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굿스타인의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굿스타인의 정리는 자연수에 관한 정리로, 모든 굿스타인 수열이 유한 번의 연산 후에 0으로 끝난다는 것을 말한다. 굿스타인 수열은 '유전적 밑-n 표기법'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이 표기법은 일반적인 밑-n 위치 기수법과 유사하지만, 지수를 재귀적으로 표현하는 차이점이 있다. 굿스타인 수열의 각 항은 이전 항의 유전적 n+1진법 표현에서 n+1을 n+2로 바꾸고 1을 빼는 방식으로 계산된다. 이 정리는 페아노 산술 내에서는 증명할 수 없으며, 순서수 이론을 도입해야 증명 가능하다. 굿스타인 정리는 패리스의 정리를 포함하며, 굿스타인 함수를 통해 수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굿스타인 정리는 페아노 산술에서 증명할 수 없는 전역 계산 가능 함수를 구성하는 데 응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서수 - 초한수
    초한수는 게오르크 칸토어가 도입한 무한 개념을 확장한 수로,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기수와 정렬된 집합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서수로 나뉘며, 무한에도 여러 종류가 있음을 밝혀 현대 수학의 기초를 다졌다.
  • 순서수 - 자연수
    자연수는 수를 세는 데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수로, 덧셈과 곱셈에 닫혀 있고, 페아노 공리계를 통해 정의되며, 수학적 귀납법으로 명제를 증명하는 데 활용된다.
  • 수학기초론 정리 -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산술을 표현할 수 있는 무모순적 공리계는 그 안에서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는 명제가 존재하며, 특히 체계 스스로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없다는 수학적 논리 분야의 핵심 정리이다.
  • 수학기초론 정리 - 칸토어의 정리
    칸토어의 정리는 집합 X의 멱집합의 크기가 X의 크기보다 항상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임의의 기수 κ에 대해 2κ > κ가 성립한다는 내용으로, 칸토어의 대각선 논법으로 증명되고 집합론의 역설과 관련되어 전체 집합의 존재를 가정할 때 칸토어의 역설을 유발한다.
  • 집합론 - 퍼지 집합
    퍼지 집합은 각 원소가 0과 1 사이의 소속도를 가지며, 소속 함수를 통해 정의되고, 여집합, 합집합, 교집합 등의 연산을 수행하며, 퍼지 논리, 퍼지 수, 엔트로피 등의 개념과 L-퍼지 집합, 직관적 퍼지 집합 등으로 확장된다.
  • 집합론 - 무한 집합
    무한 집합은 유한 집합이 아니며, 자연수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자신의 진부분집합과 일대일 대응을 가지며, 가산 무한 집합과 비가산 무한 집합으로 나뉜다.
굿스타인의 정리
기본 정보
분야수학
주제자연수
이름굿스타인의 정리
로마자 표기Gutseutaineui jeongni
영문명Goodstein's theorem
내용
설명모든 굿스타인 수열은 결국 0으로 끝난다.
중요성페아노 공리계에서 증명할 수 없다.
확장된 페아노 공리계에서는 증명할 수 있다.

2. 약한 굿스타인 수열

초항이 m인 자연수 '''약한 굿스타인 수열'''은 n진법 표기법을 기반으로 정의되며, 각 항은 이전 항의 n진법 표현에서 밑을 n+1로 바꾸고 1을 빼는 방식으로 계산된다.[1]

2. 1. 공식화

초항이 m(m은 자연수)인 '''약한 굿스타인 수열'''이란 자연수 n≥2에 대해 정의된 순서수\{g_n\}으로, 순서수열 \{a_n\}\{b_n\}에 대해 다음 세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1]

# g_2 = m

# g_n = 0이면 g_{n+1} = 0이다.

# b_0 < ... < b_k이고, 0 < a_0, ..., a_k < n에 대해, g_n = n^{b_k}a_k + ... + n^{b_0}a_0 > 0이면 g_{n+1} = (n+1)^{b_k}a_k + ... + (n+1)^{b_0}a_0 - 1이 성립한다.

굿스타인의 정리는 다음과 같이 공식화할 수 있다.[1]

  • 초항이 자연수인 약한 굿스타인 수열은 유한 번의 연산 후 반드시 0으로 끝난다.


이 정리는 자연수에 관한 정리임에도 순서수의 이론을 도입하지 않으면 증명이 어렵다.

2. 2. 사례

초항이 1, 2, 3, 4인 경우 약한 굿스타인 수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초항이 1인 경우: 다음 항은 0 = 1 - 1 이다.
  • 초항이 2인 경우: 2 = 21 이고, 다음 항은 2 = 31 - 1, 다음 항은 1 = 2 - 1, 그리고 다음 항은 0 = 1 - 1 이 되어 0으로 끝난다.
  • 초항이 3인 경우: 3 = 21 + 1 이고, 항을 계속 나열하면 3 = 31 + 1 - 1, 3 = 41 - 1, 2 = 3 - 1, 1 = 2 - 1, 0 = 1 - 1 이 되어 0으로 끝난다.
  • 초항이 4인 경우: 4 = 22 이고, 8 = 32 - 1, 9 = 4 × 2 + 2 - 1, 10 = 5 × 2 + 1 - 1, 11 = 6 × 2 - 1, 11 = 7 + 5 - 1, 11 = 8 + 4 - 1, 11 = 9 + 3 - 1, 11 = 10 + 2 - 1, 11 = 11 + 1 - 1, 11 = 12 - 1, 10 = 11 - 1, ..., 0 = 1 - 0 과 같이 진행되어 0으로 끝난다.[1]

3. 굿스타인 수열

굿스타인 수열은 자연수에서 시작하여, 유전적 밑-n 표기법을 기반으로 다음 항을 만들어 가는 수열이다.

굿스타인 수열 G_m의 첫 번째 항은 ''m'' 자신이다. 두 번째 항 G_m(2)를 얻기 위해서는, ''m''을 유전적 2진법 표기법으로 나타낸 후, 모든 2를 3으로 바꾸고 1을 뺀다.

일반적으로, G_m(n)이 주어졌을 때, G_m(n+1)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1. G_m(n)을 유전적 (n+1)진법으로 표현한다.

2. 표현식에서 모든 (n+1)을 (n+2)로 바꾼다.

3. 결과에서 1을 뺀다.

이 과정을 결과가 0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

예를 들어, G_3은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진법유전적 표기법비고
2 2^1 + 1 33을 2진법으로 작성
3 3^1 + 1 - 1 = 3^1 32를 3으로 바꾸고, 1을 뺀다.
4 4^1 - 1 = 3 33을 4로 바꾸고, 1을 뺀다. 이제 4가 더 이상 없다.
5 3 - 1 = 2 24를 5로 바꿀 4가 없다. 그냥 1을 뺀다.
6 2 - 1 = 1 15를 6으로 바꿀 5가 없다. 그냥 1을 뺀다.
7 1 - 1 = 0 06을 7로 바꿀 6이 없다. 그냥 1을 뺀다.



G_4는 더 복잡하게 전개되지만, 결국에는 0으로 수렴한다.

G_4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진법유전적 표기법
2 2^{2^1} 4
3 3^{3^1} - 1 = 2 \cdot 3^2 + 2 \cdot 3 + 2 26
4 2 \cdot 4^2 + 2 \cdot 4 + 1 41
5 2 \cdot 5^2 + 2 \cdot 5 60
6 2 \cdot 6^2 + 2 \cdot 6 - 1 = 2 \cdot 6^2 + 6 + 5 83
7 2 \cdot 7^2 + 7 + 4 109
\vdots \vdots \vdots
11 2 \cdot 11^2 + 11 253
12 2 \cdot 12^2 + 12 - 1 = 2 \cdot 12^2 + 11 299
\vdots \vdots \vdots
24 2 \cdot 24^2 - 1 = 24^2 + 23 \cdot 24 + 23 1151
\vdots \vdots \vdots



G_{19}는 초반에 매우 급격하게 증가한다.

유전적 표기법
2^{2^2} + 2 + 1 19
3^{3^3} + 3
4^{4^4} + 3 \approx 1.3 \times 10^{154}
5^{5^5} + 2 \approx 1.8 \times 10^{2\,184}
6^{6^6} + 1 \approx 2.6 \times 10^{36\,305}
7^{7^7} \approx 3.8 \times 10^{695\,974}
\approx 6.0 \times 10^{15\,151\,335}
\approx 5.6 \times 10^{35\,942\,384}
\vdots \vdots


3. 1. 유전적 밑-n 표기법

굿스타인 수열은 "유전적 밑-''n'' 표기법"을 사용하여 정의된다. 이 표기법은 일반적인 밑-''n'' 위치 기수법과 비슷하지만, 굿스타인 정리의 목적을 위해 특별히 고안되었다.

일반적인 밑-''n'' 표기법에서는 자연수 ''m''을 ''n''의 거듭제곱의 배수의 합으로 표현한다.

:m = a_k n^k + a_{k-1} n^{k-1} + \cdots + a_0,

여기서 각 계수 ''ai''는 0 ≤ ''ai'' < ''n''을 만족하며, ''ak'' ≠ 0이다. 예를 들어, 35를 밑-2 표기법(이진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35 = 32 + 2 + 1 = 2^5 + 2^1 + 2^0.

즉, 35의 밑-2 표현은 100011이다. 마찬가지로, 100을 밑-3 표기법(삼진법)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00 = 81 + 18 + 1 = 3^4 + 2 \cdot 3^2 + 3^0.

즉, 100의 밑-3 표현은 10201이다.

일반적인 밑-''n'' 표기법에서는 지수 자체는 밑-''n'' 표기법으로 작성되지 않는다. (예: 25, 34에서 5 > 2, 4 > 3).

유전적 밑-''n'' 표기법으로 변환하려면, 먼저 모든 지수를 ''n''의 거듭제곱의 합으로 다시 작성한다(계수는 0 ≤ ''ai'' < ''n'' 범위). 그런 다음 지수 안의 모든 지수를 다시 밑-''n'' 표기법으로 작성하고, 표현식에 나타나는 모든 숫자(밑 자체 제외)가 밑-''n'' 표기법으로 작성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다.

예를 들어, 35는 일반적인 밑-2 표기법으로는 25 + 21 + 20 이지만, 유전적 밑-2 표기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35 = 2^{2^{2^1}+1}+2^1+1,

이는 5 = 221 + 1을 이용하여 작성되었다.

마찬가지로, 100은 유전적 밑-3 표기법으로 다음과 같다.

:100 = 3^{3^1+1} + 2 \cdot 3^2 + 1.

3. 2. 굿스타인 수열의 정의

굿스타인 수열 G_m은 자연수의 수열이다. 수열 G_m의 첫 번째 항은 ''m'' 자체이다. 두 번째 항 G_m (2)를 구하려면, ''m''을 유전적 2진법 표기법으로 작성하고, 모든 2를 3으로 변경한 다음 결과에서 1을 뺀다. 일반적으로, 굿스타인 수열의 항 G_m (n+1)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 G_m (n)의 유전적 진법 표현을 취한다.
  • 각 진법의 발생을 로 대체한다.
  • 1을 뺀다. (다음 항은 이전 항과 지수 ''n'' 모두에 의존한다.)
  • 결과가 0이 될 때까지 계속하고, 이 시점에서 수열은 종료된다.


숫자 m의 '''굿스타인 수열'''을 G(m)이라고 쓴다. 수열의 첫째 항은 m으로 한다. 다음 항을 얻기 위해서는, m을 2를 밑으로 하는 유전적 표기법으로 쓴 다음, 나타나는 "2"를 모두 3으로 치환하고, 결과에서 1을 뺀다. 이것이 G(m)의 제2항이다. G(m)의 제3항을 얻기 위해서는, 바로 앞 항(의 3을 밑으로 하는 유전적 표기법)의 "3"을 모두 4로 치환하고, 결과에서 다시 1을 뺀다. 마찬가지로 반복하여, 결과가 0이 되었을 때 수열이 끝난다.

초기 굿스타인 수열은 빠르게 종료된다. 예를 들어, G_3은 6번째 단계에서 종료된다.

진법유전적 표기법비고
2 2^1 + 1 33을 2진법으로 작성
3 3^1 + 1 - 1 = 3^1 32를 3으로 바꾸고, 1을 뺀다.
4 4^1 - 1 = 3 33을 4로 바꾸고, 1을 뺀다. 이제 4가 더 이상 없다.
5 3 - 1 = 2 24를 5로 바꿀 4가 없다. 그냥 1을 뺀다.
6 2 - 1 = 1 15를 6으로 바꿀 5가 없다. 그냥 1을 뺀다.
7 1 - 1 = 0 06을 7로 바꿀 6이 없다. 그냥 1을 뺀다.



G(3)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유전적 표기비고
221 + 131은 20을 나타낸다.
331 + 1 − 1 = 332를 3으로 치환한 다음 1을 뺀다.
441 − 1 = 1 + 1 + 133을 4로 치환한 다음 1을 뺀다. 얻어지는 3은 밑인 4보다 작으므로, 41-1이라는 표현은 40 + 40 + 40 즉 1 + 1 + 1이 된다.
51 + 1 + 1 − 1 = 1 + 12여기에 나타나는 1은 모두 50의 것이다. 더 이상 밑을 바꿔도 의미가 없다. 이 수열은 이후 0에 도달한다.
61 + 1 − 1 = 11
71 − 1 = 00



나중 굿스타인 수열은 매우 많은 단계 동안 증가한다. 예를 들어, G_4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진법유전적 표기법
2 2^{2^1} 4
3 3^{3^1} - 1 = 2 \cdot 3^2 + 2 \cdot 3 + 2 26
4 2 \cdot 4^2 + 2 \cdot 4 + 1 41
5 2 \cdot 5^2 + 2 \cdot 5 60
6 2 \cdot 6^2 + 2 \cdot 6 - 1 = 2 \cdot 6^2 + 6 + 5 83
7 2 \cdot 7^2 + 7 + 4 109
\vdots \vdots \vdots
11 2 \cdot 11^2 + 11 253
12 2 \cdot 12^2 + 12 - 1 = 2 \cdot 12^2 + 11 299
\vdots \vdots \vdots
24 2 \cdot 24^2 - 1 = 24^2 + 23 \cdot 24 + 23 1151
\vdots \vdots \vdots



G_4의 요소는 잠시 동안 계속 증가하지만, 3 \cdot 2^{402\,653\,209}진법에서 최대값 3 \cdot 2^{402\,653\,210} - 1에 도달하고, 다음 3 \cdot 2^{402\,653\,209} 단계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한 다음 감소하기 시작한다.

G(4)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유전적 표기
224
2·32 + 2·3 + 226
2·42 + 2·4 + 141
2·52 + 2·560
2·62 + 6 + 583
2·72 + 7 + 4109
...
2·112 + 11253
2·122 + 11299
...



G(4)의 항은 잠시 증가를 계속하지만, 밑이 3 · 2402653209가 된 시점에서 최대값 3 · 2402653210 − 1에 도달하며, 그대로 3 · 2402653209항 동안 같은 값을 유지하다가, 최초이자 마지막 하강을 시작한다.

G_{19}는 훨씬 더 빠르게 증가하며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유전적 표기법
2^{2^2} + 2 + 1 19
3^{3^3} + 3 7625597484990
4^{4^4} + 3 \approx 1.3 \times 10^{154}
5^{5^5} + 2 \approx 1.8 \times 10^{2\,184}
6^{6^6} + 1 \approx 2.6 \times 10^{36\,305}
7^{7^7} \approx 3.8 \times 10^{695\,974}
7 \cdot 8^{(7 \cdot 8^7 + 7 \cdot 8^6 + 7 \cdot 8^5 + 7 \cdot 8^4 + 7 \cdot 8^3 + 7 \cdot 8^2 + 7 \cdot 8 + 7)} \approx 6.0 \times 10^{15\,151\,335}
\approx 5.6 \times 10^{35\,942\,384}
\vdots \vdots


4. 굿스타인 정리의 증명

굿스타인 정리는 페아노 공리계 밖의 기법, 즉 순서수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굿스타인 수열에 대응하는 감소하는 순서수열을 구성하고, 이 순서수열이 유한 번의 연산 후 0으로 수렴함을 보인다.

이 정리의 증명에는 다음과 같은 보조정리가 필요하다.[1]


  • (보조정리) 위와 같은 조건에서, 임의의 순서수 a에 대하여 a^{b_n}a_n + ... + a^{b_0}a_0 < a^{b_n + 1}.


약한 굿스타인 수열 g_n 에 대하여, h_n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아래에서 ω는 첫 번째 초한순서수이다.)

  • h_n = \omega^{b_k}a_k + ... + \omega^{b_0}a_0


그러면 h_n 은 다음 성질을 만족한다.

  • g_n > 0 이면 h_n > 0 이고 h_n > h_{n+1}이다.


b_0 = 0 이면 분명하므로 b_0이 0보다 크다고 가정하면,

  • g_{n+1} = (n+1)^{b_k}a_k + ... + (n+1)^{b_0}(a_0 - 1) + (n+1)^{b_0 - 1}n + ... + (n+1)n + n


이므로, 위의 보조정리에 의하여,

  • h_{n+1} = \omega^{b_k}a_k + ... + \omega^{b_0}(a_0 - 1) + \omega^{b_0 - 1}n + ... + n
  • < \omega^{b_k}a_k + ... + \omega^{b_0}(a_0 - 1) + \omega^{b_0} = h_n


이 된다.

이제 \{h_n|h_n > 0\}는 순서수의 모임이므로 최소원소 h_r를 갖는다. 이 경우 h_{r+1} = 0이 된다. 이로부터 g_{r+1} = 0을 얻는다.

굿스타인의 정리가 페아노 산술의 정리가 아님을 보여주는 ''Kirby–Paris 정리''는 상당히 더 어렵다. 이 정리는 산술의 가산 비표준 모델을 사용한다.

4. 1. 증명 과정

보조정리에 의해 굿스타인의 정리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1] 굿스타인 수열 ''G''(''m'')이 주어지면, 엄격하게 감소하고 종료되는 순서수의 칸토어 정규형으로 된 병렬 수열 ''P''(''m'')을 구성한다. ''P''(''m'')이 ''G''(''m'')을 지배한다는 사실은 전혀 역할을 하지 않는다. 중요한 점은 ''G''(''m'')(''k'')가 존재한다는 것은 ''P''(''m'')(''k'')가 존재한다는 것과 같고 (병렬성), ''G''(''m'')의 두 구성원 간의 비교는 ''P''(''m'')의 해당 항목을 비교할 때 유지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P''(''m'')이 종료되면 ''G''(''m'')도 종료된다. 무한 퇴행에 의해, ''G''(''m'')은 0에 도달해야 하며, 이는 종료를 보장한다.

함수 f=f(u,k)를 정의하는데, 이 함수는 ''u''의 유전적 기수 ''k'' 표현을 계산한 다음 기수 ''k''의 각 발생을 최초의 무한 순서수 ω로 대체한다. 예를 들어, f(100,3)=f(3^{3^1+1}+2\cdot3^2+1,3)=\omega^{\omega^1+1} + \omega^2\cdot2 + 1 = \omega^{\omega+1} + \omega^2\cdot2 + 1이다.

수열 ''P''(''m'')의 각 항 ''P''(''m'')(''n'')은 ''f''(''G''(''m'')(''n''),''n+1'')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G(3)(1) = 3 = 2^1 + 2^0이고 P(3)(1) = f(2^1 + 2^0,2) = \omega^1 + \omega^0 = \omega + 1이다. 순서수의 덧셈, 곱셈 및 지수화는 잘 정의되어 있다.

f(G(m)(n),n+1) > f(G(m)(n+1),n+2)임을 보일 수 있다.

G'(m)(n)을 굿스타인 수열의 다음 요소를 생성할 때 첫 번째, 즉 ''기수 변환'' 연산을 적용한 후, 하지만 이 생성에서 두 번째 ''빼기 1'' 연산을 수행하기 전이라고 하자. G(m)(n+1)= G'(m)(n)-1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f(G(m)(n),n+1) = f(G'(m)(n),n+2)이다. 이제 ''빼기 1'' 연산을 적용하면, G'(m)(n) = G(m)(n+1)+1이므로, f(G'(m)(n),n+2) > f(G(m)(n+1),n+2)이다. 예를 들어, G(4)(1)=2^2이고 G(4)(2)=2\cdot 3^2 + 2\cdot 3+2이므로, f(2^2,2)=\omega^\omega이고 f(2\cdot 3^2 + 2\cdot 3+2,3)= \omega^2\cdot2+\omega\cdot2+2인데, 이는 엄격하게 작다. ''f(G(m)(n),n+1)''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G''(''m'')(''n'')을 유전적 기수 표기법으로 작성해야 한다.

따라서 수열 ''P''(''m'')은 엄격하게 감소한다. 순서수에서 표준 순서 <는 잘 정렬된 것이므로, 무한히 엄격하게 감소하는 수열은 존재할 수 없거나, 동등하게 모든 엄격하게 감소하는 순서수 수열은 종료된다(그리고 무한할 수 없다). 하지만 ''P''(''m'')(''n'')은 ''G''(''m'')(''n'')으로부터 직접 계산된다. 따라서 수열 ''G''(''m'')도 종료되어야 하며, 이는 0에 도달해야 함을 의미한다.

굿스타인의 정리의 이 증명은 꽤 쉽지만, 굿스타인의 정리가 페아노 산술의 정리가 아님을 보여주는 ''Kirby–Paris 정리''는 기술적이고 상당히 더 어렵다.

다른 증명 방법으로는 먼저, 주어진 굿스타인 수열 G(m)에 대해, 이것과 병행하는 순서수의 수열을 만든다. 이 병행하는 수열의 각 항은 원래의 굿스타인 수열에 포함된 각 항보다 작지 않다. 만약 이 병행 수열의 항이 0으로 수렴한다면, 굿스타인 수열도 마찬가지로 0으로 수렴해야 한다.

병행 수열을 만들기 위해서는, 굿스타인 수열의 (n - 1)번째 항의 n을 밑으로 한 유전적 표기법을 바탕으로, 거기에 나타나는 모든 n을 최초의 초한 순서수인 ω로 치환한다. 순서수는 덧셈, 곱셈, 거듭제곱에 대해 Well-defined하며,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순서수는 원래의 항보다 작지 않다는 것이 명백하다.

굿스타인 수열에서의 "밑의 변경" 연산은 병행 수열의 항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1을 빼는" 연산은 병행 수열의 초한 순서수를 감산하는 것에 대응한다. 순서수는 정렬 순서 (well-order) 이므로, 무한히 감소하는 순서수의 수열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병행 수열은 유한 개의 항 이후에는 반드시 0으로 끝나야 한다. 굿스타인 수열도, 병행 수열에 의해 제어되므로, 마찬가지로 0으로 끝나게 된다.

5. 패리스의 정리 (Kirby-Paris 정리)

패리스의 정리는 굿스타인 정리와 마찬가지로 자연수 수열에 관한 정리이지만, 페아노 공리계 내에서는 증명할 수 없다. 로리 커비와 패리스는 이 정리가 페아노 산술의 무모순성과 관련이 있음을 증명하였다.[1]

5. 1. 공식화

굿스타인의 정리는 다음과 같이 공식화할 수 있다.[1]

  • 초항이 자연수인 굿스타인 수열은 0으로 끝난다.


이 정리는 자연수에 관한 정리임에도 순서수의 이론을 도입하지 않으면 증명이 어렵다.

5. 2. 증명 불가능성

이 정리는 굿스타인의 정리와 유사하게, 자연수에 관한 정리임에도 순서수의 이론을 도입하지 않으면 증명이 어렵다. 실제로 패리스와 로리 커비는 이 정리에 대해서 다음 명제를 증명하였다.[1]

이에 따라서, 만약 패리스의 정리가 페아노 산술 내에서 증명이 된다면 페아노 산술이 모형을 갖는 것이 페아노 산술의 정리가 되어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모순이 된다. 따라서, 패리스의 정리는 통상적인 자연수 체계인 페아노 산술에서 증명불가능하다.

6. 확장된 굿스타인 정리

밑수 변경 연산에서 밑을 ''b'' + 1 대신 ''b'' + 2로 바꾸도록 굿스타인 수열의 정의를 변경해도 굿스타인 정리는 여전히 성립한다.

더 일반적으로, ''b''1, ''b''2, ''b''3, ...를 ''b''1 ≥ 2인 정수의 비감소 수열이라고 하자. 그러면 ''m''의 확장된 굿스타인 수열의 (''n'' + 1)-번째 항 ''G''(''m'')(''n'' + 1)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G''(''m'')(''n'')의 유전적 밑수 ''bn'' 표현을 취한다.
  • 밑수 ''bn''의 각 발생을 ''b''''n''+1로 바꾼다.
  • 1을 뺀다.


예를 들어, ''bn'' = 4이고 ''b''''n''+1 = 9인 경우,

:''f''(3 · 444 + 4, 4) = 3ωωω + ω = ''f''(3 · 999 + 9, 9)

이므로 서수 ''f''(3 · 444 + 4, 4)는 서수 ''f''((3 · 999 + 9) - 1, 9)보다 엄격하게 크다. 이와 같이 확장된 굿스타인 수열도 여전히 종료된다.

확장된 버전은 굿스타인의 원래 논문에서 고려된 것이다. 굿스타인은 이것이 제한된 초한 귀납법(ε0 미만에서 유효하다는 주장)과 동치임을 증명했고, ''m'' ≤ ''b''1''b''1''b''1인 경우에 대한 유한주의 증명을 제시했다.

수열 ''bn''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없는 확장된 굿스타인 정리는 페아노 산술(PA)에서 형식화될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러한 임의의 무한 수열은 PA에서 표현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bn''을 원시 재귀 함수 수열로 제한하면 굿스타인이 증명 불가능성을 증명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그제고르치크 계층의 기법을 사용하여, 모든 원시 재귀 함수로 엄격하게 감소하는 서수의 무한 수열을 "늦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b''''n'' = n + 1인 굿스타인 수열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비와 파리가 증명한 것과 동일한 결과에 대한 대안적 증명을 제공한다.

7. 수열의 길이와 굿스타인 함수

굿스타인 함수 \mathcal{G}: \mathbb{N} \to \mathbb{N} \mathcal{G}(n)이 ''n''으로 시작하는 굿스타인 수열의 길이로 정의된다. 모든 굿스타인 수열이 종료되므로 이는 전체 함수이다. \mathcal{G}의 매우 높은 증가율은 하디 계층의 함수 H_\alpha 및 뢰브와 와이너의 빠르게 증가하는 계층의 함수 f_\alpha와 같이 다양한 표준 서수-색인 함수 계층과 관련하여 보정될 수 있다.


  • 커비와 파리(1982)는 \mathcal{G}H_{\epsilon_0}와 거의 같은 성장률을 가짐을 증명했다(이는 f_{\epsilon_0}와도 같다). 보다 정확하게는, \mathcal{G}는 모든 \alpha < \epsilon_0에 대해 H_\alpha를 지배하고, H_{\epsilon_0}\mathcal{G}\,\!를 지배한다.

:(두 함수 f, g: \mathbb{N} \to \mathbb{N} 에 대해, 충분히 큰 모든 n에 대해 f(n) > g(n)이면 fg를 지배한다고 한다.)

  • 치촌(1983)은 \mathcal{G}(n) = H_{R_2^\omega(n+1)}(1) - 1 임을 보였다. 여기서 R_2^\omega(n)은 ''n''을 상속적 2진법 표기법으로 넣은 다음 모든 2를 ω로 대체한 결과이다(굿스타인 정리 증명에서 수행된 바와 같음).

  • 카이세도(2007)는 n = 2^{m_1} + 2^{m_2} + \cdots + 2^{m_k} 이고 m_1 > m_2 > \cdots > m_k 일 경우, \mathcal{G}(n) = f_{R_2^\omega(m_1)}(f_{R_2^\omega(m_2)}(\cdots(f_{R_2^\omega(m_k)}(3))\cdots)) - 2임을 보였다.


일부 예시는 다음과 같다.

n\mathcal{G}(n)
12^02 - 1H_\omega(1) - 1f_0(3) - 22
22^12^1 + 1 - 1H_{\omega + 1}(1) - 1f_1(3) - 24
32^1 + 2^02^2 - 1H_{\omega^\omega}(1) - 1f_1(f_0(3)) - 26
42^22^2 + 1 - 1H_{\omega^\omega + 1}(1) - 1f_\omega(3) - 23 × 2402653211 − 2 ≈ 6.895080803×10121210694
52^2 + 2^02^2 + 2 - 1H_{\omega^\omega + \omega}(1) - 1f_\omega(f_0(3)) - 2> A(4,4) > 10101019727
62^2 + 2^12^2 + 2 + 1 - 1H_{\omega^\omega + \omega + 1}(1) - 1f_\omega(f_1(3)) - 2> A(6,6)
72^2 + 2^1 + 2^02^{2 + 1} - 1H_{\omega^{\omega + 1}}(1) - 1f_\omega(f_1(f_0(3))) - 2> A(8,8)
82^{2 + 1}2^{2 + 1} + 1 - 1H_{\omega^{\omega + 1} + 1}(1) - 1f_{\omega + 1}(3) - 2> A3(3,3) = A(A(61, 61), A(61, 61))
\vdots
122^{2 + 1} + 2^22^{2 + 1} + 2^2 + 1 - 1H_{\omega^{\omega + 1} + \omega^\omega + 1}(1) - 1f_{\omega + 1}(f_\omega(3)) - 2> fω+1(64) > 그레이엄 수
\vdots
192^{2^2} + 2^1 + 2^02^{2^2} + 2^2 - 1H_{\omega^{\omega^\omega} + \omega^\omega}(1) - 1f_{\omega^\omega}(f_1(f_0(3))) - 2



(아커만 함수그레이엄 수 경계에 대한 내용은 빠르게 증가하는 계층#빠르게 증가하는 계층의 함수 참조.)

8. 계산 가능 함수에의 응용

어떤 수의 굿스타인 수열은 튜링 기계로 효과적으로 열거할 수 있다. 따라서 ''n''을 ''n''의 굿스타인 수열이 종료되는 데 필요한 단계의 수에 매핑하는 함수는 특정 튜링 기계로 계산 가능하다.[1] 이 기계는 단순히 ''n''의 굿스타인 수열을 열거하고, 수열이 ''0''에 도달하면 수열의 길이를 반환한다.[1] 모든 굿스타인 수열은 결국 종료되므로 이 함수는 전역 함수이다.[1] 그러나 페아노 산술은 모든 굿스타인 수열이 종료된다는 것을 증명하지 않기 때문에, 페아노 산술은 이 튜링 기계가 전역 함수를 계산한다는 것을 증명하지 않는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