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보안국(Reichssicherheitsdienst, RSD)은 1935년 독일에서 창설된 조직으로, 아돌프 히틀러와 다른 나치당 고위 간부들의 경호를 담당했다. RSD는 1933년 창설된 총통 경호대(Führerschutzkommando, FSK)를 모체로 하며, 하인리히 히믈러의 지휘 하에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히틀러의 지휘소 경호, 암살 계획 수사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전쟁 말기에는 베를린 전투에서 히틀러를 보호하다가 종전 후 소련군에 체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호기관 - 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
대한민국 대통령경호처는 대통령과 가족, 전직 대통령, 주요 인물의 경호와 안전을 책임지는 기관으로, 1949년 경무대경찰서 설치를 시작으로 1963년 공식 출범하여 여러 정부를 거치며 조직이 변화했고 현재는 기획관리실, 경호본부 등으로 구성되어 테러 대응을 포함한 다양한 안전 업무를 수행한다. - 경호기관 - 대한민국 대통령실 경호처
대한민국 대통령실 경호처는 헌법과 정부조직법에 따라 대통령실 소속으로 설치된 기관으로,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인사에 대한 경호 업무를 수행하며, 특히 국가원수인 대통령의 안전 보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1933년 설립 - 뉴스위크
뉴스위크는 1933년 창간된 미국의 주간 뉴스 잡지로, 워싱턴 포스트 컴퍼니에 인수되어 국제적으로 성장, 온라인 전환 후 인쇄판을 재개했으며, 여러 사건과 논란을 거치며 디지털 플랫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 1933년 설립 - 게슈타포
게슈타포는 1933년 헤르만 괴링이 프로이센 비밀경찰을 재편성하여 나치 독일의 비밀 국가 경찰로 설립되었으며, 하인리히 힘러의 SS 보안국 하부 기관으로 편입 후 반체제 인사 탄압, 정치적 반대파 감시, 유대인 대량 학살 등에 관여하며 나치 공포 정치의 핵심 기관으로 활동, 전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범죄 조직으로 규정되었다. - 나치 친위대 - 질서경찰
질서경찰은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으로, 친위대에 통합되어 이념적 반대자 박해와 홀로코스트에 가담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방군에 인력을 제공하다 독일 패전 후 해체되었다. - 나치 친위대 - 하인리히 힘러
하인리히 힘러는 나치 친위대 사령관으로서 홀로코스트를 주도하여 수백만 명의 유대인 학살에 책임이 있으며, 1945년 연합군에 체포되기 전 자살했다.
국가보안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명칭 | 국가보안국 (RSD) |
원어 명칭 | 독일어: Reichssicherheitsdienst 독일어 약자: RSD |
기본 정보 | |
종류 | 보안 기관 |
소속 | SS |
창설 | 1933년 3월 15일 |
해체 | 1945년 5월 8일 |
전신 | 총통경호사령부 SS-총통경호부대 |
관할 | 독일 점령하 유럽 |
본부 | 프린츠-알브레히트-슈트라세, 베를린 |
지휘부 | |
국가지도자 | 하인리히 힘러 (1931년–1945년) |
국장 | 친위대-집단지도자 요한 라텐후버 (1933년–1945년) |
2. 명칭
국가보안국은 여러 가지 한국어 번역 명칭으로 나타나는데, 그중 '국가보안국'이 가장 널리 쓰인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번역어가 사용되었다.
번역어 | 번역자 및 출처 |
---|---|
호위 경찰대 | 하시모토 후쿠오 번역 (트레버 로퍼, 히틀러 최후의 날, 웅계사, 1951년) |
제국 첩보부 | 마츠이 히로미 번역 (오트마어 카츠, 히틀러와 수수께끼의 주치의, 동양당 기획 출판사, 1984년) |
공안국 | 오가와 신이치 번역 (윌 벨톨트, 히틀러를 노린 남자들, 고단샤, 1985년) |
총통 관저 경비대 | 사사 요코, 홍 에이료, 카이자와 카나 번역 (V.K. 비노그라도프, 히틀러 최후의 진실, 코분샤, 2001년) |
국가 보안국 | 히로타 아츠시 번역 (히로타, 무서운 유럽 전쟁, 광인사, 2005년) |
비밀 정보 기관 | 아다치 람베 카요, 타카시마 이치코 번역 (트라우델 융게, 나는 히틀러의 비서였다, 소사, 2004년) |
제국 비밀 정보 기관 | 스즈키 나오 번역 (요아힘 페스트, 히틀러 최후의 12일간, 이와나미 서점, 2005년) |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히틀러는 전선 근처에 총통 대본영이라는 지휘소를 여러 곳 설치했다. 베를린의 총통 관저, 베르히테스가덴의 베르크호프, 동프로이센의 볼프스샨체 등 히틀러가 머무는 곳에는 어김없이 RSD 분서가 설치되어 경호를 담당했다.
3. 역사
RSD 경호원은 독일 국방군 최고사령부와의 협정에 따라 국방군 장교 계급을 받았고, 임무 수행에 필요한 경우 국방군의 장병 및 장비를 자유롭게 지휘하고 사용할 수 있었다. 1939년부터는 '''Reichssicherheitsdienst Gruppe Geheime Feldpolizei z.b.V.''' (RSD의 특별 임무를 위한 비밀 야전 경찰 부대)라는 정식 명칭으로 불렸다.
베를린 공방전 당시, 하인리히 힘러의 항복 협상 시도 의혹이 제기되자 RSD는 진위 조사에 나섰다. 총통 관저 RSD 부지휘관 페터 횔 형사부장은 힘러의 대리인 헤르만 페겔라인을 베를린 자택에서 체포했다. 에바 브라운의 여동생 Gretl Braun|그레틀 브라운영어의 남편이었던 페겔라인 친위대 중장은 체포 후 즉결 처형되었다.
3. 1. 창설 배경
1933년 3월 15일, 친위대 슈탄다르텐퓌러 요한 라텐후버의 지휘 하에 "총통 경호대"(Führerschutzkommando, FSK)가 창설되었다. 그의 부관은 페터 횔이었다. 원래 총통 경호대는 바이에른 내에서 히틀러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바이에른 경찰 소속 형사들이 그 구성원이었다. 이들은 바이에른 경찰관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권한 내에서만 작전을 수행할 수 있었다. 바이에른 외 지역에서 히틀러의 경호는 1932년 2월 29일에 창설된 8명의 경호원인 ''총통 친위대 호위대''(SS-Begleitkommando des Führers)에게 맡겨져 있었다.
히틀러는 뮌헨이 나치당의 발상지였고, 따라서 어떠한 음모라도 이곳에서 더 큰 의미를 갖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뮌헨에 있을 때 자국 출신의 근접 경호 부대를 원했다. 1934년 봄, 총통 경호대는 독일 전역에서 히틀러의 전반적인 경호를 위해 SS 친위대 호위대를 대체했다. 1935년에는 히틀러 경호를 위한 FSK 병력이 17명으로 구성되었다. 헤르만 괴링, 루돌프 헤스,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히믈러를 포함한 나치당의 다른 주요 구성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76명의 추가 FSK 병력이 투입되어 다른 보안 관련 임무를 수행했다.
3. 2. 명칭 변경 및 권한 강화
1935년 8월 1일, 요한 라텐후버가 지휘하던 '총통 경호대'(Führerschutzkommando, FSK)는 '국가보안국'(Reichssicherheitsdienst, RSD)으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 1935년 10월, 하인리히 히믈러가 RSD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했다. 히믈러는 공식적으로 국장으로 임명되었지만, 라텐후버는 사령관으로 남아 히틀러 또는 율리우스 샤웁과 같은 수석 보좌관으로부터 대부분의 명령을 받았다. 히믈러는 RSD에 대한 행정 통제권을 얻었고, 친위대(SS)는 그 구성원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1932년 2월 29일에 창설되어 히틀러의 경호를 맡았던 '총통 친위대 호위대'(SS-Begleitkommando des Führers)는 '총통 호위대'(Führerbegleitkommando, FBK)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FBK는 1945년 4월까지 별도의 지휘 하에 유지되었으며, RSD와 별도로 히틀러의 최측근 경호를 담당했다. RSD와 FBK는 히틀러의 여행과 공개 행사에서 보안 및 신변 보호를 위해 함께 협력했지만, 두 그룹은 별도의 차량을 사용하며 각자 운영되었다. 그러한 경우, 라텐후버가 총 지휘를 맡고, FBK 책임자가 그의 부관 역할을 수행했다.
1936년 국방군 최고 사령부(Oberkommando der Wehrmacht)의 결의에 따라 RSD 구성원은 국방군(Wehrmacht) 장교의 지위를 부여받았지만, 추가적인 관할 권한과 특권을 포함하는 권한을 갖게 되었다. 공식적으로는 "특수 임무를 위한 국가 보안국 비밀 야전 경찰 그룹"(Reichssicherheitsdienst Gruppe Geheime Feldpolizei z. b. V, zur besondere Verwendung)으로 불렸다. 그들은 기술적으로 SS의 제국지도자(Reichsfuhrer-SS) 히믈러의 참모진에 속하는 군사 경찰 장교로 간주되었으며, 소속 인원은 SS의 제복을 착용하고 왼쪽 소매 아래에 보안국(Sicherheitsdienst, SD) 다이아몬드 표식을 부착했다. SS 회원 자격을 주장할 수 있는 자는 RSD에 가입할 수 있었고, 모든 장교는 독일 혈통임을 증명해야 했다. 1937년에는 모든 RSD 장교가 SS의 회원이 되었고, 정규 군대와의 연계가 끊어졌다.
3.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국가보안국(RSD)은 200명의 대원으로 구성되었다. RSD는 점령된 유럽을 여행하는 히틀러와 다른 정부 및 핵심 인사들을 보호했다. 1944년까지 17개의 RSD 부대가 최고 지도부를 보호했다.
RSD 사령관 라텐후버는 히틀러의 야전 사령부를 확보하는 책임을 맡았다. 특히 한 대대가 라스텐부르크 근처 (현재는 폴란드의 케트신)에 있는 늑대굴을 경비했다. 라텐후버의 부사령관인 페터 회글은 전쟁 기간 동안 히틀러의 개인 경호를 담당하는 RSD 제1부의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베를린 공방전 당시 힘러의 항복 협상 진위를 조사할 때, 힘러의 총통 관저 대리인 헤르만 페겔라인을 베를린 시내 자택에서 체포한 것은 총통 관저에 근무하는 RSD 부지휘관 페터 회글이었다. 에바 브라운의 여동생 Gretl Braun|그레틀 브라운영어의 남편인 헤르만 페겔라인 친위대 중장은 체포 후 즉결 재판으로 처형되었다.
3. 4. 베를린 전투와 종전
1945년 초, 독일의 군사적 상황은 붕괴 직전에 놓여 있었다. 1945년 1월, RSD 지휘관 요한 라텐후버는 아돌프 히틀러와 그의 측근들을 베를린 정부 중심 구역에 있는 총리 관저 정원 아래 벙커 단지로 안내했다. FBK와 히틀러의 개인 참모들은 보벙커와 퓌러벙커로 이동했다. FBK와 RSD 병사들은 퓌러벙커 입구 밖에 배치되었다. 퓌러벙커로의 주요 진입로는 보벙커에서 내려오는 직각으로 건설된 계단에서 시작되었다. RSD와 FBK 병사들은 계단을 내려가 하부 구역에 배치되어 신분증을 확인하고 서류 가방을 수색한 후 퓌러벙커 복도로 통과할 수 있도록 했다.
나치 지도부는 4월 말에 시작된 베를린 전투가 전쟁의 마지막 전투가 될 것이라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1945년 4월 27일, RSD 부지휘관 페터 회글은 퓌러벙커에서 탈영한 하인리히 힘러의 연락 담당자, 헤르만 페겔라인 SS Gruppenführer를 찾기 위해 파견되었다. 페겔라인은 스웨덴이나 스위스로 도주할 준비를 하던 중 베를린 아파트에서 시민 옷을 입고 회글의 RSD 부대에 의해 체포되었다. 그는 독일과 외국 현금, 에바 브라운의 소유인 보석 등을 소지하고 있었다. 회글은 또한 힘러가 서방 연합국과 평화 협상을 시도한 증거가 담긴 서류 가방을 발견했다. 페겔라인은 퓌러벙커로 끌려가 4월 28일에 총살되었다. 히틀러가 4월 30일에 자살한 후, 라텐후버와 나머지 RSD 장교들은 1945년 5월 1일 베를린 중심부에서 탈출을 시도하다가 소련 붉은 군대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 전쟁이 끝난 후, 라텐후버는 10년 동안 복역한 후 1955년 10월 10일 소련에 의해 석방되었다.
4. 조직 및 구성
초기에는 바이에른주 출신 형사 경찰관들이 주축을 이루었으나, 점차 SS의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SS 요원들로 구성되게 되었다. 대원 채용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조건 |
---|
신뢰할 수 있는 나치 당원 혹은 친위대원 |
경험이 풍부한 형사 경찰관 |
히틀러 개인의 마음에 들어야 함 |
1935년 2월 13일 당시 편성은 다음과 같다.
구성 | 인원 |
---|---|
베를린 경시청 형사 | 4명 |
내무성 형사 경찰 | 4명 |
기존 경호대 (헤르만 괴링, 루돌프 헤스, 요제프 괴벨스, 하인리히 힘러 경호) | 15명 |
항공기 조종 요원, 라이프슈탄다르테 SS 아돌프 히틀러 | 31명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