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유엔 헌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유엔 헌장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참화를 겪은 국제 사회가 평화와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 만든 국제기구인 유엔의 기본 헌장이다. 1945년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채택되어 같은 해 10월 24일 발효되었으며, 전문과 19장 111조로 구성된다. 유엔의 목적, 원칙, 회원 자격, 주요 기관의 권한과 역할 등을 규정하며,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 국가 간 우호 관계 증진, 인권 존중, 경제·사회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한다. 주요 내용은 유엔 총회, 안전 보장 이사회, 사무국, 헌장 개정 등에 관한 조항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발효된 조약 - 포츠담 협정
    포츠담 협정은 1945년 미국, 영국, 소련의 연합국 정상회담에서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점령, 배상, 영토 문제, 전범 재판 등을 합의한 내용으로, 냉전과 한국전쟁의 배경이 되었으며 독일인 추방 문제 등 현재까지도 논란이 있다.
  • 1945년 체결된 조약 - 포츠담 협정
    포츠담 협정은 1945년 미국, 영국, 소련의 연합국 정상회담에서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점령, 배상, 영토 문제, 전범 재판 등을 합의한 내용으로, 냉전과 한국전쟁의 배경이 되었으며 독일인 추방 문제 등 현재까지도 논란이 있다.
  • 1945년 체결된 조약 - 중소 우호 동맹 조약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은 전후 동아시아 정세 변화 속에서 중화민국과 소련 간 체결된 조약으로, 소련은 항구 조차 및 철도 공동 관리 등의 이권을 얻고, 중화민국은 외몽골 독립을 인정하는 대신 소련의 공산당 지원 중단 약속을 받았으나, 이후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으로 실효를 잃고 냉전 시대 동아시아 정세에 영향을 미쳤다.
유엔 헌장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국제 연합 헌장
원어 이름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기타 명칭UN 헌장
유형조약
초안 작성일1941년 8월 14일
서명일1945년 6월 26일
서명 장소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 미국
발효일1945년 10월 24일
발효 조건중화민국, 프랑스 임시 정부, 소비에트 연방, 영국, 미국 및 기타 서명 국가 대다수의 비준.
기탁자국제
사용 언어아랍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링크일본어 공식 번역 - 유엔 홍보 센터
영어 원문 - 유엔
관련 정보
관련 조약국제 연맹 규약
서명 및 비준
서명 국가193개국
초안 작성자
주요 초안자알저 히스
레오 파스볼스키(en|Leo Pasvolsky)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문서 정보
일본어 관보 정보昭和31年12月19日官報号外第53号条約第26号
昭和40年9月8日官報第11623号条約第12号
昭和43年7月27日官報第12485号外務省告示第183号
昭和48年10月23日官報第14048号条約第12号
목적
주요 목적국제 연합 설립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들은 일련의 회의를 통해 점진적으로 유엔의 원칙과 개념적 틀을 수립했다. 1941년 세인트 제임스 궁전 선언문은 전후 세계 질서에 대한 비전을 최초로 표명한 선언이었다.[10] 같은 해 대서양 헌장은 국가 간 협력 강화와 평화 유지를 위한 8개 항의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12][13]

1942년 연합국 선언은 반추축 동맹을 공식화하고 대서양 헌장의 원칙을 재확인했다.[14] 1943년 모스크바 선언 중 하나인 4개국 선언에서는 "모든 평화애호 국가의 주권 평등 원칙"에 기반한 국제기구 설립을 촉구하며, 이는 국제 연맹을 대체할 새로운 국제기구를 구상하고 있다는 최초의 공식 발표였다.[17][18]

이후, 덤바턴오크스 회의와 얄타 회의를 거쳐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유엔 헌장이 채택되었다. 유엔 헌장의 구조는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서 얀 스무츠와 세실 경이 국제 연맹을 위해 고안한 것과 같이 강대국으로 구성된 안전 보장 이사회와 유엔 회원국으로 구성된 국제 연합 총회로 구성되었다.

2. 1. 연합국 회의

1941년 6월, 런던에서 발표된 세인트 제임스 궁전 선언문은 연합국의 공동 목표와 전후 세계 질서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였다.[10] 이 선언은 "모든 사람이 경제적·사회적 안보를 누릴 수 있도록" "자유로운 민족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촉구했다.[11]

1941년 8월, 미국과 영국은 대서양 헌장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 두 국가는 확장을 추구하지 않는다.
  • 국민의 의사에 반하는 영토 변화는 없을 것이다.
  • 모든 국민의 자결권을 존중한다.
  • 자치권을 박탈당한 사람들에게 자치 정부를 회복시켜 준다.
  • 모든 국가가 "경제적 번영에 필요한" 무역과 원자재에 대한 접근을 증진한다.
  • 세계의 경제적·사회적 조건 개선을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한다.
  • "나치 폭정의 파괴"와 공포와 결핍으로부터의 해방을 추구한다.
  • "침략" 국가의 무장 해제와 전후 상호 군축 하에 더 넓은 영국-미국 세계 "안보 체제"를 수립함으로써 "무력 사용의 포기"를 약속한다.[12][13]


1942년 1월, 추축국에 대항하는 30개국 대표는 연합국 선언에 서명하여 반추축 동맹을 공식화하고 대서양 헌장의 원칙을 재확인했다.[14] "연합국"이라는 용어는 전쟁 기간 동안 연합국과 동의어가 되었고, 그들이 싸우고 있는 공식 명칭으로 간주되었다.[15]

1943년 10월, 모스크바 선언에서 미국, 영국, 소련, 중화민국은 "모든 평화애호 국가의 주권 평등 원칙"에 기반한 국제기구 설립을 처음으로 공식 발표했다.[17][18]

2. 2. 덤버튼오크스 회의와 샌프란시스코 회의

1944년 8월 21일부터 10월 7일까지 미국은 덤바턴오크스 회의를 개최하여 유엔이 될 기구의 청사진을 개발했다.[19] 이 회의에서 유엔 헌장의 규칙, 원칙 및 조항의 상당수가 제안되었는데, 여기에는 유엔 시스템의 구조, 미래의 전쟁과 갈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보장 이사회의 설립, 국제 연합 총회, 국제사법재판소, 사무국 등 기구의 다른 "기관"의 설립이 포함된다.[19] 이 회의는 4강이 주도했으며, 다른 국가의 대표들이 이러한 원칙의 고려 및 수립에 참여했다.[19]

1945년 2월 미국, 영국, 소련 간의 얄타 회의에서 제안된 안전 보장 이사회의 투표 구조에 대한 논쟁이 해결되었으며, 1945년 4월 25일 샌프란시스코에서 "덤바턴오크스의 공식 회담에서 제안된 방식에 따라 그러한 기구의 헌장을 준비하기 위한 유엔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19]

샌프란시스코 회의(UNCIO)는 새로운 국제기구를 설립할 헌장 초안을 작성하기 위한 목표로 1945년 4월 25일에 시작되었다. 이 회의를 후원한 4강은 연합국 선언에 서명한 46개국을 모두 초청하였다.[21][20] 회의 대표들은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르헨티나, 그리고 최근 해방된 덴마크 등 4개국을 추가로 초청하였다.[21]

이 회의는 당시까지 가장 큰 국제 회의였으며, 850명의 대표와 고문, 주최측을 포함하여 총 3,500명의 참가자가 있었다.[21] 언론과 다양한 시민 사회 단체 대표 2,500명도 참석했다. 모든 대표가 참여하는 본회의는 4강의 대표 대표들이 순차적으로 의장을 맡았다. 초안 작성 과정의 여러 측면을 용이하게 하고 다루기 위해 여러 위원회가 구성되었으며, 그 후 몇 주 동안 400회 이상의 회의가 소집되었다.[21] 여러 차례 검토, 토론 및 개정을 거쳐 1945년 6월 25일 최종 전체 회의가 열렸고, 참석자들에게 최종 초안이 제시되었다. 만장일치로 승인된 후, 헌장은 다음날 재향군인 기념관에서 대표들이 서명하였다.

2. 3. 발효

미국 상원은 제79회 미국 의회에서 1945년 7월 28일 89대 2의 표결로 헌장을 비준하였다.[22][23] 1945년 10월 24일,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5개국과 기타 서명국의 과반수가 헌장을 비준하여 국제연합이 공식적으로 탄생하였다.

3. 구성

헌장 표지에 등장하는 상징, 현재의 국제연합 로고의 원형이다.


유엔 헌장은 서문과 19개 장, 111개 조로 구성되어 있다.[1]

서문은 평화 유지, 국제 안보 및 인권 존중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유엔 회원국 정부가 헌장에 동의했음을 선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1장은 평화와 국제 안보를 지키려는 유엔의 가장 중요한 규약에 대해 그 목적을 규정하고 있다.
  • 제2장은 유엔의 가입을 허용할 수 있는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 제3장부터 제15장은 총회, 안전 보장 이사회, 경제 사회 이사회, 신탁 통치 이사회, 국제 사법 재판소, 사무국 등 유엔의 각 기관과 그 권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제16장과 제17장은 유엔과 기존 국제법과의 통합 방안을 설명한다.
  • 제18장과 제19장은 헌장의 개정과 비준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3. 1. 서문

우리 연합국 국민들은 우리 일생 중에 두 번이나 말할 수 없는 슬픔을 인류에게 가져온 전쟁의 불행에서 다음 세대를 구하고, 기본적 인권, 인간의 존엄 및 가치, 남녀 및 대소 각국의 평등권에 대한 신념을 재확인하며, 정의와 조약 및 기타 국제법의 연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의무에 대한 존중이 계속 유지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며, 더 많은 자유 속에서 사회적 진보와 생활 수준의 향상을 촉진할 것을 결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관용을 실천하고 선량한 이웃으로서 상호간 평화롭게 같이 생활하며, 국제 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우리들의 힘을 합하며, 공동 이익을 위한 경우 이외에는 무력을 사용하지 아니한다는 것을, 원칙의 수락과 방법의 설정에 의하여, 보장하고, 모든 국민의 경제적 및 사회적 발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국제기구를 이용한다는 것을 결의하면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의 노력을 결집할 것을 결정하였다.

따라서, 우리 각자의 정부는, 샌프란시스코에 모인, 유효하고 타당한 것으로 인정된 전권 위임장을 제시한 대표를 통하여, 이 유엔 헌장에 동의하고, 유엔이라는 국제 기구를 이에 설립한다.

유엔헌장 서문이 포함된 미국의 제2차 세계대전 포스터


조약의 서문은 다음과 같다.[24][25]

'''우리 연합국 국민은'''

  • 인류에게 두 차례나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을 안겨 준 전쟁의 재앙으로부터 후세를 구하고,
  • 기본적 인권, 인간의 존엄과 가치, 남녀 및 크고 작은 모든 국가의 평등한 권리에 대한 신념을 재확인하며,
  • 정의와 조약 및 기타 국제법의 근원에서 발생하는 의무에 대한 존중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고,
  • 보다 큰 자유 속에서 사회 진보와 더 나은 삶의 수준을 증진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 관용을 실천하고 좋은 이웃으로서 서로 평화롭게 공존하며,
  • 국제 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의 힘을 결합하고,
  • 원칙의 수용과 방법의 제정을 통해 공동의 이익을 제외하고는 무력이 사용되지 않도록 보장하며,
  • 모든 국민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증진하기 위해 국제 기구를 활용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따라서 우리 각국의 정부는 샌프란시스코 시에 모인 대표들을 통해 그들의 완전한 권한을 제시하였으며, 그 권한이 적법하고 정당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본 유엔 헌장에 합의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엔으로 알려진 국제기구를 설립합니다.

서문의 첫 번째 줄인 "우리 연합국 국민은"이 적힌 제2차 세계대전 포스터


서문은 유엔 헌장의 필수적인 부분이지만, 회원국의 권리나 의무를 규정하지는 않는다. 그 목적은 조직 설립자들의 핵심 동기 중 일부를 강조함으로써 헌장 조항에 대한 해석적 지침 역할을 하는 것이다.[26]

3. 2. 각 장의 내용



유엔 헌장은 서문과 19개 장, 111개 조로 구성되어 있다.[1]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서문: 평화와 국제 안보 유지, 인권 존중에 대한 일반적인 촉구를 담고 있으며, 국제연합 회원국 정부가 헌장에 동의했다는 계약 형식의 선언이자 인권에 관한 최초의 국제 문서이다.
  • 제1장 목적 및 원칙: 국제 평화 및 안보 유지의 중요한 조항을 포함하여 국제연합의 목적을 명시한다.
  • 제2장 회원국의 지위: 국제연합 회원 자격 기준을 정의한다.
  • 제3장 기관: UN의 기구 및 기관과 각각의 권한을 설명한다.
  • 제4장 총회: UN의 기구 및 기관과 각각의 권한을 설명한다.
  • 제5장 안전 보장 이사회: UN의 기구 및 기관과 각각의 권한을 설명한다.
  • 제6장 분쟁의 평화적 해결: 안전보장이사회의 분쟁 조사 및 중재 권한을 설명한다.
  • 제7장 평화에 대한 위협, 평화의 파괴 및 침략행위에 관한 조치: 안전보장이사회가 분쟁 해결을 위해 경제적, 외교적, 군사적 제재 및 군사력 사용을 승인할 수 있는 권한을 설명한다.
  • 제8장 지역적 약정: 지역적 합의를 통해 자체 지역 내 평화와 안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제9장 경제적 및 사회적 국제협력: UN의 경제 및 사회 협력 권한을 설명한다.
  • 제10장 경제 사회 이사회: UN의 경제 및 사회 협력 권한을 감독하는 경제사회이사회를 설명한다.
  • 제11장 비자치 지역에 관한 선언
  • 제12장 국제 신탁 통치 제도: 탈식민화를 감독했던 신탁통치이사회를 설명한다.
  • 제13장 신탁 통치 이사회: 탈식민화를 감독했던 신탁통치이사회를 설명한다.
  • 제14장 국제 사법 재판소: 국제사법재판소의 권한을 규정한다.
  • 제15장 사무국: 유엔 사무국의 권한을 규정한다.
  • 제16장 잡칙: UN과 기존 국제법과의 통합 방안을 설명한다.
  • 제17장 과도적 안전 보장 조치: UN과 기존 국제법과의 통합 방안을 설명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관련된 과도적 안보 조치를 다룬다.
  • 제18장 개정: 헌장 개정 절차를 다룬다.
  • 제19장 비준서명: 헌장 비준을 다룬다.

4. 주요 내용

유엔 헌장의 서문은 헌장 설립의 주요 동기를 강조하며, 헌장 조항 해석의 지침 역할을 한다.[26] 서문은 헌장 자체의 필수적인 부분이지만, 회원국의 권리나 의무를 규정하지는 않는다.

서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4][25]


  • 전쟁의 재앙으로부터 후세 구원
  • 기본적 인권, 인간 존엄성, 남녀 및 국가 간 평등권에 대한 신념 재확인
  • 정의, 조약, 국제법 존중 조건 확립
  • 보다 큰 자유 속 사회 진보와 삶의 수준 증진


이를 위해 관용, 평화 공존, 국제 평화 유지를 위한 힘의 결합, 공동 이익 외 무력 사용 금지, 모든 국민의 경제/사회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 활용을 결의하고 있다.

4. 1. 유엔의 목적 (제1장 제1조)

유엔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1]

1.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유지하고, 평화에 대한 위협을 예방 및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인 집단적 조치를 취하며, 침략 행위나 기타 평화 위반 행위를 진압하고, 평화적인 수단으로 그리고 정의 및 국제법 원칙에 따라 국제 분쟁이나 평화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을 조정하거나 해결하는 것.

2. 모든 국민의 평등권자결권 원칙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국가 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발전시키고, 세계 평화를 강화하기 위한 다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

3.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또는 인도주의적 성격의 국제 문제 해결과 인권 및 모든 사람의 기본적 자유에 대한 존중을 증진하고 장려하기 위한 국제 협력을 달성하는 것(인종, 성별, 언어 또는 종교에 따른 차별 없이).

4. 이러한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한 국가 행동의 조화를 위한 중심이 되는 것.

4. 2. 유엔의 원칙 (제1장 제2조)

본 조항 제1조에 명시된 목적을 추구함에 있어서, 본 기구와 그 회원국은 다음 원칙에 따라 행동한다.[1]

# 본 기구는 모든 회원국의 주권 평등의 원칙에 기초한다.

# 모든 회원국은 회원으로서의 권리와 이익을 보장하기 위하여, 본 헌장에 따라 자기들이 맡은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여야 한다.

# 모든 회원국은 국제 평화 및 안보와 정의가 위태롭지 않도록 국제 분쟁을 평화적인 수단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 모든 회원국은 그들의 국제 관계에서 어떠한 국가의 영토 보전 또는 정치적 독립에 대한 무력의 위협 또는 사용을 삼가고, 유엔의 목적과 일치하지 않는 다른 어떠한 행위도 하지 않아야 한다.

# 모든 회원국은 본 헌장에 따라 유엔이 취하는 모든 조치에 대해 유엔에 모든 지원을 제공하고, 유엔이 예방적 또는 강제적 조치를 취하고 있는 국가에 대해서는 어떠한 지원도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 본 기구는 유엔 회원국이 아닌 국가가 국제 평화 및 안보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한 이러한 원칙에 따라 행동하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 본 헌장에 포함된 어떠한 내용도 유엔이 어떤 국가의 내정에 본질적으로 속하는 문제에 개입할 것을 허가하거나, 회원국이 그러한 문제를 본 헌장에 따라 해결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원칙은 제7장에 따른 강제 조치의 적용을 해치지 않는다.[1]

4. 3. 안전보장이사회 (제5장)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유엔 헌장 제5장에 따라 15개 이사국으로 구성된다. 이 중 5개국(중화민국, 프랑스, 소련, 영국, 미국)은 상임이사국이며, 나머지 10개국은 총회에서 2년 임기로 선출되는 비상임이사국이다.[1] 비상임이사국은 국제 평화 및 안보 유지에 대한 기여도와 공정한 지리적 분포를 고려하여 선출된다.[1]

안보리는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에 대한 주요 책임을 지니며, 이를 위해 유엔 회원국들을 대신하여 행동한다.[2] 안보리는 분쟁 조사 및 중재, 경제적·외교적 제재, 군사적 조치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2] 안보리 결의는 모든 유엔 회원국에 대해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3]

안보리의 투표 절차는 다음과 같다.[4]

  • 절차적 사항: 9개 이사국의 찬성으로 결정
  • 기타 모든 사항: 상임이사국의 동의를 포함한 9개 이사국의 찬성으로 결정 (단, 분쟁 당사국은 투표 기권)


안보리는 지속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조직되며, 정기 회의 외에도 필요에 따라 기구 본부 이외의 장소에서 회의를 개최할 수 있다.[5] 또한, 기능 수행에 필요한 부속 기구를 설립할 수 있다.[6] 1993년에는 유고슬라비아 국제전범재판소가, 1994년에는 르완다 국제전범재판소가 안보리 결의에 따라 설치되었다.

4. 4. 사무국 (제15장)

사무국은 유엔 사무총장과 유엔이 필요로 하는 기타 직원들로 구성된다.[1] 사무국은 총회, 안전보장이사회, 경제사회이사회 및 신탁통치이사회와 그 자문기구 등 유엔의 다른 기구에 서비스를 제공한다.[1] 사무총장은 안전보장이사회의 추천을 받아 총회에서 임명한다.[1] 사무국 직원은 총회가 정한 규정에 따라 사무총장이 임명한다.[1] 사무국은 뉴욕에 있는 유엔 본부에 위치하고 있다.[1] 사무국에는 바그다드, 방콕, 제네바산티아고에 있는 지역위원회 사무국도 포함된다.[1]

사무국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보고서 및 기타 문서(정보, 분석, 역사적 배경 조사 결과, 정책 제안 등 포함) 작성을 통해 다른 기구의 심의 및 의사결정을 지원한다.[1]
  • 입법 기구 및 그 산하 기관의 업무를 지원한다.[1]
  • 총회 및 기타 기구를 위한 회의 서비스 제공한다.[1]
  • 유엔 문서를 다양한 언어로 발행하기 위한 편집, 번역 및 문서 복제 서비스를 제공한다.[1]
  • 다양한 분야의 과제 해결을 위해 각 회원국에 대한 연구 수행 및 정보 제공한다.[1]
  • 총회가 결정한 통계 간행물, 정보 게시판 및 분석 자료 작성한다.[1]
  • 국제 사회가 우려하는 주제에 대한 전문가 회의, 회합 및 세미나 개최한다.[1]
  • 개발도상국에 대한 기술 지원 제공한다.[1]
  • 총회 또는 안전보장이사회의 승인을 받은 국가, 지역 또는 장소에 대한 서비스 임무 수행한다.[1]

4. 5. 헌장 개정 (제18장)

총회는 유엔 헌장을 개정할 권한을 갖는다. 총회 회원국 3분의 2의 찬성으로 채택된 개정안은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을 포함한 회원국의 3분의 2가 비준해야 한다.[1]

5. 한국과 유엔 헌장

유엔 헌장 제7장에는 자위권에 대한 권리가 포함되어 있다.[27]

6. 비판 및 논란

유엔 헌장은 제8장에서 지역적 조치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5개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행사, 회원국 간의 이해관계 충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실효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

6. 1.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의 거부권

5개 상임이사국(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의 거부권(veto)은 유엔의 의사 결정 과정을 마비시키고, 강대국의 이익에 따라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가 좌우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하여 안전보장이사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거부권 제도 개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1] 거부권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상임이사국 스스로 거부권 사용 자제를 결의하거나, 거부권 행사 시 총회에 설명을 요구하는 등의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상임이사국들의 반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1]

6. 2. 유엔의 실효성 문제

유엔 헌장은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를 위한 강력한 조치를 규정하고 있지만, 회원국 간의 이해관계 충돌, 특히 강대국 간의 갈등으로 인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분쟁 당사국이거나 분쟁과 관련된 국가가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경우, 거부권 행사로 인해 유엔의 개입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유엔의 예산 부족, 관료주의, 비효율성 등도 유엔의 기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참조

[1] 웹사이트 Introductory Note https://www.un.org/a[...] United Nations Organization 2013-02-09
[2] 웹사이트 William H. Fitzpatrick's Editorials on Human Rights (1949) http://www.geschicht[...] Human Rights Working Group in the 20th Century 2017-06-00
[3] 웹사이트 Chapter XVI: Miscellaneous Provisions https://www.un.org/e[...] 2017-06-29
[4] 웹사이트 1945: The San Francisco Conference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Organization 2019-10-20
[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Proceedings https://www.hoover.o[...] 2019-10-20
[6] 문서 Poland's provisional government
[7] 문서 Republic of China
[8] 문서 Provisional Government
[9] 문서 Russian Federation
[10] 웹사이트 1941: The Declaration of St. James' Palace https://www.un.org/e[...] 2020-09-17
[11] 서적 St. James Agreement Yale Law School 2008
[12] 웹사이트 UN Yearbook https://www.unmultim[...] 2020-09-17
[13] 웹사이트 The Atlantic Charter https://avalon.law.y[...]
[14] 웹사이트 1942: Declaration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un.org/e[...] 2020-09-17
[15] 문서 The name "United Nations"
[16] 서적 FDR and the Creation of the U.N. Yale University Press 1997
[17] 웹사이트 1943: Moscow and Teheran Conferences https://www.un.org/e[...] 2020-09-18
[18] 문서 Some sources
[19] 웹사이트 1944–1945: Dumbarton Oaks and Yalta https://www.un.org/e[...] 2020-09-18
[20] 문서 Poland
[21] 웹사이트 1945: The San Francisco Conference https://www.un.org/e[...] 2020-09-18
[22] 간행물 Further Action on United Nations Charter http://www.jstor.org[...] American Bar Association Journal 1945
[23] 간행물 UNITED NATIONS CHARTER REVIEW http://www.jstor.org[...]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at Its Annual Meeting (1921-1969) 1954
[24] 웹사이트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nd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https://treaties.un.[...] 2018-02-17
[25] 웹사이트 Preamble http://www.un.org/en[...] United Nations 2018-02-17
[26] 문서 Report of the Rapporteur of Commission I/1 UNICO VI
[27] 웹사이트 Chapter VII, Article 51 of the UN Charter https://www.un.org/e[...]
[28] 웹사이트 The Plan to Have the UN Rule http://www.euroreali[...] Eurorealist 2013-06-06
[29] 문서 筒井(2002)
[30] 문서 筒井(2002)
[31]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Resolution 2 (I) Rules of Procedure Concerning Languages, 1 February 1946.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4-12-27
[32]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Resolution 2 (I) Rules of Procedure Concerning Languages, 1 February 1946.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4-12-27
[33] 웹사이트 UN 공식 사이트 참조 https://archive.toda[...]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