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 (바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는 바둑판의 네 모퉁이를 지칭하며, 좌상귀, 우상귀, 좌하귀, 우하귀로 구분된다. 귀는 변이나 중앙과 달리 특수한 사활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귀곡사, 정육궁, 귀 8궁과 같은 특수한 형태가 나타난다. 귀곡사는 곡사궁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살아있는 돌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이며, 정육궁은 외부 공배 유무에 따라 사활이 결정된다. 귀 8궁은 가일수하지 않으면 빅이나 패가 발생한다.
바둑판의 네 귀는 각각 좌상귀, 우상귀, 좌하귀, 우하귀로 불린다. 귀와 변, 중앙 사이에 특별한 경계는 없다.
귀는 중앙이나 변에서는 볼 수 없는 수많은 변화들이 있다.
2. 귀의 명칭
좌상귀 우상귀 -- -- 좌하귀 우하귀 -- --
각 귀의 화점에 인접한 착점을 부르는 명칭은 다음과 같다.3. 귀의 특수성
위 그림은 흑돌이 5궁을 냈는데 안쪽의 백돌 3점이 두 집 내기를 방해하고 있는 모양이다. 안쪽의 모양은 둘 다 같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귀 8궁의 경우도 가일수하지 않으면 귀의 특수성으로 인해 빅이나 패가 난다.
3. 1. 귀곡사
귀곡사는 귀에서 곡사궁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살아있는 돌로 간주되지 않는 특수한 경우이다.
위 그림에서 왼쪽의 흑돌은 귀곡사로 죽은 형태이다. 백이 a에 두어 잡으러 가면 흑은 b로 따내더라도,
위 그림과 같이 패가 나게 된다. 백이 왼쪽의 흑을 잡으러 들어갈 시점에는 이미 팻감을 모두 없앤 다음이므로, 흑은 어쩔 수 없이 죽게 된다.
3. 2. 정육궁
3. 3. 귀 8궁
귀 8궁은 가일수하지 않으면 귀의 특수성으로 인해 빅이나 패가 나는 특수한 형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