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정폭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정폭력은 가족 구성원 간에 발생하는 신체적, 성적, 정서적, 경제적 학대 및 사회적 격리 등을 포괄하는 심각한 사회 문제이다. 은밀하게 진행되어 외부로 드러나기 어렵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신체적 학대, 언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경제적 학대, 사회적 격리, 의도적 불성실 등이 있다. 가정폭력은 피해자의 자존감과 자신감을 하락시키고, 대물림될 수 있으며, 심각한 신체적, 심리적, 재정적 영향을 미친다. 가정폭력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여러 사회적 요인, 문화적 관점, 종교, 그리고 법률의 부재 등이 그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예방을 위해서는 법률 개정, 성별 규범 개선, 조기 개입 프로그램 등이 필요하며, 피해자를 위한 상담, 법 집행, 옹호,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한 관리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정폭력 - 정인이 사건
    2020년 10월, 양부모의 학대로 생후 16개월 된 입양아 정인이가 사망한 사건으로, 세 차례의 아동 학대 의심 신고에도 경찰의 미흡한 대응과 외력에 의한 복부 손상이 사인으로 밝혀져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고 아동 학대 방지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 가정폭력 - 미쓰하시 다카아키
    미쓰하시 다카아키는 1969년 도쿄 출생의 경제 평론가이자 기업 재무 분석 컨설턴트로, IT 기업 근무 후 중소기업진단사 자격 취득 후 마쓰하시 다카아키 사무소를 설립하여 통신 업계 컨설팅, 거시경제 분석, 저술 활동을 하며 자유민주당 참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 가족과 법 - 이혼
    이혼은 법적으로 유효한 혼인 관계를 당사자가 생존 중에 해소하는 것으로, 시대와 문화에 따라 방식과 사유가 다양하며 현대에는 협의이혼과 재판상 이혼 등의 방식이 존재하고 이혼 시 재산분할, 위자료, 자녀 양육권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 가족과 법 - 혼외자
    혼외자는 법률혼 관계가 아닌 남녀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를 지칭하며, 대한민국 민법은 준정 제도를 통해 혼외자를 혼인 중의 출생자로 만들 수 있지만, 이는 법적, 윤리적 쟁점을 야기하여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 학대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학대 - 갑질
    갑질은 한국 사회의 수직적 문화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되어 상하 관계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열등한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가하는 부당한 행위를 뜻하며,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는 여러 사례와 불매운동, 정부의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사회 문제로 남아있어 사회적 인식 개선과 기업 문화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가정폭력
기본 정보
가정 폭력 인식 제고를 위한 자주색 리본
다른 이름가정 학대, 가족 폭력
개요
정의가정 구성원 간의 학대 행위
관련 법률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등
주요 형태신체적 폭력
정서적 학대
경제적 통제
성적 학대
사회적 고립
언어적 폭력
원인 및 위험 요인
사회적 요인남성 중심적 사회문화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고립
개인적 요인낮은 자존감
과거 학대 경험
물질 남용
심리적 요인분노 조절 장애
불안 및 우울증
영향
피해자신체적 상해
심리적 외상
사회적 고립
경제적 어려움
아동정신적 외상
학업 부진
행동 문제
성인기 학대 가해 위험 증가
대처 및 지원
피해자 지원상담 및 심리 치료
법률 지원
쉼터 제공
경제적 지원
가해자 상담분노 조절 프로그램
재발 방지 교육
예방 노력사회적 인식 개선 캠페인
가정 폭력 방지 교육
관련 법률 강화
국제적 노력CEDAW
DEVAW
이스탄불 협약
관련 용어
데이트 폭력연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
성폭력강간, 성추행 등 성적 자기 결정권을 침해하는 폭력
아동 학대아동에게 가해지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폭력 및 방임
노인 학대노인에게 가해지는 신체적, 정서적, 재정적 학대 및 방임
직장 내 괴롭힘직장 내에서 발생하는 괴롭힘
스토킹특정인에게 지속적으로 접근하여 불안감과 공포심을 유발하는 행위

2. 특징

가정폭력은 은밀하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외부로 드러나기 어렵다.[553] 언론은 가정폭력 문제를 선정적으로 다루거나 왜곡된 표현을 사용하여 문제의 심각성을 축소시키고, 사소한 부부싸움으로 만들어 가정폭력 문제를 개인 간의 문제로 축소시키는 경향이 있다.[553] 하지만 가정폭력은 단순한 개인 간의 문제가 아니라 피해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사회적 범죄 행위이며, 사회 전체가 그 원인과 해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553]

대한민국에는 '부부 싸움은 칼로 물베기'라는 잘못된 인식이 있어 가정폭력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550] 가정폭력을 단순히 '집안일' 쯤으로 여기는 사회 풍토[551]와 피해자가 가정폭력을 '사적인 부부 싸움'으로 치부해 버리고 넘기는 경우도 많았다.[552]

가정폭력범은 학력이나 직업 등에 상관없이 폭력 행위를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에 시달리는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사회에서는 능력을 인정받고 도덕적으로도 문제 없어 보이는 사람이 집에서는 흉기, 몽둥이, 신체 등으로 폭력을 휘두르거나 물건을 던지거나 욕하는 이중성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의사나 교수 등 사회적 지위가 있는 남편들로부터 폭력을 당하는 아내들도 "가정폭력 사실이 외부로 알려질까 봐 두려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산다"라고 말했다.[553]

경찰 또한 가정폭력을 '민사의 문제'로 취급하여 개입에 소극적인 경우가 많았다.[554][555] 하지만 가정폭력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가정폭력이 사회적 '범죄 행위'라는 인식이 퍼졌고 이로 인해 가정폭력과 관련한 법이 개정되고 공권력의 개입도 점점 적극성을 띠게 되었다.[556][557][558]

가정폭력도 '폭력'이라는 생각이 경찰 내에서도 확고히 자리 잡지 못해 2012년 4월에 경찰이 피해자의 신고를 받고도 '부부싸움' 운운하며 안일하게 대처하여 그 피해자가 납치범으로부터 납치범의 집에서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경찰에 대한 '인권 의식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고 여성폭력에 대한 경찰 인식의 근본적 변화를 위해 경찰 구성원들의 감수성 정비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559]

2012년 9월 16일, 가정폭력과 관련하여 신고가 접수되어도 사법처리가 약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가해자의 태도에 변화가 없고 오히려 보복심리 때문에 가정폭력이 더 심해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가해자의 폭력행동 변화에 대한 질문에 '폭력이 이전보다 늘었다'는 대답은 33%, '달라진 것이 없다'는 대답은 27%, '신체적 폭력은 줄었지만 언어적·정서적 폭력이 늘었다'는 대답은 22%로 나타났고, '가정폭력이 줄었다'는 대답은 18%에 불과해 가정폭력 후속 처리에 대해 논의할 시점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560]

한국여성의전화 김홍미리 활동가는 "가부장적 문화가 강하다 보니, '여자는 남자에게 복종해야 한다'라는 생각이 강한 남자일수록 쉽게 가정폭력을 일으킨다. 스트레스를 받은 상황에서 집에서 가장 만만한 사람에게 욕을 하거나 구타, 살인을 저지르는 등 분노를 표출하게 된다. 체면을 중시하는 분위기 탓에 외부에 폭력 사실을 알리기 꺼려하는 여성들이 많다. 피해자는, 부끄러운 일이 아니고 가정폭력도 반드시 처벌을 받아야 할 사회적 '범죄'라는 인식을 갖고 적극적으로 상담하고 경찰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라고 말했다.[553]

3. 종류

가정폭력은 신체적 학대, 언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경제적 학대, 사회적 격리, 의도적 불성실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540]

일본에서는 학대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487]

종류
경제적 폭력
사회적 고립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3. 1. 신체적 학대

주먹이나 얼굴 또는 머리를 치거나, 을 조르는 행위, 물건을 이용한 폭행, 끓는 이나 찬 물을 뿌리는 행위, 담뱃불을 들이대는 행위, 방에 가두는 행위, 다쳤는데도 병원에 보내지 않는 행위 등 신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행위가 포함된다.[540] 그 밖에도 일방적인 폭력 행위가 신체적 학대에 해당한다.

3. 2. 언어적 학대

욕설, 폄훼하는 발언, 비방, 허위사실 유포, 협박하는 행위[540] 등이 언어적 학대에 해당한다.

3. 3. 정신적 학대

무시, 일거수일투족 감시, 애완동물 학대 등 스트레스가 되는 행위를 되풀이하는 것을 말한다.[540] 정신적 학대의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예시
항상 행동을 감시한다.
전화나 이메일 등의 통신 내역을 확인한다.
정신적으로 부담이 되는 행위를 의도적으로 반복한다.
무능력하다, 쓸모없다고 멸시한다.
남들 앞에서 결점을 들추어낸다.
무시한다(방임).
나가라고 협박한다.
인터넷에 명예를 훼손하는 글이나 이미지를 게시한다.
아이나 친척, 애완동물을 죽인다고 협박하거나 자살을 암시한다.
협박하거나 일상적으로 욕설을 한다.
다른 종류의 학대를 암시하여 조종한다.


3. 4. 성적 학대

성관계 강요, 피임 거부, 특이한 행위 강요, 강간, 낙태 강요 등 성적인 자기 결정권을 침해하는 행위가 성적 학대에 해당한다.[541][542] 2011년 11월 대한민국에서는 부부강간죄를 인정한 판결이 있었다.[543]

3. 5. 경제적 학대

직업을 갖지 못하게 하거나, 생활비를 주지 않는 행위는 경제적 학대에 해당한다.[540] 지출 내용을 세세하게 기록하거나, 집안의 돈을 동의 없이 가져가는 행위, 무계획한 빚을 반복해서 내는 행위도 경제적 학대에 포함된다.[540]

2024년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는 남성과 관계를 시작한 여성들은 가정을 함께 꾸린 직후 소득 및 고용 감소를 경험한다.[311] 이는 가해자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높여 피해자가 관계를 벗어나기 어렵게 만든다.[311]

경제적 폭력과 고립으로 인해 피해자는 자신의 돈이 거의 없고 도움을 요청할 사람도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312] 이는 가정 폭력 피해자가 가해자를 떠나는 것을 망설이게 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작용한다.[312]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은 행위들이 경제적 폭력으로 분류된다.[487]

종류
경제적 폭력


3. 6. 사회적 격리

가족이나 친구들로부터 격리시키거나, 전화나 편지를 보낸 사람과 그 내용을 집요하게 캐묻고, 외출을 방해하는 행위가 이에 해당한다.[540]

3. 7. 의도적 불성실

상한 음식 제공, 음식에 독극물 소량 투여, 표백제가 묻은 속옷을 주어 피부병변을 일으키는 행위, 잠을 잘 수 없도록 한밤중에 소란을 일으키는 행위, 거짓말로 인해 심각한 착오를 일으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야기하는 행위 등이 이에 해당한다.[540]

4. 피해자 정당방위

대한민국에서는 상습적인 가정폭력 피해자가 가해자를 살해한 경우, 법원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한 심신미약을 인정한 사례가 있다.[544] 2005년에 처음으로 인정되었다. 하지만, 청주교도소에 수감 중인 남편 살해 여성의 약 30%는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544] 이는 피해자가 쉬거나 자고 있을 때 범행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정당방위를 인정하지 않는 측에서는 경찰 신고, 이혼 등 다른 방법이 있었음에도 살인을 선택했다는 점을 지적한다.[544]

김홍미리는 대한민국 법원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한국여성의전화는 지속적으로 아내들의 남편 살해는 생존을 위한 정당방위라 주장해왔지만 재판부는 정당방위는커녕 '계획적 살인'이라며 가중처벌해 왔다"고 비판했다. 또한, 1990년 캐나다 대법원의 판결을 인용하며, "폭력 피해 여성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죽음 또는 심각한 신체 상해에 직면해 있다는 인식이 보다 합리적일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45]

양현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가정폭력 피해자의 '피해자 감각'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고, 고미경 한국여성의전화 가정폭력상담소장은 가정폭력을 방치한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수정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장기간 학대를 받은 여성의 뇌 기능 장애를 언급하며, 전문적인 평가 도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544]

5. 아시아 상황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따르면 2009년 기준 가정폭력 피해자는 368만 명이며, 생명에 위협을 받는 여성은 50만 명에 달했다.[546] 2011년 조사에서 중국, 대한민국, 베트남, 필리핀,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그리스의 가정폭력 발생률은 영국, 오스트리아, 일본보다 8배 이상 높았다. 이는 가정폭력을 부부싸움의 연장선으로 보거나 배우자를 소유물로 생각하는 경향 때문으로 분석된다.[547]

2010년 여성가족부 조사 결과, 부부폭력률은 53.8%였으나 경찰에 도움을 요청한 경우는 8.3%에 불과했고, 경찰 신고 후에도 별다른 조치를 받지 못한 경우가 68.2%였다.[559] 2012년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경찰의 현장 출입 및 조사 권한이 강화되었다.[548]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2005년 당시 가정의 약 30%에서 배우자 폭력이 발생했으며,[514] 농촌 지역의 여성 차별이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5. 1. 인식으로 인한 피해

대한민국에는 '부부 싸움은 칼로 물 베기'라는 잘못된 인식이 있어 가정폭력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550] 가정폭력을 단순히 '집안일'로 여기는 사회 풍토와 피해자가 가정폭력을 '사적인 부부 싸움'으로 치부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551][552]

가정폭력 가해자는 학력이나 직업 등에 상관없이 폭력 행위를 저지르는 경향이 있었다. 사회적으로 능력을 인정받는 사람이 가정에서는 흉기, 몽둥이, 신체 등으로 폭력을 휘두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 이중성을 보이기도 한다.[553] 의사나 교수 등 사회적 지위가 있는 남편으로부터 폭력을 당하는 아내들도 가정폭력 사실이 외부로 알려질까 봐 두려워하는 경우가 있었다.[553]

경찰 또한 가정폭력을 '민사 문제'로 취급하여 개입에 소극적인 경우가 많았다.[554][555] 하지만 가정폭력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사회적 '범죄 행위'라는 인식이 퍼졌고, 관련 법이 개정되고 공권력의 개입도 점점 적극성을 띠게 되었다.[556][557][558]

2012년 4월에는 경찰이 피해자의 신고를 받고도 '부부싸움' 운운하며 안일하게 대처하여 피해자가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경찰에 대한 '인권 의식 교육' 강화와 여성폭력에 대한 경찰 인식의 근본적 변화를 위해 경찰 구성원들의 감수성 정비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559]

2012년 조사에 따르면, 가정폭력 신고 후 사법처리가 약하게 이루어져 가해자의 태도 변화가 없고 오히려 보복심리 때문에 가정폭력이 더 심해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가해자의 폭력행동 변화에 대한 질문에 '폭력이 이전보다 늘었다'는 대답은 33%, '달라진 것이 없다'는 대답은 27%, '신체적 폭력은 줄었지만 언어적·정서적 폭력이 늘었다'는 대답은 22%였고, '가정폭력이 줄었다'는 대답은 18%에 불과했다.[560]

한국여성의전화 김홍미리 활동가는 "가부장적 문화에서 '여자는 남자에게 복종해야 한다'라는 생각이 강한 남자일수록 쉽게 가정폭력을 일으킨다. 스트레스를 받은 상황에서 가정에서 가장 만만한 사람에게 분노를 표출한다"라고 말했다.[553] 한양대학교 정신과 교수 남정현은 "(남편들이) 논쟁을 하다 화내는 게 아니고 스트레스가 조금씩 쌓였을 때 가정에 와서 폭력으로써 터뜨리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5. 2. 아동에 대한 영향

아동 학대는 가정폭력의 일종이며, 가정폭력 현장에는 아이들이 있는 경우가 많다. 아이들에게 폭력을 보여주는 것은 피해자와 목격자인 아이 모두에게 학대이다.[561] 아이들이 있는 가정에서 폭력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에 약 70%의 가정에서 학대를 받는 어머니를 아이들이 목격하고, 그 중 30%의 아이들이 실제로 아버지 등으로부터 폭력 행위를 당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2010년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이들은 학교 폭력의 가해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561] 가정 내 폭력 경험은 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을 높여 학교 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561]

2010년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조사 결과 (전국 초/중/고교생 998명 대상)
구분비율
부모의 폭력 목격51%
부모로부터 학대 경험68%
가정 내 폭력 경험 (둘 중 하나라도 해당)76.6%
학교 폭력 가해자 (부모 폭력 목격 학생 중)64%
학교 폭력 가해자 (아동학대 경험 학생 중)62.9%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2점 척도로 우울 및 불안 정도를 조사한 결과, 가정 내 폭력을 경험한 학생들의 평균값은 1.5로, 경험하지 않은 집단(1.2840)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격성 역시 가정폭력 경험이 있는 학생은 1.36으로, 그렇지 않은 집단(1.1493)보다 높았다.

전문가들은 성장기에 가정폭력을 목격한 아이들이 성장하여 폭력 남편, 폭력 아빠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지적하며, 가정폭력을 '범죄'로 규정하고 단호히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180]

솔로몬 제도의 어린이들이 가정 폭력에 관한 연극을 관람하고 있다.


성장 과정에서 가정 폭력에 노출된 아동은 발달 및 심리적 피해를 입는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316] 가정 폭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서적 및 행동적 문제에는 공격성 증가, 불안, 친구/가족/당국과의 교류 방식 변화 등이 있다.[316] 외상 경험으로 인해 우울증, 정서적 불안정, 정신 건강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319] 학교에서 태도와 인지에 문제가 발생하고, 문제 해결 기술 등이 부족할 수 있다.[316]

어떤 경우에는 가해자가 아이 앞에서 의도적으로 어머니나 아버지를 학대하여[321] 동시에 두 명의 피해자에게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321] 아이들은 부모에 대한 심각한 폭력을 목격할 때 개입할 수 있으며, 이는 아동이 부상이나 사망의 위험에 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322] 어머니 폭행을 목격한 아동은 PTSD 증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더 높다.[323]

6. 가정폭력의 영향

가정폭력은 피해자의 자존감과 자신감을 떨어뜨려 결혼, 연애, 출산을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452] 또한, 가정폭력은 대물림될 수 있는데, 이는 가정 내 폭력적인 환경이 아이나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학대를 용인하게 만들거나, 그러한 환경이 용인된다고 느끼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악순환은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자신들이 학대 상황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게 만들기도 한다.

7. 관련 기사

8. 어원 및 정의

"가정폭력(domestic violence)"이라는 용어는 1973년 영국 의회에서 잭 애슐리의 연설에서 현대적 의미로 처음 사용되었다.[16][17] 이전에는 주로 내란을 가리키는 말이었다.[18][19]

전통적으로 가정폭력은 신체적 폭력과 관련이 있었지만, 현재는 신체적, 성적, 정신적, 경제적 폭력 등 모든 행위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정의가 사용된다.[24]

"친밀한 파트너 폭력(intimate partner violence)"은 가정폭력과 동의어로 사용되지만,[27][28] 특히 커플 관계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을 가리킨다.[29] 세계보건기구(WHO)는 통제 행위를 학대의 한 형태로 추가한다.[30]

"가족 폭력(family violence)"은 더 광범위한 용어로, 아동 학대, 노인 학대 등을 포함한다.[28][33][34] 1993년 유엔의 여성에 대한 폭력 철폐 선언은 가정폭력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9. 역사

1800년대 초, 대부분의 법 체계는 아내 폭행을 남편의 권리로 묵인했다.[36][37] 영국 관습법은 가정폭력을 개별 여성에 대한 범죄가 아닌 공동체에 대한 범죄로 다루었다.[38] 19세기 동안 제1차 페미니즘 운동과 같은 정치적 움직임은 영국, 미국 및 기타 국가에서 가정 폭력에 대한 여론과 입법에 변화를 가져왔다.[40][41] 1990년대부터 전 세계 대부분의 법 체계에서 가정폭력이 다루어졌다. 1993년 UN은 가정폭력을 범죄 행위로 다룰 것을 촉구했다.[51]

최근 수십 년 동안 가정폭력에 대한 법적 면책 종식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262][268] 이스탄불 협약은 가정폭력과 여성에 대한 폭력을 다루는 유럽 최초의 법적 구속력 있는 문서이다.[126] 명예 살인, 지참금 관련 살인, 강제 결혼과 같은 특정 형태의 가정폭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역사적으로 아이들은 부모의 폭력으로부터 거의 보호받지 못했고,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여전히 그런 경우가 많다.

10. 형태

가정폭력은 부모, 배우자, 자식, 형제자매, 친척, 사실혼 관계에 있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행해지는 폭력과 가족 구성원이나 근친자에게 행하는 폭력적인 행위 또는 폭력에 의해 지배하는 행위 전반을 일컫는다.[539]

가정폭력은 신체적 폭행 또는 폭력(때리기, 차기, 물기, 밀치기, 제압, 때리기, 물건 던지기, 구타 등)이나 그러한 위협, 성적 학대, 지배적이거나 압도적인 행위, 협박, 스토킹, 수동적/은밀한 학대(예: 방임), 경제적 박탈 등 여러 형태를 취한다.[57][58] 또한 위험에 처하게 하는 행위, 강압죄, 납치, 불법 감금, 무단침입 및 괴롭힘을 의미할 수도 있다.[59]

일본에서는 학대를 다음과 같은 종류로 분류한다.[487]

종류
경제적 폭력
사회적 고립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정신적 폭력)
성적 학대



DV 연구자 레노어 E. 워커(Lenore E. Walker)는 가해 남성의 경향을 다음과 같이 파악하고 있다.[489][490]


  • 성적 역할을 당연하게 생각한다.
  • 병적으로 질투심이 많다.
  • 성관계를 강요한다.
  • 자신의 행동을 다른 것들의 탓으로 돌린다.
  • 자신의 폭력 행위를 파트너의 말투가 나빴다거나, 피하려다 잘못 맞았다는 등으로 정당화한다.
  • 이중 인격 상태를 보인다(가정 내에서는 폭력적으로 행동하는 반면, 가정 밖에서는 사람 좋게 대한다 등. 여기서 말하는 이중 인격은 소위 해리성 정체감 장애와는 다르다).

10. 1. 신체적

캄보디아의 산성 공격 피해자


신체적 학대는 공포, 고통, 상해 또는 기타 신체적 고통이나 신체적 손상을 야기하려는 의도를 가진 신체 접촉을 포함한다.[60][61] 강압적 통제의 맥락에서 신체적 학대는 피해자를 통제하는 데 사용된다.[62] 의료 서비스 거부, 수면 박탈 및 강제 약물 또는 알코올 사용 또한 신체적 학대의 형태이다.[60] 또한 피해자에게 정서적 피해를 주기 위해 아이나 애완동물과 같은 다른 대상에게 신체적 상해를 입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64]

가정 폭력의 맥락에서 목졸림은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65] 이는 이제 가정 폭력에서 가장 치명적인 형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지만, 외부 상처가 없고 사회적 인식과 의료 교육이 부족하기 때문에 목졸림은 종종 숨겨진 문제였다.[66]

가정 폭력으로 인한 살인은 남성 살인 사건보다 여성 살인 사건에서 더 큰 비율을 차지한다. 미국에서는 여성 살인 사건의 50% 이상이 전 또는 현직 친밀한 파트너에 의해 저질러진다.[390] WHO는 전 세계적으로 여성 살인 사건의 약 38%가 친밀한 파트너에 의해 저질러진다고 밝혔다.[69]

임신 중 여성은 학대를 당할 위험이 더 높거나 오랜 학대가 심각하게 변하여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70] 임신했던 여성의 경우 가정 폭력의 위험은 출산 직후 가장 높다.[71]

산성 공격은 피해자, 특히 얼굴에 산을 던지는 극단적인 폭력의 한 형태로, 장기간 실명 및 영구적인 흉터를 포함한 광범위한 손상을 초래한다.[72][73][74][75][76] 이는 일반적으로 결혼 제안이나 성적 접근을 거부한 여성에 대한 복수의 형태이다.[77][78]

중동 및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피해자가 가족이나 공동체에 불명예를 가져왔다고 가해자들이 믿기 때문에 계획된 가정 살인 또는 명예살인이 자행된다.[79][80]

신부 살해 또는 연금 살인은 신혼 여성이 남편이나 남편의 가족이 자신의 가족이 제공한 지참금에 불만을 품어 집에서 살해하는 가정 폭력의 한 형태이다.[98] 지참금 폭력은 특히 인도에서 남아시아에서 가장 흔하다.

10. 2. 성적

WHO는 성적 학대를 모든 성행위, 성행위를 얻으려는 시도, 원치 않는 성적 발언이나 접근 등으로 정의한다.[101] 여기에는 의무적인 처녀성 검사와 여성 성기 절제도 포함된다.[101] 신체적 폭력을 통한 성행위 외에도, 언어적 압력을 받아 동의하거나,[102] 행위의 성격이나 상황을 이해할 수 없거나, 참여를 거부할 수 없거나, 성행위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에도 성적 학대가 발생한다.[103]

많은 문화권에서 강간 피해자는 가족에게 불명예나 수치를 가져왔다고 여겨져 심각한 가족 폭력, 명예살인에 직면한다.[104] 피해자가 임신하는 경우 특히 그렇다.[105]

근친상간은 가족 내 성폭력의 한 형태이다.[107]

생식권 강압은 파트너의 생식권, 건강 및 의사결정에 대한 협박이나 폭력 행위이며, 파트너에게 임신하거나 임신을 중단하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강압하기 위한 일련의 행동을 포함한다.[12]

강간 결혼은 배우자에 대해 저질러지는 비동의 성교이다. 이는 결혼을 통해 여성이 원할 때마다 남편과 성관계를 갖는 데 대해 취소할 수 없는 동의를 한다는 믿음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합법이다.[118][119][120][121][122]

대한민국에서는 2011년 11월에 '부부강간죄'를 인정한 세 번째 판결이 있었다.[543]

1990년대 후반 친밀한 남성 파트너에 의한 실제 또는 시도된 성폭행을 보고한 여성의 비율[99]
국가비율
스위스12%
독일15%
미국15%
캐나다15%
니카라과22%
영국23%
짐바브웨25%
인도28%


10. 3. 정서적

정신적 학대는 무시, 일거수일투족 감시, 애완동물을 학대하는 등 스트레스가 되는 행위를 되풀이하는 것을 말한다.[540] 이러한 정서적 또는 심리적 학대는 위협, 협박, 비인간화 또는 자존감을 체계적으로 훼손하는 행동 패턴이다. 스토킹은 심리적 협박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강압적 통제는 지원으로부터 고립시키고, 독립성을 악용하며, 일상 활동을 규제하여 사람을 의존적으로 만들도록 설계된 통제적인 행동을 포함한다.

일본에서는 정신적 학대를 주로 하는 가정폭력을 모라토리움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488]

정신적 학대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10. 4. 경제적

직업을 갖지 못하게 하거나, 생활비를 주지 않거나, 지출 내용을 세세하게 기록하는 행위 등이 경제적 학대에 해당한다.[540] 또한, 집안의 돈을 동의 없이 가져가거나 무계획한 빚을 반복해서 내는 것도 경제적 학대에 포함된다.[540]

일본에서는 다음과 같이 경제적 폭력의 예시를 보여준다.[487]

종류
경제적 폭력


11. 기여 요인

가정폭력은 가해자가 피해자에 대한 권력과 통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24][25][26] 세계보건기구(WHO)는 통제 행위를 학대의 한 형태로 추가했다.[30] 가해자는 피해자를 폭행하거나 학대할 권리가 자신에게 있다고 믿거나, 그러한 행위가 용인되고 정당화되며 신고될 가능성이 낮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452]

가정폭력의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학대가 있다.[480][481]

종류
경제적 폭력
사회적 고립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가정폭력은 알코올 중독, 약물 남용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이 가정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452] 또한, 가정 폭력과 동물 학대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들도 있다.[216]

가정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압력이 증가하면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 부적절한 재정 문제나 가정 내 다른 문제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는 긴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452] 빈곤에 처한 가족과 부부는 스트레스와 재정 및 기타 측면에 대한 갈등이 증가함에 따라 가정 폭력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클 수 있다. 동성 관계도 유사한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할 수 있으며,[31] 동성 관계의 폭력은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가정 폭력에 대한 수용도가 감소했지만, 짐바브웨와 같이 수용도가 증가한 경우도 있다.[251] 나이지리아에서는 교육 수준, 거주 지역, 부의 지수, 민족, 종교, 가정 내 의사결정에서 여성의 자율성, 미디어(라디오, 텔레비전) 노출 빈도가 가정 폭력에 대한 여성의 의견에 큰 영향을 미친다.[250]

스위스에서는 남성 피해자도 상당수 존재하며, 이들은 주로 정신적 폭력에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513]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농촌 지역의 여성 차별이 가정 폭력의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한다.[514]

종속 아닌 이론은 가정 폭력 문제를 여성에 대한 폭력이라는 더 광범위한 문제의 하위 집합으로 다루는 페미니스트 법 이론의 한 분야이다. 하지만 이 이론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는다.[249]

11. 1. 학대 순환 이론

레노어 E. 워커는 네 단계로 구성된 폭력의 순환 모델을 제시했다. 첫째, 가정 폭력 사건이 발생할 때까지 긴장이 고조되는 폭력의 전조 단계가 있다. 화해 단계에서는 가해자가 친절하고 사랑스러울 수 있으며, 그 후에는 평온한 기간이 있다. 상황이 평온해지면 피해자는 상황이 변화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질 수 있다. 그런 다음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순환이 다시 시작된다.[155]

11. 2. 세대 간 폭력

가해자들의 공통적인 특징 중 하나는 어린 시절 학대를 목격했다는 점이다. 이들은 여러 세대에 걸친 가정 폭력의 악순환에 참여한 것이다.[156] 그러나 아동이 폭력을 목격하거나 폭력의 피해자가 된다고 해서 반드시 가해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147] 연구에 따르면, 아이들이 신체적 처벌을 받을수록 성인이 되어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에게 폭력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160]

2010년 11월 24일, 한국가정법률상담소는 '성인지(性認知)적 관점에서 본 아동ㆍ청소년의 폭력 문제와 정책'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이들이 결국 학교 폭력의 가해자가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가정에서 형성된 폭력에 대한 인식이 사회 생활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결과였다.[561]

한국가정법률상담소가 2010년 7월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초ㆍ중ㆍ고교생 응답자의 51%가 부모의 폭력을 목격했으며, 68%는 부모로부터 학대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둘 중 하나라도 경험한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76.6%였다. 가정 내 폭력에 노출된 학생들은 학교 폭력 가해자가 될 가능성이 컸다. 부모의 폭력을 목격한 학생들 중 학교 폭력 가해자는 64%였고, 아동 학대 경험자들 중에도 학교 폭력 가해자가 62.9%였다. 가정 폭력을 경험한 학생들은 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이 더 높았다.[561]

2011년 5월, 현대캐피탈은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하여 "성장기에 가정폭력을 목격한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자라서 폭력 남편, 폭력 아빠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이 문제"라고 알렸다.

11. 3. 생물학적 및 심리학적 이론

생물학적 및 심리학적 이론들은 유전학과 뇌 기능 장애를 포함하며, 이는 신경과학에서 연구된다. 심리학적 이론은 범죄자의 성격 특성과 정신적 특징에 초점을 맞추며, 연구에 따르면 가정 폭력 가해자들 사이에서 정신병리의 높은 발생률이 발견되었다.[544] 이수정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남편이 폭행을 가할 때 쓰던 가위나 혁대를 보여주면 두뇌 활성화 정도가 폭력 피해가 없는 사람과 다르게 나타난다. MRI 사진이 증거로 채택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544] 진화 심리학적 설명은 가정폭력이 여성의 생식을 통제하고 성적 독점을 보장하려는 남성의 시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11. 4. 사회 이론

사회 이론은 가족 구조, 스트레스, 사회적 학습과 같은 범죄자 환경의 외부 요인들을 살펴본다.

가정폭력은 가해자가 피해자에 대한 권력과 통제권을 얻거나 유지하려는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다.[24][25][26] 세계보건기구(WHO)는 통제 행위를 학대의 한 형태로 추가하였다.[30]

가정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압력이 증가하면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 부적절한 재정 문제나 가정 내 다른 문제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는 긴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452] 빈곤에 처한 가족과 부부는 스트레스와 재정 및 기타 측면에 대한 갈등이 증가함에 따라 가정 폭력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클 수 있다. 동성 관계도 유사한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할 수 있으며,[31] 동성 관계의 폭력은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1. 4. 1. 일반

현대적 의미의 가정폭력(domestic violence)이라는 용어는 1973년 영국 의회에서 잭 애슐리가 처음 사용했다.[16][17] 이전에는 주로 내란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외국 세력이 저지르는 국제적 폭력과 달리 자국 내에서 발생하는 가정폭력을 의미했다.[18][19]

전통적으로 가정폭력(DV)은 주로 신체적 폭력과 관련이 있었다. "아내 학대", "아내 구타" 등의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미혼 파트너, 신체적 폭력 이외의 다른 형태의 학대, 여성 가해자, 동성 관계 등을 포함하기 위해 "가정폭력"이라는 용어가 더 넓게 사용되게 되었다. 가정폭력은 이제 일반적으로 "모든 신체적, 성적, 정신적 또는 경제적 폭력"[24]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는 가족 구성원이나 친밀한 파트너가 저지를 수 있다.[24][25][26]

"친밀한 파트너 폭력"이라는 용어는 "가정 학대"[27] 또는 "가정폭력"[28]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특히 커플 관계(결혼, 동거 등)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을 가리킨다.[29] 세계보건기구(WHO)는 통제 행위를 학대의 한 형태로 추가한다.[30] 친밀한 파트너 폭력은 이성애 및 동성애 관계[31]에서 관찰되며, 이성애 관계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게, 여성이 남성에게 가하는 폭력 모두에서 나타난다.[32] "가족 폭력"은 더 광범위한 용어로, 아동 학대, 노인 학대 등 가족 구성원 간의 폭력 행위를 포함한다.[28][33][34]

1993년 유엔의 여성에 대한 폭력 철폐 선언은 가정폭력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신체적, 성적 및 심리적 폭력으로, 폭행, 가정 내 여성 아동 성 학대, 지참금 관련 폭력, 배우자 간 강간, 여성 성기 절단 및 여성에게 해로운 기타 전통 관습, 배우자 이외의 폭력 및 착취 관련 폭력을 포함한다.[35]

가정폭력은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발생하며, 이들은 거주국의 법률과 정책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영국에 거주하는 1세대 남아시아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영국 법률상 범죄 행위에 해당하는 내용을 거의 알지 못했다. 연구자들은 "결혼 내에서도 강간이 있을 수 있다는 인식은 전혀 없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73][274]

차별적인 결혼 및 이혼법, 이혼의 어려움, 신부 값 관습 등도 가정폭력의 확산에 영향을 미친다.[277][287]

DV는 가정 내 폭력 및 공격적인 행위를 의미하며, 가장 넓은 의미에서는 아동, 부모, 노인에 대한 폭력까지 포함한다. 배우자나 파트너로부터의 폭력을 DV라고 부르며, DV, 아동 학대, 노인 학대를 포함한 가족 간의 폭력을 총칭하여 '''가정폭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혼 연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폭력이나 괴롭힘 행위는 '''데이트 폭력'''이라고 불린다.

DV가 문제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1800년대 초에는 대부분의 법제도에서 아내는 남편의 재산이자 노동력이며, 아내를 때리는 것은 남편의 특권으로 묵인되었다.[452] 1970년대 페미니즘 운동에서 남편으로부터 아내에게 가해지는 폭력 문제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452]

세계적으로 DV의 피해자는 압도적으로 여성이 많으며,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은 더욱 심각한 경향이 있다.[453][451][454] DV는 세계에서 가장 신고가 적은 범죄 중 하나이다.[455][456] 남성에 대한 가정폭력은 여성에 비해 빈도와 심각성이 낮지만, 남성 피해에 대한 사회적 편견 때문에 신고가 어렵다.

DV는 많은 경우 가해자가 배우자나 파트너를 폭행·학대할 권리가 있다고 믿거나, 그러한 행위가 용인된다고 믿을 때 발생한다. DV가 있는 일상을 보내는 것은 아이나 다른 가족에게 학대를 용인하게 하여, 학대의 세대 간 연쇄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DV에는 신체적 학대, 언어적 학대(폭언), 정신적 학대, 경제적 학대, 종교적 학대, 생식 강제, 성적 학대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학대적인 관계에서는 긴장이 고조되어 폭력 행위가 행해지고, 그 후 화해하고 평온한 시기가 찾아온다는 학대의 순환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반복되는 학대의 결과, 피해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의 심각한 정신 장애를 경험하는 경우도 있다.

일본에서는 학대를 다음과 같은 종류로 분류한다.[487]

종류
경제적 폭력
사회적 고립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정신적 폭력)
성적 학대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2005년 당시 가정의 약 30%에서 배우자 폭력이 발생했다고 한다.[514] 그중 약 70%는 남편이 아내에게, 나머지 30%는 아내가 남편에게 가하는 것이었다.[514] 원인으로는 농촌 지역에서 여성 차별이 지적되고 있다.

11. 4. 2. 사회적 스트레스

가정 환경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압력이 증가하면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 부적절한 재정 문제나 가정 내 다른 문제로 인한 사회적 스트레스는 긴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452] 빈곤에 처한 가족과 부부는 스트레스와 재정 및 기타 측면에 대한 갈등이 증가함에 따라 가정 폭력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클 수 있다. 동성 관계도 유사한 사회적 스트레스 요인을 경험할 수 있다.[31] 또한 동성 관계의 폭력은 내면화된 동성애 혐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11. 4. 3. 권력과 통제

폭력적인 관계에서 권력과 통제는 가해자가 피해자를 지배하기 위해 신체적, 성적, 그리고 다른 형태의 학대를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24] 가정폭력의 원인 중 하나는 가해자가 피해자에 대한 권력과 통제권을 얻거나 유지하려는 전략이라는 것이다.[24][25][26] 세계보건기구(WHO)는 통제 행위를 학대의 한 형태로 추가하였다.[30]

가정폭력은 가해자가 배우자나 파트너를 폭행·학대할 권리가 자신에게 있다고 믿거나, 그러한 행위가 용인되고 정당화되며 신고될 가능성이 낮다고 믿을 때 발생한다. 많은 경우, 가해자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문화적, 교육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빈곤의 스트레스나, 알코올 중독, 약물 남용도 원인이 될 수 있다.[452]

가정폭력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480][481]

종류
경제적 폭력
사회적 고립
신체적 학대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11. 5. 종속 아닌 이론

종속 아닌 이론은 남성과 여성 간의 권력 차이에 초점을 맞춘 페미니스트 법 이론의 한 분야이다. 이 이론은 가정 폭력 문제를 여성에 대한 폭력이라는 더 광범위한 문제의 하위 집합으로 다룬다. 종속 아닌 이론에 대한 비판은 이 이론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다는 점이다.[249]

일부 국가에서는 가정 폭력에 대한 수용도가 감소했다. 예를 들어, 나이지리아에서는 2003년 여성의 62.4%가 가정 폭력을 지지했지만, 2008년에는 45.7%, 2013년에는 37.1%로 감소했다.[250] 그러나 짐바브웨와 같이 수용도가 증가한 경우도 있다.[251]

나이지리아에서는 교육 수준, 거주 지역, 부의 지수, 민족, 종교, 가정 내 의사결정에서 여성의 자율성, 미디어(라디오, 텔레비전) 노출 빈도가 가정 폭력에 대한 여성의 의견에 큰 영향을 미친다.[250] 15~19세 청소년의 경우, 카자흐스탄에서는 남성 청소년의 14%, 여성 청소년의 9%가 아내 구타가 정당하다고 믿는 반면, 캄보디아에서는 남성 청소년의 25%, 여성 청소년의 42%가 정당하다고 믿는다.[252]

스위스에서는 2017년 통계에 따르면 약 1만 명의 가정폭력 피해자 중 4분의 1이 남성이었다. 남성 피해자를 위한 보호시설도 있으며, 아이와 함께 피난하여 입소하는 사람도 있다. 여성 피해자는 신체적 폭력을 당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남성 피해자는 정신적 폭력에 노출되는 경향이 많다. 남성 피해자의 4분의 3은 가정폭력 가해자이기도 하다.[513]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2005년 당시 가정의 약 30%에서 배우자 폭력이 발생했으며, 그중 약 70%는 남편이 아내에게, 나머지 30%는 아내가 남편에게 가하는 것이었다.[514] 원인으로는 농촌 지역의 여성 차별이 지적되며, 가정 폭력은 여성이 자살하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515]

11. 6. 약물 남용

가정폭력은 알코올 중독, 약물 남용과도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이 가정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452]

11. 7. 동물 학대와의 연관성

가정 폭력과 동물 학대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다. 노르웨이 폭력 및 외상 스트레스 연구센터(Norwegian Centre for Violence and Traumatic Stress Studies)의 대규모 전국 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 학대와 아동 학대 사이에 "상당한 중복"이 있으며, 동물 학대는 "가장 빈번하게 정신적 학대 및 경미한 형태의 신체적 아동 학대와 동시에 발생"하는데, 이는 "가정 폭력을 지속적인 정신적 학대와 강압적 통제의 패턴으로 개념화하는 것과 일치한다."[216]

12. 사회적 영향

가정폭력은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1990년대부터 전 세계 대부분의 법 체계에서 가정폭력을 다루기 시작했지만, 20세기 후반 이전에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적으로나 실제로 가정폭력으로부터 보호받는 것이 거의 없었다.[50] 1993년 UN은 ''가정 폭력에 맞서는 전략: 자원 매뉴얼''을 발표하여 각국에 가정폭력을 범죄 행위로 다룰 것을 촉구했다.[51]

최근 수십 년 동안 가정폭력에 대한 법적 면책을 종식시키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262][268] 여성에 대한 폭력 및 가정 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유럽 협의회 협약(이스탄불 협약)은 가정 폭력과 여성에 대한 폭력을 다루는 유럽 최초의 법적 구속력 있는 문서이다.[126]

명예 살인, 지참금 관련 살인, 강제 결혼과 같은 특정 형태의 가정폭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인도는 2005년 가정 폭력으로부터 여성 보호법을 제정하여 지참금 폭력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 왔다.[53] 라틴 아메리카의 정열 범죄도 국제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다.[54]

C. 헨리 켐페가 "구타당한 아동 증후군"을 발표하면서 아동 학대가 주류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56] 캐서린 맥킨논의 종속 아닌 이론은 가정폭력을 여성에 대한 폭력이라는 더 광범위한 문제의 하위 집합으로 다룬다.[207] 이 이론은 가정폭력의 반복적인 패턴과 피해자를 종속시키려는 가해자의 욕망을 강조한다.[208]

가정폭력은 알코올 남용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215] 또한, 학대받는 관계에 있는 여성들은 HIV/AIDS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306] 코로나19 범유행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제한 조치는 가정폭력 발생률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3]

12. 1. 문화적 관점

가정 폭력에 대한 시각은 사람마다, 문화마다 다르지만, 서구 이외의 많은 지역에서는 그 개념이 매우 잘못 이해되고 있다. 어떤 나라에서는 그 개념이 널리 받아들여지거나 완전히 억압되기도 한다. "가족 및 관계 내 여성 폭력"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아내 폭행은 여러 국가의 대다수 인구에 의해 어떤 상황에서는 정당하다고 여겨진다."[218] 보수적인 문화권에서는 아내가 충분히 겸손하다고 여겨지지 않는 복장을 하면 남편이나 친척으로부터 심각한 폭력을 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폭력적인 반응은 사회 대부분에서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221] 안토니아 파르바노바에 따르면, 가정 폭력 문제를 법적으로 다루는 데 어려움 중 하나는 많은 남성 중심 사회의 남성들이 아내에게 폭력을 가하는 것이 불법이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223] 피해자 비난 또한 서구 국가를 포함한 많은 사회에서 만연하다.[226][227][228]

12. 2. 종교

종교가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는 전통적으로 남성 중심적인 가정을 지지해 왔다.[229]

이슬람교가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다. 어떤 학자들은 이슬람교가 여성에 대한 폭력, 특히 명예 살인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230] 파키스탄 아가 칸 대학교에서 여성 문제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타히라 샤히드 칸(Tahira Shahid Khan) 교수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행위의 원인이 종교 자체가 아니라 사회에서 남성의 지배와 여성의 열등한 지위 때문이라고 주장한다.[231][232] 이슬람, 이민, 여성에 대한 폭력 간의 관계에 대한 공개적(예: 미디어를 통해) 및 정치적 논의는 많은 서구 국가에서 매우 논란이 되고 있다.[233]

기독교인 중에서는 교회에 더 자주 참석하는 남성과 여성이 배우자에게 가정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 낮다.[234] 교회 참석의 효과는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 통합 수준의 증가 때문이 아니며, 이는 가정폭력의 가해와 유의미하게 관련이 없다. 또한, 정신 건강 문제(즉, 우울 증상, 낮은 자존감, 알코올 중독)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교회 참석의 유익한 효과는 여전히 남아 있다.[235] 신학적으로 보수적인 사람들이 가정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은 아니지만, 매우 보수적인 남성은 배우자가 자신보다 훨씬 진보적인 경우 가정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236]

가톨릭 교회의 이혼에 대한 가르침은 여성들이 학대적인 결혼 생활을 벗어나는 것을 두려워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가톨릭 주교들은 특히 어떤 사람도 학대적인 결혼 생활을 계속할 의무가 없다고 명시한다.[237]

중세 유대교 당국은 아내 구타 문제에 대해 의견이 달랐다. 이슬람 지역에 살았던 대부분의 랍비들은 이를 훈육의 도구로 허용했지만, 기독교 프랑스와 독일의 랍비들은 일반적으로 이것이 즉각적인 이혼을 정당화한다고 보았다.[238]

12. 3. 관습과 전통

지역 관습과 전통은 종종 특정 형태의 가정 폭력을 유지하는 데 책임이 있다. 이러한 관습과 전통에는 아들 선호, 아동 및 강제 결혼, 지참금, 하층 계급 낙인, 여성 복장 규정, 결혼 전 순결 요구, 월경 금기, 여성 성기 절제(FGM), 배우자 간 강간, 가족 명예 등이 있다.[224] 최근 몇 년 동안 여성을 위험에 빠뜨리는 관습적인 관행을 해결하는 분야에서 진전이 있었다.

유엔 인구 기금은 다음과 같이 밝혔다.[224]

>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아내 폭행, 명예 살인, 여성 성기 절제/훼손, dowry deaths와 같이 여성을 예속시키고 해치는 관행이 자연스러운 질서의 일부로 용인된다.

강제 결혼은 당사자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자유로운 동의 없이 결혼하는 경우를 말한다.[253] 세계 여러 지역에서 '강제적인' 결혼과 '합의된' 결혼의 경계를 긋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남아시아, 중동, 일부 아프리카 지역의 많은 문화권에서는 결혼이 미리 정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여자아이가 태어나자마자 결정되기도 한다. 여자아이가 가족의 뜻을 거스르고 스스로 미래의 남편을 선택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강제 결혼을 위해 협박이나 폭력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미래의 신부는 단순히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복종할 것이다. 아동결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참금과 신부 값 관습이 이러한 현상에 기여한다.[254] 아동결혼은 당사자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18세 미만인 결혼을 말한다.[255]

강제결혼과 아동결혼은 높은 비율의 가정폭력과 관련이 있다.[13][255] 이러한 유형의 결혼은 결혼 내부에서 자행되는 배우자 폭력과 관련된 폭력뿐만 아니라, 결혼의 관습 및 전통과 관련된 폭력, 즉 지참금과 신부 값 지불과 관련된 폭력 및 인신매매, 결혼 거부에 대한 명예살인과 관련이 있다.[256][257][258][259]

유엔 인구기금(UNFPA)은 "아동결혼 종식에 대한 거의 보편적인 약속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중국 제외)의 세 명 중 한 명의 소녀가 18세 이전에 결혼할 가능성이 높다. 아홉 명 중 한 명의 소녀는 15세 생일 전에 결혼할 것이다."라고 밝혔다.[260]

12. 4. 가정폭력에 대한 대중의 지지

여성에 대한 폭력은 때때로 여성 자신에 의해 정당화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말리에서는 교육을 받지 못한 여성의 60%, 초등 교육을 받은 여성의 절반 조금 넘는 수, 그리고 중등 교육 이상을 받은 여성의 40% 미만이 남편이 훈육을 위해 폭력을 사용할 권리가 있다고 믿는다.[249]

가정 폭력에 대한 수용도는 일부 국가에서는 감소했다. 예를 들어, 나이지리아에서는 2003년 여성의 62.4%가 가정 폭력을 지지했지만, 2008년에는 45.7%, 2013년에는 37.1%로 감소했다.[250]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수용도가 증가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짐바브웨에서는 여성의 53%가 아내 구타를 정당화한다.[251]

나이지리아에서는 교육 수준, 거주 지역, 부의 지수, 민족적 소속, 종교적 소속, 가정 내 의사 결정에서 여성의 자율성, 라디오 청취 또는 텔레비전 시청 빈도가 가정 폭력에 대한 여성의 의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250] 15세에서 19세 사이의 청소년의 의견을 살펴보면, 카자흐스탄에서는 남성 청소년의 14%가, 여성 청소년의 9%가 아내 구타가 정당하다고 믿고 있으며, 캄보디아에서는 남성 청소년의 25%, 여성 청소년의 42%가 정당하다고 생각한다.[252]

12. 5. 강제 결혼 및 아동 결혼과의 관계

강제 결혼은 당사자 중 한 명 또는 두 명 모두가 자유롭게 동의하지 않고 이루어지는 결혼을 의미한다. 강제 결혼은 아동 결혼과 함께 가정폭력의 높은 발생률과 관련이 있다.[273][274]

12. 6. 법률

대한민국에서 가정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법률로는 가정폭력처벌법과 가정폭력방지법이 있다. 경우에 따라 경범죄처벌법 등으로 대응하기도 한다. 데이트 폭력 피해자에 대한 법적 보호는 가정폭력 관련 법률과는 별도로 다뤄지고 있으며, 관련 법률 제정을 위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가정폭력방지법은 법률혼 부부뿐만 아니라 사실혼 부부, 이혼한 전 부부도 대상으로 한다.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과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가정폭력을 범죄로 규정하는 적절한 법률이 부족하거나, 합의된 행위를 금지하는 법률이 존재할 경우 가정폭력 발생률 감소에 대한 진전을 저해할 수 있다. 많은 국가들이 가정폭력을 합법으로 간주하거나 발생을 범죄화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1993년 UN은 ''가정 폭력에 맞서는 전략: 자원 매뉴얼''을 발표했다.[51] 이 출판물은 전 세계 국가들에게 가정 폭력을 범죄 행위로 다룰 것을 촉구하고, 사생활 보호 권리가 가족 구성원 학대 권리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명시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가정 폭력에 대한 법적 면책을 종식시키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262][268] 여성에 대한 폭력 및 가정 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유럽 협의회 협약(이스탄불 협약)은 가정 폭력과 여성에 대한 폭력을 다루는 유럽 최초의 법적 구속력 있는 문서이다.[126]

12. 6. 1. 개인 대 가족 단위 권리

대한민국에서는 법원이 상습적인 가정폭력에 시달리다 남편을 살해한 여성에게 2005년 처음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한 심신미약을 인정했다.[544] 하지만, 남편을 살해한 아내들의 상당수가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는데, 이는 정당방위가 인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정당방위를 인정하지 않는 측에서는 다른 방법이 있었음에도 살인을 선택했다는 논리를 제시한다.[544]

2019년 여성가족부의 가정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배우자에 의한 가정폭력 전체 비율은 8.3%였다. 남성 배우자에 의한 여성 배우자의 피해는 10.3%, 여성 배우자에 의한 남성 배우자 피해는 6.3%로 나타났다.[545] 여성 조사 대상자 수가 남성의 2배임에도 불구하고, 남성 피해자 비율이 적지 않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여성가족부의 통계에서도 드러나지 않은 남성 피해가 많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545]

2012년, 한국여성의전화 김홍미리는 법원이 아내의 남편 살해를 정당방위로 인정하지 않고 가중처벌하는 반면, 남편의 아내 살해는 감형되는 현실을 비판했다.[545] 그는 가정폭력 피해자의 합리성을 기준으로 정당방위 판결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545]

전문가들은 가부장 사회에서 학대받는 여성이 국가의 도움을 받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정당방위와 살인의 이분법적 구도를 벗어나 '피해자 감각'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544] 고미경 한국여성의전화 가정폭력상담소장은 국가의 방치 책임을 묻고, 경찰 시스템 개선과 전문심리위원제도 도입을 주장했다. 경기대학교 이수정 교수는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뇌 기능 장애를 언급하며, 법정심리 분야의 전문 평가도구 수련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544]

12. 6. 2. 용어

현대적 의미의 가정 내 폭력을 뜻하는 "가정폭력(domestic violence)"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73년 영국 의회에서 잭 애슐리가 연설한 내용에서였다.[16][17] 이전에는 주로 내란을 가리켰는데, 외국 세력이 저지르는 국제적 폭력과 달리 자국 내에서 발생하는 가정폭력을 의미했다.[18][19]

전통적으로 가정폭력(DV)은 주로 신체적 폭력과 관련이 있었다. "아내 학대", "아내 구타", "아내 폭행", "가정폭력 피해 여성"과 같은 용어들이 사용되었지만, 미혼 파트너, 신체적 폭력 이외의 다른 형태의 학대, 여성 가해자 및 동성 관계를 포함하기 위한 노력으로 인해 인기가 감소했다. 가정폭력은 이제 일반적으로 "모든 신체적, 성적, 정신적 또는 경제적 폭력"[24] 행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된다. 이는 가족 구성원이나 친밀한 파트너가 저지를 수 있는 행위이다.[24][25][26]

"친밀한 파트너 폭력"이라는 용어는 종종 "가정 학대"[27] 또는 "가정폭력"[28]과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특히 커플 관계(즉, 결혼, 동거 또는 비동거 친밀한 파트너) 내에서 발생하는 폭력을 가리킨다.[29] 여기에 세계보건기구(WHO)는 통제 행위를 학대의 한 형태로 추가한다.[30] 친밀한 파트너 폭력은 이성애 및 동성애 관계[31]에서 관찰되었으며, 이성애 관계의 경우 남성이 여성에 대한 폭력과 여성이 남성에 대한 폭력 모두에서 나타난다.[32] "가족 폭력"은 더 광범위한 용어로, 종종 아동 학대, 노인 학대 및 가족 구성원 간의 기타 폭력 행위를 포함한다.[28][33][34]

1993년 유엔의 여성에 대한 폭력 철폐 선언은 가정폭력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호주에서는 "가정 폭력"(domestic violence)이라는 용어는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의 가정 환경에서 발생하는 폭력 사건을 가리킨다.[270] 북유럽 국가에서는 법적 및 정책적 맥락에서 "밀접한 관계 내 폭력"(violence in close relations)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272]

12. 6. 3. 법적 권리에 대한 지식

가정폭력은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발생하며, 이러한 공동체에서는 종종 거주국의 법률과 정책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영국에 거주하는 1세대 남아시아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그들이 영국법상 범죄 행위에 해당하는 내용을 거의 알지 못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자들은 "결혼 내에서도 강간이 있을 수 있다는 인식은 전혀 없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73][274] 호주에서 실시된 한 연구는 배우자에게 학대를 당했지만 신고하지 않은 이민 여성 중 16.7%가 가정 폭력이 불법이라는 사실을 몰랐고, 18.8%는 자신이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75]

12. 7. 떠날 수 있는 능력

가정폭력 피해자가 관계를 벗어날 수 있는 능력은 더 이상의 학대를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차별적인 결혼 및 이혼 관련 법규는 이러한 가정폭력의 확산에 영향을 줄 수 있다.[277][287] 라시다 만주(Rashida Manjoo) 유엔 특별 보고관에 따르면, 많은 국가에서 여성이 재산에 접근하는 것은 남성과의 관계에 달려있기 때문에, 이혼 또는 별거 시 재산권의 평등을 보장받지 못하면 여성이 가정 폭력과 빈곤 사이에서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폭력적인 결혼 생활을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279]

법적으로 이혼이 어려운 제약 또한 가정 폭력의 확산에 영향을 미친다.[280] 일부 문화권에서는 가족 간에 결혼이 이루어지는 경우, 남편과 친척들의 동의 없이 이혼이나 별거를 시도하는 여성은 명예 폭력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281][282] 신부 값 관습 또한 결혼 생활을 벗어나기 어렵게 만드는데, 아내가 떠나고 싶어할 때 남편은 아내의 가족에게 신부 값을 돌려줄 것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283][284][285]

영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가정 폭력 피해자들이 대체 주택을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폭력적인 관계에 머물러야 할 수 있다.[286] 많은 가정 폭력 피해자들은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으며, 떠날 경우 애완동물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몰라 가해자를 떠나는 것을 미루기도 한다. 따라서 보호시설에서는 애완동물을 더 많이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287]

12. 7. 1. 이민 정책

일부 국가에서는 시민권을 얻고자 하는 사람이 그의/그녀의 보증인과 결혼했는지 여부에 따라 이민 정책을 결정하기도 한다. 이는 몇몇 사람들이 폭력적인 관계에 갇히게 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12. 8. 코로나19 팬데믹

일부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범유행과 가정폭력 발생률 증가 사이에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93] 전 세계적으로 고립 상태 동안 개인이 채택한 대처 메커니즘이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294] 이러한 제한 기간의 영향 중 일부는 재정적 어려움, 유발된 스트레스, 좌절감 및 그에 따른 대처 메커니즘 추구이며, 이는 폭력을 유발할 수 있다.[295]

나이지리아라고스, 아부자와 같은 주요 도시, 인도중국후베이성에서 친밀한 파트너에 대한 폭력 수준이 증가한 것으로 기록되었다.[296][297]

미국, 중국 및 많은 유럽 국가를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제한 조치 기간 동안 가정폭력의 유병률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인도에서는 엄격한 봉쇄 조치가 시행된 지역에서 가정폭력이 131% 증가한 것으로 기록되었다.[298][299]

13. 영향

가정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신체적 영향: 가정폭력 피해자는 멍, 골절, 내부 출혈 등 급성 상해를 입을 수 있으며, 관절염, 과민성 대장 증후군 같은 만성 질환을 겪을 수도 있다.[300][301] 임신부의 경우 유산 위험이 커진다.[300]
심리적 영향: 피해자는 극심한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을 수 있다.[308][309]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학대받는 관계의 여성은 HIV/AIDS 감염 위험도 높아진다.[306]
경제적 영향: 가해자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하게 되어 관계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진다.[311] 노숙 위험, 구직 어려움, 직업적 아파르트헤이트를 겪을 수 있다.[313][314]
아동에 대한 영향: 가정폭력을 목격한 아동은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겪고, 성장 후 학교폭력 가해자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316][561]
대응자에 대한 영향: 가정폭력에 대응하는 경찰관, 사회복지사 등은 대리 외상을 겪을 수 있다.[327]

13. 1. 신체적

가정 폭력으로 인해 급격하게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으로는 멍, 골절, 머리 부상, 열상, 내부 출혈 등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은 입원 및 의료 처치가 필요하다.[300] 가정 폭력 피해자는 관절염, 과민성 대장 증후군, 만성 통증, 골반 통증, 궤양, 편두통과 같은 만성 질환을 겪을 수 있다.[301] 임신한 피해자는 유산, 조산, 태아 부상 또는 사망의 위험이 더 크다.[300]

최근 연구에 따르면 모든 형태의 가정 폭력 및 학대에 노출되면 많은 만성 질환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과 강력한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302]

13. 2. HIV/AIDS

 2008년 기준 국가별 젊은 성인(15~49세) HIV 유병률 추정치(%)를 나타낸 세계 지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다른 지역은 녹색 또는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있음


세계보건기구(WHO)는 학대받는 관계에 있는 여성들이 HIV/AIDS에 걸릴 위험이 훨씬 높다고 밝혔다. WHO는 폭력적인 관계에 있는 여성들은 파트너와 안전한 성관계에 대해 협상하기 어렵고, 종종 성폭행을 당하며, HIV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할 때 적절한 검사를 요청하기 어려워한다고 말한다.[306] 르완다, 탄자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에서 10년간에 걸친 단면 연구 결과, 파트너 폭력을 경험한 여성이 HIV에 감염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꾸준히 나타났다.[338]

동성 관계도 가정 폭력에서 HIV/AIDS 상태의 영향을 받는다. Heintz와 Melendez의 연구에 따르면, 동성애자들은 "성에 대한 통제력 감소, 폭력에 대한 두려움, 불균등한 권력 분배..."와 같은 이유로 안전한 성에 대한 주제를 꺼내기 어려울 수 있다.[307] 연구에서 폭력을 보고한 사람들 중 약 50%가 강제 성 경험을 보고했으며, 그중 절반만 안전한 성관계를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보고했다. 안전한 성관계에 대한 장벽에는 학대에 대한 두려움과 안전한 성관계 관행에 대한 속임수가 포함되었다. Heintz와 Melendez의 연구는 궁극적으로 동성 관계에서 성폭행/학대는 안전한 성관계의 사례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HIV/AIDS 감염에 대한 주요 우려 사항을 제공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러한 사건들은 안전한 성관계에 대한 대화와 자신의 성병 상태를 아는 것에 대한 추가적인 두려움과 낙인을 만든다.[307]

13. 3. 심리적

가정폭력 피해자 중 가해자와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은 극심한 스트레스, 공포, 불안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우울증 또한 흔하며, 피해자들은 폭력을 '유발했다'는 죄책감을 느끼도록 만들어지고 빈번하게 심한 비판에 시달린다. 관계 중이거나 관계가 끝난 후에 피해자의 60%가 우울증 진단 기준을 충족하고 자살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정서적 또는 육체적으로 학대를 당한 사람들은 종종 무가치함을 느끼기 때문에 우울증을 경험한다. 이러한 감정은 장기간 지속되며 자살 및 기타 외상 증상의 위험 증가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치료를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308]

우울증 외에도 가정폭력 피해자들은 장기간 불안과 공황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으며, 범불안장애공황장애의 진단 기준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다. 가정폭력의 가장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심리적 영향은 PTSD(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이며, 이는 플래시백, 침입적인 이미지, 과장된 깜짝 반응, 악몽, 그리고 학대와 관련된 유발 요인 회피를 특징으로 한다.[309] 여러 연구에 따르면, 어머니의 대인 관계 폭력 관련 PTSD는 외상을 입은 어머니의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녀의 가정폭력 및 기타 외상 사건에 대한 반응을 방해할 수 있다.[15][310] 따라서 유아 및 어린 자녀를 둔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 및 그 생리심리적 후유증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4. 재정적

2024년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에 실린 연구는 핀란드 행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국 신체적 폭력을 행사하는 남성과 관계를 시작한 여성들은 가정을 꾸리자마자 상당하고 의미 있는 소득 및 고용 감소를 경험한다"는 사실을 밝혔다.[311] 이는 가해자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높여 피해자가 관계를 벗어나기 어렵게 만든다.[311]

피해자가 가해자를 떠난 후에는 폭력이 자신의 자율성을 얼마나 빼앗았는지 깨닫고 충격을 받을 수 있다. 경제적 폭력과 고립으로 인해 피해자는 자신의 돈이 거의 없고 도움을 요청할 사람도 거의 없다. 이는 가정 폭력 피해자가 직면하는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이며, 가해자를 떠나는 것을 망설이게 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312]

재정적 자원 부족 외에도 가정 폭력 피해자는 유익한 직업을 찾는 데 필요한 전문 기술, 교육 및 훈련이 부족하고 여러 자녀를 부양해야 할 수도 있다. 2003년 미국 36개 주요 도시는 가정 폭력을 해당 지역의 노숙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했다.[313] 또한 여성 3명 중 1명은 가정 폭력 관계를 벗어나 노숙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피해자가 임대 주택을 확보할 수 있다면, 아파트 단지에는 범죄에 대한 무관용 정책이 시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폭력의 피해자(가해자가 아님)임에도 퇴거될 수 있다.[313] 가정 폭력 피해자를 위한 여성 쉼터와 지역 사회 자원의 수는 크게 증가했지만, 이러한 기관은 종종 직원이 적고 수백 명의 피해자가 지원을 요청하여 많은 피해자가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312]

가정 폭력을 경험하는 여성과 아동은 직업적 아파르트헤이트를 겪는다. 즉, 원하는 직업에 대한 접근이 일반적으로 거부된다.[314] 가해자는 직업을 제한하고 직업적으로 공허한 환경을 조성하여 자존감과 일상적인 일을 만족스럽게 수행할 수 있는 자기 효능감을 떨어뜨린다.[314] 또한 직업은 기능적 손실, 필요한 고용 기술을 유지할 수 없는 능력, 직장에서 기능할 수 없는 능력에 영향을 받는다. 종종 피해자는 친구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등 다른 관계에서도 매우 고립되어 있으며, 이는 가해자의 또 다른 통제 수단이다.[315]

13. 5. 아동에 대한 영향

성장 과정에서 가정 폭력에 노출된 아동은 발달 및 심리적 피해를 입는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316] 1990년대 중반, 어린 시절의 역경 연구(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tudy)는 가정 폭력 및 기타 학대에 노출된 아동이 정신 및 신체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317] 가정 폭력은 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행동적 및 인지적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318]

가정 폭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서적 및 행동적 문제에는 공격성 증가, 불안, 그리고 아동이 친구, 가족 및 당국과 교류하는 방식의 변화가 포함된다.[316] 외상 경험으로 인해 우울증, 정서적 불안정 및 정신 건강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319] 학교에서 태도와 인지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 문제 해결과 같은 기술이 부족할 수 있다.[316] 아동기에 학대와 방치를 경험한 것과 성인기에 가정 폭력과 성적 학대를 저지르는 것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320]

어떤 경우에는 가해자가 아이 앞에서 의도적으로 어머니나 아버지를 학대하여[321] 동시에 두 명의 피해자에게 피해를 입히는 파장 효과를 일으킨다.[321] 아이들은 부모에 대한 심각한 폭력을 목격할 때 개입할 수 있으며, 이는 아동이 부상이나 사망의 위험에 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322] 어머니 폭행을 목격한 아동은 PTSD 증상을 나타낼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323] 이러한 아동에 대한 결과는 폭행당한 어머니가 PTSD를 앓고 가정 폭력을 목격한 자신의 경험을 처리하는 데 있어 아동을 돕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324]

2010년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의 조사에 따르면, 부모의 폭력을 목격한 학생들 중 학교 폭력 가해자는 64%로 피해자(54.8%)보다 높았고, 아동 학대 경험자들 중에도 학교 폭력 가해자가 62.9%로 피해자(54.2%)보다 많았다. 가정 내 폭력을 경험한 학생들의 우울 및 불안, 공격성 수준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561]

13. 6. 대응자에 대한 영향

미국에서 실시된 분석에 따르면, 1996년부터 2009년 사이에 발생한 771건의 경찰관 사망 사건 중 106건이 가정 폭력 개입 중에 발생했다.[325] 이 중 51%는 경찰관이 용의자와 접촉하기 전에 발생한 도발되지 않은 행위 또는 매복이었고, 나머지 40%는 접촉 후에 발생했으며, 나머지는 인질과 관련되거나 바리케이드를 제압하려는 시도 등 전술적 상황에서 발생했다.[325] FBI의 LEOKA 시스템은 경찰관 가정 폭력 대응으로 인한 사망을 "싸움, 갱단 문제 및 무기를 휘두르는 사람들"과 함께 혼란의 범주로 분류했는데, 이는 관련 위험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켰을 수 있다.[325][326]

피해자의 학대 이야기를 듣는 심각성과 강도 때문에 사회복지사, 경찰, 상담사, 치료사, 옹호자, 의료 전문가와 같은 전문가들은 자신이 2차 또는 대리 외상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이는 응답자가 피해자의 학대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후 피해자와 유사한 외상 증상을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327] 연구에 따르면 대리 외상을 경험한 전문가들은 비록 스스로 외상을 경험하지 않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임상 진단 기준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과장된 놀람 반응, 과잉 경계, 악몽 및 강박 사고의 징후를 보인다.[327]

14. 인구 통계

가정폭력은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발생하며,[328] 모든 경제적 지위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21] 그러나 여러 연구에 따르면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실업 및 저소득과 같은)는 더 높은 수준의 가정폭력 위험 요소로 나타났다.[329]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은 사하라 사막 이남 중앙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서부 아프리카, 안데스 라틴 아메리카, 남아시아, 사하라 사막 이남 동부 아프리카, 북아프리카 및 중동에서 가장 흔하다. 여성에 대한 가정폭력의 유병률이 가장 낮은 곳은 서유럽, 동아시아 및 북미이다.[330]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미국에서 여성의 41%와 남성의 26%가 평생 가정폭력을 경험한다고 보고한다.[334] 영국의 통계에 따르면 가정폭력 피해자 3명 중 1명은 남성이며, 남성 7명 중 1명과 여성 4명 중 1명이 평생 어느 시점에 피해자가 될 것이다.[335]

가정폭력은 연령대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부모, 청소년 및 청년, 아동, 동성 관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자녀가 부모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부모에 대한 자녀의 폭력(CPV))는 심리학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고, 보고도 적다. 이성애 백인 청소년 남녀는 비슷한 비율로 친밀한 파트너 폭력(IPV)을 경험하지만, 여성이 덜 위험한 신체적 폭력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남성은 더 심각한 폭력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337] 가정폭력과 아동 학대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반복적인 패턴을 보여 아이들이 직접적인 피해자가 될 위험이 커진다.[484] 역사적으로 가정폭력은 이성애 가정의 문제로 여겨져 동성 관계에서의 폭력은 거의 주목받지 못했지만, 동성 관계에서도 가정폭력이 발생한다.

14. 1. 국가별

국가보고된 심각한 가정 폭력 사건 수
(10만 명당)
연도
알바니아0.12018
오스트리아6.12022
아제르바이잔0.22020
바하마118.42020
벨리즈14.12021
볼리비아0.12022
캐나다8.32022
콜롬비아63.82018
크로아티아3.52022
체코5.92022
도미니카 공화국1.12022
엘살바도르16.32022
핀란드5.12022
프랑스160.22022
독일27.52022
과테말라0.12020
가이아나34.72018
온두라스1.12022
헝가리22.32014
아일랜드46.12022
라트비아4.02022
리투아니아0.52022
마카오0.32021
멕시코16.82022
모나코100.62016
몽골1.12020
모로코32.12022
미얀마0.52022
뉴질랜드368.02018
오만0.22020
파나마0.22020
루마니아0.12022
세인트 키츠 네비스100.02022
슬로바키아2.12022
슬로베니아0.82022
스페인9.02022
스웨덴7.92018
스위스0.92022
베네수엘라0.42018

[336]

유럽의 데이트 폭력은 심각하여, 16세에서 44세까지의 유럽 여성의 신체 장애나 사망 원인으로 질병이나 사고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한다 (프랑스 보건부, 2001년 2월 『앙리옹 보고서』).

14. 2. 보고 누락

가정폭력은 전 세계적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가장 보고되지 않는 범죄 중 하나이다.[10][11] 남성 피해자는 여성 피해자보다 가정폭력을 신고할 가능성이 낮으며,[340][341][342] 남성 피해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의료 서비스 제공자의 간과 가능성 증가로 인해 신고 과정에서 추가적인 성별 관련 장벽에 직면할 수 있다.[343][344][345][346]

코로나19 봉쇄 기간 동안 일부 피해자는 가해자와 같은 집에 머물러야 했다. 이 기간 동안 탈출할 수 없었던 피해자들은 신고를 하지 못했다.[347]

14. 3. 성별 차이

가정폭력과 관련된 성별 차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연구 방법론, 표본 추출 절차, 응답자의 자기 보고 기피 등 여러 요인이 기존 연구에 어려움을 제기한다.[348][349][350][337][351][352] 은밀한 형태의 학대를 경험하거나 오랫동안 학대를 받은 사람들은 가정폭력을 인식하고 보고할 가능성이 낮다.[353]

여성이 남성보다 자기방어, 보복 또는 두려움 때문에 가정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355][356][357][358] 2010년 한 문헌 검토에서는 여성이 남성에게 배우자 폭력을 가하는 일반적인 동기는 분노, 관심 필요, 파트너의 폭력에 대한 반응이라고 밝혔다.[359] 다른 검토에서는 남성이 성적 학대, 강압적 통제, 스토킹을 저지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았다.[355] 머레이 에이 스트라우스의 연구는 여성이 남성에게 가하는 대부분의 배우자 폭력은 자기방어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지만,[357][360] 로시크(Loseke) 등은 스트라우스가 자기방어에 대한 좁은 정의를 사용했다고 비판했다.[363]

셰리 햄비(Sherry Hamby)는 성폭력이 종종 배우자 폭력 측정에서 제외되며, 이를 고려하면 여성 가해자는 10% 미만이라고 말한다.[347] 햄비는 남성의 피해에 대한 자기 보고는 신뢰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364][357] 홍콩대학교의 찬 코 링(Chan Ko Ling) 연구원의 2011년 검토에 따르면, 경미한 배우자 폭력은 남녀 모두 비슷하게 가해하지만, 더 심각한 배우자 폭력은 남성이 저지를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다.[337]

연구자들은 배우자 폭력에 대한 남성과 여성의 반응에 상당히 다른 결과를 발견했다. 2012년 ''폭력 심리학''(Psychology of Violence) 저널의 검토에 따르면 여성은 특히 부상, 두려움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측면에서 배우자 폭력으로 인해 불균형적으로 고통을 겪었다.[369] 2005년 햄버거(Hamberger)의 검토에 따르면 남성은 여성 파트너가 시작한 배우자 폭력에 대해 웃음과 즐거움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370]

가정폭력에 대한 법률은 국가마다 다르다. 서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그렇지 않다.[373]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가정폭력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견해가 다르다. 유니세프(UNICEF) 조사에 따르면, 어떤 상황에서 남편이 아내를 때리는 것이 정당하다고 생각하는 15~49세 여성의 비율은 아프가니스탄요르단이 90%로 매우 높다.[374]

14. 3. 1. 여성과 소녀

유엔 인구기금은 여성과 소녀에 대한 폭력이 전 세계에서 가장 흔한 인권 침해 중 하나라고 밝히며, "세 명 중 한 명의 여성이 평생 동안 신체적 또는 성적 학대를 경험한다"고 말했다.[377]

미국에서는 1920년에 아내 폭행이 전국적으로 불법화되었다.[379][380] 1993년 유엔 여성에 대한 폭력 철폐 선언(DEVAW)은 "여성에 대한 폭력은 남성과 여성 사이의 역사적으로 불평등한 권력 관계의 표현"이라고 명시하고 있다.[35][383] 여성에 대한 폭력의 예방, 처벌 및 근절에 관한 미주 협약은 여성에 대한 폭력을 "성별에 근거한 행위 또는 행동"으로 정의한다.[384] 마푸토 의정서는 아프리카 인권 및 민족 권리 헌장의 더 넓은 정의를 채택하여 여성에 대한 폭력을 정의한다.[385] 이스탄불 협약은 여성에 대한 폭력은 인권 침해이자 '여성에 대한 차별의 한 형태'로 이해된다고 명시한다.[130]

한 연구에 따르면, 친밀한 파트너에게 신체적 학대를 당했다고 신고한 여성의 비율은 국가에 따라 69%에서 10%까지 다양하다.[388] 질병통제예방센터의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여성 살인의 절반 이상이 친밀한 파트너에 의해 저질러지며, 그중 98%는 남성이다.[390] 페미사이드는 일반적으로 남성에 의한 여성이나 소녀의 성별에 따른 살해로 정의된다.

14. 3. 2. 남성과 소년

남성에 대한 가정 폭력에 관한 연구는 남성을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로 다루며, 폭력 방지 활동에 남성과 소년을 어떻게 참여시킬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392] 남성에 대한 가정 폭력에는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가 포함되며, 상호 폭력도 포함된다.[393][394] 남성 피해자는 여러 가지 이유로 도움을 받는 것을 꺼릴 수 있다.[395] 한 연구에서는 남성 파트너를 폭행한 여성이 남성이 경찰에 신고하더라도 체포될 가능성이 더 낮은지 조사했는데, 그 결과 "경찰은 특히 남성 파트너를 폭행한 여성을 체포할 가능성이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이유는 "남성은 여성 파트너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여성의 폭력은 파트너가 아닌 다른 사람을 폭행하는 경우가 아니면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396] 또 다른 연구는 "법원 관계자들이 친밀한 파트너 폭력의 성별 비대칭에 반응하고, 여성 친밀한 파트너 폭력 가해자를 범죄자라기보다는 피해자로 더 많이 볼 수 있다는 정성적 연구를 뒷받침하는 일부 증거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397]

14. 4. 연령대

가정폭력은 연령대에 관계없이 발생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부모: 자녀가 부모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 부모에 대한 자녀의 폭력(CPV) )는 심리학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고, 보고도 적다.
  • 청소년 및 청년: 이성애 백인 청소년 남녀는 비슷한 비율로 친밀한 파트너 폭력(IPV)을 경험한다. 그러나 여성이 덜 위험한 신체적 폭력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남성은 더 심각한 폭력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337]
  • 아동: 가정폭력과 아동 학대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가정폭력은 반복적인 패턴을 보이며, 이로 인해 아이들이 직접적인 피해자가 될 위험이 커진다.[484]

14. 4. 1. 부모

자녀에 의한 부모 학대는 부모에 대한 자녀의 폭력(CPV, child-to-parent violence)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보고가 적고 연구가 부족한 주제 중 하나이다.

14. 4. 2. 청소년 및 청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주로 이성애 백인 집단에 집중되어 왔다. 일반적인 문헌에 따르면 청소년 남성과 여성은 거의 동일한 비율로 친밀한 파트너 폭력(IPV)에 가담하지만, 여성은 덜 위험한 형태의 신체적 폭력을 사용할 가능성이 더 높다. 반면 남성은 주먹으로 치거나, 목을 조르거나, 때리거나, 태우거나, 무기를 사용하여 위협할 가능성이 더 높다.[337] 자기 방어 측면은 이전의 피해가 여성보다 남성보다 가해의 더 강력한 예측 변수라는 연구 결과에 의해 뒷받침된다.[361][362]

14. 4. 3. 아동

가정 폭력과 아동 학대 사이에는 강력한 연관성이 있다. 가정 폭력은 일정한 행동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건의 심각성과 빈도가 증가하여 결국 아이들 자신이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484] 현재 부모에 의한 아동 체벌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여전히 합법이지만, 이 관행을 허용하는 서구 국가에서는 허용되는 범위에 대한 엄격한 제한이 있다.

폭력이 있는 가정에서 사는 아이들은 유년기부터 위협에 대한 회피성·과민성, 통제 불능의 공격성 등의 심리적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직접 폭력을 당하는 것이 아니더라도 가정폭력이 행해지고 있는 가정에서 자라는 것 자체가 정신적 학대가 되어, 이차 외상(대가성 외상)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484] 또한, 아이가 가정 내에서 가정폭력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자신의 탓이라고 생각하고, 자책감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도 높다.

가정폭력이 있는 가정에서는 높은 확률로 아동학대가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도 또한 심신에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14. 5. 동성 관계

역사적으로 가정폭력은 이성애 가정의 문제로 여겨져 동성 관계에서의 폭력은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동성 관계에서도 가정폭력이 발생한다. 1999년 19건의 파트너 학대 연구를 분석한 결과, "연구에 따르면 레즈비언게이 남성은 이성애 남성만큼 파트너를 학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31] 2011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2010년 전국 친밀한 파트너 및 성폭력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 레즈비언 여성의 44%, 양성애자 여성의 61%, 이성애 여성의 35%가 평생 가정폭력을 경험했다고 보고했다.[334] 게이와 레즈비언 관계는 특정 집단에서 학대의 위험 요소로 확인되었다. 동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일부 연구자들이 "이중 옷장"이라고 명명한 문제를 다루는 데 특별한 어려움에 직면한다.

15. 관리

대한민국에서 가정폭력은 가정폭력방지법으로 규제된다. 경범죄처벌법 등으로 대응하기도 하며, 연인 간의 폭력은 스토킹처벌법으로 규제된다.

대한민국의 가정폭력방지법은 법률혼 부부뿐만 아니라 사실혼 부부, 이혼한 전 부부도 대상으로 한다. 데이트 폭력 피해자에 대한 법적 보호는 가정폭력방지법과는 별도로 다뤄지고 있으며, 관련 법률 제정을 위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배우자 간 폭력 피해자는 여성인 경우가 많다. 여성가족부는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과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16. 예방

가정폭력을 예방하거나 줄이기 위해 여러 전략들이 사용되고 있다. 시행되고 있는 전략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정폭력이 법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법률을 개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성의 열등함을 조장하는 성별 규범은 배우자에 의한 여성 학대를 초래할 수 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 따르면, "[가정폭력] 예방의 핵심 전략은 개인, 지역 사회 및 사회 수준의 변화를 통해 존중하고 비폭력적인 관계를 증진하는 것"이다.[462][463][464][465][466][467][468][469][470] UN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6은 전 세계적인 옹호와 효과적인 제도에 대한 요구를 통해 가정폭력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폭력을 종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한민국에서 가정폭력(DV)을 예방하기 위한 법률로는 가정폭력방지법이 있다. 경우에 따라 경범죄처벌법 등으로 대응하기도 한다. 연인 등에 대한 행위 규제에는 스토킹처벌법이 있다.

대한민국의 가정폭력방지법은 법률혼 부부뿐만 아니라 사실혼 부부, 이혼한 전 부부도 대상으로 한다. 데이트 폭력(DV) 피해자에 대한 법적 보호는 가정폭력방지법과는 별도로 다뤄지고 있으며, 데이트 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를 위한 법률 제정을 위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여성가족부를 중심으로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과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참조

[1] 논문 The Abuse of Technology in Domestic Violence and Stalking http://journals.sage[...] 2024-02-07
[2] 웹사이트 WESNET Second National Survey on Technology abuse and domestic violence in Australia https://wesnet.org.a[...] 2022-03-04
[3] 웹사이트 Controlling or Coercive Behaviour in an Intimate or Family Relationship Statutory Guidance Framework https://assets.publi[...] 2022-06-17
[4] 서적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domestic viole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04-06
[5] 서적 Health and human rights in a changing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논문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www.nejm.org/[...] 2024-02-07
[7] 논문 Screening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Elder Abuse, and Abuse of Vulnerable Adul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Final Recommendation Statement 2018-10-23
[8] 웹사이트 Violence against women https://www.who.int/[...] 2022-07-25
[9] 논문 Partner abuse worldwide http://www.domesticv[...] 2013-01-00
[10] 서적 The Marriage and Family Experience: Intimate Relationships in a Changing Societ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02-16
[11] 서적 Kidnapping: An Investigator's Guide https://books.google[...] Newnes 2013-07-11
[12] 논문 Stay with or Leave the Abuser? The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Decision on Attributions Made by Young Adults
[13] 웹사이트 Child marriages: 39,000 every day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4-11
[14] 논문 Traumatic bond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attachments in battered women and other relationships of intermittent abuse https://www.research[...] 2018-07-31
[15] 논문 Caregiver traumatization adversely impacts young children's mental representations on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2007-00-00
[16] 웹사이트 National Women's Aid Federation https://web.archive.[...] 2012-01-13
[17] 웹사이트 House of Commons Sitting (1973) https://web.archive.[...] 2012-10-24
[18] 뉴스 Domestic violence in the Times: From civil unrest to spouse abuse https://www.nytimes.[...] 2016-03-26
[19] 웹사이트 The federalist papers: no. 43 The same subject continued (The powers conferred by the constitution further considered) http://avalon.law.ya[...] 2016-03-26
[20] 서적 The History of the Great Riots: The Strikes and Riots on the Various Railroads of the United States and in the Mining Regions Together with a Full History of the Molly Maguires https://archive.org/[...] National Publishing Company
[21] 논문 The criminal justice system's response to battering: understanding the problem, forging the solutions https://heinonline.o[...] 1985-04-00
[22] 서적 Domestic violence: a handbook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5-27
[23] 간행물 The 1996 British Crime Survey England & Wales http://rds.homeoffic[...] 1996-09-24
[24] 웹사이트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CETS No. 210) https://conventions.[...] Council of Europe 2013-09-08
[25] Directive L_2012315EN.01005701.XML https://eur-lex.euro[...] EUR-Lex 2024-02-07
[26] 웹사이트 San Diego Domestic Violence Attorney https://www.ramoscri[...] George H. Ramos Jr. 2014-01-24
[27] 웹사이트 Domestic Abuse & Violence Support in UK https://www.ncdv.org[...] 2020-05-22
[28] 서적 Family violence: legal, medical, and social perspectives Pearson
[29] 서적 World report on violence and health https://archive.org/[...] World Health Organization
[30] 서적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31] 서적 Violence in gay and lesbian domestic partnerships https://archive.org/[...] Harrington Park Press
[32] 논문 Research on domestic violence in the 1990s: making distinctions https://dergipark.or[...] 2023-07-09
[33] 웹사이트 Child maltreatmen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08-22
[34] 웹사이트 Elder abus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08-22
[35] 웹사이트 85th plenary session: declaration on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2013-09-08
[36] 백과사전 Domestic violence https://www.britanni[...] 2011-10-31
[37] 서적 Feminists negotiate the state: the politics of domestic violenc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8] 학술지 The American Revolution, Wife Beating, and the Emergent Value of Privac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39] 웹사이트 The Massachusetts Body of Liberties (1641) https://history.hano[...] Hanover Historical Texts Project, History Department, Hanover College
[40] 백과사전 Domestic violence https://www.britanni[...] 2011-10-31
[41] 서적 Heroes of their own lives: the politics and history of family violence (Boston, 1880–1960)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2] 서적 Women in the United States, 1830–1945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43] 학술지 Criminal approaches to family violence, 1640-1980 1989
[44] 웹사이트 Invisible Bars: Adapting the Crime of False Imprisonment to Better Address Coercive Control and Domestic Violence in Tennessee https://vanderbiltla[...] 2018-03-14
[45] 학술지 Wife beating in nineteenth-century America 1979
[46] 서적 Gender and crime in modern Europe Routledge
[47] 서적 Criminal Law Reports: Being Reports of Cases Determined in the Federal and State Courts of the United States, and in the Courts of England, Ireland, Canada, Etc. with Notes, Volume 2 https://books.google[...] Hurd and Houghton, 1874–1875
[48] 학술지 Judicial Patriarchy and Domestic Violence: A Challenge to the Conventional Family Privacy Narrative https://papers.ssrn.[...] 2015
[49] 학술지 Revisiting the rule of thumb: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wife abuse
[50]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women in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Strategies for confronting domestic violence: a resource manual https://www.unodc.or[...]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UNODC)
[52] 웹사이트 Explanatory Report to the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CETS No. 210) http://conventions.c[...] Council of Europe
[53] 뉴스 Confronting dowry-related violence in India: women at the center of justice https://www.unwomen.[...] UN Women 2012-12-24
[54] 뉴스 Thousands of women killed for family "honor"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0-10-28
[55] 서적 Cruel compassion: psychiatric control of society's unwanted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56] 서적 Childism: Confronting Prejudice Against Children Yale University Press 2012
[57] 서적 Domestic violence: a handbook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s://books.google[...] Routledge
[58] 학술지 Domestic violence screening: prevalence and outcomes in a Canadian HIV population 2010-12
[59] 웹사이트 Crimes https://womenslaw.or[...] National Network to End Domestic Violence, Inc.
[60] 웹사이트 About domestic violence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Justice
[61] 웹사이트 About family violence https://web.archive.[...] Canadian Department of Justice 2001-10-15
[62] 서적 Coercive Control:How Men Entrap Women in Personal Lif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7-04-16
[63]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Domestic Violence Campaign https://www.coe.int/[...] Council of Europe
[64] 웹사이트 Home page https://web.archive.[...] Arizona Coalition Against Domestic Violence
[65] 학술지 A systematic review of the epidemiology of nonfatal strangulation, a human rights and health concern 2014-11
[66] 웹사이트 The impact of strangulation crimes https://www.strangul[...] Training institute on strangulation prevention
[67] 뉴스 States cracking down on strangulation attempts https://web.archive.[...] Gannett Company 2012-05-13
[68] 서적 Death by domestic violence: preventing the murders and murder-suicid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69] 웹사이트 Violence against women: fact sheet no. 239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10
[70] 학술지 The prevalence of domestic violence in pregnant women 2003-03
[71] 논문 Domestic violence and pregnancy 1997-05-03
[72] 서적 Family law: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3] 논문 Acid attacks: Bangladesh's efforts to stop the violence https://hhpronline.o[...] 2002-03-01
[74] 서적 Violence against women in Asian societies Routledge Curzon
[75] 뉴스 Bangladesh combats an acid onslaught against women https://archives.cnn[...] 2000-11-11
[76] 서적 Encyclopaedia of Muslim world Anmol Publications
[77] 논문 Psychosocial outcomes derived from an acid burned population in Bangladesh, and comparison with Western norms 2005-08-01
[78] 웹사이트 Combating Acid Violence in Bangladesh, India and Cambodia http://www2.ohchr.or[...] Avon Global Center for Women and Justice at Cornell Law School and the New York City Bar Association 2011-01-01
[79] 웹사이트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violence against women: femicide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01-01
[80] 웹사이트 International domestic violence issues https://www.sanctuar[...] Sanctuary for Families 2008-10-15
[81] 웹사이트 Item 12 – Integration of the human rights of women and the gender perspective: violence against women and "honor" crime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1-04-06
[82] 서적 Honor killing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83] 웹사이트 Health questions: does a woman always bleed when she has sex for the first time? https://www.nhs.uk/c[...] NHS
[84] 뉴스 Searching for freedom, chained by the law https://www.washingt[...] Nash Holdings 2008-08-20
[85] 뉴스 Afghanistan sees rise in 'dancing boys' exploitation https://www.e-ariana[...] Nash Holdings 2012-09-09
[86] 웹사이트 Afghanistan https://www.aidsport[...] AIDSPortal
[87] 웹사이트 Iran: country specific information https://travel.stat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8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Human Rights Website – Treaty Bodies Database – Document – Summary Record – Kuwait https://www.unhchr.c[...] United Nations 1999-04-14
[89] 웹사이트 Culture of Maldives https://www.everycul[...] Every Culture
[90] 뉴스 Morocco: Should pre-marital sex be legal? https://www.bbc.co.u[...] BBC 2012-08-09
[91] 웹사이트 Legislation of Interpol member states on sexual offences against children: Oman, Muscat https://www.interpol[...] Interpol 2006-03-01
[92] 웹사이트 2010 Human Rights Report: Mauritania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1-04-08
[93] 웹사이트 Education in Dubai https://www.dubaifaq[...] Dubaifaqs.com
[94] 뉴스 Briton faces jail for sex on Dubai beach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Print Limited 2008-07-10
[95] 뉴스 "Sex outside of marriage is a criminal offense here," PH ambassador to Qatar warns Pinoys https://www.spot.ph/[...] 2011-09-12
[96] 뉴스 Sudan must rewrite rape laws to protect victims https://www.reuters.[...] 2007-06-28
[97] 웹사이트 Women's rights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 Yemen https://www.unhcr.or[...] Freedom House 2005-10-14
[98] 논문 Bride-burning: the "elephant in the room" is out of control https://heinonline.o[...] 2005-01-01
[99] 서적 The Penguin atlas of women in the world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100]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Cutting: A Global Concern http://www.unicef.or[...] New York: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2016-02-01
[101] 웹사이트 World report on violence and health: summary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01-01
[102] 웹사이트 Sexual Violence: Definitions https://www.cdc.gov/[...]
[103] 서적 Living with paradoxes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their conduct of everyday life https://books.google[...]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 Springer Fachmedien Wiesbaden GmbH
[104] 뉴스 Ethics guide: honour crimes http://www.bbc.co.uk[...] BBC
[105] 뉴스 Libya rape victims 'face honour killings' https://www.bbc.co.u[...] BBC 2011-06-14
[106] 웹사이트 Female genital mutilatio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08-22
[107] 논문 Decision-making of the District Attorney: diverting or prosecuting intrafamilial child sexual abuse offenders 1990-10-01
[108] 뉴스 Malawians take steps to end sexual initiation of girls https://www.thestar.[...] Star Media Group 2014-01-20
[109] 간행물 ECPAT International: Confronting the commercial sexual exploitation of children in Africa http://www.ecpat.net[...] End child prostitution, child pornography & trafficking of children for sexual purposes (ECPAT) 2007-09-01
[110]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gainst Sexual Exploitation and Sexual Abuse (CETS No. 201) http://www.conventio[...] Council of Europe
[111]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Czech Republic http://www.mzv.cz/co[...] Permanent representation of the Czech Republic to the Council of Europe in Strasbourg 2014-07-17
[112] 웹사이트 1 in 4 callers to the National Domestic Violence Hotline report birth control sabotage and pregnancy coercion https://www.thehotli[...] National Domestic Violence Hotline 2011-02-15
[113] 웹사이트 Medscape: Medscape Access https://www.medscape[...]
[114] 논문 Reproductive coercion: connecting the dots between partner violence and unintended pregnancy 2010-06-01
[115] 논문 Women's fears and men's anxieties: the impact of family planning on gender relations in northern Ghana 1999-03-01
[116] 서적 Guidelines for medico-legal care f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17] 서적 Sexual violence World Health Organization
[118] 논문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Attitudes towards Wife-Beating among Men and Women in Seven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http://www.bioline.o[...]
[119] 웹사이트 Forced sexual relations among married young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www.popcounc[...] Population Council 2004-06-01
[120] 서적 Violence against girls and women: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Praeger, An Imprint of ABC-CLIO, LLC
[121] 서적 Violence against girls and women: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Praeger, An Imprint of ABC-CLIO, LLC
[122] 서적 Family law: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3] 뉴스 Lebanese women take on Muslim judges who call rape a 'marital right' https://edition.cnn.[...] 2014-02-18
[124] Submitted manuscript Contest and consent: a legal history of marital rape https://chicagounbou[...] 2000-10-01
[125] 간행물 Ending violence against women: from words to action: study of the Secretary-General https://www.un.org/w[...] United Nations
[126] 웹사이트 The Convention of Belém do Pará and the Istanbul convention: a response to violence against women worldwide https://www.oas.org/[...]
[127] 웹사이트 Article 36 – Sexual violence, including rape; and Article 43 – Application of criminal offences https://conventions.[...]
[128] 웹사이트 Chart of signatures and ratifications of Treaty 210 https://www.conventi[...] Council of Europe
[129] 논문 Defining psychological abuse of husbands toward wives: contexts, behaviors, and typologies 2000-09-01
[130] 웹사이트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CETS No. 210) http://conventions.c[...] Council of Europe
[131] 웹사이트 7 Stages of Gaslighting in a Relationship https://www.psycholo[...]
[132] 웹사이트 Coercive control https://www.womensai[...]
[133] 웹사이트 What is domestic violence? http://www.domesticv[...] National Health Service
[134] 논문 Stalking the Soul: Emotional Abuse and the Erosion of Identity
[135] 논문 Domestic violence: a primary care issue for rural women http://vawnet.org/do[...] 2002-01-01
[136] 웹사이트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on women http://faculty.inver[...] Inver Hills Community College
[137] 서적 Next time, she'll be dead: battering & how to stop it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38] 논문 Overview: the "wife-beater's wife" reconsidered 1980-11-01
[139] 서적 The gender gap in psychotherapy social realities and psychological processes Springer
[140] 뉴스 How can you tell whether you are a victim of coercive control? Here are the signs https://www.telegrap[...] 2019-02-28
[141] 웹사이트 Sentences for coercive control must reflect the severity of the crime https://web.archive.[...] 2021-03-09
[142] 논문 Development of the scale of economic abuse 2008-05
[143] 논문 Power and control dynamics in prestalking and stalking situations 2003-08
[144] 논문 Organizing for economic empowerment of battered women: women's savings accounts 2006-06
[145] 웹사이트 Economic abuse https://web.archive.[...] National Coalition Against Domestic Violence 2014-11-24
[146] 논문 Domestic violence and chronic malnutrition among women and children in India 2008-05
[147] 서적 Domestic violence: causes and cures and anger management https://books.google[...] Newman International LLC 2008
[148]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12-30
[149] 서적 An introduction to Forensic Psychology: Research and Application SAGE Publications
[150] 서적 Forensic Psychology Pearson
[151] 서적 Why does he do that? Inside the minds of angry and controlling men Berkley Books
[152] 서적 Violence and Society SAGE Publications
[153] 서적 Violence and Society SAGE Publications
[154] 논문 Offending Competency and coercive control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155] 서적 Are You Listening? Life Is Talking to You! Balboa Press
[156]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multigenerational legacies of trauma https://books.google[...] Plenum Press
[157] 간행물 The effect of family structure on family violence: the case of remarriage
[158] 논문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rital aggression 1984-02
[159] 논문 Continuity of marital behavior in remarriage: the case of spouse abuse 1986-02
[160] 서적 Report on Physical Punishment in the United States: What Research Tells Us About Its Effects on Children https://web.archive.[...] Center for Effective Discipline 2008
[161] 논문 Guidance for effective discipline 1998-04
[162] 논문 Physical punishment of children: lessons from 20 years of research 2012-09-04
[163] 논문 Physical Punishment, Culture, and Rights: Current Issues for Professionals https://www.research[...] 2008-03
[164] 서적 Integrating ecofeminism, globalization, and world religion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65] 간행물 Violence is not just a family affair: women face abuse in Tajikistan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9-11-24
[166] 논문 Psychophysiological correlates of aggression and violence: an integrative review 2008-08
[167] 논문 Juvenile delinquency and adult aggression against women http://scholars.wlu.[...] Wilfrid Laurier University 1996
[168] 논문 Personality correlates of men who abuse their partners: a cross-validation study 1986-12
[169] 논문 Personality correlates of men who batter and nonviolent men: some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1991-06
[170] 논문 The prevalence of personality disorder among wife assaulters 1993-12
[171] 논문 Patriarchy and wife assault: the ecological fallacy 1994
[172] 서적 The batterer: a psychological profile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73] 논문 Borderline personality in perpetra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abuse 1993
[174] 서적 Intimate violence in families Sage
[175] 서적 The battered chil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6] 서적 Behind closed doors: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Anchor Press/Doubleday
[177] 학술지 The evolutionary psychology of violence http://www.psicothem[...] 2010-01-01
[178] 뉴스 'Honour' crime defiance in Turkey http://news.bbc.co.u[...] BBC 2005-10-19
[179] 학술지 From vigilance to violence: Mate retention tactics in married couples
[180] 웹사이트 Norway: treatment program for men who batters http://www.europrofe[...] Violence in intimate relationships Norway: EuroPROFEM – The European Men Profeminist Network,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181] 학술지 An analysis of risk markers in husband to wife violence: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1986-01-01
[182] 학술지 Family of origin violence and MCMI-II psychopathology, among partner assaultive men 1993-01-01
[183] 학술지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ggression across three generations 1994-06-01
[184] 학술지 Force and violence in the family 1971-11-01
[185] 서적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risk factors and adaptations to violence in 8,145 families https://archive.org/[...] Transaction Publishers
[186] 서적 Domestic violence: the changing criminal justice response https://archive.org/[...] Auburn House
[187] 서적 Family violence: legal, medical, and social perspectives Pearson
[188] 웹사이트 Power and control wheel http://www.theduluth[...] Domestic Abuse Intervention Project 2007-11-27
[189] 학술지 Motivations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Men and Women Arrested for Domestic Violence and Court Referred to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s
[190] 학술지 Socialization and stress explanations for spouse abuse 1988-12-01
[191] 학술지 Social stress: theory and research 1992-08-01
[192] 학술지 Intimate partner violence: causes and prevention 2002-04-20
[193] 학술지 Same-sex Intimate partner violence: dynamics, social context, and counseling implications https://libres.uncg.[...] 2007-01-01
[194] 웹사이트 Violence wheel http://www.domesticv[...] Domestic Abuse Violence Project (aka Duluth Model) 2014-04-18
[195] 서적 Why does he do that?: Inside the minds of angry and controlling men https://archive.org/[...] Berkley Books
[196] 서적 Coordinating Community Responses to Domestic Violence: Lessons from Duluth and Beyond Sage 1999
[197] 웹사이트 Power and control wheel http://www.ncdsv.org[...] National Center on Domestic and Sexual Violence 2011-11-18
[198] 뉴스 How can domestic abuse be stopped? http://www.chicagotr[...] Tribune Publishing 2009-01-02
[199] 학술지 Current Controversies within Intimate Partner Violence: Overlooking Bidirectional Violence
[200] 학술지 Beyond Duluth: A Broad Spectrum of Treatmentfor a Broad Spectrum Domestic Violence
[201] 학술지 Differences in frequency of violence and reported injury between relationships with reciprocal and nonreciprocal intimate partner violence 2007-05-01
[202] 학회 Dominance and symmetry in partner violence b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32 nations http://pubpages.unh.[...] New York University 2006-05-23
[203] 학술지 The Duluth model: A data-impervious paradigm and a failed strategy
[204] 참고자료 Bartlett et al.
[205] 참고자료 Bartlett et al.
[206] 참고자료 Feminism Unmodified: Discourses on Life and Law Harvard University Press
[207] 참고자료 Special Report: Intimate Partner Violence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2000-05-01
[208] 참고자료 The Culture of Battering and the Role of Mediation in Domestic Violence Cases
[209] 참고자료 Bartlett et al.
[210] 참고자료 Legal Images of Battered Women: Redefining the Issue of Separation https://repository.l[...]
[211]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s://cyber.harvar[...] 2022-05-05
[212] 서적 Bartlett et al.
[213] 논문 Mandatory Arrest: Past Its Prime http://digitalcommon[...] 2009-01-01
[214] 웹사이트 Feminist Jurisprudence https://www.law.corn[...] 2022-05-05
[215] 백과사전 American Cancer Society 2016
[216] 논문 Childhood experiences of companion animal abuse and its co-occurrence with domestic abuse: Evidence from a national youth survey in Norway
[217] Report Yemen's dark sid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https://www.amnesty.[...] 2009-11-25
[218] 서적 Violence against women in families and relationships, Volume IV: the media and cultural attitudes https://archive.org/[...] Praeger/ABC-CLIO
[219] 뉴스 Many Jordan teenagers 'support honour killings' https://www.bbc.co.u[...] BBC 2013-06-20
[220] 뉴스 10 reasons why India has a sexual violence problem https://www.washingt[...] Nash Holdings LLC 2012-12-29
[221] 보고서 Monitoring the Situation of Women & Children https://cso.gov.af/C[...] Central Statistics Organisation, UNICEF 2013-01-01
[222] 보고서 Monitoring the situation of women & children: Afghanistan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10–2011 https://web.archive.[...] Central Statistics Organisation, UNICEF 2013-01-01
[223] 뉴스 Seven women die in EU each day due to domestic violence http://www.novinite.[...] One Click Media Group 2014-03-08
[224] 웹사이트 Taking a stand against practices that harm women http://web.lb.unfpa.[...]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5-04-01
[225] 뉴스 Colombia sigue legitimando la violencia contra la mujer http://www.elespecta[...] Fidel Cano Correa 2015-03-05
[226] 보고서 Special Eurobarometer 344: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https://open-data.eu[...] European Commission 2010-09-01
[227] 논문 Blame, shame, and community: Justice responses to violence against women. 2000-11-01
[228] 논문 Framing Domestic Violence Fatalities: Coverage by Utah Newspapers 2010-11-11
[229] 서적 Responding to domestic violence: the integration of criminal justice and human service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Inc
[230] 논문 Review of Honour, Violence, Women and Islam; Women, Islam and Everyday Life: Renegotiating Polygamy in Indonesia https://www.jstor.or[...] 2012-01-01
[231] 뉴스 Thousands of women killed for family "honor" https://web.archive.[...] 2002-02-12
[232] 웹사이트 Home page https://web.archive.[...] Sanctuary for Families
[233] 보고서 Religion, culture and the politicization of honour-related violence: a critical analysis of media and policy debates in Western Europe and North America http://www.unrisd.or[...]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234] 논문 Patriarchy and domestic violence: Challenging common misconceptions. https://mlhlsi.infin[...] 2007-09-01
[235] 논문 Religious Involvement and Domestic Violence Among U.S. Couples https://onlinelibrar[...] 2001-01-01
[236] 논문 Are There Religious Variations in Domestic Violence? https://doi.org/10.1[...] 1999-01-01
[237]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https://www.foryourm[...]
[238]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in Jewish Law https://www.myjewish[...]
[239] 보고서 Harmful traditional practices in three counties of South Asia: culture, human rights and violence against women http://www.unescap.o[...]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2012-11-01
[240] 보고서 Tradition and violence against women http://eige.europa.e[...] Federal Chancellery of Austria 2009-03-01
[241] 보고서 Addressing harmful traditions in a refugee camp in Chad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08-11-12
[242] 뉴스 Domestic violence is widely accepted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new study reveals www.sciencedaily.com[...] ScienceDaily 2021-05-29
[243] 논문 Violence against Women in Arab and Islamic Countries 2003-01-01
[244] 보고서 Policy paralysis: a call for action on HIV/AIDS-related human rights abuses against women and girls in Afric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3-12-01
[245] 법률 Proclamation No. 414/2004: The criminal code of the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https://www.icrc.org[...] Federal Democratic Republic of Ethiopia 2004-01-01
[246] 웹사이트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CETS No. 210) http://www.conventio[...] Council of Europe 2015-08-22
[247] 간행물 Handbook on effective police responses to violence against women http://www.unodc.org[...]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248] 서적 Cities and citizenship at the U.S.-Mexico border: the Paso del Norte metropolitan region Palgrave Macmillan
[249] 웹사이트 Why do some people still think domestic violence is justified? http://www.theguardi[...] 2015-01-21
[250] 논문 Explaining trends and patterns in attitudes towards wife-beating among women in Nigeria: analysis of 2003, 2008, and 2013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data 2016-12-06
[251] 논문 Understanding women's attitudes towards wife beating in Zimbabwe https://www.who.int/[...] 2003
[252] 웹사이트 APC infographic 2_youth dashboard 11.17.14 https://www.advancin[...]
[253] 웹사이트 Ethics guide: forced marriage: introduction http://www.bbc.co.uk[...] BBC
[254] 웹사이트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contemporary forms of slavery, including its causes and consequences: thematic report on servile marriage http://ap.ohchr.org/[...]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255] 웹사이트 Q&A: child marriage and violations of girls' right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3-06-14
[256] 웹사이트 Ethics guide: forced marriage http://www.bbc.co.uk[...] BBC
[257] 서적 Bride-price and domestic violence in Timor-Leste: a comparative study of married-in and married-out cultures in four districts http://countryoffic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2-09-01
[258] 서적 Bride-price, poverty and domestic violence in Uganda University of Bristol, University of Warwick, and The MIFUMI Project 2009-07-01
[259] 논문 Bride-price and its links to domestic violence and poverty in Uganda: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tudy 2011-11-01
[260] 웹사이트 Marrying too young: end child marriage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61] 웹사이트 Women and girls: sexual and reproductive rights under threat worldwide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4-03-06
[262] 서적 Gender, equity, human rights: gender based violenc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63] 웹사이트 Statement by the United Nations Working Group on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law and in practice http://www.ohchr.org[...]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2-10-18
[264] 웹사이트 Decriminalization of adultery and defenses http://www.endvawnow[...] Virtual Knowledge Centre to End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UN Women
[265] 웹사이트 15 Countries Where Domestic Violence Is Legal https://www.thecleve[...] 2017-05-26
[266] 웹사이트 These 20 Countries Have No Law Against Domestic Violence https://www.huffpost[...] 2014-03-08
[267] 웹사이트 Iraq: Urgent Need for Domestic Violence Law https://www.hrw.org/[...] 2020-04-22
[268] 웹사이트 High Commissioner speaks out against domestic violence and "honour killing" on occasion of International Women's Day http://www.ohchr.org[...]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0-03-08
[269] 웹사이트 Uzbekistan: Sacrificing women to save the family? Domestic violence in Uzbekista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1-07-01
[270]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in Australia—an overview of the issues http://www.aph.gov.a[...] Parliament of Australia 2011-11-22
[271] 웹사이트 Family Violence Act 2008 http://www.legislati[...] legislation.vic.gov.au
[272] 서적 'Honour' Killing and Violence Palgrave Macmillan 2014
[273] 뉴스 Abuse going unreported in Britain's south Asian communities – study https://www.theguard[...] 2015-09-19
[274] 논문 Speaking about sexual abuse in British South Asian communities: offenders, victims and the challenges of shame and reintegration https://hull-reposit[...] 2015-01-01
[275] 간행물 Family violence in migrant women in Australia: strategies for migrant men to reduce the violence 2013-05-01
[276] 서적 Against violence against women: the case for gender as a protected class Palgrave Macmillan
[277] 웹사이트 Egypt: divorced from justice: women's unequal access to divorce in Egypt: VI. Condemning women to a life of violenc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4-12-01
[278] 서적 Violence against women: a statistical overview, challenges and gaps in data collection and methodology and approaches for overcoming them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UN Division for the Advancement of Women, UN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04-01
[279] 웹사이트 Statement by Ms. Rashida Manjoo, Special Rapporteur on violence against women, its cause and consequences https://www.un.org/w[...] UN Women 2012-02-01
[280] 서적 Women, families, and feminist politics: a global exploration Taylor & Francis 1998-09-01
[281] 뉴스 Thousands of women killed for family "honor"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2-02-12
[282] 웹사이트 FAQ: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honour based violence (HBV) and honour killings http://hbv-awareness[...] Honour Based Violence Awareness (HBVA)
[283] 서적 Protecting the girl child: using the law to end child, early and forced marriage and related human rights violations http://www.equalityn[...] Equality Now 2014-01-01
[284] 서적 Child protection in the Somali region of Ethiopia http://www.savethech[...] Save the Children 2011-04-01
[285] 간행물 Encyclopedia of women in today's world, volume 1 Sage Reference
[286] 뉴스 The domestic violence victims 'left begging for a home' https://www.bbc.co.u[...] BBC
[287] 뉴스 The safehouse for women and pets to flee abuse https://www.bbc.co.u[...] BBC
[288] 뉴스 Editorial opinion: Canadian immigration changes force women to stay with sponsoring spouse for two years https://www.thestar.[...] Star Media Group, Torstar 2012-12-05
[289]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victims must not be trapped by deportation fears http://www.immigrant[...] The Immigrant Council of Ireland (ICI) 2013-05-01
[290] 뉴스 Australian migrants trapped in 'slave-like' marriages https://www.theguard[...] 2014-08-01
[291] 서적 Human trafficking involving marriage and partner migration to Australia http://eprints.qut.e[...] Australian Institute of Criminology
[292] 서적 Visa for hell Best Books Publications
[293] 논문 Home was not a safe haven: women's experience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during the COVID-19 lockdown in Nigeria 2021-01-20
[294] 논문 COVID-19 and Violence Against Women and Girls 2020-07-30
[295] 논문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in the precipitation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2020-07-01
[296] 웹사이트 Lockdowns around the world bring rise in domestic violence http://www.theguardi[...] 2020-03-28
[297] 논문 Spousal Violence in the Era of Covid-19 Lockdown: The Implication of Socioeconomic Distress and Contextual Factors http://dx.doi.org/10[...] 2020-09-15
[298] 웹사이트 The impact of COVID-19 on women and children experiencing domestic abuse, and the life-saving services that support them https://www.womensai[...] 2020-03-17
[299] 논문 Family violence and COVID-19: Increased vulnerability and reduced options for support 2020-05-07
[300] 논문 The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 decade of responding to violence against women 1997-07-01
[301] 논문 Domestic violence: risk factors and outcomes 1991-08-01
[302] 서적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the United States — 2010 https://www.cdc.gov/[...]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303] 서적 The effects of childhood stress on health across the lifespan http://health-equity[...] National Center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304] 논문 Somatic consequences of violence against women 1992-09-01
[305] 웹사이트 Data: AIDSinfo http://www.unaids.or[...] UNAIDS 2011-01-01
[306] 서적 Violence against women and HIV/AIDS: critical intersections: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HIV/AID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11-01
[307] 논문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HIV/STD risk among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individuals 2006-02-01
[308] 논문 Why battered women do not leave, part 2: external inhibiting factors — social support and internal inhibiting factors 2001-01-01
[309] 논문 Distress and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bused women 1995-01-01
[310] 논문 Distorted maternal mental representations and atypical behavior in a clinical sample of violence-exposed mothers and their toddlers 2008-06-01
[311] 논문 The Dynamics of Abusive Relationships https://doi.org/10.1[...] 2024-01-01
[312]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and housing https://www.stopvaw.[...] Stop Violence Against Women: a project of the Advocates for Human Rights 2013-08-01
[313]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and homelessness https://www.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Women's Rights Project 2007-01-01
[314] 논문 Occupational therapy with women and children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are we fulfilling our activist heritage?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07-05-01
[315] 논문 Employment skills and domestic violence survivors: a shelter-based intervention 2006-04-01
[316] 논문 Therapeutic groupwork with young children and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abuse 2009-03-00
[317] 웹사이트 Preventing and mitigating the effects of childhood violence and trauma (based on an interview with Carl C. Bell, MD) https://innovations.[...]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3-04-17
[318] 논문 Prevalence and Effects of Child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https://repository.u[...] 2020-05-10
[319] 웹사이트 Long-term expressive therapy and caregiver support improves emotional health of low-income children affected by trauma https://innovations.[...]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3-10-24
[320] 논문 An ounce of prevention: the life stories and perceptions of men who sexually offended against children http://scholars.wlu.[...] Wilfrid Laurier University 1994-00-00
[321] 논문 Women's abuse of their children in the context on domestic violence: reflection from women's accounts http://web.mit.edu/e[...] 2010-02-00
[322]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statistics & facts http://www.safehoriz[...] Safe Horizon
[323] 논문 Children who witness mother-assault: an expan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ceptualization http://scholars.wlu.[...] Wilfrid Laurier University 1995-00-00
[324] 논문 The relationship of violent fathers, posttraumatically stressed mothers and symptomatic children in a preschool-age inner-city pediatrics clinic sample 2011-12-00
[325] 논문 When officers die: understanding deadly domestic violence calls for service http://www.policechi[...] 2011-05-00
[326] 서적 Domestic violence: the criminal justice response https://books.google[...] SAGE
[327] 논문 Exploring the counselor's experience of working with perpetrators and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2000-04-00
[328] 논문 Violence against women: global scope and magnitude 2002-04-06
[329]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Risk Factors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2012-04-00
[330] 논문 The Global Prevalence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gainst Women 2013-06-20
[331] 서적 Crime Victims: An Introduction to Victimolog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5-04-13
[332] 서적 Ecologist-Developed Spatially-Explicit Dynamic Landscape Model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04-14
[333] 서적 Translating pain into action: a study of gender-based violence and minority ethnic women in Ireland https://books.google[...] The Women's Health Council
[334] 웹사이트 Fast Facts: Prevent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s://www.cdc.gov/[...] 2023-07-23
[335] 웹사이트 Statistics on Male Victims of Domestic Abuse https://mankind.org.[...]
[33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crime-violent-offences, Victims of serious assault, Intimate partner or family member https://dataunodc.un[...]
[337]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self-report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 review http://hub.hku.hk/bi[...] 2011-03-00
[338]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ending violence against women http://www.unwomen.o[...] UN Women 2014-10-00
[339] 뉴스 Domestic call 'every 23 minutes' http://news.bbc.co.u[...] BBC 2009-03-24
[340] 서적 Homicides, Firearm Offences and Intimate Violence, 2010/2011: Supplementary Volume 2 to Crime in England and Wales, 2010/2011 Home Office 2011-00-00
[341] 서적 Domestic Abuse of Women and Men in Ireland: Report on the National Study of Domestic Abuse http://www.crimecoun[...] National Crime Council of Ireland 2005-00-00
[342] 논문 Barriers to Men's Help Seeking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2022-10-00
[343] 서적 Manual of Forensic Emergency Medicin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009-07-01
[344] 서적 Encyclopedia of Domestic Violence and Abus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7-16
[345] 서적 Criminal Investigation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01-01
[346] 간행물 Intimate partner abuse against men http://www.phac-aspc[...] National Clearinghouse on Family Violence
[347] 논문 COVID – 19 and Surge in Domestic Violence Cases https://www.ijlmh.co[...]
[348] 웹사이트 Measur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A Multi-Study Investigation of Gender Patterns https://www.research[...] 2014-05-28
[349] 논문 Measuring violence, mainstreaming gender; does adding harm make a difference?
[350] 논문 On defining violence, and why it matters https://www.research[...] 2017-04-01
[351] 논문 Gender symmetry in the self-reporting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hub.hku.hk/bi[...] 2012-01-01
[352] 서적 Challenging global gender violence: the global clothesline project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353] 서적 Sociology https://books.google[...] Boundless
[354] 서적 Handbook of gender research in psych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0
[355] 논문 A Review of Research on Women's Use of Violence With Male Intimate Partners 2008
[356] 논문 Why Do Women Use Intimate Partner Violence? A Systematic Review of Women's Motivations 2010
[357] 서적 Current Controversies on Family Violence https://books.google[...] SAGE 2005
[358] 논문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Women's Use of Nonlethal Violence in Intimate Heterosexual Relationships 2002-11-01
[359] 논문 Why Do Women Use Intimate Partner Violence? A Systematic Review of Women's Motivations 2010-10-01
[360] 논문 Gender symmetry and mutuality in perpetration of clinical-level partner violence: Empirical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361] 논문 The Gender Debate About Intimate Partner Violence: Solutions and Dead Ends https://www.research[...] 2009-03-01
[362] 논문 Perceptions of Female Offenders: Chapter 10: The Partner Abuse State of Knowledge Project: Implications for Law Enforcement Responses to Domestic Violence https://www.research[...]
[363] 서적 Current Controversies on Family Violence SAGE
[364] 논문 The gender debate about intimate partner violence: solutions and dead ends 2009
[365] 서적 Coercive Control: How Men Entrap Women in Personal Lif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3-01
[366] 논문 Trauma Bonding and Interpersonal Violence https://digital.usfs[...] 2013-01-01
[367] 서적 Rosen's Emergency Medicine - Concepts and Clinical Practice E-Book: 2-Volume Set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6-03-01
[368]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Divorc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6-03-01
[369]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outcomes
[370] 논문 Men's and women's use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clinical samples: toward a gender-sensitive analysis 2005-04-01
[371] 서적 When Men Batter Women: New Insights Into Ending Abusive Relationships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98
[372] 논문 Partner abuse worldwide http://domesticviole[...] 2013-01-01
[373] 뉴스 Court in UAE says beating wife, child OK if no marks are left http://edition.cnn.c[...] 2010-10-19
[374] 웹사이트 Attitudes towards wife beating: percentage of women aged 15–49 who think that a husband/partner is justified in hitting or beating his wife/partner under certain circumstances https://www.childinf[...] Childinfo: monitoring the situation of children and women
[375] 웹사이트 Home page https://www.measured[...] Measure DHS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s): Quality information to plan, monitor and improve population, health, and nutrition programs 2013-04-04
[376] 간행물 Tajikistan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05, final report http://www.childinfo[...] State Committee on Statistics of the Republic of Takistan 2007
[377] 웹사이트 Gender-based violence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378] 서적 Violence and gender reexamined.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79] 웹사이트 No-drop prosecution of domestic violence: just good policy, or equal protection mandate? http://www.thefreeli[...] Farlex
[380] 서적 Encyclopedia of Crime and Justice http://www.encyclope[...] Gale Group 2002
[381] 서적 Clinical manual of prevention in mental health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382] 서적 Essentials of sociology https://books.google[...] Wadsworth Cengage Learning
[383] 서적 UNFPA strategy and framework for action to addressing gender-based violence 2008–2011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384] 웹사이트 Multilateral treaties: Inter-American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punishment and eradic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Convention of Belém do Pará" http://www.oas.org/j[...] Department of International Law,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385] 웹사이트 Protocol to the African charter on human and peoples' rights on the rights of women in Africa http://www.achpr.org[...] African Commission on Human and Peoples' Rights 2003-07-11
[386] 웹사이트 Opuz v. Turkey http://hudoc.echr.co[...]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2015-08-22
[387] 웹사이트 Opuz v. Turkey http://www.interight[...] INTERIGHTS: International Centre for the Legal Protection of Human Rights 2015-08-22
[388] 논문 Ending violence against women https://www.k4health[...] 1999-00-00
[389] 웹사이트 San Diego Domestic Violence Attorney http://www.gedulinla[...] George Gedulin 2016-08-25
[390] 논문 Racial and Ethnic Differences in Homicides of Adult Women and the Role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 United States, 2003–2014 2017-00-00
[391] 간행물 Femicide: a global problem — research note 14 http://www.smallarms[...] 2012-02-00
[392] 서적 Men, Masculinities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0-00
[393]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against men: know the signs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4-04-13
[394] 뉴스 Help domestic abuse victims for 35 years http://www.delcotime[...] 21st Century Media 2014-04-11
[395] 논문 Domestic violence against men in India: a perspective 2012-03-00
[396] 논문 Does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reat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assault offenders leniently? https://richardfelso[...] 2007-09-00
[397] 논문 Intimate partner violence: the role of suspect gender in prosecutorial decision-making http://cj-resources.[...] 2007-09-00
[398] 웹사이트 Child to Parent Violence Services https://www.pac-uk.o[...]
[399] 웹사이트 Growing levels of concern from parents and carers experiencing aggression from their children http://www.familyliv[...]
[400] 웹사이트 When family life hurts: Family experience of aggression in children - Parentline plus 31 October 2010 http://www.familyliv[...]
[401] 웹사이트 Responding to 'parent abuse' https://thepsycholog[...]
[402] 논문 Individual, family, and culture level contributions to child physical abuse and neglect: A longitudinal study in nine countries 2015-11-00
[403] 서적 Handbook of adolescent health psych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404] 서적 Intimate partner violence: a health-based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05] 논문 Female perpetration of violence in heterosexual intimate relationships: adolescence through adulthood 2008-10-00
[406] 서적 Handbook of violen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07] 간행물 Self-Report Measures That Do Not Produce Gender Parity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A Multi-Study Investigation https://www.research[...] 2014-01-00
[408] 서적 The psychology of teen violence and victimization, volume 1, Part III. Teen violence by family and mates Praeger
[409] 서적 The psychology of teen violence and victimization, volume 2, Part I. Impact of teen violence on adolescents, family, and peers Praeger
[410] 보고서 Gender Patterns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Results from 33 Campus Climate Surveys Based on the Partner Victimization Scale https://www.research[...]
[411] 웹사이트 States with full abolition https://www.endcorpo[...] Global Initiative to End All Corporal Punishment of Children 2015-03-00
[412] 웹사이트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Child Abuse http://www.vawnet.or[...] Prevent Child Abuse America 1996-09-00
[413] 서적 Family Violence Against Children: A Challenge for Society Walter de Gruyter 1996-00-00
[414] 웹사이트 Countdown to universal prohibition https://endcorporalp[...] End Violence Against Children 2018-01-29
[415] 논문 Partner abuse in gay male relationships: challenging 'we are family' http://scholars.wlu.[...] Wilfrid Laurier University 2000-00-00
[416] 서적 Encyclopedia of gender and society, Volume 1 https://books.google[...] SAGE
[417] 논문 Violence in lesbian and gay relationships: theory, prevalence, and correlational factors 1999-08-00
[418] 보고서 National Intimate Partner and Sexual Violence Survey: An overview of 2010 findings on victimization by sexual orientation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01-00
[419] 논문 Intimate partner violence: IPV in the LGBT community http://www.aafp.org/[...] 2013-09-00
[420] 논문 Antecedent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mong gay and bisexual men 2014-00-00
[421] 서적 Crime victims: an introduction to victimolog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422] 서적 Interpersonal violence in the African-American community evidence-based prevention and treatment practices https://books.google[...] Springer
[423] 학술지 Sexual orientation and demographic, cultu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mong Hispanic men 2013-02-01
[424] 뉴스 Where is it illegal to be gay? https://www.bbc.com/[...] BBC 2014-02-10
[425] 학술지 Queer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LGBT access to domestic violence remedies http://digitalcommon[...] 2013-01-01
[426] 서적 At the end of the rainbow: a report on gay male domestic violence and abuse http://www.mincava.u[...] Minnesota Center Against Violence and Abuse 1997-01-01
[427] 웹사이트 Same-sex abuse https://www.womensla[...] National Network to End Domestic Violence, Inc.
[428] 서적 Danger to police in domestic disturbances—a new look https://www.ncjrs.go[...]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US Department of Justice 1986-01-01
[429] 학술지 Domestic disturbance danger rate https://www.ncjrs.go[...] 1990-12-01
[430] 학술지 A qualitative analysis of how physicians with expertise in domestic violence approach the identification of victims 1999-01-01
[431] 학술지 A qualitative analysis of how physicians with expertise in domestic violence approach the identification of victims 2004-01-01
[432] 학술지 Incidence, explanations, and treatment of partner violence 2003-01-01
[433] 학술지 Commentary on Websdale: lethality assessment approaches: reflections on their use and ways forward 2005-09-01
[434] 학술지 Safety planning based on lethality assessment for partners of batterers in intervention programs 2001-09-01
[435] 서적 The psychology of criminal conduct Anderson Publishing
[436] 학술지 Relative importance of emotional dysregulation, hostility, and impulsiveness in predict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perpetrated by men in alcohol treatment 2013-03-01
[437] 서적 Innovations in Interventions to Address Intimate Partner Violence: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
[438] 학술지 Survivor perspectives on IPV perpetrator interventions: a systematic narrative review https://pure.ulster.[...] 2015-05-01
[439] 웹사이트 app to help physicians screen for domestic abuse https://mobihealthne[...] Mobile Health News 2011-10-20
[440] 웹사이트 The R3 app and reviews https://itunes.apple[...] iTunes 2012-02-11
[441] 웹사이트 Conceptual framework https://www.d.umn.ed[...] University of Minnesota Duluth
[44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theduluth[...] Domestic Abuse Intervention Programs
[443] 서적 Preventing intimate partner and sexual violence against women: taking action and generating evidence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444] 서적 Supplement to the handbook for legislation on violence against women: "harmful practices" against women http://www.unwomen.o[...] UN Women
[445] 웹사이트 Prevent domestic violence in your community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01-01
[446] 서적 Responding to domestic abuse: a handbook for health professionals http://dh.gov.uk/en/[...] Department of Health and Social Care
[447] 웹사이트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16 https://www.un.org/r[...]
[448] 뉴스 UN, EU Launch Spotlight Initiative for Central Asia, Afghanistan to support Women https://astanatimes.[...]
[449] 웹사이트 ドメスティック・バイオレンス(DV)とは https://www.gender.g[...] 男女共同参画局
[450] 웹사이트 domestic_violence https://www.lexico.c[...]
[451] 웹사이트 ドメスティックバイオレンス https://www.msdmanua[...]
[452] 웹사이트 domestic violence https://www.britanni[...] Britannica
[453] 웹사이트 ドメスティック・バイオレンス(DV)とは https://www.gender.g[...] 男女共同参画局
[454] 서적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nd domestic viole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55] 서적 The Marriage and Family Experience: Intimate Relationships in a Changing Society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0-02-16
[456] 서적 Kidnapping: An Investigator's Guide https://books.google[...] Newnes 2013-07-11
[457] 서적 Manual of Forensic Emergency Medicin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009-07-01
[458] 서적 Encyclopedia of Domestic Violence and Abus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7-16
[459] 서적 Criminal Investigation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6-01-01
[460] 간행물 Intimate partner abuse against men http://www.phac-aspc[...] National Clearinghouse on Family Violence 2014-06-21
[461] 학술지 Stay with or Leave the Abuser? The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Decision on Attributions Made by Young Adults
[462] 웹사이트 National Women's Aid Federation http://www.womensaid[...]
[463] 웹사이트 Battered Women http://hansard.millb[...]
[464] 웹사이트 Battered Women http://hansard.millb[...]
[465] 웹사이트 本当の男女平等とは?を考える。映画「Red Pill」の上映会を開催 https://readyfor.jp/[...] READYFOR 2021-06-10
[466] 뉴스 Domestic violence in the Times: From civil unrest to spouse abuse https://www.nytimes.[...] 2014-09-10
[467] 웹사이트 The federalist papers: no. 43 The same subject continued (The powers conferred by the constitution further considered) http://avalon.law.ya[...] 2016-03-26
[468] 웹사이트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CETS No. 210) https://conventions.[...] Council of Europe 2013-09-08
[469] Directive Establishing minimum standards on the rights, support and protection of victims of crime, and replacing Council Framework Decision 2001/220/JHA http://eur-lex.europ[...] EUR-Lex 2012-10-25
[470] 웹사이트 San Diego Domestic Violence Attorney https://www.ramoscri[...] George H. Ramos Jr. 2014-01-24
[471] 서적 Family violence: legal, medical, and social perspectives Pearson
[472] 웹사이트 Domestic Abuse & Violence Support in UK https://www.ncdv.org[...] 2023-08-25
[473] 서적 World report on violence and health https://archive.org/[...] World Health Organization
[474] 서적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475] 서적 Violence in gay and lesbian domestic partnerships https://archive.org/[...] Harrington Park Press
[476] 학술지 Research on domestic violence in the 1990s: making distinctions https://dergipark.or[...] 2000-11
[477] 웹사이트 Child maltreatmen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478] 웹사이트 Elder abus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479] 서적 85th plenary session: declaration on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1993-12-20
[480] 학술지 The Abuse of Technology in Domestic Violence and Stalking http://journals.sage[...] 2017
[481] 웹사이트 WESNET Second National Survey on Technology abuse and domestic violence in Australia https://wesnet.org.a[...]
[482] 웹사이트 Controlling or Coercive Behaviour in an Intimate or Family Relationship Statutory Guidance Framework https://assets.publi[...]
[483] 웹사이트 Child marriages: 39,000 every day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03-07
[484] 학술지 Caregiver traumatization adversely impacts young children's mental representations on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2007
[485] 웹사이트 男女共同参画ゼミ 第3回 DV被害者へ寄り添う支援とは https://www.center-m[...] 2023-08-19
[486] 학술지 Traumatic bond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attachments in battered women and other relationships of intermittent abuse https://www.research[...] 1981-01-01
[487] 웹사이트 http://www.danjo.pre[...]
[488] 웹사이트 男女共同参画ゼミ 第1回 DV、モラルハラスメントとは https://www.center-m[...] 2023-08-19
[489] 서적 バタードウーマン——虐待される妻たち 1980-05
[490] 논문 アメリカにおけるドメスティック・バイオレンス加害者教育プログラムの研究 http://www.ritsumei.[...] 1999-06
[491] 간행물 『女性に対する暴力』調査報告書 東京都生活文化局 1998-03-00
[492] 웹사이트 WHO Multi-country Study on Women’s Health and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http://www.who.int/g[...] 2005-00-00
[493] 서적 発達障害に気づかない大人たち 祥伝社新書
[494] 서적 Violence and Social Change Routledge & Kegan Paul 1992-00-00
[495] 서적 Feminist Perspectives on Wife Abuse Sage 1988-00-00
[496] 간행물 「ドメスティック・バイオレンス(DV)の加害者に関する研究」 https://www.moj.go.j[...] 法務総合研究所研究部
[497] 간행물 親密な関係性における暴力性とジェンダー 2001-00-00
[498] 웹사이트 DV加害者だった52歳夫を変えた強烈な「自覚」 https://toyokeizai.n[...]
[499] 기타 Shackelford
[500] 기타 Goetz
[501] 서적 Female Infidelity and Paternal Uncertaint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0-00
[502] 웹사이트 デートDVの実態とは? 「無理矢理キス」「全額おごって」も該当(調査結果) https://www.huffingt[...] 2017-03-13
[503] 뉴스 「今時の中高生女子はコワイ」、男子相手に金銭要求、暴力 「デートDV」の仰天実態に驚きの声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16-02-08
[504] 뉴스 デートDV 暴言や暴力…被害者は男子生徒、女子の倍以上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6-02-07
[505] 웹사이트 【基調講演2】ブレット・ジョンソン「ファミリー・ジャスティス・センター(FJC)モデル - 米国におけるファミリー・バイオレンス被害者のためのワンストップ・サービスの導入事例 - 」 https://www.npa.go.j[...] 警察庁 2021-01-11
[506] 서적 危機への心理支援学――91のキーワードでわかる緊急事態における心理社会的アプローチ―― 遠見書房 2010-00-00
[507] 간행물 家庭内の暴力に対するオープンダイアローグの応用 http://www.seiwa-pb.[...] 2018-00-00
[508] 기타 Bennett & Williams 1998-00-00
[509] 웹사이트 今日のドイツ・ニュース http://blog.livedoor[...]
[510] 뉴스 「殴るふり」も家庭内暴力、8割が回答=女性部調査 http://www.chosunonl[...] 2008-04-12
[511] 뉴스 韓国で国際結婚に関する新法、違反仲介業者を摘発へ http://www.afpbb.com[...] 2008-05-20
[512] 뉴스 韓国に10万人以上の外国人妻、半数がDV被害に遭う http://www.recordchi[...] 2010-01-14
[513] 뉴스 スイス、DV被害の4人に1人は男性。「男らしさ」に縛られ、孤立する被害者たち https://www.bigissue[...] 2019-06-17
[514] 뉴스 中国でも「夫婦間暴力」深刻、3割の家庭で 中国情報局サーチナ 2005-07-28
[515] 뉴스 自殺する女性15万人、家庭内暴力が原因 サーチナ・中国情報局 2006-11-28
[516] 웹사이트 「男女共同参画白書 令和2年版」第1節 配偶者等からの暴力の実態 https://www.gender.g[...] 内閣府男女共同参画局 2021-05-06
[517] 웹사이트 DV相談ナビについて https://www.gender.g[...] 内閣府男女共同参画局
[518] 뉴스 郵便会社:暴力被害の女性の住所手に漏らす 福岡 https://web.archive.[...] 2011-12-24
[519] 뉴스 DV被害届を警官の夫に漏らし… 妻が京都府を提訴 https://web.archive.[...] 2011-10-06
[520] 뉴스 DV:被害訴えの女性の情報を夫側に漏らす 福島の警察署 https://web.archive.[...] 2012-08-07
[521] 뉴스 DVで避難したのに…女性の情報、夫に誤送付 https://web.archive.[...] 2012-08-28
[522] 뉴스 DV:被害女性情報を男性に漏らす 香川の簡裁事務官 http://mainichi.jp/s[...] 2013-07-10
[523] 뉴스 DV元夫、調書で住所入手…大阪の女性が国提訴 http://www.yomiuri.c[...] 2015-01-29
[524] 보고서 ストーカー・DV等 https://www.npa.go.j[...] 2022-03-03
[525] 보고서 配偶者からの暴力に関するデータ https://www.gender.g[...] 2022-03-31
[526] 보고서 配偶者からの暴力に関するデータ https://www.gender.g[...] 2021-01-12
[527] 보고서 配偶者からの暴力の被害者の自立支援等に関する調査 https://www.gender.g[...] 2019-12-22
[528] 보고서 男女間における暴力に関する調査(令和2年度調査)>2 配偶者からの暴力の被害経験 https://www.gender.g[...] 2022-07-25
[529] 요약 2023-08
[530] 요약 2023-08
[531] 요약 2023-08
[532] 요약 2023-08
[533] 보고서 令和元年版犯罪白書 第6編 平成における犯罪被害者 第1章 犯罪被害 第2節 犯罪被害についての実態調査 2 31年調査の結果 イ 被害態様別被害申告率 https://hakusyo1.moj[...] 2019-12-28
[534] 뉴스 性的被害の申告14%、19年犯罪白書 DVなども低迷 https://www.nikkei.c[...] 2019-12-22
[535] 간행물 琉球新報社説 2008-02-17
[536] 뉴스 DV保護命令に地域差 最多沖縄 2009-07-27
[537] 웹사이트 配偶者らDV相談、最多の8万8619件に 男性被害も増加 警察庁調べ: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digital.asah[...] 朝日新聞 2024-09-24
[538] 간행물 孤立無援のDV被害者 뉴즈위크 2010-09-22
[539] 웹사이트 칼 휘두르는 제 남편, 처벌해 주세요" 가정폭력 아내의 투신, 헛된 죽음이었나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12-01
[540] 웹사이트 "개같은 녀석, 이자식이" 욕하고, 얼굴에 침 뱉고 주먹으로 얼굴을 때리고, 남편이 무섭습니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12-17
[541] 웹사이트 "피임하면 가만 안 둬" 협박, 강제 성관계 임신 폭력속에 애 키울 수 없어...낙태하면 안되나요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12-24
[542] 웹사이트 결혼은 강간 면허증? 남편, 정신 차리세요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10-10
[543] 웹사이트 ‘부부 강간죄’ 3번째 인정…“폭력으로 반항 억압” http://www.lawissue.[...] 로이슈 2011-11-15
[544] 웹사이트 “가정폭력 남편 살해 정당방위 인정해야”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2-05-18
[545] 웹사이트 가정폭력 피해자의 자기방어권을 허(許)하라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2-04-27
[546] 웹사이트 "가정·여성폭력 바른 사법처리를 요구한다"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2-04-05
[547] 웹사이트 현대캐피탈 공식사이트 http://www.hyundaica[...] 현대캐피탈 2011-05-01
[548] 웹사이트 가정폭력 신고 받고 출동한 경찰관 현장출입조사 가능 http://www.mogef.go.[...] 여성가족부 2012-04-27
[549] 웹사이트 경찰, 가정폭력 안방까지 들어가 조사한다 http://media.daum.ne[...] 세계일보 2012-04-27
[550] 웹사이트 ‘물베기’아닌 진짜 칼부림, 부부싸움 작년 79명 숨져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2-04-19
[551] 웹사이트 출동 경찰 “집안일” 돌아가… “초기 적극 중재해야”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12-04-19
[552] 웹사이트 알몸 매달아 때리고, 잔소리 한다고 죽이고 아내들, 5일에 한명꼴로 남편에게 살해됐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04-04
[553] 웹사이트 밖에선 엘리트 남편 현관문 닫는 순간 왜 폭군되나? http://media.daum.ne[...] 뉴시스 2011-11-28
[554] 웹사이트 “단순 성폭행, 부부싸움이면 괜찮나! 경찰 안일한 대처에 분노 넘어 절망”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2-04-13
[555] 웹사이트 혼자 사는 여성, 변기 뚜껑 올리고 외출하는 이유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09-11
[556] 웹사이트 "폭력 피해여성은 오세요, 단 주민번호도 까세요"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12-08
[557] 웹사이트 "헤어지자"니까 '이별폭행',죽이기도, 폭력 남편에 관대한 정부, 너무합니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05-06
[558] 웹사이트 친정식구 죽인다는 남편, '쇠고랑'부터 채워라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05-30
[559] 웹사이트 “경찰, 여성인권을 공부하라, 제발” http://www.womennews[...] 여성신문 2012-04-20
[560] 웹사이트 가정폭력 심각하다…한달에 여성 열명씩 살해 당해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2-09-16
[561] 뉴스 가정 폭력이 학교 폭력 부른다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0-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