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군단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민군단국가는 1940년 9월 루마니아에서 철위대를 유일 집권 정당으로 하는 전체주의 국가로, 이온 안토네스쿠가 지도자, 호리아 시마가 부총리로 통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영토 점령과 추축국의 압력으로 인한 혼란 속에서 수립되었으며, 반유대주의 정책을 시행하고 독일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그러나 안토네스쿠와 철위대 간의 권력 다툼과 갈등으로 인해 1941년 1월 철위대 반란이 일어났고, 안토네스쿠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후 안토네스쿠의 군부 독재 체제가 수립되면서 국민군단국가는 붕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위대 - 호리아 시마
루마니아의 극우 정치인이자 철위대 지도자였던 호리아 시마는 부쿠레슈티 대학교에서 문학철학을 전공하고 철위대에 가입하여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사후 철위대 사령관이 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국가 군단 국가 수립 후 축출, 나치 독일 괴뢰 정부 참여, 스페인 망명 후 반공주의 활동을 하다 마드리드에서 사망하여 극우 정치, 반유대주의, 전후 반공주의 운동과 관련된 논쟁적인 평가를 받는다. - 철위대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는 루마니아의 정치인이자 극우 민족주의 운동인 철위대의 창설자이자 지도자로, 반유대주의와 파시즘을 옹호하며 정치적 폭력을 행사하다 반역죄로 총살당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루마니아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루마니아 - 빈 중재
제1차 빈 중재는 1938년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의 압력으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지역이 헝가리에 할양된 사건으로, 헝가리의 영토 확장과 제2차 세계 대전의 원인이 되었으나 종전 후 파리 조약으로 무효화되었다.
국민군단국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왕의 노래 | Trăiască Regele ("국왕 만세") |
수도 | 부쿠레슈티 |
공용어 | 루마니아어 |
통화 | 루마니아 화폐 |
민족 | 루마니아인 |
지도 | |
![]() |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 의회 입헌 군주국, 군단주의 일당제 전체주의 이원 체제 |
국왕 | 미하이 1세 |
재임 기간 | 1940년–1941년 |
총리 겸 콘두커토르 | 이온 안토네스쿠 |
재임 기간 | 1940년–1941년 |
부총리 | 호리아 시마 |
재임 기간 | 1940년–1941년 |
역사 | |
시작 | 1940년 9월 14일 |
종료 | 1941년 2월 14일 |
이전 | 루마니아 왕국 |
이후 | 루마니아 왕국 |
인구 통계 | |
1941년 | 1,350만 명 |
면적 | 195,000 제곱킬로미터 |
2. 역사적 배경
1938년 초, 철위대는 옥타비안 고가 총리와의 협의를 통해 정부와 일시적 동맹을 맺었으나 카롤 2세 국왕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940년 6월 28일, 철위대의 지도자 호리아 시마가 교육부 차관보로 정부에 들어왔고, 동년 7월에는 내각에 철위대 소속 인물 3명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루마니아는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과 추축국의 압력으로 불가리아와 헝가리에 영토를 할양해야 했고, 이로 인해 카롤 2세에 대한 대중의 감정은 폭발 직전이었다. 1940년 9월 5일, 카롤 2세는 민심을 달래기 위해 이온 안토네스쿠를 총리로 임명했다. 안토네스쿠는 예상보다 강경하게 나왔고, 결국 카롤 2세는 그에게 전권을 위임하고 미하이 1세에게 양위한 후 물러났다. 다음날 안토네스쿠는 스스로를 새로운 국가의 총통(Conducător)으로 선포했다.
이후 안토네스쿠는 1940년 9월 14일 철위대와 협의하여 이를 유일 집권 정당으로 한 전체주의 국가 "국민군단국가"의 성립을 선포하였다. 이온 안토네스쿠는 철위대의 명예 지도자, 호리아 시마는 루마니아 부총리가 되었다. 1940년 10월 독일군이 유전 보호를 명목으로 루마니아에 진입했고, 루마니아는 1940년 11월 23일에 삼국 동맹 조약에 서명하면서 추축국 진영에 가담했다.[14]
2. 1. 철위대의 부상과 초기 정치 활동
1938년 초, 옥타비안 고가 총리는 철위대 지도자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와 제한적인 협력 협약을 체결하면서 철위대는 루마니아 정부와 처음으로 동맹을 맺었다. 그러나 이 협약은 국왕 카롤 2세를 불쾌하게 만들었고, 카롤 2세는 2월 11일에 고가를 해임하고 미론 크리스테아 대주교를 총리로 임명했다.[1][2][3]코드레아누 사후 철위대의 명목상 지도자였던 호리아 시마는 1940년 6월 28일부터 7월 4일까지 교육부 차관을 지냈다. 소련의 베사라비아 및 북부 부코비나 점령 이후, 1940년 7월 4일 이온 기구르투가 기구르투 내각을 구성하여 권력을 잡으면서 철위대도 참여했다. 바실레 노베아누는 공공 부 부 장관, 시마는 종교 및 예술 부 장관, 아우구스틴 비데아누는 재무부 차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시마는 7월 7일 사임했고, 라두 부디스테아누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다른 두 명의 친위대원은 자리를 유지했다. 철위대 지지자이자 이념가인 니치포르 크라이니치는 선전부 장관이 되었다.[4][5][6]
2. 2. 1940년의 정치적 격변과 국민군단국가의 탄생
1938년 초, 철위대는 옥타비안 고가 총리와의 협약을 통해 정부와 일시적 동맹을 맺었으나, 카롤 2세 국왕의 반대로 무산되었다.[1][2][3] 1940년 6월 28일,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 이후 호리아 시마가 교육부 차관보로 정부에 복귀했고, 7월에는 철위대 소속 3명이 장관으로 임명되었다.[4][5]
당시 루마니아는 소련과 추축국의 압력으로 영토를 상실하면서 카롤 2세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극에 달했다. 이에 1940년 9월 5일, 카롤 2세는 이온 안토네스쿠를 총리로 임명하여 민심을 수습하려 했다. 안토네스쿠는 카롤 2세에게 전권을 위임받고 미하이 1세에게 양위하도록 압박했으며, 다음 날 스스로를 국가 총통(Conducător)으로 선포했다.
1940년 9월 14일, 안토네스쿠는 철위대와 협력하여 국민군단국가를 선포하고 철위대를 유일 집권 정당으로 하는 전체주의 국가를 수립했다. 안토네스쿠는 철위대의 명예 지도자가 되었고, 호리아 시마는 부총리가 되었다.[11][12] 1940년 10월, 독일군이 유전 보호를 명목으로 루마니아에 진입했고, 11월 23일 루마니아는 삼국 동맹 조약에 서명하여 추축국에 가담했다.[14]
3. 국민군단국가의 성립과 통치
1940년 6월, 호리아 시마가 교육부 차관보로 정부에 참여하고, 7월에는 철위대 소속 인물 3명이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철위대가 정부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소련의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점령과 추축국의 압력으로 인한 영토 할양 등으로 카롤 2세에 대한 대중의 반감이 커지자, 카롤 2세는 9월 5일 이온 안토네스쿠를 총리로 임명했다. 안토네스쿠는 카롤 2세에게 전권을 위임받고 미하이 1세에게 양위하도록 한 뒤, 스스로를 국가 총통(Conducător)으로 선포했다.
1940년 9월 14일, 안토네스쿠는 철위대와 협의하여 국민군단국가의 성립을 선포했다. 이로써 철위대는 유일 집권 정당이 되었고, 안토네스쿠는 철위대의 명예 지도자, 호리아 시마는 루마니아 부총리가 되었다. 1940년 10월, 독일군이 유전 보호를 명목으로 루마니아에 진입했고, 루마니아는 11월 23일 삼국 동맹 조약에 서명하면서 추축국에 가담했다.[24]
그러나 철위대와 안토네스쿠는 권력 공유와 노선 차이로 갈등을 겪었다. 국민군단국가는 독일의 뉘른베르크법과 유사한 반유대주의 법령들을 실시했으나, 안토네스쿠는 철위대의 준군사조직 활동과 유대인에 대한 사적 제재를 불쾌하게 여겼다. 시마는 정치적 다양성이 허용되는 것에 불만을 품고 경제의 중앙집권화를 요구했으나, 안토네스쿠는 이를 거부했다. 1940년 11월, 철위대가 전 정부 고위 관계자와 공무원 64명을 처형한 질라바 학살로 관계는 악화되었으나, 양측의 양보로 일단락되었다.
1941년 1월, 아돌프 히틀러는 안토네스쿠와 시마를 회담에 초대했으나 시마는 불참하고 안토네스쿠만 참석했다. 히틀러는 소련 침공 계획과 함께 루마니아의 참전을 요청했고, 안토네스쿠는 이에 합의했다. 히틀러의 지원을 얻은 안토네스쿠는 철위대원을 체포하고 주요 직책을 자신의 충성스러운 인원으로 교체하기 시작했다. 이에 반발한 철위대는 1월 20일 철위대 반란을 일으켰으나, 1월 23일까지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후 철위대는 해체되었고, 호리아 시마를 포함한 많은 구성원들이 도주하거나 체포되었다. 1941년 2월 14일, 안토네스쿠가 군부 독재 체제를 수립하면서 국민군단국가는 소멸하였다.
1940년 11월 10일, 국민군단국가는 대규모 지진으로 65,000채의 가옥이 파괴되는 피해를 입었다.[20]
3. 1. 권력 구조와 이념
1940년 9월 14일, 이온 안토네스쿠는 철위대와 협의하여 국민군단국가를 선포했다. 철위대는 유일 집권 정당이 되었고, 안토네스쿠는 국가 총통(Conducător)이자 철위대의 명예 지도자가 되었으며, 호리아 시마는 부총리가 되었다.[10] 미하이 1세는 의례적인 역할로 격하되었다.[10]
국민군단국가는 전체주의 국가로서, 독일의 뉘른베르크법과 유사한 반유대주의 법령들을 실시했다.[19] 유대인 소유의 농촌 재산(10월 4일), 숲(11월 17일), 강 운송(12월 4일)이 몰수되었다.[19]
새로운 군단 정권은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와 다른 군단 순교자들을 숭배하는 의례를 통해 정권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했다. 코드레아누의 유해 발굴 및 재매장(11월 21~23일)은 군단 이념의 기초로서 코드레아누의 카리스마를 재확인하는 행사였다.[15] 젊은 에밀 시오란은 코드레아누 숭배를 강력히 지지했다.[15] 코드레아누의 시신 재매장은 11월 30일에 열렸으며, 안토네스쿠, 시마, 폰 쉬라흐, 보흘레와 10만 명의 철위대원들이 참석했다.[16][17]
그러나 권력 공유와 노선 차이로 철위대와 안토네스쿠의 갈등은 커져갔다. 시마는 정치적 다양성을 허용하는 안토네스쿠를 비난하고 경제의 중앙집권화를 요구했으나, 안토네스쿠는 이를 거부했다.[18] 1940년 11월, 철위대가 전 정부 고위 관계자와 공무원 64명을 처형한 질라바 학살로 관계는 악화되었다.[14]
3. 2. 반유대주의 정책과 국내 통제
국민군단국가는 독일의 뉘른베르크법과 유사한 여러 반유대주의 법령을 시행했다.[19] 유대인 재산 몰수와 관련하여 1940년 10월 4일에는 유대인 소유의 농촌 재산을, 11월 17일에는 숲을, 12월 4일에는 강 운송 수단을 몰수했다.[19]1940년 11월에는 철위대가 독단적으로 전 카롤 정부의 고위 관계자와 공무원 64명을 질라바 학살로 처형했다.[14] 이는 국가의 통제를 벗어난 철위대의 준군사조직 활동과 유대인에 대한 사적 제재의 한 예시였다. 또한, 철위대 반란 당시 부쿠레슈티를 장악하고 유대인 거주 지역에 대한 포그롬을 진행하기도 했다.
3. 3. 대외 관계와 추축국 가입
1940년 10월, 독일의 전쟁 수행에 필수적인 플로이에슈티의 유전을 보호하기 위해 15,000명의 독일군이 루마니아에 배치되었다. 이는 베니토 무솔리니와 상의 없이 이루어진 독일의 일방적인 행동이었으나, 이온 안토네스쿠의 승인 하에 이루어졌다.[22] 독일군은 루마니아 유전 방어라는 주된 목표 외에도, 안토네스쿠의 군사 지원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도착했다.[23] 이후 루마니아는 1940년 11월 23일에 삼국 동맹 조약에 서명하면서 추축국 진영에 가담했고,[24] 11월 25일에는 반공 협정에도 가입했다.[24]독일과의 이러한 관계 강화에도 불구하고, 루마니아 내 독일 소수 민족(루마니아의 영토 손실 후 30만 명)은 루마니아화 과정에서 완전히 면제되지 못했다. 바나트와 트란실바니아 출신 독일인은 소수만이 독일로 송환되었지만, 부코비나와 도브루자 남부 출신 독일인의 송환 숫자는 76,500명에 달했다. 이러한 송환을 승인하는 독일-루마니아 협약은 1940년 10월 22일에 체결되었다. 이 협약에 따라, 루마니아 국가는 송환된 독일인이 소유했던 부동산을 대가로 독일 제국에 보상금을 지급받았다. 새로 획득한 재산(토지와 주택)은 크라이오바 조약 이후 불가리아에서 추방된 루마니아계 난민을 수용하는 데 사용되었다.[25] 12월 4일에는 루마니아와 독일 간에 10년 무역 협정이 체결되어 루마니아의 "경제 재건"을 제공했다.[17]
1940년 9월 27일, 루마니아는 발칸 조약에서 탈퇴했다. 같은 날, 조약 회원국 중 하나인 터키와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12월 19일에는 또 다른 발칸 조약 회원국인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 국민군단국가의 마지막 날인 2월 10일과 12일에는 영국과 벨기에가 루마니아와 관계를 단절했다.[26]
소련과의 국경 충돌은 국민군단국가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1940년 가을, 소련은 다뉴브 삼각주에 있는 여러 루마니아 섬을 점령했다. 국경 사건이 매일 발생했다. 소련군은 루마니아 국경에 집중되었고, 소련 항공기는 루마니아 영공을 끊임없이 침범했으며, 1941년 1월에는 소련 선박이 무력으로 루마니아 해역에 진입을 시도했다.[27] 1941년 1월, 소련이 최후통첩으로 다뉴브 삼각주의 통제권을 요구하면서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다. 루마니아인들이 다뉴브강에 기뢰를 부설하던 중, 갈라치 (코부르루이 주) 인근에서 국경 충돌이 발생했고, 양측에서 26명에서 100명이 사망했다.[28]
4. 국민군단국가의 붕괴
철위대와 이온 안토네스쿠는 권력을 나누어 가졌지만, 노선 차이로 인해 갈등이 점점 커져갔다. 국민군단국가는 독일의 뉘른베르크법과 유사한 반유대주의 법령을 시행했지만, 안토네스쿠는 철위대의 통제되지 않는 준군사조직 활동과 유대인에 대한 사적인 제재를 불쾌하게 생각했다.[29] 반면 호리아 시마는 정치적 다양성이 여전히 허용되는 것에 불만을 품고 경제를 중앙집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안토네스쿠는 이를 거부했다. 1940년 11월, 철위대가 독단적으로 전 카롤 정부 고위 관계자와 공무원 64명을 처형한 질라바 학살 사건으로 인해 갈등은 최고조에 달했지만, 양측의 양보로 일단락되었다.
독일 나치 정부 내에서도 철위대의 독자적인 활동으로 인한 정치 혼란이 가중되자, 시마를 지지하는 세력과 안토네스쿠를 지지하는 세력 간에 의견 충돌이 발생했다. 힘러, 괴벨스 등은 철위대를 지지했고, 리벤트로프 등은 안토네스쿠를 지지했다.
1941년 1월, 아돌프 히틀러가 안토네스쿠와 시마를 회담에 초대했지만, 시마는 이를 위협으로 받아들여 안토네스쿠만 초대에 응했다. 1월 14일에 열린 독일-루마니아 정상회담에서 히틀러는 소련 침공 계획을 밝히고 루마니아의 참전을 요청했으며, 안토네스쿠는 이에 동의했다.
4. 1. 철위대 반란과 진압
1941년 1월, 아돌프 히틀러의 지원을 얻은 이온 안토네스쿠는 불법 행위를 저지른 철위대원들을 체포하고 주요 직책들을 자신에게 충성스러운 인원으로 교체하기 시작했다. 이에 반발한 철위대는 1월 20일 호리아 시마의 지시에 따라 부쿠레슈티 경찰서장 교체에 항명하며 철위대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무장하여 부쿠레슈티를 장악하고 유대인 거주 지역에 대한 포그롬을 진행하였다. 특히, 반란이 절정에 달했던 1월 22일에는 부쿠레슈티 도살장에서 200명의 유대인을 대상으로 의례적 살해를 자행하는 잔혹 행위를 벌였다.[29] 경비대원들은 기독교 찬송가를 부르며 이 학살에 가담했는데, 이는 "홀로코스트 역사상 유례없는 잔혹 행위"였다.[29]1월 23일까지 이온 안토네스쿠가 이끄는 루마니아 정부군은 반란을 진압하였다. 진압 과정에서 정부군은 철위대가 사용한 상당한 양의 군사 장비를 확보했는데, 부쿠레슈티에서만 5,000정의 총기(권총, 소총, 기관총)와 다수의 수류탄이 발견되었다.[30] 철위대는 또한 2대의 장갑 경찰차와 2대의 말락사 UE 장갑 궤도 수송차로 구성된 소규모 장갑 부대를 보유하고 있었으며,[31] 부쿠레슈티에서만 거의 200대에 달하는 트럭을 운송 수단으로 사용했다.[32]
반란 진압 이후 철위대는 해체되었고, 호리아 시마를 포함한 많은 구성원들이 독일로 도피하거나 체포되었다. 체포된 9,000명 이상의 철위대원 중 1,842명은 몇 개월에서 종신형에 이르는 다양한 형을 선고받았다.[33][34][35] 1941년 2월 14일, 안토네스쿠가 루마니아의 군부 독재 체제를 수립하면서 국민군단국가는 공식적으로 소멸하였다.
4. 2. 국민군단국가의 종말과 안토네스쿠 독재 체제
권력 공유와 노선 차이로 철위대와 이온 안토네스쿠의 갈등은 점점 커져갔다. 국민군단국가는 독일의 뉘른베르크법과 유사한 반유대주의 법령들을 실시했으나, 안토네스쿠는 국가의 통제를 벗어난 철위대의 준군사조직 활동과 유대인에 대한 사적 제재를 불쾌하게 여겼다.[29] 한편 호리아 시마는 여전히 정치적 다양성이 허용되는 것에 불만을 표하고 경제를 중앙집권화할 것을 요구하는 편지를 보냈으나, 안토네스쿠에 의해 거부되었다. 1940년 11월 철위대가 독단적으로 전 카롤 정부의 고위 관계자와 공무원 64명을 처형한 질라바 학살로 관계 악화는 정점에 달했으나, 이는 양측의 양보로 일단 무마되었다.
1941년 1월 아돌프 히틀러가 안토네스쿠와 시마를 회담에 초대했을 때 시마는 이를 위협적으로 받아들이고 안토네스쿠만이 초대에 응하였다. 1월 14일 열린 독일-루마니아 정상회담에서 히틀러는 소련 침공 계획과 함께 루마니아의 참전을 요청하였고, 안토네스쿠는 이에 합의하였다. 히틀러의 지원을 얻은 안토네스쿠는 1월 19일 불법 행위를 저지른 철위대원들을 체포하고 주요 직책들을 자신에게 충성스러운 인원으로 교체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반발한 철위대는 1월 20일 철위대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무장하여 부쿠레슈티를 장악하고 이와 병행하여 유대인 거주 지역에 대한 포그롬을 진행하였으나, 1월 23일까지 이온 안토네스쿠가 이끄는 루마니아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29]
철위대 반란 당시 사용된 군사 장비는 다음과 같다.
이후 철위대는 해체되었고, 호리아 시마를 포함한 많은 구성원들이 도주하거나 체포되어 약 9천 명이 징역형을 선고받았다.[33][34][35] 1941년 2월 14일, 안토네스쿠가 루마니아의 군부 독재 체제를 수립하면서 국민군단국가는 소멸하였다.
5. 유산과 평가
영국의 역사학자 데니스 델레탕트는 국민군단국가를 "유럽 파시즘 역사에서 독특한 장"이라고 평가했다.[37] 국민군단국가는 독일이나 이탈리아의 도움 없이 권력을 잡은 유럽 유일의 급진 우파 운동이었고, 나치 독일이 유럽 대륙을 지배하는 동안 전복된 유일한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그 특수성이 있다.
국민군단국가는 루마니아 왕국을 추축국에 가입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독일군을 환영하고, 곧이어 삼국 동맹 조약과 반코민테른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추축국 합류를 공식화했다. 또한 1941년 1월 철위대 봉기로 자체 진압되기 전까지 질라바 학살을 통해 루마니아의 전통적인 정치 계급 대부분을 제거했고, 그해 2월에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이온 안토네스쿠와 호리아 시마의 공동 연설,[38]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의 장례식[39] 등 국민군단국가 시대의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연설 영상이 남아있다.
5. 1. 군사 생산
국민군단국가 기간 동안 루마니아는 여러 종류의 군사 장비를 생산했다.종류 | 모델 | 생산량 | 비고 |
---|---|---|---|
경기관총 | ZB vz. 30 | 약 500정 | |
대공포 | 라인메탈 37mm | 약 10문 | |
대공포 | 비커스 75mm | 약 6문 | |
장갑 트랙터 | 말락사 | 약 25대 | |
경폭격기 | IAR 39 | 20대 | 1940년 10월~12월 인도 |
훈련기 | Fleet 10G | 약 17대 |
5. 1. 1. 소형 무기
1938년부터 1941년 6월까지 루마니아는 ZB vz. 30 경기관총을 5,000정 이상 생산했다.[36] 이는 월평균 120정 이상의 기관총 생산량을 나타내며, 국민군단국가가 존속한 4개월 동안 약 500정이 생산되었음을 의미한다.5. 1. 2. 포병 부품
1938년부터 1941년 5월까지 루마니아는 라인메탈 37mm 대공포 102문을 생산했다.[36] 이는 월평균 2.5문 생산량으로, 국민군단국가 시대 4개월 동안 약 10문이 생산되었음을 의미한다.1936년부터 1941년 7월까지 루마니아는 비커스 75mm 대공포 100문을 생산했다.[36] 이는 월평균 1.5문 생산량으로, 국민군단국가 시대 4개월 동안 약 6문이 생산되었음을 의미한다.
5. 1. 3. 장갑차
1939년 후반부터 1941년 3월까지 루마니아는 말락사 장갑 트랙터를 126대 생산했다.[36] 이는 월 평균 6대 이상의 트랙터 생산량을 나타내며, 국민군단국가가 존재했던 4개월 동안 약 25대가 생산되었음을 의미한다.5. 1. 4. 항공기
1940년 10월부터 12월까지 IAR 39 경폭격기 20대가 인도되었다.[36] 1939년 4월부터 1943년 3월까지 루마니아는 Fleet 10G 훈련기 210대를 생산했는데,[36] 이는 월평균 4.5대의 항공기 생산량에 해당하며, 국민군단국가 기간(4개월) 동안 약 17대가 생산되었음을 의미한다.참조
[1]
서적
British Clandestine Activities in Roman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Springer
[2]
서적
The European Right: A Historical Profi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서적
The Axis Empire in Southeast Europe, 1939–1945
BookLocker.com
[4]
서적
Hitler's Forgotten Ally: Ion Antonescu and his Regime, Romania 1940-1944
Springer
[5]
서적
Romanian Policy Towards Germany, 1936–40
https://link.springe[...]
Springer
[6]
간행물
Journal of Historical Review
Institute for Historical Review
[7]
서적
Territorial Revisionism and the Allies of Germany in the Second World War: Goals, Expectations, Practices
Berghahn Books
[8]
서적
Frontiera de stat a României
Editura Militară
[9]
서적
Recensămintele României: 1899-1992
Editura Meronia
[10]
서적
Hitler's Forgotten Ally: Ion Antonescu and his Regime, Romania 1940-1944
Springer
[11]
서적
Hitler's Forgotten Ally: Ion Antonescu and his Regime, Romania 1940-1944
Springer
[12]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5
[1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Romani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A History of Romanian Oil Vol II
Editura Mica Valahie
[15]
서적
Ideologies and National Identities: The Case of Twentieth-Century Southeastern Europ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6]
논문
Staging Death: Christofascist Necropolitics during the National Legionary State in Romania, 1940–1941
https://www.cambridg[...]
2021-05
[17]
서적
A History of Romanian Oil Vol II
Editura Mica Valahie
[18]
서적
Rumania 1866-1947
Clarendon Press
[19]
서적
Romania 1866-1947
Clarendon Press
[20]
서적
Holy Legionary Youth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06-05
[2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Its Origin, Battles and Consequences
Lulu.com
[22]
서적
The Restructuring of Romania's Economy: A Paradigm of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Greenwood Publishing Group
[23]
서적
A Concise History of Roman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Adolf Hitler: A Biographical Companion
ABC-Clio
[25]
서적
Jewish Resistance to ‘Romanianization’, 1940-44
Springer
[26]
서적
A History of Romanian Oil Vol II
Editura Mica Valahie
[27]
서적
Hitler's Forgotten Ally: Ion Antonescu and his Regime, Romania 1940-1944
Springer
[28]
서적
International Conflicts, 1816-2010: Militarized Interstate Dispute Narratives
Rowman & Littlefield
[29]
서적
On Clowns: The Dictator and the Artist: Essays
Grove Press
[30]
간행물
Time
[31]
간행물
Documents on German Foreign Policy, 1918-1945: The aftermath of Munich, Oct. 1938-March 1939
[32]
서적
Holy Legionary Youth: Fascist Activism in Interwar Romania
Cornell University Press
[33]
서적
Romania 1866-1947
Clarendon Press
[34]
서적
Orthodoxy and the Cold War: Religion and Political Power in Romania, 1947-65
Springer
[35]
서적
In the Shadow of Hitler: Personalities of the Right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I.B. Tauris
[36]
서적
Third Axis Fourth Ally: Romanian Armed Forces in the European War, 1941–1945
Arms and Armour
[37]
서적
Hitler's Forgotten Ally: Ion Antonescu and his Regime, Romania 1940-1944
Springer
2006-04-12
[38]
Youtube
Horia Sima and Ion Antonescu speech
https://www.youtube.[...]
[39]
Youtube
Codreanu funeral
https://www.youtube.[...]
[40]
간행물
Enciclopedia de istorie a României
Editura Meron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