장된다. 2013년 2월 20일 현재, 28개 국가가 이행 보고서를 인권 이사회에 제출했다.[14]
결의안 16/21에 따라, 다른 관련 이해 관계자는 이전 검토에 대한 후속 조치에 대한 정보를 기여에 포함하도록 권장된다. 다른 관련 이해 관계자가 제공한 정보 요약에는 적절한 경우, 파리 원칙을 완전히 준수하여 인증된 검토 대상 국가의 국가 인권 기구의 기여에 대한 별도의 섹션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사회 결의안 6/17에 따라 설립된 재정 및 기술 지원 자발적 기금은 국가가 검토 결과에서 발생하는 권고 사항을 이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재정 및 기술 지원의 원천을 제공하기 위해 강화되고 가동되어야 한다.
각 국가는 검토 후속 조치의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자국 또는 지역 수준의 유엔 대표에 지원을 요청할 수 있다. 검토 이행을 위한 재정 및 기술 지원은 국가 이행 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국가의 필요와 우선 순위를 지원해야 한다.[9]
UPR Info라는 NGO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권고 사항(주요 UPR 결과)이 어떻게 이행되는지,[15] 그리고 UPR이 현장에서 실제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토 후 2년 간격으로 165건의 평가를 수행했다. 2012년에 이 단체는 66개 국가의 이러한 이행에 대한 평가에 관한 첫 번째 [https://www.upr-info.org/sites/default/files/general-document/pdf/2012_on_the_road_to_implementation.pdf 연구]를 발표했다. 2014년에는 [https://www.upr-info.org/sites/default/files/general-document/pdf/2014_beyond_promises.pdf 약속 그 이상]이라는 제목의 두 번째 출판물이 이어져 165개 국가를 평가하고 국가, 국가 인권 기구, NGO에서 관찰된 모범 사례를 공유했다. 2016년에 발표된 세 번째 출판물은 [https://www.upr-info.org/sites/default/files/general-document/pdf/2016_the_butterfly_effect.pdf 나비 효과]라는 제목으로 UPR 모범 사례를 전파하고 모든 행위자에게 영감을 주기 위해 제작되었다.
2. 10. 국가의 UPR 불응
인권이사회는 국가별 인권 상황 정기 검토(UPR) 메커니즘과의 협력을 장려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소진한 후, 메커니즘에 대한 지속적인 비협력 사례를 적절하게 처리한다.[16]지속적인 비협력 문제가 논의된 첫 번째 사례는 이스라엘의 UPR이었다. 이스라엘은 2013년 1월 29일 예정대로 심의를 받지 않았다.[17] 그 결과, 인권이사회는 2013년 3월[18]과 6월[19]에 "지속적인 비협력" 문제를 논의했다. 결국 이스라엘은 인권이사회와의 협력을 재개하여 2013년 10월 29일에 심의를 받았지만,[20] 인권이사회는 "지속적인 비협력"이 무엇인지 정의할 기회를 놓쳤다.[21]
2. 11. 이해 관계자 UPR 기여 기회
국가인권기구(NHRI) 및 비정부 기구(NGO)의 인권 이사회(HRC) 참여, 즉 UPR 메커니즘 참여를 규율하는 규칙은 결의안 5/1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 결의안은 이들의 참여가 '구 인권 위원회에서 관찰된 관행'에 기반해야 하며, '이러한 단체의 가장 효과적인 기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2]UPR은 정부 간 프로세스이지만, 비정부 이해 관계자가 기여할 수 있는 여러 기회가 있다.
- 국가 보고서 준비를 위한 국가 협의 참여. 국가는 국가 보고서 준비를 위해 광범위한 국가 협의 절차를 수행하도록 권장된다.
- 국가 검토에 대한 정보 제출. 제출 자료는 OHCHR에서 준비한 이해 관계자 정보 요약에 포함될 수 있다.
- UPR 실무 그룹에서 국가의 심의에 참석. 이해 관계자는 실무 그룹 회의에 참석할 수 있지만, 상호 대화에는 참여할 수 없다.
- 국가에 대한 결과 보고서가 채택되는 HRC 세션 참석. 'A' 등급 국가 인권 기구 및 ECOSOC 인증 NGO는 결과 보고서 채택 전에 '일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 HRC 의제 6항(UPR)에 따라 서면 진술 제출. 국가 인권 기구 및 ECOSOC 인증 NGO는 서면 진술을 제출할 수 있다.
- 적절한 경우, UPR 권고안의 후속 조치에 참여.
3. 인권이사회 검토 절차
유엔 총회 결의안 60/251에 따라 유엔 인권 이사회(HRC)는 설립 5년 후 업무와 기능에 대해 검토하고 보고해야 했다.[23] 2009년 10월, HRC는 검토 과정을 주도하기 위해 정부 간 실무 그룹을 설립했다.[24] 실무 그룹은 2010년 10월과 2011년 2월에 회의를 가졌다.
2011년 3월 25일, HRC는 업무 및 기능 검토 결과를 결의안 16/21로 채택했고, 2011년 7월 19일 HRC 결정 17/119에 따라 국가별인권상황정기검토(UPR)에 다음과 같은 변경이 이루어졌다:[25]
| 변경 사항 | 내용 |
|---|---|
| 주기 | 두 번째 및 이후 주기는 4.5년 동안 진행되며, 주기당 14개의 세션이 열린다. |
| 세션당 국가 수 | 세션당 14개 국가가 검토되며, 연간 총 42개 국가가 검토된다. |
| 검토 시간 | 각 국가 검토는 3.5시간 동안 진행된다. 검토 대상 국가(SuR)에는 70분이 주어지고, 다른 국가에는 140분이 주어진다. |
| 검토 순서 | 검토 순서는 이전과 동일하다. |
| 다음 주기의 초점 | 두 번째 및 이후 주기의 검토는 수락된 권고의 이행과 SuR의 인권 상황 발전에 초점을 맞춘다. |
| 발언자 목록 | 각 검토에 대해 국가는 영어 알파벳순으로 정렬되며, 발언자당 시간은 조정될 수 있다. |
| 일반 지침 | 검토의 기초를 형성하는 세 개의 보고서 초안 작성을 위한 일반 지침은 국가가 권고 이행에 대해 보고할 필요성을 강조하도록 수정되었다. |
| 권고 사항 클러스터링 | UPR 결과 문서에 포함된 권고 사항은 주제별로 클러스터링되어야 한다. |
| 권고에 대한 응답 | 국가는 모든 수신된 권고에 대한 입장을 명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
| 중간 보고서 | 국가는 자발적으로 수락된 권고에 대한 후속 조치에 대한 중간 업데이트를 제공하도록 권장된다. |
| 국가 인권 기구(NHRIs)의 역할 | A 등급의 NHRIs는 HRC 전체 회의에서 발언 기회가 주어진다. |
| 비정부 기구(NGO)의 역할 | 국가는 후속 조치에 대해 모든 관련 이해 관계자와 광범위한 협의를 수행하도록 권장된다. |
4. 한국의 UPR 현황 및 과제
한국은 UPR을 통해 국제사회에 인권 개선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UPR에서는 사형제, 집회와 시위의 자유, 국가보안법, 차별금지, 장애인 차별,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신념에 따른 병역거부, 여성폭력 및 가정폭력, 아동 체벌, 비정규직 노동자, 주민등록제도 등 한국의 핵심적 인권상황들이 다루어진다.
4. 1. 주요 검토 대상 인권 문제
사형제, 집회와 시위의 자유, 국가보안법, 차별금지, 장애인 차별, 이주노동자, 결혼이주여성, 신념에 따른 병역거부, 여성폭력 및 가정폭력, 아동 체벌, 비정규직 노동자, 주민등록제도 등 한국의 핵심적 인권상황들이 다루어진다.참조
[1]
간행물
‘In larger freedom: towards development, security and human rights for all’
https://www.un.org/l[...]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A/59/2005)
2005-03-21
[2]
서적
Identifying Custom in Universal Periodic Review Recommend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3]
문서
Annex to resolution 5/1
http://ap.ohchr.org/[...]
para. 3
[4]
문서
Annex to resolution 5/1
http://ap.ohchr.org/[...]
para. 4
[5]
웹사이트
‘Basic facts about the UPR’
http://www.ohchr.org[...]
[6]
문서
Annex to resolution 5/1
http://ap.ohchr.org/[...]
paras. 8-11
[7]
문서
Annex to resolution 5/1
http://ap.ohchr.org/[...]
paras. 1-2
[8]
웹사이트
UPR Info's Database on UPR recommendations
https://www.upr-info[...]
2019-06-25
[9]
문서
"Review of the work and functioning of the Human Rights Council"
http://ap.ohchr.org/[...]
at 4
[10]
문서
Annex to resolution 5/1
http://ap.ohchr.org/[...]
para. 29
[11]
문서
Annex to resolution 5/1
http://ap.ohchr.org/[...]
para. 30
[12]
웹사이트
Principles relating to the Status of National Institutions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http://www2.ohchr.or[...]
[13]
문서
Annex to resolution 5/1
http://ap.ohchr.org/[...]
para. 31
[14]
웹사이트
"UPR Implementation"
http://www.ohchr.org[...]
[15]
웹사이트
The Follow-up Programme on UPR recommendations
https://www.upr-info[...]
[16]
문서
Annex to resolution 5/1
http://ap.ohchr.org/[...]
para. 38
[17]
웹사이트
Israel absent from its own UPR
https://www.upr-info[...]
2019-06-25
[18]
웹사이트
The Human Rights Council discusses cases of non-cooperation
https://www.upr-info[...]
2019-06-25
[19]
웹사이트
HRC President presents report on dialogue with Israel
https://www.upr-info[...]
2019-06-25
[20]
웹사이트
Universality preserved: Israel expected to be reviewed on Tuesday 29 October 2013
https://www.upr-info[...]
2019-06-25
[21]
웹사이트
Non-cooperation with the UPR: Paving the way
https://www.upr-info[...]
2019-06-25
[22]
문서
Annex to resolution 5/1
http://ap.ohchr.org/[...]
at rule 7
[23]
문서
General Assembly resolution 60/251
http://www2.ohchr.or[...]
at operative para. 16
[24]
문서
‘Open-ended intergovernmental working group on the review of the work and functioning of the Human Rights Council’
http://ap.ohchr.org/[...]
HRC resolution 12/1
2009-10-12
[25]
문서
"New UPR Modalities for the Second Cycle"
https://www.upr-inf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