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167년 집정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167년 집정관)는 폰토스 출신의 로마 원로원 의원이자 철학자인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아라비아누스의 아들이다. 그는 갈라티아 속주의 폼페이오폴리스에서 태어나 소요학파의 일원이었으며, 로마 지식인 사회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활동했다. 167년에 보좌 집정관을, 173년에는 직권 집정관을 역임했고, 폼페이오폴리스의 후원자이자 명예 시민이 되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친구였으며, 두 번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요학파 - 테오프라스토스
테오프라스토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이자 리케이온 학파의 후계자인 고대 그리스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특히 식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겨 "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식물 연구와 기상학, 논리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했다. - 소요학파 -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플라톤의 제자였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스승이었고, 논리학, 자연학,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시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겨 서구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철학자 -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는 46년에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작가이자 전기 작가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과 『모랄리아』 등의 저서를 통해 서양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철학자 - 갈레노스
갈레노스는 로마 제국의 의사이자 철학자, 문헌학자로, 그의 방대한 저술은 서구 및 이슬람 의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해부학적 관찰과 동물 실험을 통해 히포크라테스의 4체액설을 발전시키고 인체의 기능과 질병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여 의학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클라우디우스 씨족 - 네로
네로는 로마 제국의 다섯 번째 황제로서, 초기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이후 폭군으로 변모하여 기독교 박해를 가했으며, 브리타니아 반란, 로마 대화재, 유대인 반란 등을 겪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클라우디우스 씨족 - 율리아누스
율리아누스는 361년부터 363년까지 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며, 기독교를 배척하고 로마 전통 종교를 부흥시키려 하여 '배교자'로도 불리며, 종교 정책과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페르시아 원정 중 사망하여 그의 짧은 통치는 로마 제국의 종교적, 정치적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167년 집정관) | |
---|---|
기본 정보 | |
이름 |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
원어 이름 | Gnaeus Claudius Severus |
출생 | 기원후 2세기 전반, 폼페이오폴리스 |
사망 | 176년 이후 |
국적 | 로마 제국 |
정치 경력 | |
집정관 | 167년 |
임페라토르 | 173년/174년 |
아시아 속주 총독 | 175년/176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
어머니 | 유밀리아 라에나스 |
배우자 | 우미디아 코르넬리아 콰르틸라 안니아 아우렐리아 갈레리아 파우스티나 |
자녀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프로쿨루스 클라우디아 티시아나 |
학문 | |
스승 | 알렉산드리아의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
분야 | 철학 |
2. 생애
세베루스는 원로원 의원이자 철학자인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아라비아누스와 신원 미상의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폰토스계 그리스인이었다. 그는 갈라티아 속주의 도시 폼페이오폴리스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그의 조부인 가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는 집정관을 지냈고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집권기인 98년-117년에 아라비아 페트라이아 속주의 초대 총독을 지냈다.
아버지처럼, 세베루스는 소요학파의 일원이었다. 세베루스가 대단한 정치적 영향력을 지니지는 못 했으나, 그는 로마 내 지식인 및 정치인 무리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여겨졌다. 아버지와 같이, 세베루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친구였고 대단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수사학자인 코르넬리아누스를 소개시켜주고 갈레누스를 주치의로 추천해준 것이 세베루스였을 것으로 본다. 세베루스와 그의 아버지는 176년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철학적 사유로 아테네를 방문했을 때 동행하였다.
세베루스는 167년에 보좌 집정관을, 그리고 173년에는 정식 집정관을 수행했다.
2. 1. 폼페이오폴리스 비문
173년, 세베루스가 두 번째 집정관 임기를 수행하던 해에 폼페이오폴리스의 후원자 및 명예 시민이 되었다. 같은 해에, 그의 출생지에 조각상 받침대에 새겨진 명예 비문이 헌정되었는데, 이 비문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두 번 집정관을 지내고 교황이며, 황제 카이사르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아우구스투스의 사위이며, 도시의 후원자인 그나이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의 행운을 위해, 파플라고니아 속주의 대도시 폼페이오폴리스는 속주 178년에 수석 집정관인 푸블리우스 도미티우스 아우게리누스 클로디우스 칼베이누스의 작업으로 이것을 세웠다.
3. 가족 관계
- 첫 번째 부인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귀족 여성으로,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 베루스를 낳았다.
- 두 번째 부인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소 파우스티나의 딸 안니아 갈레리아 아우렐리아 파우스티나로,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프로쿨루스를 낳았다.
3. 1. 첫 번째 결혼
세베루스는 두 차례 결혼했다. 첫 번째 결혼은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귀족 여성과 하였으며, 이 사이에서 아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 베루스를 두었다. 이 아들은 마르쿠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 베루스에게 입양되었으며, 콤모두스 황제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3. 1. 1.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 베루스
세베루스는 두 차례 혼인했다.- 신원 미상의 귀족 여성과 혼인하여 아들 하나를 두었다.
-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 베루스. 그의 본명은 클라우디우스를 제외하고는 알려진 것이 없으며, 입양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167년의 직권 집정관인 마르쿠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 베루스에게 입양되었는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외가 쪽 친척이었다. 182년에 콤모두스 황제 (180년-192년)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
3. 2. 두 번째 결혼
세베루스는 두 차례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귀족 여성으로, 아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 베루스를 낳았다. 그는 마르쿠스 움미디우스 콰드라투스 안니아누스 베루스에게 입양되었으며, 182년에 콤모두스 황제 암살 미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
- 159년 이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소 파우스티나의 딸 안니아 갈레리아 아우렐리아 파우스티나와 결혼했다.
3. 2. 1.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프로쿨루스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프로쿨루스는 200년에 직권 집정관을 지냈고, 외가 쪽 사촌인 안니아 파우스티나와 결혼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