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혁세는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으로, 금융 분야에서 주로 활동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정치인이었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 재무부와 금융감독위원회 등에서 근무했다. 금융감독원 부위원장과 원장을 역임하며 부산저축은행 부실 사태를 처리하고, 자본시장 개혁에 기여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임기 만료를 앞두고 금감원장에서 사퇴했으며, 2016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 대한민국의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신제윤
신제윤은 대한민국의 공무원, 국제기구 관계자, 기업인으로, 금융위원회 위원장,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의장 등을 역임하고 삼성전자 사외이사로 활동하며, 황조근정훈장과 청조근정훈장을 수여받았다. - 대구대봉초등학교 동문 - 임병헌 (1953년)
임병헌은 대구광역시 행정사무관 출신으로 대구 남구청장을 3선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2022년 재보궐선거에서 대구 중구·남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 대구대봉초등학교 동문 - 장윤정 (미스코리아)
장윤정은 1987년 미스코리아 진, 1988년 미스 유니버스 준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방송인으로, 미스코리아 당선 후 방송, 영화, 드라마에서 활동했다.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 - 이관섭
이관섭은 행정고시 합격 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을 거쳐 윤석열 정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과 비서실장을 역임한 관료이다.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 - 최중경
최중경은 행정고시 합격 후 재정경제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쳐 장관까지 역임한 경제관료 출신으로, 공직 퇴임 후에는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기업 사외이사, 한미협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는 기업인이자 대학교수이다.
권혁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이름 | 권혁세 |
한자 이름 | 權赫世 |
로마자 표기 | Kwon Hyouk-se |
출생일 | 1956년 11월 12일 |
출생지 | 경상북도 대구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력 |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
학력 | 밴더빌트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
경력 | |
주요 경력 | 제8대 금융감독원장 |
주요 경력 | 새누리당 상임위원 |
정치 | |
소속 정당 | 자유한국당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권혁세 웹사이트 |
2. 생애
1956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1975년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여 1980년 졸업하였다. 재학 중 1979년 행정고시에 합격하였고, 1998년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7][8][2]
1980년 총무처 수습행정관으로 공직을 시작, 국세청 및 재무부 등에서 경력을 쌓았다. 2007년부터는 금융정책 업무를 담당,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1국장,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및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1국장 시절에는 은행 및 카드업계의 과당경쟁을 줄이고 부동산시장 안정 대책을 추진했다.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재직 시에는 자본시장 개혁과제를 추진하여 자본시장법 도입 여건을 조성했다. 세제, 거시경제 정책뿐만 아니라 금융정책 및 감독 분야에도 정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0][4][5]
이후 금융감독원장으로 재임하며 소비자 보호를 강조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촉구했다.[6] 박근혜 정부 출범 직후 임기 1년을 남기고 금감원장에서 자진 사퇴했다.[12]
2016년 새누리당 성남분당갑 국회의원 예비후보로 출마했으나, 부산저축은행 피해자들의 낙선 운동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부산저축은행 사태 당시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및 금융감독원장으로 재직하며 27조원의 구조조정기금을 집행했다.[11]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1956년 11월 12일 경상북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75년 2월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하였다. 재학 중인 1979년에 행정고시(23회)에 합격하였고 1980년 대학을 졸업하였다. 1998년 2월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7][8][2]2. 2. 공직 경력
1980년 총무처 수습행정관으로 공직을 시작하여 국세청, 재무부 세제국, 보험국, 이재국, 재무정책국, 재무부 세제실 조세정책과,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실 등에서 행정 경험을 쌓았다.[7][8] 재경부 금융정책과장, 재경부 세제실 재산소비세제심의관, 재경부 세제실 재산소비세제국장(고위공무원) 등을 역임하였다.2007년부터 금융정책 업무를 담당하였는데, 2007년 금융감독위원회[9] 감독정책1국장, 2008년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2009년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및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3] [2]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1국장 시절에는 은행과 카드업계에 만연한 과당경쟁을 줄이는 데 일조했고 부채상환비율(LTV, Loan to Value) 규제 등 부동산시장 안정 대책을 주로 했다.[10]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재직 당시에는 자본시장 개혁과제를 추진, 자본시장법 도입여건을 조성하는데 기여하였다.[4] 세제, 거시경제 정책 분야에서의 폭넓은 지식과 실무경험 뿐 아니라 금융정책 및 감독분야에 정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5]
2. 3. 금융감독원장 재임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1국장 시절 은행과 카드업계에 만연한 과당경쟁을 줄이는데 일조했고 부채상환비율(LTV) 규제 등 부동산시장 안정 대책을 주로 했다.[10]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재직 당시에는 자본시장 개혁과제를 추진, 자본시장법 도입 여건을 조성하는데 기여하였다.[10] 그는 금융정책 및 감독뿐만 아니라 조세정책과 거시경제정책 분야에서도 풍부한 전문성과 경험을 갖고 있다.[5]세계 금융 위기를 통해 금융회사들이 소비자와 전체 금융 시스템을 희생시키면서 번영했다는 점을 배우면서, 금융감독원장은 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역 은행들에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것을 촉구했다.[6]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시절, 공공기관에 대한 ‘이명박 정권’의 낙하산 인사와 관련해 문제를 지적하자 청와대는 국정 철학 공유라는 주요 기관장 교체 원칙을 밝혔다. 박근혜 정부 출범 직후 권혁세는 임기 1년을 남기고 금감원장에서 자진 사퇴하였다.[12]
2. 4. 정치 경력
권혁세는 2016년 새누리당 성남분당갑 국회의원 예비후보로 출마했으나, 부산저축은행 피해자들의 낙선 운동으로 어려움을 겪었다.[11] 2011년 부산저축은행 불법대출 사건으로 저축은행 연쇄 부실 사태가 발생했을 때, 권혁세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었고, 이후 금융감독원장으로 재직하며 27조원의 구조조정기금을 집행했다.[11]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공공기관에 대한 'MB 정권'의 낙하산 인사 문제를 지적하면서, 청와대는 국정 철학 공유를 주요 기관장 교체 원칙으로 밝혔다. 박근혜 정부 출범 직후 권혁세는 임기 1년을 남기고 금융감독원장에서 자진 사퇴했다.[12]
3.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2016년 | 제20대 총선 | 새누리당 | 52,160표 (38.51%) | 2위 | 낙선 | 경기 성남 분당 갑 |
참조
[1]
뉴스
Preventing an economic ice age
https://www.koreatim[...]
2011-11-28
[2]
웹사이트
Governor Biography
http://english.fss.o[...]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3]
일반텍스트
[4]
뉴스
신임 금감원장에 권혁세 금융위 부위원장 내정
http://www.edaily.co[...]
[5]
웹사이트
금융감독원장 임명제청안 금융위 의결
http://www.fsc.go.kr[...]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6]
뉴스
Financial regulation in transition
https://web.archive.[...]
2011-11-28
[7]
웹사이트
금감원장 임명제청의결 보도자료
http://www.fsc.go.kr[...]
[8]
웹사이트
금융감독원 홈페이지→원장소개→역대원장
http://www.fss.or.kr[...]
[9]
일반텍스트
[10]
뉴스인용
http://news.mk.co.kr[...]
[11]
뉴스인용
http://www.m-i.kr/ne[...]
[12]
뉴스인용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