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사학은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설득을 위한 기술과 원리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메소포타미아, 고대 이집트, 고대 그리스, 고대 중국 등 다양한 문명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고대 그리스에서는 웅변술 교육이 발전하며 민주주의의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을 "각각의 경우에서 설득의 가능한 수단을 파악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에토스, 파토스, 로고스를 설득의 3요소로 제시했다. 중세와 르네상스를 거치며 수사학은 변화와 부흥을 겪었고, 현대에는 정치, 법률,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담론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발전했다. 수사학은 발견, 배열, 웅변, 기억, 전달의 5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하며, 현대 사회에서 가짜 뉴스, 음모론 등과 같은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판적 사고 기술 - 창의성
창의성은 새롭고 유용한 결과물을 생산하거나 독창적이고 가치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뇌의 상호작용, 확산적 사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 등과 관련되며, 훈련 등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 - 비판적 사고 기술 - 분석
분석은 대상의 내용을 구성 요소로 나누어 속성, 관계 등을 밝히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사회과학에서는 사실 해명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으로 나뉜다. - 수사학 - 연설
연설은 대중 앞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로, 정보 전달, 설득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가지며, 고대부터 중요한 훈련 과목이었고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많은 청중에게 도달하며 연설 기법 훈련과 발표 불안 극복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 수사학 - 구성
구성은 글의 주제와 목적에 맞게 재료를 엮어 글의 성격을 결정하며, 시간적, 공간적 순서에 따른 자연적 구성과 논리적 관계에 따른 논리적 구성으로 나뉜다. - 언어에 관한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수사학 | |
---|---|
기본 정보 | |
![]() | |
분야 | 설득의 기술 |
어원 | 그리스어: grc (rhētorikos) 그리스어: grc (rhētōr) 그리스어: grc (rhēma) 그리스어: grc (ero) |
로마자 표기법 | rhetorik (IPA: /rɪˈtɒrɪkəl/) |
기타 언어 | 그리스어: ρητορική, rhētorikē 라틴어: rhetorica 영어: rhetoric |
정의 | |
설명 |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설득을 위한 기술과 원칙을 다루는 학문 및 실천. 다양한 청중과 상황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와 기호를 사용하는 방법. |
관련 학문 | 언어학 |
주요 개념 | |
5가지 규율 | 인벤티오/발견술 (Inventio) 디스포시티오/배열술 (Dispositio) 엘로쿠티오/표현술 (Elocutio) 메모리아/기억술 (Memoria) 프로눈티아티오/연기술 (Pronuntiatio) |
역사적 발전 | |
고대 그리스 | 기원전 5세기: 시라쿠사에서 처음 발전 소피스트: 수사학을 가르치고 실천 플라톤: 수사학을 비판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을 체계화 저서: 수사학 |
고대 로마 |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등의 수사학 이론 발전 수사학이 교육과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 |
중세 | 삼학(문법, 수사학, 논리학)의 일부로 교육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등이 기여 |
르네상스 | 고전 수사학의 부활 새로운 수사학 이론과 실천 등장 |
근현대 | 수사학이 커뮤니케이션, 문학, 정치 등의 분야에서 중요하게 연구 20세기: 새로운 수사학 이론 등장 (케네스 버크 등) |
주요 학자 및 저서 | |
주요 학자 |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이사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 퀸틸리아누스 아우구스티누스 토마스 아퀴나스 케네스 버크 |
주요 저서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키케로의 De Oratore 퀸틸리아누스의 Institutio Oratoria |
기타 | |
관련 개념 | 설득 담론 논증 비평 커뮤니케이션 미사여구 과장 역설 반어법 수사법 문체 상징 |
참고 문헌 | 에드워드 P. J. 코베트의 "Classical Rhetoric for the Modern Student" 영, R. E., 베커, A. L., 파이크, K. L.의 "Rhetoric: Discovery and Change" 토마스 M. 콘리의 "Rhetoric in the European Tradition" 조지 A. 케네디의 "A New History of Classical Rhetoric" |
관련 링크 | 그리스어 사전 ῥητορ-ικός (rhetorikos) 그리스어 사전 ῥήτωρ (rhetor) 그리스어 사전 ῥῆμα (rhema) 그리스어 사전 ἐρῶ (ero)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1권 2장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1권 2절 1359 브리태니커 국제대백과사전의 수사학 |
2. 역사
수사학의 기원은 메소포타미아에 있다.[54] 가장 초기의 수사학적 예는 공주이자 여사제였던 엔헤두안나(}})의 아카드어 저술에서 찾을 수 있다.[55] 역사상 최초로 이름이 알려진 저자[54][55]로서, 엔헤두안나의 글은 나중에 고대 그리스에서 정형화된 수많은 수사적 특징을 보여준다. 엔헤두안나의 "이난나의 찬가"에는 서론, 주장, 그리고 결론[54]뿐만 아니라 , , [55]의 요소와 반복, 그리고 은유가 포함되어 있다.[56] 그녀는 또한 "이난나의 찬가"에서 자신의 발명 과정을 묘사하고, 1인칭과 3인칭 주소를 오가며 이난나 여신과의 협업 속에서 자신의 작문 과정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5] 이는 우주적 청중을 끌어들임으로써 신비로운 삼단논법을 반영한다.[57]
초기 수사학의 후기 사례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센나케리브() 시대에 찾아볼 수 있다.[58]
고대 이집트에서는 적어도 중왕국 시대(}}) 이후로 수사학이 존재해왔다. 고대 이집트 수사학의 웅변의 5가지 원칙은 침묵, 시기, 자제, 유창성, 진실성이었다.[59] 이집트인들은 웅변을 높이 평가했다. 이집트 수사학의 규칙은 "말하지 않는 것을 아는 것이 필수적이고 매우 존경받는 수사학적 지식"이라고 명시하여 수사학을 "웅변과 현명한 침묵 사이의 균형"으로 만들었다. 그들은 또한 "보수적인 현상 유지를 지지하는 사회적 행동에 대한 고수"를 강조했고, "숙련된 연설은 사회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0]
고대 중국에서 수사학은 중국 철학자 공자()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교 전통은 말하기에서 웅변의 사용을 강조했다.[61]
수사학의 사용은 고대 성경 전통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62]
2. 1. 고대 그리스
유럽에서 공개 연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었다.[63] 일리아드에서 아킬레우스, 헥토르, 오디세우스와 같은 영웅들은 동료와 추종자들에게 조언과 촉구를 하는 능력으로 존경받았다. 민주주의 폴리스의 부상과 함께, 웅변술은 고대 그리스 도시들의 공공 및 정치 생활에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스 시민들은 웅변을 사용하여 정치적 및 사법적 결정을 내리고, 철학적 사상을 발전시키고 전파했다.[64] 고전 시대에는 많은 위대한 사상가와 정치 지도자들이 청중 앞에서 자신의 업적을 발표했는데, 이는 명성, 정치적 영향력, 문화적 자본을 위한 경쟁의 맥락이었다. Rhetorgrc는 그리스어로 "웅변가"를 의미하며, 이들은 배심원과 정치 집회에 연설하는 시민이었다. logôn technegrc는 "주장에 대한 기술" 또는 "언어적 예술성"으로 불렸다.[64]언어의 힘에 대한 최초의 연구는 엠페도클레스에게 기인하며, 그의 인간 지식에 대한 이론은 많은 웅변가들에게 기초를 제공했다. 최초의 서면 설명서는 코락스와 그의 제자 티시아스에게 기인한다.[145] 티시아스는 법정 연설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웅변술은 중요한 기술로 발전했는데, 웅변가에게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형식, 수단 및 전략을 제공했다.[144]
소피스트들은 기원전 5세기에 웅변술 교육을 대중화한 순회 강사들이었다. 아스파시아는 소피스트로서 사적 및 공적 수사 활동에 참여한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65] 이들은 로고스(logos), 즉 담론(discourse)의 기능 및 힘을 중심으로 가르쳤다.[66] 소피스트들은 인간의 탁월함이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기술(techne)이라고 주장하며 최초의 인문주의자들 중 하나였다.[66] 또한, 문화적 관습이 관습이나 nomosgrc(nomos)의 기능이라고 주장했다.[67]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다"라는 문구는 이러한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소피스트들은 모든 주장은 반박될 수 있으며, 주장의 효과는 청중에게 얼마나 "그럴듯하게" 보이는지에 따라 달라진다고 가르쳤다. "궤변(sophistry)"이라는 단어는 부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지만, 소피스트들은 인기 있고 돈을 잘 버는 전문가였으며, 그들의 능력에 대해 존경을 받았지만 과도함에 대해서도 비판을 받았다. 윌리엄 키스(William Keith)와 크리스티안 룬드버그(Christian Lundberg)에 따르면 소피스트들은 그리스 사회가 민주적인 가치로 전환됨에 따라 설득력 있는 연설과 전략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가르쳤다.[68]
이소크라테스는 대중 연설을 인간 향상의 수단으로 가르쳤지만, 소피스트들과 차별화하려고 노력했다. 그는 덕 또는 탁월함의 기술이 존재하지만, 타고난 재능, 열망, 끊임없는 연습, 그리고 좋은 모범의 모방에 더 의존한다고 제안했다. 이소크라테스는 고귀한 주제와 중요한 질문에 대해 공개적으로 연설하는 연습이 연설자와 청중 모두의 성격을 향상시킨다고 믿었다.[69] 그는 자신의 연설을 학생들이 모방할 "모델"로 작성하여 시민 지도자를 통해 명성을 얻고자 했다. 그의 학교는 아테네 최초의 상설 학교였으며, 플라톤의 아카데미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이온이 부분적으로 이소크라테스에 대한 반응으로 설립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에게 영향을 미쳤고, 그들을 통해 서구의 전체 교육 제도에 영향을 미쳤다.
플라톤은 여러 대화편에서 진정한 수사학과 거짓된 수사학의 차이점을 제시했다. 플라톤은 소피스트들이 그럴듯한 것에만 호소하기 때문에 학생들과 청중들을 발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들이 듣고 싶어하는 것으로 그들을 아첨할 뿐이라고 주장한다. 플라톤의 수사학에 대한 비판은 『고르기아스』에서 분명하지만, 『파이드로스』에서는 수사학이 변증법에 의해 생산된 지식에 기반을 둔 진정한 기술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플라톤이 수사학과 소피스트들에게 적대적인 것은 그들이 덕을 가르친다는 과장된 주장과 외양에 의존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의 스승인 소크라테스가 소피스트들의 노력 후 사형 선고를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플라톤을 수사학의 반대자가 아니라, 수사적 실천을 극적으로 보여주고 수사학을 단순한 연설 이상으로 상상한 미묘한 수사 이론가로 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제자였으며, 수사학에 대한 광범위한 논문을 저술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의 첫 문장에서 "수사학은 변증학의 at=I.1/antistrophe}}"이라고 말한다.[70]
- ethosgrc: 화자의 성격과 신뢰성이 청중이 그를/그녀를 믿을 만하다고 여기도록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이다.
- pathosgrc: 청중의 판단을 바꾸기 위한 감정적 호소의 사용이다.
- logosgrc: 논증을 구성하기 위해 귀납적 또는 연역적 추론을 사용하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삼단논법적 추론''을 강조했다. "삼단논법"은 삼단논법의 형식을 따르지만, 주요 전제 또는 부차적 전제 중 하나를 제외한다. 삼단논법은 청중이 누락된 전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설득력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민 수사학의 세 가지 다른 유형 또는 장르를 확인했다.
- 법정(사법): 과거에 발생한 사건의 진실 또는 거짓과 유죄 문제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다.
- 심의적(정치적): 특정 행동을 미래에 취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다.
- 찬사적(의례적): 현재 칭찬과 비난, 가치, 옳고 그름, 아름다움과 기술을 보여주는 것과 관련된다.
레토리케(ῥητορική)라는 학문은 기원전 5세기 폴리스 사회의 그리스에서 탄생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레토리케를 논리학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으로 간주했다(엔튀메마).
2. 2. 고대 로마
키케로()는 로마 웅변가들 중 가장 뛰어났으며, 고대 웅변가 중 가장 유명한 인물로 손꼽힌다. 로마인들에게 웅변술은 공공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었다.[77] 키케로는 공개적으로 연설을 하고 그 주제에 대한 논문을 모두 집필한 유일한 웅변가이기도 하다. 키케로의 저술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저자가 불분명한 ''헤렌니우스를 위한 웅변술''은 웅변술에 관한 가장 중요한 저술 중 하나이며, 오늘날에도 널리 참고 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 책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 웅변술에 관한 고급 교과서로 널리 출판되었다.키케로는 경쟁적인 아티크 양식과 아시아적 양식 사이의 중도를 개척하여 역사상의 웅변가들 중 데모스테네스 다음으로 여겨지게 되었다.[77] 그의 작품에는 ''발명론'', ''웅변가론'', ''토피카'', ''브루투스'', ''웅변가'' 등이 있다. 키케로는 또한 수많은 연설과 서신을 남겼는데, 이는 수 세대에 걸쳐 라틴어의 웅변과 양식의 윤곽을 확립하게 되었다. 페트라르카와 같은 이탈리아인들이 키케로의 연설(아르키아스의 변론)과 서한(아티쿠스에게 보낸 서한)을 재발견함으로써 르네상스에 불을 지폈다.[78]
키케로는 그리스어(그리고 그리스 웅변술) 학습을 옹호하고, 로마 윤리, 언어학, 철학 및 정치에 기여했으며, 웅변술에서 모든 형태의 호소(순수한 추론 외에도 감정, 유머, 문체적 범위, 반어법, 그리고 여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웅변가는 그들의 사건의 구체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유래한 일반적인 질문에 대해서도 배워야 한다는 주장은 후대의 웅변술과 일반적인 교육에 큰 영향을 주었다. 키케로는 웅변가가 법, 정치, 역사, 문학, 윤리, 전쟁, 의학, 그리고 산술과 기하학에 이르기까지 인간 삶과 문화의 모든 영역에 대해 지식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키케로는 "이상적인 웅변가"가 모든 학문 분야에 정통해야 한다는 생각을 제기했는데, 이는 "인문주의"로 표현되었고, 오늘날 전 세계 대학과 대학교의 교양 교육 요건으로 이어지고 있다.[79]
퀸틸리아누스(35~100년경)는 법정 변론가로 경력을 시작했으며, 그의 명성은 매우 높아져 베스파시아누스가 로마에 그를 위한 수사학 교수직을 만들었다. 그의 인생의 정점은 장문의 논문인 ''웅변술 교육(Institutio Oratoria)''이다. 이 책에서 그는 완벽한 웅변가의 교육을 출생부터 노년까지 논하며, 그 과정에서 그 이전의 많은 영향력 있는 수사학자들의 교리와 견해를 검토한다. ''웅변술 교육''에서 퀸틸리아누스는 야망 있는 웅변가가 거치는 교육 단계를 통해 수사학 연구를 구성하며, 유모의 선택부터 시작한다. 초등 교육(읽기와 쓰기, 문법 및 문학 비평 교육)은 구성에 대한 예비 수사학 연습(프로그뮤나스마타/프로그뮤나스마타(progymnasmata)grc)으로 이어지며, 이에는 격언과 우화, 서술과 비교, 그리고 마지막으로 완전한 법적 또는 정치적 연설이 포함된다. 교육의 맥락이나 오락 목적으로 연설을 전달하는 것은 "낭독"이라는 용어로 널리 퍼지고 인기를 얻었다.

이 저술은 중세 시대에는 단편적으로만 이용 가능했지만, 1416년 생갈 수도원(Abbey of St. Gall)에서 완전한 사본이 발견됨으로써 르네상스 시대에 가장 영향력 있는 수사학 저술 중 하나로 부상했다. 퀸틸리아누스의 저술은 수사학의 기술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 활동적이고 도덕적이며 공공심이 강한 시민으로서 완벽한 웅변가의 형성을 묘사한다. 그는 수사학 훈련의 윤리적 적용을 강조했는데, 부분적으로는 로마 학교에서 주제와 기법의 표준화 경향에 대한 반응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이소크라테스의 영향을 받아 고대 로마에서도 수사학 ()이 유행했다. 특히 키케로의 『De oratorela』, 『웅변가의 최고의 종류에 관하여』와 퀸틸리아누스의 『Institutio Oratoriala』에서 수사학이 논의되었다. 제정 초기에는 수사학 교수의 칙임 제도도 정비되었다.[146]
수사학의 5분야, 즉 "발상"(), "배치"(Dispositio), "수사"(Elocutio), "기억"(Memoria), "발표"(Pronuntiatio)가 확립된 것도 이 시대이다. 특히 "발상", 즉 토포스를 축적하는 활동은 중세 유럽 교양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비잔티움 제국에서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 등에서 수사학()이 다루어졌다 (비잔틴 철학).
2. 3. 중세와 근대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에도 수사학은 언어 예술 연구의 중심에 남았으나, 수 세기 동안 쇠퇴기를 겪었다. 이후 중세 대학의 발흥과 함께 정규 교육이 점진적으로 부흥했다.[80] 이 시기 수사학은 편지쓰기 기술(ars dictaminisla)과 설교문 작성 기술(ars praedicandila)로 변화했다.[80] 수사학은 트리비움의 일부로서 논리학 연구보다 부차적이었으며, 매우 학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역사적 주제에 대한 담론 (suasoriaela)이나 고전적인 법률 문제에 대한 담론 (controversiaela)을 창작하는 반복적인 연습을 받았다.[80]성 아우구스티누스 (354–430)는 수사학 교육을 받았고,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는 자신의 종교 전파를 위해 수사학을 사용하는 데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De doctrina Christiana''에서 수사학의 새로운 용법을 탐구하며 설교학의 기초를 마련했다.[80] 아우구스티누스는 이교도 작품의 보존을 주장하고 수많은 기독교 이전의 수사학 저술의 보존으로 이어지는 교회 전통을 촉진한 것으로 기억된다.[81] 히에로니무스 (사망 420)는 고전 수사학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81]
보에티우스 (–524)는 ''수사학 구조 개요''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를 계속하여 수사학을 철학적 논증이나 변증법에 종속시켰다.[82] 아랍 학문은 아리스토텔레스와 고전 사상 전반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켰다.[82] 후기 중세 수사학 저술에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 (–1274), 뱅돔의 매슈 (''Ars Versificatoria'', ), 그리고 벵소의 제프리 (''Poetria Nova'', 1200–1216)의 저술이 포함된다. 크리스틴 드 피잔 (–)과 같이 여성이 저술한 중세 수사학도 존재했지만 항상 기록으로 남은 것은 아니다.
마셜 맥루한 (1911–1980)은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키케로 시대부터 토마스 내쉬 (1567–) 시대까지의 언어 예술을 조사한 박사 학위 논문을 작성했다.[83] 중세 수사학 사상의 또 다른 기록은 ''올빼미와 나이팅게일'' (13세기)과 제프리 초서의 ''새들의 의회''와 같은 동물 논쟁 시에서 볼 수 있다.
르네상스 인문주의는 중세 스콜라 논리학과 변증법을 배척하고 고전 라틴어 문체와 문법, 어원학, 수사학 연구를 선호했다.[84]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1466년경–1536년)는 고전 수사학에 대한 관심의 부흥에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다. 그의 작품 ''De Duplici Copia Verborum et Rerum''(「풍부한 문체의 기초」)는 널리 출판되어 이 분야의 기본적인 교과서 중 하나가 되었다. 이책에서 res-verbala(물질과 형식)에 대한 전통적인 논의를 제공한다.[84] 후안 루이스 비베스(1492년–1540년)는 잉글랜드에서 수사학 연구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16세기 중반에는 영어로 쓰인 속어 수사학이 등장했지만, 라틴어와 그리스어에 대한 강력한 스콜라적 지향 때문에 영어로 된 작품의 채택은 느렸다.[86] 레너드 콕스의 ''The Art or Crafte of Rhetoryke''(약 1524년–1530년; 2판은 1532년 출판)는 영어로 된 수사학에 관한 가장 오래된 책이다.[86] 토마스 윌슨의 ''''(1553)는 수사학의 표준 5가지 원칙과 같은 수사학에 대한 전통적인 논의를 제시한다.[86]
같은 시기에, 피에르 라무(1515년–1572년)는 수사학의 5가지 구성 요소에서 발명과 배열은 변증법의 제목 아래에만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문체, 전달, 기억만이 수사학에 남았다.[87] 그의 가르침은 프랑스에서는 수명이 짧았지만 네덜란드, 독일, 잉글랜드에서는 비옥한 토양을 발견했다.[88] 존 밀턴(1608년–1674년)은 라무의 작품을 바탕으로 라틴어로 논리학 또는 변증법 교과서를 썼다.[90]
라미즘은 예수회 교육과정에서 볼수 있듯이, 스콜라주의에 충실한 기존의 가톨릭 학교와 대학교, 또는 예수회나 오라토리안 회원들이 설립한 새로운 가톨릭 학교와 대학교에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었다.[91] 키케로와 퀸틸리아누스의 영향이 Ratio Studiorumla에 스며들어 있다면, 그것은 헌신과 반종교개혁의 투쟁이라는 렌즈를 통해서였다.[91]
프랜시스 베이컨 (1561–1626)은 그의 저서 ''학문의 진보''에서 스타일을 중시하는 사람들을 비판했다.[93] 토마스 홉스 (1588–1679)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축약 번역한 것 외에도, 홉스는 이 주제에 관한 여러 다른 저술을 남겼다. 홉스는 베이컨과 마찬가지로 수사법을 절제하는 더 간단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지지했다.
왕립 학회는 1664년 영어를 개선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했다. 위원회 위원들 중에는 존 에블린 (1620–1706), 토마스 스프랫 (1635–1713), 그리고 존 드라이든 (1631–1700)이 있었다. 스프랫은 "화려한 말솜씨"를 질병으로 여겼다.[95] 존 드라이든은 종종 새롭고 현대적인 영어 스타일을 창조하고 모범을 보인 사람으로 인정받는다. 그의 중심 원리는 스타일이 "상황, 주제, 그리고 사람들에게 적절해야 한다"는 것이었다.[96]
18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수사학 학파 중 하나는 스코틀랜드의 벨레트르 수사학(Belles-lettres rhetoric)이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휴 블레어(Hugh Blair) 교수와 케임스 경(Lord Kames)이 있다. 18세기 수사학계의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인물은 소설가이자 아동 문학 작가인 마리아 에지워스(Maria Edgeworth)이다. 그녀의 작품은 당시 남성 중심적인 수사 전략을 종종 풍자하였다.
중세 이슬람 세계의 이슬람 철학에서도 수사학은 다루어졌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弁論術)이 알파라비(ファーラービー)와 아베로에스(イブン・ルシュド)에게 수용되었다. 이후 12세기 르네상스를 거쳐 토마스 아퀴나스(トマス・アクィナス)에게도 수용되었다.[148] 14세기에는 페트라르카(ペトラルカ)를 비롯한 인문주의자들에 의해 이소크라테스와 키케로의 전통 부흥이 진행되었다.[148] 16세기에는 예수회(イエズス会)의 교육 계획에서 수사학이 중심에 위치하게 되었다.[148] 근세에는 잔바티스타 비코(ジャンバッティスタ・ヴィーコ)의 사상에서 수사학적 사고방식이 중요시되거나, 라몬 율이(ラモン・リュイ)와 Petrus Ramus영어,조르다노 브루노(ジョルダーノ・ブルーノ)에 의해 상술한 "기억"(記憶術)이 수사학에서 반쯤 독립하는 동시에, 헤르메스주의(ヘルメス主義) 등과 결합하여 유행하기도 했다.[149]
근세 유럽의 수사학은 여러 예술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예를 들어, 기억술의 사고방식이 르네상스 시대의 극장과 정원 설계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149] 또는 바로크 음악(バロック音楽)의 음악 이론에 수사학이 도입되기도 했다(음악 수사학).[150] 또는 티치아노(ティツィアーノ・ヴェチェッリオ)의 그림 『비너스에게 바치는 헌정』(ヴィーナスへの奉献)과 같이, 고대의 웅변가가 남긴 "에크프라시스"(エクフラシス)라고 불리는 문헌군에 유래하는 그림이 그려졌다.[151]
2. 4. 한국의 수사학
전근대 인도, 중국, 일본에는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수사학(변론술·설득술)이 거의 전파되지 않았다. 예수회의 중국 선교사 줄리오 알레니(艾儒略)에 의해 “문과(文科)”로 한역되어 소개되거나[152], 나가사키의 콜레지오에서 수사학 강의가 개최되기도 했지만,[153] 전통으로 뿌리내리지는 못했다.하지만 수사학과 비슷한 것, 또는 문채·문학 이론이라는 의미에서의 수사학(수사 기법)의 전통은 각 지역에 존재한다.[154] 예를 들어, 바마하/Bhamaha영어와 단딘이 논한 인도 문학·카비야의 이론[155] (인도 고전 수사학/Ancient Indian rhetoric영어[156])이나, 유협 『문심조룡』과 쿠카이 『문경비부론』이 논한 중국 문학 이론, 한시문에서의 대구, 와카에서의 걸치 등의 전통이 있다.
메이지 시대 일본에서 서양의 이 수용되자, 음역에서 한역까지 다양한 번역어가 사용되었다.[158] 예를 들어, 1870년대 초 니시 주의 경우 “문자학”으로 번역했다. 그 후, 오자키 유키오 『공회연설법』(1877년), 키쿠치 다이로쿠 『수사 및 화문』(1880년), 쿠로이와 다이 『웅변미사법』(1883년) 등에서 이 소개되었다. 특히, 타카다 사나에 『미사학』(1889년)은 내용이 뿐 아니라 미학도 포함하지만, 츠보우치 쇼요와 타케시마 하오리에 의해 일본 의 선구적인 저술로 여겨졌다. 이 『미사학』 이후, 시마무라 호우겟츠 『신미사학』(1902년)과 이가라시 치카라 『신문장강화』(1909년)에 의해 상술한 『문심조룡』 등의 화한 전통과 이 결합되었다. 다이쇼 시대 이후 수사학 연구는 쇠퇴했지만, 사토 노부오 등에 의해 재흥되었다.
메이지 시대 일본에서는 이상과 같은 수사학 연구와 병행하여, 후쿠자와 유키치를 선구자로 하는 “연설” 문화도 유행하여 자유민권운동을 뒷받침했다.
중국에서는 1900년대부터 일본 저술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 소개된 후, 와세다대학 유학생으로 이가라시 치카라의 제자인 천망도가 『수사학발범』(1932년)을 저술하여 이후 중국 수사학의 선구자가 되었다.
“수사(辭를 修める)”라는 한어는 옛날부터 있으며, 『역경』의 한 구절 “수사립기성(修辭立其誠)”(통칭 “수사립성”)에 유래한다.[159] 오기 소라이와 장빙린은 각각의 사상 아래 “수사립성”을 논했다.[160]
3. 주요 개념 및 분야
학자들은 고대부터 수사학의 범위에 대해 논쟁해 왔으며, 현대 수사학은 고전 수사학보다 훨씬 더 다양한 영역을 다룬다.[165] 고전 수사학이 법정과 집회 같은 공공 포럼과 기관에서 효과적인 설득을 위한 연설 훈련에 초점을 맞춘 반면, 현대 수사학은 인간의 담론을 연구한다.[165] 수사학자들은 정치 및 법률과 더불어 자연 및 사회 과학, 미술, 종교, 저널리즘, 디지털 미디어, 소설, 역사, 지도 제작, 건축 등 다양한 영역의 담론을 연구한다.[165]
고대 그리스인들은 대중의 정치 참여를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에 수사학은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도구로 등장했고, 이는 수사학이 정치적 기원을 갖는 배경이 되었다. 소피스트인 고르기아스는 수사학이 정치뿐만 아니라 모든 전문 지식을 전달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자신의 쾌락을 추구한 트로이의 헬레네를 변호하며 소설에 수사학을 적용하기도 했다.
플라톤은 수사학을 기만의 수단으로 비판하며, 법원과 집회에서 무지한 대중을 설득하는 아첨의 한 형태라고 정의했다.[166]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플라톤이 수사학을 멸시했다는 생각에 이의를 제기한다.[167][168][169]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의 정의를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한 설득 수단을 찾아내는 능력이라고 하여, 수사학을 정치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현대의 신아리스토텔레스적 입장과 신소피스트적 입장은 소피스트와 아리스토텔레스 사이의 분열을 반영한다.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은 수사학을 정치적 담론으로 연구하는 반면, 신소피스트적 견해는 수사학이 그렇게 제한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케네스 버크는 인간이 상징에서 공유된 특성과 관심사를 식별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수사학을 사용한다고 주장하며, 수사학을 동일시로 정의하여 그 범위를 넓혔다.[170]
사람들은 말하거나 의미를 생성할 때마다 수사학적 과정에 참여한다. 과학 분야에서도 과학자들은 청중이 자신의 발견을 수용하도록 설득해야 한다.[104] 20세기 전반에 걸쳐 수사학은 고등학교와 대학에 수사학 과정이 개설되면서 집중 연구 분야로 발전했다.[100] 수사학은 대학의 영어 학과 내에서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연구 부서와 수사학 및 작문 프로그램의 출현으로 연구 분야로서 더 존경받는 명성을 얻었다. 수사학 연구는 그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특히 마케팅, 정치 및 문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정당들은 당의 목표와 로비스트들의 의제를 추진하기 위해 "조작적인 수사법"을 사용한다.[20] 이들은 자신들을 연민, 자유, 문화의 수호자로 묘사하지만, 실제 정책은 이러한 주장과 모순되는 경우가 많다.[21][22]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에서 수사학이라는 용어가 생겨났고, 소피스트들은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설득력 있는 연설의 기술을 가르쳤다.[23] 아리스토텔레스는 연설을 분류하고, 연구하고, 해석하는 데 유용한 기술로서 연설을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3] 르네상스 시대에는 수사학이 부흥을 맞이했고, 낭만주의 시대 이전에 음악에 대해 저술한 거의 모든 작가가 수사학을 논했다.[39]
1930년대에는 대중매체 기술의 발전으로 수사학, 언어, 설득, 정치적 수사 및 그 결과에 대한 연구가 부흥기를 맞았다. 철학에서의 언어 전환도 이러한 부흥에 기여했다. 수사학이라는 용어는 구두 언어 이외의 매체 형식, 예를 들어 시각적 수사학 등에 적용되기 시작했다.[102][103]
광고와 사진, 전신, 라디오, 영화와 같은 대중매체의 부상은 수사학을 사람들의 삶에 더욱 두드러지게 만들었다.[104] 수사학은 광고가 어떻게 설득하는지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104] 소셜 미디어에서 가짜 뉴스와 음모론의 확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05]
근대 이후, 수사학은 다양한 학문으로 분화되어 언어 표현을 다듬는 기술이라는 영역에 갇히게 되었지만, 20세기 후반 이후 문학이론, 이야기론, 토론 기술, 프레젠테이션 기술, 의사소통학[161], 비형식 논리학[162], 논증학, 비판적 사고, 학술적 글쓰기 등의 관점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3. 1. 수사학의 5가지 원칙 (Canons)
수사학 교육은 다섯 가지 기본 원칙(카논)에 중점을 두었다. 수사학의 다섯 가지 기본 원칙은 설득력 있는 메시지와 주장을 만드는 지침 역할을 한다.[38]- '''발견'''(inventio): 주장을 개발하고 다듬는 과정.
- '''배열'''(dispositio, 또는 arrangement): 일반적으로 서론(서론)으로 시작하여 주장을 어떻게 구성해야 가장 효과적인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 '''웅변'''(elocutio, 또는 style): 주장을 제시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
- '''기억'''(memoria): 연설과 설득적인 메시지를 배우고 암기하는 과정.
- '''전달'''(pronuntiatio) 및 '''행위'''(actio): 설득력 있는 주장을 제시할 때 사용하는 몸짓, 발음, 어조, 속도 – 웅장한 양식.
기억은 원래 네 가지 기본 원칙에 훨씬 나중에 추가되었다.[38]
3. 2.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의 3요소
아리스토텔레스(, 기원전 384~322/Ἀριστοτέληςgrc)는 ''수사학''에서 "수사학은 변증학의 "라고 언급하며,[70] 수사학을 "각각의 경우에서 설득의 가능한 수단을 파악하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이는 변증법과 유사하게 담론 생성 기술이지만, 실제 문제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71]아리스토텔레스는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화자가 논리적, 윤리적, 감정적 증거를 사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수사학의 세 가지 주요 요소로 다음을 제시했다.
- : 화자의 성격과 신뢰성이 청중에게 미치는 영향이다. 인식된 지능, 덕 있는 성격, 호의는 신뢰할 수 있는 에토스에 기여하는 세 가지 자질이다.
- : 청중의 감정에 호소하여 판단을 바꾸는 방법이다. 은유, 확대, 이야기하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 : 논증을 구성하기 위해 귀납적 또는 연역적 추론을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생략삼단논법을 강조했는데, 이는 청중이 누락된 전제를 제공하며 설득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시민 수사학의 세 가지 유형을 법정, 심의적, 찬사적으로 구분하고, 주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사고 범주인 '주제'의 개념을 제시했다.
3. 3. 현대 수사학의 분야
학자들은 고대부터 수사학의 범위를 논의해 왔으며, 현대 수사학은 고전 수사학보다 훨씬 더 다양한 영역을 다룬다.[165] 고전 수사학이 법정과 집회 같은 공공 포럼과 기관에서 효과적인 설득을 위한 연설 훈련에 초점을 맞춘 반면, 현대 수사학은 인간의 담론을 연구한다.[165] 수사학자들은 정치 및 법률과 더불어 자연 및 사회 과학, 미술, 종교, 저널리즘, 디지털 미디어, 소설, 역사, 지도 제작, 건축 등 다양한 영역의 담론을 연구한다.[165]고대 그리스인들은 대중의 정치 참여를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에 수사학은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도구로 등장했고, 이는 수사학이 정치적 기원을 갖는 배경이 되었다. 소피스트인 고르기아스는 수사학이 정치뿐만 아니라 모든 전문 지식을 전달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자신의 쾌락을 추구한 트로이의 헬레네를 변호하며 소설에 수사학을 적용하기도 했다.
플라톤은 수사학을 기만의 수단으로 비판하며, 법원과 집회에서 무지한 대중을 설득하는 아첨의 한 형태라고 정의했다.[166]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플라톤이 수사학을 멸시했다는 생각에 이의를 제기한다.[167][168][169]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의 정의를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한 설득 수단을 찾아내는 능력이라고 하여, 수사학을 정치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게 하였다.
현대의 신아리스토텔레스적 입장과 신소피스트적 입장은 소피스트와 아리스토텔레스 사이의 분열을 반영한다.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은 수사학을 정치적 담론으로 연구하는 반면, 신소피스트적 견해는 수사학이 그렇게 제한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케네스 버크는 인간이 상징에서 공유된 특성과 관심사를 식별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수사학을 사용한다고 주장하며, 수사학을 동일시로 정의하여 그 범위를 넓혔다.[170]
사람들은 말하거나 의미를 생성할 때마다 수사학적 과정에 참여한다. 과학 분야에서도 과학자들은 청중이 자신의 발견을 수용하도록 설득해야 한다.[104] 20세기 전반에 걸쳐 수사학은 고등학교와 대학에 수사학 과정이 개설되면서 집중 연구 분야로 발전했다.[100] 수사학은 대학의 영어 학과 내에서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연구 부서와 수사학 및 작문 프로그램의 출현으로 연구 분야로서 더 존경받는 명성을 얻었다. 수사학 연구는 그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특히 마케팅, 정치 및 문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정당들은 당의 목표와 로비스트들의 의제를 추진하기 위해 "조작적인 수사법"을 사용한다.[20] 이들은 자신들을 연민, 자유, 문화의 수호자로 묘사하지만, 실제 정책은 이러한 주장과 모순되는 경우가 많다.[21][22]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에서 수사학이라는 용어가 생겨났고, 소피스트들은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설득력 있는 연설의 기술을 가르쳤다.[23] 아리스토텔레스는 연설을 분류하고, 연구하고, 해석하는 데 유용한 기술로서 연설을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3] 르네상스 시대에는 수사학이 부흥을 맞이했고, 낭만주의 시대 이전에 음악에 대해 저술한 거의 모든 작가가 수사학을 논했다.[39]
1930년대에는 대중매체 기술의 발전으로 수사학, 언어, 설득, 정치적 수사 및 그 결과에 대한 연구가 부흥기를 맞았다. 철학에서의 언어 전환도 이러한 부흥에 기여했다. 수사학이라는 용어는 구두 언어 이외의 매체 형식, 예를 들어 시각적 수사학 등에 적용되기 시작했다.[102][103]
광고와 사진, 전신, 라디오, 영화와 같은 대중매체의 부상은 수사학을 사람들의 삶에 더욱 두드러지게 만들었다.[104] 수사학은 광고가 어떻게 설득하는지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104] 소셜 미디어에서 가짜 뉴스와 음모론의 확산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05]
근대 이후, 수사학은 다양한 학문으로 분화되어 언어 표현을 다듬는 기술이라는 영역에 갇히게 되었지만, 20세기 후반 이후 문학이론, 이야기론, 토론 기술, 프레젠테이션 기술, 의사소통학[161], 비형식 논리학[162], 논증학, 비판적 사고, 학술적 글쓰기 등의 관점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4. 현대적 의의 및 과제
현대 학자들은 수사학을 문화의 모든 측면을 포괄하는 것으로 보며, 고대보다 훨씬 다양한 영역을 다룬다.[165] 고전 수사학이 공공 포럼과 기관에서의 효과적인 설득에 초점을 맞춘 반면, 현대 수사학은 인간 담론 전반을 연구한다. 수사학자들은 정치 및 법률뿐만 아니라 자연 및 사회 과학, 미술, 종교, 저널리즘, 디지털 미디어, 소설, 역사, 지도 제작, 건축 등 다양한 영역의 담론을 연구한다.[165]
고대 그리스에서는 수사학이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도구로 여겨졌지만, 소피스트들은 수사학의 범위를 정치에만 국한하지 않았다. 고르기아스와 같은 소피스트들은 수사학이 모든 전문 지식을 전달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심지어 소설에도 적용했다.[165] 플라톤은 수사학을 기만의 수단으로 비판하고 법원과 집회에서 무지한 대중을 설득하는 것으로 정의했지만,[166] 일부 학자들은 플라톤이 수사학을 멸시했다는 생각에 이의를 제기한다.[167][168][169]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을 주어진 상황에서 적절한 설득 수단을 찾아내는 능력으로 정의하여, 정치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 적용 가능하게 했다.
현대의 신아리스토텔레스적 입장과 신소피스트적 입장은 수사학의 범위에 대한 논쟁을 반영한다. 신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은 수사학을 주로 정치적 담론으로 보는 반면, 신소피스트들은 수사학이 더 넓은 범위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케네스 버크는 인간이 상징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수사학을 사용한다고 주장하며, 수사학의 범위를 암묵적인 동일시 전술까지 확장했다.[170]
과학 분야에서도 과학자들은 연구 결과를 설득력 있게 제시해야 하므로 수사학적 과정에 참여한다. 20세기 전반에는 수사학 과정이 개설되면서 수사학 연구가 발전했으며, 커뮤니케이션 연구 부서와 수사학 및 작문 프로그램의 출현으로 학문 분야로서의 위상이 높아졌다. 수사학 연구는 마케팅, 정치,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수사학은 언론의 자유와 집회의 자유가 보장되는 민주적인 사회에서 번성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시민의 성격을 형성하고 시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민적 예술로 간주된다. 이소크라테스는 수사학이 사회의 모든 측면의 기초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을 "...어떤 주어진 경우에도 설득의 가능한 수단을 관찰하는 능력"으로 정의했다.[17] 키케로는 훌륭한 연설가는 훌륭한 사람이어야 하며, 다양한 시민 주제에 대해 통찰력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대 작품들은 수사학이 공동체와 시민 생활을 정의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로버트 해리먼은 자유, 평등, 정의에 대한 질문이 수사학적 공연을 통해 제기되고 해결된다고 주장했으며,[19] 제임스 보이드 화이트는 수사학이 문화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20세기 초, 수사학 연구는 부흥기를 맞았으며,[100] 1930년대에는 대중매체 기술의 발전과 철학에서의 언어 전환으로 인해 수사학, 언어, 설득, 정치적 수사 및 그 결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수사학은 시각적 수사학과 같은 비언어적 매체 형식에도 적용되기 시작했다.[102][103]
광고와 사진, 전신, 라디오, 영화와 같은 대중매체의 부상은 수사학을 더욱 중요하게 만들었다. 수사학은 광고가 어떻게 설득하는지,[104] 소셜 미디어에서 가짜 뉴스와 음모론의 확산을 이해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105]
근대 이후 수사학은 다양한 학문으로 분화되었지만, 20세기 후반 이후 문학이론, 이야기론, 토론 기술, 의사소통학[161], 비형식 논리학[162], 논증학, 비판적 사고, 학술적 글쓰기 등의 관점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또한, 시각적 의사소통에서 "비주얼 레토릭"으로 전용되고 있으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163], ""으로 연구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1]
서적
ῥήτωρ (rhetor)
https://www.perseus.[...]
[1]
서적
ῥῆμα (rhema)
https://www.perseus.[...]
[1]
서적
ἐρῶ (ero)
https://www.perseus.[...]
[2]
서적
Classical rhetoric for the modern student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Rhetoric: discovery and change
Harcourt Brace & World
[3]
서적
Politics
[3]
서적
Rhetoric
[4]
서적
Rhetoric in the European Tradition
University of Chicago
[5]
학술지
On schiappa versus poulakos
[6]
서적
The Rhetoric of Human Sciences: Language and Argument in Scholarship and Public Affairs
http://hhs.sagepub.c[...]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6]
학술지
Educational Theory as Theory of Culture: A Vichian perspective on the educational theories of John Dewey and Kieran Egan
[6]
서적
The Rhetoric of Economics
Univ of Wisconsin Press
[6]
학술지
The Rhetoric of Economics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6]
서적
Tropes of Politic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6]
서적
Society as Tex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서적
The Older Sophists: A Complete Translations by Several Hands of the Fragment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8]
서적
Gorgias
http://www.classical[...]
The Classical Library
[9]
서적
The Rhetoric of Plato's Republic
Chicago UP
[9]
학술지
Plato, Xenophon, and the Uneven Temporalities of Ethos in the Trial of Socrates
2021
[9]
서적
The epistemology of rhetoric: Plato, doxa and post-truth
Uppsala UP
[10]
웹사이트
Aristotle's Rhetoric
https://plato.stanfo[...]
[11]
백과사전
Aristotle's Rhetoric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03-21
[12]
백과사전
Aristotle's Rhetoric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03-14
[13]
서적
Aristotle, On Rhetoric: A Theory of Civic Discourse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A Rhetoric of Motiv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5]
서적
When Words Lose Their Mean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
서적
Contemporary Rhetorical Theory: A Reader
Guilford Press
[17]
서적
Rhetoric
[18]
서적
Aristotle's Rhetoric: An Art of Characte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서적
Political Style: The Artistry of Powe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
서적
Person-Centered Political Party: A Blueprint for Organization Free of Power Corruption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21-06-14
[21]
서적
Manipulating Democracy: Democratic Theory, Political Psychology, and Mass M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09-22
[22]
서적
Manipulation and Ideologies in the Twentieth Century: Discourse, Language, Mind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5-01-01
[23]
서적
The essential guide to rhetoric
Bedford/St. Martin's
[24]
서적
Introduction to Rhetorical Theory
Waveland Press
[25]
서적
Classical Rhetoric & Its Christian and Secular Tradi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6]
서적
Rhetoric and Pedagogy: Its History, Philosophy, and Practice
[27]
서적
Rhetoric in the European Tradi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서적
A New History of Classical Rhetoric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서적
De doctrina Christiana
[29]
학술지
Rhetoric and Poetics in the Early Middle Ages
[30]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Rhetoric and Composition
http://www.bedfordst[...]
[31]
학술지
Francis Bacon and the Historiography of Scientific Rhetoric
[32]
학술지
Elocution and Shakespeare: An Episode in the History of Literary Taste
[33]
학술지
Rhetoric, Aboriginal Australians and the Northern Territory intervention: A socio-legal investigation into pre-legislative argumentation
http://apo.org.au/fi[...]
[33]
학술지
Synthetic Necessary Truth Behind New Labour's Criminalisation of Incest
[34]
서적
The Lyceum and Public Culture in the Nineteenth-Century United States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35]
서적
Rhetorical Theory: An Introduction (with InfoTrac)
Wadsworth Publishing
[36]
논문
Interfacing Cultural Rhetorics: A History and a Call
2018-04-03
[37]
서적
The Essential Guide to Rhetoric
Bedford/St. Martin's
[38]
서적
Thank You for Arguing
[39]
서적
The End of Early Music: A Period Performer's History of Musi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8-06
[40]
서적
Musica Poetica: Musical-Rhetorical Figures in German Baroque Music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7
[41]
논문
On Viewing Rhetoric as Epistemic
1967
[42]
논문
What Do You Mean, Rhetoric Is Epistemic?
https://scholarcommo[...]
2004
[43]
서적
Rhetorical criticism: exploration & practice
Waveland Press
1996
[44]
서적
The History and Theory of Rhetoric
2017-09-22
[45]
논문
The Forum
2000-02
[46]
서적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https://halshs.archi[...]
2017-07-05
[47]
논문
Communication and Knowledge: An Investigation in Rhetorical Epistemology
1987-05
[48]
논문
Beyond rhetorical relativism: A structural-material model of truth and objective reality
1983-11
[49]
논문
Chapter 16. Rhetorical Validity: an Analysis of three Perspectives on the Justification of Rhetorical Argument
DE GRUYTER
1992-12-31
[50]
서적
Epistemic Justification: Essays in the Theory of Knowledge
Cornell University Press
[51]
서적
Empirical Knowled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2]
논문
On the Contrary: The Protocol of Traditional Rhetoric
1999
[53]
논문
Creating the Ancient Rhetorical Tradition: Dionysius of Halicarnassus in Rome
2021-11-18
[54]
서적
Rhetoric before and beyond the Greek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5]
서적
Rhetoric before and beyond the Greek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6]
서적
Rhetoric Before and Beyond the Greeks
SUNY Press
[57]
논문
Some Aspects of Christian Mystical Rhetoric, Philosophy, and Poetry
[58]
서적
Rhetoric before and beyond the Greek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9]
multiref
Silence and Listening as Rhetorical Arts
https://online.ucpr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11-01-05
[60]
논문
Ancient Egyptian Rhetoric in the Old and Middle Kingdoms
2002-06
[61]
서적
Rhetoric before and beyond the Greek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2]
서적
Rhetoric before and beyond the Greek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3]
서적
A New History of Classical Rhetoric
Princeton University Press
[64]
multiref
Rhetoric and Poetics in Antiquity
Oxford University Press
[65]
서적
The Rhetorical tradition: readings from classical times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Bedford Books of St. Martin's Press
[66]
웹사이트
on humanism past & present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https://www.amacad.o[...]
2024-10-27
[67]
백과사전
The Sophists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4-10-27
[68]
서적
The essential guide to rhetoric
https://www.worldcat[...]
Bedford/St. Martin's
2008
[69]
multiref
Isocrates with an English Translation
G.P. Putnam's Sons
[70]
서적
Rhetoric
[71]
서적
Nietzsche Humanist
Marquette University Press
[72]
서적
India's Struggle for Independence
https://archive.org/[...]
Penguin Random House
[73]
학술지
Rethinking Rhetoric from an Indian Perspective: Implications in the Nyaya Sutra
Informa UK Limited
[74]
서적
A Source Book in Indian Philoso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75]
서적
Philosophies of India
Routledge
2008
[76]
서적
The Nyaya Sutras of Gotama
Motilal Banarsidass Publ.
1990-12-31
[77]
서적
Cicero, Philippics 3–9
Walter de Gruyter
[78]
웹사이트
Petrarch Western Civilization
https://courses.lume[...]
2024-04-10
[79]
서적
De Inventione
[80]
서적
De doctrina Christiana
[81]
서적
Letters of St. Jerome
https://archive.org/[...]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
[82]
서적
The Rhetorical Tradition: Readings from Classical Times to the Present
Bedford / St. Martins
[83]
서적
The Classical Trivium: The Place of Thomas Nashe in the Learning of His Time
Gingko Press
[84]
서적
Faith and Contexts
Scholars Press
[85]
서적
William Shakspere's Small Latine and Lesse Greek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86]
학술지
Leonard Cox and the First English Rhetoric
[87]
서적
Ramus, Method, and the Decay of Dialogue: From the Art of Discourse to the Art of Reas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8]
서적
Age de l'Éloquence
[89]
서적
Ramus and Talon Inven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89]
서적
Philosophy and the Art Europe, 1500–1700: Teaching and Texts at Schools and Universities
Ashgate
[90]
서적
Artis Logicae Plenior Institutio: Ad Petri Rami Methodum Concinnata
[91]
서적
The Ratio studiorum: The Official Plan for Jesuit Education
Institute of Jesuit Sources
[92]
서적
The New England Mind: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93]
서적
Of the Advancement and Proficience of Learning or the Partitions of Sciences
[94]
서적
Francis Bacon: Discovery and the Art of Discour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서적
The History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for the Improving of Natural Knowledge
T.R. for J. Martyn at the Bell
[96]
서적
The Spanish Fryar
George Cawthorn
[97]
서적
The History and Theory of Rhetoric
Pearson
[98]
서적
The Concise Oxford Companion to English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99]
학술지
Poaching on Men's Philosophies of Rhetoric: Eighteenth- and Nineteenth-Century Rhetorical Theory by Women
[100]
서적
The history of speech communication: The emergence of a discipline, 1914–1945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100]
서적
The ethics and politics of speech: Communication and rhetoric in the twentieth century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01]
서적
Twentieth-Century Roots of Rhetorical Studies
Praeger
[102]
학술지
Resisting Temporal Regimes, Imagining Just Temporalities
[103]
학술지
In the Present and Importantly Present: Enacting a Temporal Turn for Asian American Rhetoric
http://enculturation[...]
2018-12-18
[103]
학술지
Rhetoric and the Temporal Turn: Race, Gender, Temporalities
[104]
학술지
Pleasure and Persuasion in Advertising: Rhetorical Irony as a Humor Technique
[105]
학술지
Disinformation and Echo Chambers: How Disinformation Circulates on Social Media Through Identity-Driven Controversies
http://journals.sage[...]
[106]
서적
Rhetorical theory: an introduction
Thomson/Wadsworth
[107]
서적
A General Rhetoric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8]
서적
The Mechanical Bride: The Folklore of Industrial Man
Vanguard Press
[109]
서적
The Gutenberg Galaxy: The Making of Typographic Ma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0]
서적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McGraw-Hill
[111]
서적
The New Rhetoric: A Treatise on Argument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12]
서적
The Philosophy of Rhetoric
Oxford University Press
[113]
서적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4]
서적
Rhetorical Criticism: Perspectives in Action
Lexington Books
[115]
서적
Rhetorical Criticism: A Study in Method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16]
웹사이트
Four Argument Strategies
https://ethicalreali[...]
2016-02-19
[117]
서적
The Speaking/Writing Connection
Parthenon West Books
[118]
multiref
The Only Authentic Book of Persuasion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119]
학술지
The Status of Theory and Method in Rhetorical Criticism
http://blog.umd.edu/[...]
2017-06-05
[120]
서적
Rhetorical Criticism: Exploration and Practice
Waveland Press, Inc.
[121]
서적
Rhetorical Criticism: Perspectives in Action
Lexington Books
[122]
학술지
Lincoln at Cooper Union: Neo-Classical Criticism Revisited
[123]
서적
Comparative Rhetoric: An Historical and Cross-Cultur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4]
학술지
A note on biorhetorics
https://www.academia[...]
[125]
학술지
Creaturely Rhetorics
[126]
학술지
The rhetoric and prose of the human/animal contrast
[127]
학술지
Identification, Naming, and Rhetoric in The Sky, the Stars, the Wilderness and The Maine Woods
2012-03-01
[128]
학술지
A Hoot in the Dark The evolution of general rhetoric
[129]
학술지
Toward a Bestial Rhetoric
[130]
간행물
The Routledge Handbook of Comparative World Rhetorics
Routledge
2020-06-10
[131]
간행물
The Routledge Handbook of Comparative World Rhetorics
Routledge
2020-06-10
[132]
학술지
Thinking beyond Aristotle: The Turn to How in Comparative Rhetoric
[133]
학술지
Manifesting a Future for Comparative Rhetoric
2015-06-15
[134]
학술지
Reflective Encounters: Illustrating Comparative Rhetoric
[135]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comparative world rhetorics: studies in the history, application, and teaching of rhetoric beyond traditional Greco-Roman contexts
Routledge
[136]
학술지
Short Reviews
Project Muse
[137]
학술지
Beyond Bias, Binary, and Border: Mapping out the Future of Comparative Rhetoric
[138]
학술지
Manifesting a Future for Comparative Rhetoric
[139]
학술지
Rhetorical Figure Detection: Chiasmus, Epanaphora, Epiphora
2018-05-01
[140]
arXiv
Language Models as Few-Shot Learner for Task-Oriented Dialogue Systems
2020-08-01
[141]
웹사이트
[142]
논문
On Schiappa versus Poulakos
Spring
[143]
서적
A New History of Classical Rhetoric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4]
서적
『プラトン全集 10』
岩波書店
[145]
서적
『パイドロス』
岩波文庫
[146]
서적
哲学者・ソフィスト列伝
京都大学学術出版会〈西洋古典叢書〉
[147]
서적
集中講義!ギリシア・ローマ
ちくま新書
[148]
서적
新版 アリストテレス全集18
岩波書店
[149]
서적
記憶術
水声社
[150]
논문
音楽修辞フィグーラの概念による小学校歌唱共通教材の表現法
https://dl.ndl.go.jp[...]
[151]
논문
物語る絵のナラトロジー
https://doi.org/10.1[...]
[152]
논문
イエズス会士系著訳書の受容
http://ajih.jp/backn[...]
日本思想史学会
[153]
논문
キリシタン時代のリベラルアーツ教育
http://id.nii.ac.jp/[...]
敬和学園大学
[154]
웹사이트
レトリック研究の予備知識
http://ir.lib.hirosh[...]
1992-01-31
[155]
웹사이트
インド古典修辞学における修辞と感情
http://ir.lib.hirosh[...]
2005-02-24
[156]
웹사이트
INBUDS DB 検索「インド古典修辞学」
http://bauddha.dhii.[...]
[157]
논문
ジャーヒズとアラブ修辞学の形成過程
https://doi.org/10.2[...]
[158]
웹사이트
WEB特集 演説の歴史 日本の場合は…
https://web.archive.[...]
[159]
웹사이트
『易経』文言伝
[160]
서적
「修辞」という思想 章炳麟と漢字圏の言語論的批評理論
白澤社
[161]
서적
メディア・レトリック論
ナカニシヤ出版
[162]
웹사이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0
[163]
웹사이트
第2言語習得 (SLA) 用語集
http://www.u.tsukuba[...]
筑波大学
[164]
웹사이트
『論証のレトリック』文庫版解説|ちくま学芸文庫|納富 信留|webちくま
http://www.webchikum[...]
[165]
서적
The Rhetoric of Human Sciences: Language and Argument in Scholarship and Public Affairs
http://hhs.sagepub.c[...]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66]
웹사이트
Gorgias
http://www.classical[...]
[167]
서적
The Rhetoric of Plato's Republic
https://press.uchica[...]
Chicago UP
[168]
논문
Plato, Xenophon, and the Uneven Temporalities of Ethos in the Trial of Socrates
https://www.jstor.or[...]
2021
[169]
서적
The epistemology of rhetoric: Plato, doxa and post-truth
Uppsala UP
[170]
서적
A Rhetoric of Motiv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질문을 설계하는 힘 ‘수사학’, AI 시대에 꼭 필요한 이유
보이스피싱범의 사려깊은 한마디 “비하하는 건 아닌데...”
보이스피싱범 ‘서희재 검사’…“텔레그램은 범죄에 악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