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한밭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한밭대학교는 1927년 홍성 공립공업전수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2023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국립대학교이다. 공과대학, 정보기술대학, 건설환경조형대학, 인문사회대학, 경상대학, 미래산업융합대학 등 6개의 단과대학과 41개의 학과, 1개 학부, 4개의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교조는 독수리, 교화는 백목련, 교목은 소나무이며, 네모 형태의 심볼마크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유성구의 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대전 유성구의 학교 -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는 1952년 대한민국 최초의 도립 종합대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대전 보운캠퍼스에서 시작, 국립대학교로 독립 후 대덕캠퍼스로 이전하며 성장하여 현재 다양한 학문 분야와 국내외 교류를 갖춘 종합대학교이다. - 대전광역시의 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으로 설립되어 대학원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통합 및 분리 독립 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로 이전,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갖춘 대한민국의 국립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이다. - 대전광역시의 대학교 - 충남대학교
충남대학교는 1952년 대한민국 최초의 도립 종합대학교로 설립 인가되어 대전 보운캠퍼스에서 시작, 국립대학교로 독립 후 대덕캠퍼스로 이전하며 성장하여 현재 다양한 학문 분야와 국내외 교류를 갖춘 종합대학교이다.
국립한밭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927년 5월 20일 |
종류 | 국립(공립) |
총장 | 오용준 |
위치 | 대전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
학생 수 | 9,037명 |
학부생 | 8,486명 |
대학원생 | 551명 |
캠퍼스 | 대전 캠퍼스(유성), 대덕 캠퍼스 |
마스코트 | 독수리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
웹사이트 | 국립한밭대학교 웹사이트 |
개요 | |
대학 설치년도 | 1984년 |
창립년도 | 1927년 |
학교 종류 | 국립 |
본부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덕명동 산16-1 |
캠퍼스 |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캠퍼스 |
학부 | 공과대학 정보기술대학 건설환경조형대학 인문사회대학 경상대학 미래산업융합대학 노마드칼리지 |
대학원 | 일반대학원 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 산업대학원 창업경영대학원 |
학교 정보 | |
건학 이념 | 성실, 인화, 창조 |
총장 | 오용준 |
위치 | 유성덕명캠퍼스 대전광역시 유성구 동서대로 125 대덕산학융합캠퍼스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1로 75 |
규모 | 2캠퍼스, 6대학, 4대학원 |
학부 (2019년) | 8,768명 |
교직원 수 (2019년) | 교원: 771명 직원: 178명 |
대학원 (2019년) | 517명 |
웹사이트 | 국립한밭대학교 홈페이지 |
표어 |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산학일체 혁신대학 |
2. 연혁
wikitext
1927년 5월 20일, 홍성 공립공업전수학교로 개교하였다.[1] 이후 1935년 대전공립공업전수학교, 1944년 대전공립공업중학교, 1951년 대전공업고등학교, 1963년 대전공업고등전문학교, 1974년 대전공업전문학교, 1979년 대전공업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1984년에는 4년제 대학인 대전개방대학으로, 1988년에는 대전공업대학으로 다시 교명을 변경하였다.[1]
1990년 산업대학원을 설치하고, 1993년 대전산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4년 유성캠퍼스 토지매입 및 기공식을 가졌으며, 1995년 초대총장 강용식 박사가 취임하였다. 같은 해 재단법인 학술문화연구재단을 설립하고, 1996년 제2대 총장으로 천성순 박사가 취임하였다. 1998년 대학본부를 유성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000년 4월 유성 캠퍼스(현 유성덕명캠퍼스)로 이전하였고,[1] 같은 해 9월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개원하였다. 제3대 총장으로는 염홍철 박사가 취임하였다. 2001년 3월 한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1] 정보통신전문대학원을 개원하였다. 2002년 제4대 총장으로 설동호 박사가 취임하였고, 유성캠퍼스 이전을 완료하였다. 같은 해 KOLAS 공인시험기관인정(재료평가연구센터)을 받았다. 2003년 산학협력단을 설립하였다.
2005년 창업경영대학원을 개원하고, 2006년 설동호 박사가 제5대 총장으로 연임되었다. 2009년 대덕캠퍼스를 준공하고, 2010년 이원묵 박사가 제6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2012년 일반대학으로 전환하고 일반대학원을 개원하였으며, 2013년 학·석사 통합과정을 신설하였다.[1] 2014년 제7대 총장으로 송하영 공학박사가 취임하였다. 2015년 한밭대학교 중국교우회를 창립하고, 학사조직을 개편(5개 단과대학 24개학과(학부))하였다. 2016년 평생교육단과대학 지원사업에 선정(5개 학과)되고, 개교 90주년 기념 엠블럼 및 슬로건 선포식을 가졌다. 같은 해 대전·세종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공동훈련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17년 미래산업융합대학을 신설하고, 개교 90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같은 해 대학일자리본부를 개소하고, 국제교류관을 개관(역사비전실 이전)하였다. 2018년 드론융합기술센터를 개소하고, 교육부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에 선정되었다. 같은 해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제8대 총장으로 최병욱 이학박사가 취임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상생센터, 스마트팩토리, 빅데이터 센터를 개소하였다.
2019년 제3학생생활관(BTL 생활관)을 준공하고, 지역협력 연구 및 분석 지원센터를 착공(3차)하였다. 같은 해 한밭대학교 직장어린이집을 착공하고, 발전기금 명예의 전당을 리모델링하였다. 또한 대전 중장년 기술창업센터를 개소하였다. 2022년 11월 11일, 제9대 총장 오용준 공학박사가 취임하였다. 2023년 11월, '''국립한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2. 1. 학교 연혁
1927년 5월 20일, 홍성 공립공업전수학교로 개교하였다.[1] 이후 1935년 대전공립공업전수학교, 1944년 대전공립공업중학교, 1951년 대전공업고등학교, 1963년 대전공업고등전문학교, 1974년 대전공업전문학교, 1979년 대전공업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1984년에는 4년제 대학인 대전개방대학으로, 1988년에는 대전공업대학으로 다시 교명을 변경하였다.[1]1990년 산업대학원을 설치하고, 1993년 대전산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4년 유성캠퍼스 토지매입 및 기공식을 가졌으며, 1995년 초대총장 강용식 박사가 취임하였다. 같은 해 재단법인 학술문화연구재단을 설립하고, 1996년 제2대 총장으로 천성순 박사가 취임하였다. 1998년 대학본부를 유성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000년 4월 유성 캠퍼스(현 유성덕명캠퍼스)로 이전하였고,[1] 같은 해 9월 산업대학원 최고경영자과정을 개원하였다. 제3대 총장으로는 염홍철 박사가 취임하였다. 2001년 3월 한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1] 정보통신전문대학원을 개원하였다. 2002년 제4대 총장으로 설동호 박사가 취임하였고, 유성캠퍼스 이전을 완료하였다. 같은 해 KOLAS 공인시험기관인정(재료평가연구센터)을 받았다. 2003년 산학협력단을 설립하였다.
2005년 창업경영대학원을 개원하고, 2006년 설동호 박사가 제5대 총장으로 연임되었다. 2009년 대덕캠퍼스를 준공하고, 2010년 이원묵 박사가 제6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2012년 일반대학으로 전환하고 일반대학원을 개원하였으며, 2013년 학·석사 통합과정을 신설하였다.[1] 2014년 제7대 총장으로 송하영 공학박사가 취임하였다. 2015년 한밭대학교 중국교우회를 창립하고, 학사조직을 개편(5개 단과대학 24개학과(학부))하였다. 2016년 평생교육단과대학 지원사업에 선정(5개 학과)되고, 개교 90주년 기념 엠블럼 및 슬로건 선포식을 가졌다. 같은 해 대전·세종 지역산업 맞춤형 인력양성 공동훈련기관으로 선정되었다.
2017년 미래산업융합대학을 신설하고, 개교 90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같은 해 대학일자리본부를 개소하고, 국제교류관을 개관(역사비전실 이전)하였다. 2018년 드론융합기술센터를 개소하고, 교육부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에 선정되었다. 같은 해 한국연구재단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제8대 총장으로 최병욱 이학박사가 취임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상생센터, 스마트팩토리, 빅데이터 센터를 개소하였다.
2019년 제3학생생활관(BTL 생활관)을 준공하고, 지역협력 연구 및 분석 지원센터를 착공(3차)하였다. 같은 해 한밭대학교 직장어린이집을 착공하고, 발전기금 명예의 전당을 리모델링하였다. 또한 대전 중장년 기술창업센터를 개소하였다. 2022년 11월 11일, 제9대 총장 오용준 공학박사가 취임하였다. 2023년 11월, '''국립한밭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
2. 2. 역대 총장
3. 교육 및 연구
3. 1. 학부
국립한밭대학교에는 6개의 단과대학과 41개의 학과, 1개 학부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2021년 기준, 한밭대학교의 학부 과정은 다음과 같다.[5]단과대학 | 학과 |
---|---|
공과대학 | 기계공학과, 신소재공학과, 화학생명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설비공학과, 창의융합학과, 산학융합학부 |
정보기술대학 |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모바일융합공학과,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과, 지능미디어공학과 |
건설환경조형대학 | 건설환경공학과, 도시공학과, 건축공학과, 건축학과, 시각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
인문사회대학 | 영어영문학과, 중국어과, 일본어과, 공공행정학과 |
경상대학 | 경영회계학과, 경제학과, 융합경영학과, 회계학과 |
미래산업융합대학 | 기계소재융합시스템공학과, 전기시스템공학과, 회계세무부동산학과, 창업경영학과, 스포츠건강과학과, 융합건설시스템학과, IT시스템공학과, 융합디자인학과, 융합기술학과,[6] 생산경영공학학과,[6] 통합물관리학과,[6] 협동조합금융학과[6] |
3. 2. 대학원
국립한밭대학교는 일반대학원, 1개의 전문대학원, 2개의 특수대학원 등 4개의 대학원을 운영하여 석·박사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일반대학원 |
---|
전문대학원 |
---|
특수대학원 |
---|
3. 3. 연구소
국립한밭대학교에는 건설안전기술연구소, 도시환경연구소, 에너지청정기술연구센터, 생산융합기술연구소, 환경보전재해방지연구소, 무선통신연구소, 환경생태복원연구소, 인간중심미래융합센터, 품질혁신연구소, 생산환경디자인연구소, 적정기술연구소, 중국통상전략연구소, 도시건축센터, 한국어문화연구소, 차세대신재생에너지연구소, 철도기술연구센터, 디자인미래비전센터, 유시티(U-city)클러스터연구소, 공공디자인연구소, 미래융합센터, 최적기술연구센터,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산학협력창업연구센터가 있다.4. 캠퍼스
5. 상징
국립한밭대학교의 교조는 독수리이다. 높이 나는 독수리는 강인한 발톱과 날카로운 부리, 매서운 눈을 가지고 있는 용맹스러운 새로 묘사된다. 강인한 비상력으로 빠르고 높이 날며 더 넓은 세계를 지향하며, 바람 부는 창공을 높이 날아가는 수수한 모습은 여유와 긴장을 더해 준다고 한다.
교화는 백목련이다. 이른 봄 3~4월에 꽃을 피우는 백목련은 흰 자태가 청아하며 향기 또한 강렬하다. 겨우내 온 천지에 쌓였던 백설의 정화처럼 온 누리의 흰빛과 온 누리의 향기를 다 모아 다다를 수 없는 소박한 겸손은 아름다운 참삶의 가락을 느끼게 한다고 묘사된다.
교목은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천 년을 살되 낮고 습기가 많은 땅은 싫어하며, 가파른 비탈과 높은 바위틈에서도 잘 자란다고 한다. 깨끗한 땅과 파란 하늘, 맑은 이슬을 좋아하는 소나무는 수명이 길고 그 빛이 푸르러 지조와 절개, 수명과 번성으로 비유되고 십장생의 하나로 기리어 왔다고 한다.
6. UI 소개
국립한밭대학교의 심볼마크는 전체적으로 네모 형태로, 배움의 터인 '한밭'을 상징한다. 네 개의 직사각형은 각각 학생, 교수, 직원, 동문을 나타내며, 이들이 강력하게 결속되어 대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적극적으로 추진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다채로운 색상을 사용하여 젊은 감각에 맞는 아름다운 이미지를 표현했으며, 15도 기울어진 사각형은 대학의 발전과 미래지향성에 대한 역동성을 상징한다.
7. 동문
국립한밭대학교의 동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분류:한밭대학교 동문을 참고하라.
참조
[1]
웹사이트
대학소개 > 연혁 (大学紹介 > 沿革)
https://www.hanbat.a[...]
2023-11-23
[2]
웹사이트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
https://www.academyi[...]
[3]
뉴스
연구개발특구,한밭대 국제공동연구 지원
https://www.ytn.co.k[...]
YTN
[4]
뉴스
한밭대 '이노폴리스캠퍼스 지정·육성사업' 2개 선정
https://newsis.com/a[...]
뉴시스
[5]
웹인용
한밭대학교 대학 일람
https://www.hanbat.a[...]
[6]
문서
계약학과
[7]
문서
박사과정 미설치 학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