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프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프터스는 1990년에 개봉한 영화로, 베테랑 사기꾼 릴리 딜런과 그녀의 아들 로이, 그리고 로이의 여자친구 마이라 랭트리가 얽힌 이야기를 다룬다. 릴리는 마피아 도박사 보보 저스투스를 위해 일하며, 경마장에서 사기를 치는 베테랑 사기꾼이다. 아들 로이를 만나러 간 릴리는 로이가 사기를 치다 부상을 입은 것을 발견하고, 로이의 여자친구 마이라와 갈등을 겪는다. 마이라는 릴리가 보보에게서 돈을 훔쳤다는 사실을 알고 보보에게 알리고, 릴리는 마이라를 죽이고 도망치려 하지만, 결국 아들 로이와의 갈등 끝에 로이를 죽이고 돈을 챙겨 달아난다. 이 영화는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아카데미상, 골든 글로브상 등 여러 영화제에서 후보로 지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기를 소재로 한 영화 - 포커스 (2015년 영화)
윌 스미스와 마고 로비 주연의 《포커스》는 노련한 사기꾼이 미숙한 사기꾼에게 기술을 가르치는 과정을 그린 미국의 로맨틱 범죄 코미디 영화로, 북미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고 전 세계적으로 흥행했다. - 사기를 소재로 한 영화 - 새해전야 (영화)
2021년 개봉한 영화 《새해전야》는 김강우, 유인나, 유연석, 이연희, 이동휘, 천두링, 염혜란, 최수영, 유태오 등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하여 새해를 앞둔 여러 커플들의 이야기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담아낸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 영화 - 위험한 관계 (1988년 영화)
쇼데를로 드 라클로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1988년 미국 영화 《위험한 관계》는 18세기 프랑스 혁명 직전 파리 상류사회를 배경으로 음모와 배신, 사랑과 복수를 그린 작품으로, 글렌 클로즈, 존 말코비치, 미셸 파이퍼 등이 출연하였으며 세자르 영화제에서 수상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 영화 -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
2000년에 개봉한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는 닉 혼비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레코드 가게를 운영하는 롭 고든이 여자친구에게 차인 후 과거의 연애를 되돌아보며 사랑과 관계에 대해 고찰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작품상 수상작 - 와호장룡
왕도루의 소설을 원작으로 앙 리 감독이 연출하고 주윤발, 양자경, 장쯔이가 주연한 2000년 개봉 영화 《와호장룡》은 은퇴를 앞둔 검객 이모백과 유수련, 옥교룡, 라소호의 이야기를 통해 무림의 갈등과 애정을 그린 무협 영화로,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고 세계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작품상 수상작 - 브로크백 마운틴
브로크백 마운틴은 1963년 와이오밍을 배경으로 두 카우보이의 사랑과 갈등을 그린 영화로, 사회적 제약 속에서 비극적인 사랑을 겪는 이야기를 통해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사랑의 본질을 탐구한다.
그리프터스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스티븐 프리어스 |
프로듀서 | 마틴 스코세시 로버트 A. 해리스 짐 페인터 |
각본 |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 |
출연 | 존 큐잭 안젤리카 휴스턴 아네트 베닝 |
음악 | 엘머 번스타인 |
촬영 | 올리버 스테이플턴 |
편집 | 믹 오즐리 |
스튜디오 | 시네플렉스 오데온 필름 |
배급사 | 미라맥스 필름 |
개봉일 | 1991년 9월 14일 |
상영 시간 | 110분 |
국가 | 미국 캐나다 |
언어 | 영어 |
흥행 수익 | $13,446,769 |
2. 줄거리
영화는 베테랑 사기꾼 릴리 딜런, 그녀의 아들 로이 딜런, 그리고 로이의 여자친구 마이라 랭트리, 세 명의 사기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릴리는 미국 마피아 도박사 보보 저스투스를 위해 경마장에서 거액의 현금 베팅으로 배당률을 조작하는 일을 하고, 로이는 좀도둑질에 가까운 사소한 사기를 치며 살아간다. 마이라는 로이보다 나이가 많고 과거에 큰 사기를 친 경험이 있는 인물이다.
8년 만에 로스앤젤레스에서 아들 로이를 만난 릴리는 그가 사기를 치다 다친 것을 발견하고, 병원에서 로이의 여자친구 마이라를 만나면서부터 갈등이 시작된다. 마이라는 로이에게 장기 사기를 제안하지만 로이는 거절하고, 릴리와 마이라 사이의 긴장감은 점점 고조된다. 세 인물의 엇갈리는 욕망과 배신은 결국 예측 불가능한 파국으로 치닫는다.
2. 1. 릴리 딜런의 사기 행각과 갈등
릴리 딜런은 베테랑 사기꾼이다. 그녀는 미국 마피아 도박사인 보보 저스투스를 위해 일하며, 경마장에서 거액의 현금을 베팅하여 장외마권의 배당률을 낮추는 방식으로 돈을 번다. 8년 만에 아들 로이를 만나러 로스앤젤레스에 들른 릴리는, 로이가 사소한 사기를 치다 들켜 배를 맞고 심각한 내출혈로 고통받는 모습을 발견한다. 아들을 살리기 위해 릴리는 의료진에게 아들이 죽으면 의사를 보보가 죽이도록 하겠다고 협박하며 모성애를 드러낸다.병원에서 릴리는 로이의 여자친구인 마이라 랭트리를 만나는데, 그녀는 로이보다 나이가 약간 많았고 릴리는 첫 만남부터 그녀를 싫어했다. 릴리는 아들이 사기를 치다 죽을 뻔했기 때문에 그에게 사기꾼 생활을 그만두라고 설득한다. 하지만 릴리 자신도 마피아와의 관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라호야로 늦게 출발하여 중요한 경주(승자 배당률 70 대 1)를 놓치자, 마피아 보스 보보는 그녀의 배를 주먹으로 치고 담배 불로 손을 지지는 고문을 가한다.
한편, 마이라 역시 사기꾼이다. 그녀는 로이에게 장기 사기를 위한 파트너가 되자고 제안하지만, 단기 사기만을 고집하는 로이는 이를 거절한다. 릴리가 로이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본 마이라는 그에게 어머니에 대한 근친상간적인 관심이 있다고 비난하고, 격분한 로이는 마이라를 때리고 관계를 끊는다. 복수심에 불탄 마이라는 릴리가 수년간 보보의 돈을 훔쳐왔다는 사실을 알아내 보보에게 알린다.
보보의 보복을 피해 도망친 릴리는 자신을 따라와 죽이려던 마이라와 외딴 모텔에서 마주친다. 이후 로이는 피닉스 경찰로부터 어머니의 시신을 확인해달라는 연락을 받지만, 시신에서 담배 화상이 없는 것을 보고 그것이 마이라의 시신임을 알아챈다. 집에 돌아온 로이는 자신의 돈을 훔치려던 릴리와 마주한다. 릴리는 모텔에서 마이라가 자신을 목 졸라 죽이려 했고, 정당방위로 그녀를 쏘아 죽인 후 자살로 위장했다고 밝힌다.
로이가 릴리가 자신의 돈을 가져가는 것을 거부하자, 릴리는 절박하게 애원하며 심지어 로이를 유혹하려 들고, 그가 진짜 아들이 아닐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로이가 혐오감을 느끼며 그녀를 거부하자, 격분한 릴리는 로이가 물을 마시려는 순간 서류 가방을 휘둘러 유리잔을 깨뜨린다. 깨진 유리 파편이 로이의 목에 박혀 그는 과다 출혈로 사망한다. 아들의 시신 앞에서 잠시 흐느끼던 릴리는 결국 돈을 챙겨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2. 2. 로이와 마이라의 만남과 갈등
릴리는 병원에서 로이의 여자친구인 마이라 랭트리를 만나지만, 아들보다 나이가 많은 그녀를 처음부터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다.로이는 병원에서 퇴원한 후 주말에 마이라를 데리고 라호야로 향한다. 기차 안에서 마이라는 로이가 조작된 주사위 게임으로 선원들을 속이는 것을 목격한다. 마이라는 로이에게 자신 역시 사기꾼이며, 장기 사기를 함께 할 새로운 파트너를 찾고 있다고 밝힌다. 그녀는 과거 한 사기꾼과의 관계와 그들이 어떻게 부유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기를 쳤는지 설명한다. 하지만 단기 사기만을 고집하는 로이는 마이라가 자신을 속일 것을 우려하여 그녀의 제안을 거절한다.
로이에 대한 릴리의 영향력을 감지한 마이라는 릴리가 아들에게 근친상간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비난한다. 이에 격분한 로이는 마이라를 때리고 관계를 끝낸다.
2. 3. 엇갈리는 욕망과 파국
마이라는 로이가 어머니 릴리에게 강한 영향을 받는 것을 보고, 로이에게 어머니에 대한 근친상간적인 감정이 있는 것 아니냐고 비난한다. 격분한 로이는 마이라를 때리고 관계를 끝낸다. 복수심에 불탄 마이라는 릴리가 수년간 미국 마피아 도박사 보보 저스투스의 돈을 훔쳐 자동차 트렁크에 숨겨왔다는 사실을 알아낸다. 마이라는 이 정보를 보보에게 알리고, 친구의 경고를 받은 릴리는 급히 도망친다. 마이라는 릴리를 외딴 모텔까지 쫓아가 그녀를 죽이고 돈을 빼앗으려 한다.이후 로이는 피닉스 경찰로부터 모텔 방에서 총상으로 얼굴이 심하게 훼손된 여성의 시신이 발견되었으니 어머니인지 확인해달라는 연락을 받는다. 로이는 경찰에게 릴리가 맞다고 말하지만, 시신에서 릴리에게 있던 담배 화상이 없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집으로 돌아온 로이는 자신의 돈을 훔치기 위해 침입한 릴리와 마주친다. 릴리는 모텔에서 마이라가 자신을 목 졸라 죽이려 했고, 정당방위로 마이라를 총으로 쏘아 죽였다고 밝힌다. 그리고 마이라의 시신을 마치 자신이 자살한 것처럼 꾸몄다고 털어놓는다.
로이가 릴리가 자신의 돈을 가져가는 것을 거부하자, 그녀는 절박하게 애원하며 로이를 유혹하려 하고, 심지어 로이가 자신의 친아들이 아니라고까지 주장한다. 혐오감을 느낀 로이가 릴리를 뿌리치자, 릴리는 격분하여 들고 있던 서류 가방을 휘두른다. 이때 로이가 마시려던 유리잔이 깨지면서 날카로운 파편이 로이의 목에 박히고, 로이는 과다 출혈로 사망한다. 릴리는 죽은 아들의 시신을 붙잡고 오열하지만, 결국 돈을 챙겨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3. 등장인물
(내용 없음)
3. 1. 주요 인물
wikitext배역 | 배우 |
---|---|
로이 딜런 | 존 쿠삭 (야마데라 코이치 - 더빙) |
릴리 딜런 | 안젤리카 휴스턴 |
마이라 랭트리 | 아네트 베닝 |
보보 저스터스 | 팻 힝글 |
콜 | J.T. 월시 |
글로스터 헤빙 | 찰스 네이피어 |
심스 씨 | 헨리 존스 |
조 | 게일라드 사르테인 |
간호사 캐롤 플린 | 노엘 하를링 |
뱃사람 - 젊은 폴 | 폴 아델스타인 |
뱃사람 - 신입생 | 제레미 피번 |
보석상 | 스테판 토볼로스키 |
피어슨 중위 | 젠더 버클리 |
모텔 접수원 | 프란시스 베이 |
의사 | 샌디 배런 |
※더빙은 VHS판
3. 2. 조연
4. 제작진
이 영화 프로젝트는 로버트 해리스, 짐 페인튼, 브루스 카윈에게서 시작되어 마틴 스코세지에게 전달되었다. 스코세지는 직접 연출하는 대신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에게 연출을 맡기고 자신은 제작자로 참여했다.[3] 프리어스는 당시 위험한 관계를 막 끝내고 차기작을 찾던 중 스코세지의 제안을 받았다.[4] 영국 출신인 프리어스 감독은 원작자인 짐 톰슨의 "강렬하고 매우 스타일리시한" 글쓰기에 매료되었으며, 이를 "펄프 픽션과 그리스 비극의 만남"이라고 평가했다.[4] 스코세지는 시나리오 작가를 물색했고, 영화 제작자 볼커 슐뢴도르프의 추천으로 도널드 웨스트레이크를 알게 되었다.
프리어스는 웨스트레이크에게 연락해 톰슨의 소설을 다시 읽어보라고 권했지만, 웨스트레이크는 이야기가 "너무 우울하다"며 처음에는 거절했다. 그러나 프리어스는 릴리라는 인물의 생존 투쟁에 초점을 맞추면 긍정적인 이야기가 될 수 있다고 설득했고, 웨스트레이크는 결국 각본을 맡기로 했다.[3] 프리어스는 웨스트레이크에게 과거 20편의 느와르 범죄 소설을 쓸 때 사용했던 필명 '리처드 스타크'로 각본을 써달라고 요청했지만, 웨스트레이크는 "리처드 스타크는 미국 작가 조합 회원이 아니다"라며 거절했다.[5] (하지만 영화 속 간판에 "Stark, Coe and Fellows"라는 이름이 등장하는데, 웨스트레이크는 영화 해설에서 이것이 리처드 스타크, 터커 코 등 자신의 여러 필명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한편, 배우 존 쿠삭은 1985년에 짐 톰슨의 소설을 읽고 깊은 인상을 받아 직접 영화화를 추진하고 싶어 했다.[6] 스코세지와 프리어스가 영화화를 계획 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쿠삭은 로이 딜런 역을 맡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그는 이 역할을 "뛰어난 반전의 역할"이라고 생각했다.[6] 쿠삭은 배역 연구를 위해 실제 사기꾼들을 만나 카드와 주사위 기술, 그리고 영화 속 로이가 사용하는 20달러 바꿔치기 같은 손기술을 익혔다. 심지어 잘 아는 바텐더에게 이 기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해보기도 했다.[7]
릴리 딜런 역에는 처음 셰어가 고려되었으나, 문스트럭의 성공 이후 출연료가 너무 높아져 무산되었다.[8] 시시 스페이섹 역시 릴리 역 후보로 검토되었다.
프리어스는 1989년 앤젤리카 휴스턴이 우디 앨런의 범죄와 비행을 촬영할 때 릴리 역을 제안했다. 휴스턴은 이야기에 매료되었지만, 릴리가 보보 저스투스에게 오렌지 자루로 구타당하며 배변하는 장면이 너무 노골적이라고 생각해 망설였다.[9][10] 몇 달 후 프리어스가 다시 연락하자, 휴스턴의 에이전트 수 멩거스는 "앤젤리카, 스티븐 프리어스가 코너에서 똥을 싸라고 하면 그렇게 해야 해."라며 역할을 맡도록 강하게 설득했다.[10] 다음 날 휴스턴은 샤토 마르몽 호텔에서 프리어스 앞에서 오디션을 보았다. 프리어스는 휴스턴이 너무 "귀부인" 같아 보인다고 생각했지만, 금발 가발과 "저속한 옷"으로 외모를 바꾸기로 하고 캐스팅을 결정했다.[4] 휴스턴은 역할을 위해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카드 도박장에서 여성 딜러들을 관찰하며 연구했다.[9]
촬영 과정은 휴스턴에게 감정적으로 매우 힘들었다. 릴리와 로이의 마지막 장면 촬영 후에는 너무 지쳐 세트장을 뛰쳐나갔고, 회복하는 데 몇 시간이 걸렸다.[9] 보보 저스투스가 릴리를 고문하는 장면(최종 편집본에는 포함되지 않음)을 찍은 후에는 그날 밤 구토를 할 정도로 충격을 받았다.[9]
마이라 랭트리 역의 아네트 베닝은 영화 속 전라 노출 장면에 대해, 해당 장면들이 드라마가 아닌 코미디적 맥락 속에 있었기 때문에 수용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녀는 "역할에 적합했고, 착취적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11]
역할 | 이름 |
---|---|
감독 | 스티븐 프리어스 |
제작 | 마틴 스코세지, 로버트 A. 해리스, 짐 페인터 |
각본 |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 |
원작 | 짐 톰슨 |
제작 총괄 | 바바라 데 피나 |
촬영 | 올리버 스테이플턴 |
음악 | 엘머 번스타인 |
공동제작 | 페기 라스키 |
미술 | 데니스 가스너 |
의상 | 리처드 호넌그 |
배역 | 줄리엣 테일러, 빅토리아 토머스 |
5. 제작 과정
이 프로젝트는 로버트 해리스, 짐 페인튼, 브루스 카윈에게서 시작되어 마틴 스코세지에게 전달되었다. 스코세지는 이후 연출을 위해 스티븐 프리어스를 참여시키고 자신은 제작을 맡았다.[3] 프리어스는 당시 ''위험한 관계''의 제작을 막 마치고 다음 작품을 찾고 있었는데, 스코세지가 그에게 연출을 제안했다.[4] 영국 출신인 프리어스 감독은 짐 톰슨의 원작 소설이 가진 "강렬하고 매우 스타일리시한" 스타일에 매료되었으며, 이를 "펄프 픽션이 그리스 비극과 만나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4] 이후 스코세지는 시나리오 작가를 찾았고, 영화 제작자 볼커 슐뢴도르프의 추천으로 도널드 웨스트레이크가 각본 작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5. 1. 기획 및 각본
이 프로젝트는 로버트 해리스, 짐 페인튼, 브루스 카윈에게서 시작되어 마틴 스코세지에게 전달되었다. 스코세지는 연출자로 스티븐 프리어스를 영입하고 자신은 제작을 맡았다.[3] 프리어스는 당시 ''위험한 관계''의 제작을 막 마치고 다음 작품을 찾던 중 스코세지의 제안을 받았다.[4] 영국인 영화 제작자인 프리어스는 짐 톰슨의 "강렬하고 매우 스타일리시한" 글쓰기에 매료되었으며, 이를 "펄프 픽션이 그리스 비극과 만나는 것"과 같다고 묘사했다.[4] 스코세지가 시나리오 작가를 물색하던 중, 영화 제작자 볼커 슐뢴도르프가 도널드 웨스트레이크를 추천했다.프리어스는 웨스트레이크에게 연락하여 톰슨의 소설을 다시 읽어보도록 설득했다. 그러나 웨스트레이크는 소설을 읽은 후 이야기가 "너무 우울하다"며 프로젝트 참여를 거절했다. 프리어스는 다시 웨스트레이크에게 전화를 걸어, 릴리의 생존 투쟁으로 보면 긍정적인 이야기라고 설득했다. 웨스트레이크는 결국 생각을 바꾸어 각색을 맡기로 동의했다.[3] 프리어스는 웨스트레이크에게 그의 필명인 "리처드 스타크"(1962년부터 1974년까지 20편의 느와르풍 범죄 소설을 쓴 이름)로 시나리오를 써달라고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웨스트레이크는 "리처드 스타크는 미국 작가 조합의 회원이 아니다. 그는 실제로 가입할 만한 인물이 아닌 것 같다"고 설명하며 거절했다고 한다.[5] (하지만 스타크의 이름은 영화 속 "Stark, Coe and Fellows"라는 간판에 등장하며, 웨스트레이크는 영화 해설에서 자신이 리처드 스타크, 터커 코 등의 이름으로 소설을 썼다고 설명한다.)
한편, 존 쿠삭은 1985년에 짐 톰슨의 소설을 읽고 너무 감명받아 자신이 직접 영화로 만들고 싶어했다.[6] 쿠삭은 스코세지와 프리어스가 각색을 계획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이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고 했다. 쿠삭은 로이 딜런이라는 캐릭터를 "뛰어난 반전의 역할"이라고 말했다.[6] 그는 배역을 위해 실제 사기꾼들과 함께 연구하며 카드 및 주사위 기술과, 영화에서 그의 캐릭터가 하는 20달러 바꿔치기와 같은 손재주 기술을 배웠다. 그는 심지어 자신이 잘 아는 바텐더에게 이 기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7]
릴리 역에는 원래 셰어가 고려되었지만, ''문스트럭''의 성공 이후 그녀의 출연료가 너무 비싸졌다.[8] 시시 스페이섹 역시 릴리 딜런 역을 검토했다. 프리어스는 1989년 앤젤리카 휴스턴이 ''범죄와 비행''을 촬영하는 동안 그녀에게 릴리 역을 제안했지만, 시나리오를 읽고 확신을 갖지 못했다.[9] 그녀는 이야기에 "매료"되었고, 캐릭터에도 끌렸지만, 릴리가 보보 저스투스에게 오렌지 자루로 심하게 맞는 장면에서 그녀가 배변하는 장면이 너무 노골적이어서 우려했다.[10] 몇 달 후, 프리어스는 앤젤리카 휴스턴에게 다시 연락하여 여전히 관심이 있는지 물었다.[9] 여전히 망설이던 앤젤리카의 에이전트 수 멩거스는 그녀에게 "앤젤리카, 스티븐 프리어스가 코너에서 똥을 싸라고 하면 그렇게 해야 해."라고 단호하게 말했다.[10] 다음 날 앤젤리카는 샤토 마르몽에서 프리어스 앞에서 오디션을 보았다. 앤젤리카가 "레이디"처럼 보여서 캐스팅을 망설였던 프리어스는 그녀의 모습을 금발 가발과 "저속한 옷"으로 싸구려처럼 보이게 하는 것으로 결정을 내렸다.[4] 그녀는 배역을 위해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카드 도박장에서 여성 딜러들을 연구했다.[9]
5. 2. 캐스팅
존 쿠삭은 1985년에 짐 톰슨의 소설을 읽고 큰 감명을 받아 직접 영화화를 추진하고 싶어했다.[6] 하지만 마틴 스코세지와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이 이미 각색을 계획 중이라는 것을 알게 되자,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했다. 쿠삭은 주인공 로이 딜런 역을 "뛰어난 반전의 역할"이라고 평가했다.[6] 그는 배역을 소화하기 위해 실제 사기꾼들과 어울리며 카드 및 주사위 기술, 그리고 극중 로이가 사용하는 20USD 바꿔치기와 같은 손기술을 익혔다. 심지어 자신이 잘 아는 바텐더에게 이 기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해보기도 했다.[7]릴리 딜런 역에는 원래 가수 겸 배우 셰어가 물망에 올랐으나, 영화 ''문스트럭''의 성공 이후 그녀의 출연료가 너무 높아져 캐스팅이 무산되었다.[8] 시시 스페이섹 역시 릴리 역의 후보로 검토되었다.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은 1989년 안젤리카 휴스턴에게 릴리 역을 제안했지만, 그녀는 시나리오를 읽고 확신을 갖지 못했다.[9] 이야기에 매료되고 캐릭터에도 끌렸지만, 릴리가 보보 저스터스에게 오렌지가 담긴 자루로 심하게 구타당하며 배변하는 장면이 너무 노골적이라고 우려했기 때문이다.[10] 몇 달 후 프리어스 감독이 다시 연락하자, 여전히 망설이는 휴스턴에게 그녀의 에이전트 수 멩거스는 "스티븐 프리어스가 길모퉁이에서 똥을 싸라고 하면 그렇게 해야 한다"고 단호하게 조언했다.[10] 결국 휴스턴은 오디션에 응했고, 프리어스 감독은 그녀가 너무 "귀부인(lady)" 같아 보인다고 생각했지만, 금발 가발과 "저속한 옷"으로 외양을 바꿔 캐스팅을 결정했다.[4] 휴스턴은 역할을 위해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군의 카드 도박장을 찾아 여성 딜러들을 관찰하며 연구했다.[9] 촬영 과정은 휴스턴에게 감정적으로 매우 힘든 경험이었다. 특히 릴리와 로이의 마지막 장면 촬영 후에는 너무 지쳐 세트장에서 뛰쳐나왔고, 회복하는 데 몇 시간이 걸렸다.[9] 또한 보보 저스터스가 릴리를 고문하는 장면 촬영 후에는 그 강렬함 때문에 그날 밤 구토를 하기도 했다.[9]
마이라 랭트리 역을 맡은 아네트 베닝은 영화 속 전라 노출 장면에 대해, 해당 장면들이 드라마가 아닌 코미디적인 맥락 속에 있었기 때문에 수용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녀는 "맥락 때문에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내게는 말이 되었다. 그 역할에 적합했고, 착취적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11]
배우 | 배역 |
---|---|
안젤리카 휴스턴 | 릴리 딜런 |
존 쿠삭 | 로이 딜런 |
아네트 베닝 | 마이라 랭트리 |
팻 힝글 | 보보 저스터스 |
J.T. 월쉬 | |
헨리 존스 | |
찰스 네이피어 | |
잔더 버클리 | |
게일로드 서테인 | |
스티븐 토보로스키 | |
제레미 피번 | |
프랜시스 베이 |
5. 3. 촬영
존 쿠삭은 1985년에 짐 톰슨의 소설을 읽고 직접 영화화를 원할 정도로 깊은 인상을 받았다.[6] 마틴 스코세지와 스티븐 프리어스가 영화화를 계획 중이라는 것을 알게 된 쿠삭은 로이 딜런 역을 "뛰어난 반전의 역할"이라 여기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했다.[6] 그는 배역을 위해 실제 사기꾼들과 시간을 보내며 카드 및 주사위 기술, 손재주 등을 익혔고, 심지어 아는 바텐더에게 20달러 바꿔치기 기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하기도 했다.[7]릴리 딜런 역에는 원래 셰어가 고려되었으나, ''문스트럭''의 성공으로 출연료가 너무 높아졌다.[8] 시시 스페이섹 역시 후보로 검토되었다. 프리어스 감독은 ''범죄와 비행'' 촬영 중이던 안젤리카 휴스턴에게 릴리 역을 제안했지만, 그녀는 시나리오를 읽고 확신하지 못했다.[9] 특히 릴리가 보보 저스투스에게 오렌지 자루로 맞고 배변하는 장면에 대해 우려했다.[10] 몇 달 후 프리어스가 다시 연락했을 때도 휴스턴은 망설였으나, 에이전트 수 멩거스는 "스티븐 프리어스가 코너에서 똥을 싸라고 하면 그렇게 해야 해"라며 강하게 설득했다.[10] 결국 휴스턴은 샤토 마르몽에서 프리어스 앞에서 오디션을 보았고, 프리어스는 그녀의 "레이디" 같은 이미지를 금발 가발과 "저속한 옷"으로 바꿔 캐스팅을 결정했다.[4] 휴스턴은 역할을 위해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카드 도박장에서 여성 딜러들을 연구했다.[9]
촬영 과정은 안젤리카 휴스턴에게 감정적으로 매우 힘든 경험이었다. 특히 릴리와 로이의 마지막 장면 촬영 후에는 너무 지쳐 세트와 스튜디오에서 뛰쳐나갔고, 회복하는 데 몇 시간이 걸렸다.[9] 또한 보보 저스투스가 릴리를 고문하는 장면 촬영 후에는 그 강렬한 묘사(최종 편집본에는 포함되지 않음) 때문에 심리적 충격을 받아 구토를 하기도 했다.[9]
아네트 베닝은 영화 속 전라 노출 장면에 대해, 해당 장면들이 드라마가 아닌 코미디의 맥락 속에 있었기 때문에 수용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녀는 "그것이 처한 맥락 때문에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내게는 말이 되었다. 그 역할에 적합했고, 착취적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11]
6. 평가
''그리프터스''는 1990년 9월 14일 토론토 국제 영화제의 엘진 극장에서 처음으로 상영되었다.[4][12] 이후 1월 정식 개봉 전에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서 아카데미상 후보 자격을 얻기 위한 짧은 상영 기간을 가졌다.[13]
영화는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45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1%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했다. 로튼 토마토는 이 영화에 대해 "차분하게 잘 짜여지고 자신감 있게 연기된 ''그리프터스''는 사기를 예술로 승화시킨 세련된 범죄 영화이다"라고 총평했다.[14]
시카고 선타임스의 유명 평론가 로저 이버트는 별점 4개 만점을 주며 주연 배우들의 연기와 각본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그리프터스''가 근래 보기 드물게 ''필름 느와르'' 장르의 본질을 정확히 포착했다고 극찬하며, "이것은 단순한 사건 나열이 아닌, 결과들이 얽히고설킨 그물과 같은, 미로와 같은 구성을 가진 영화이다."라고 평가했다.[15]
6. 1. 수상 및 후보
wikitext상 | 부문 | 후보 | 결과 | 참고 |
---|---|---|---|---|
아카데미상 | 감독상 | 스티븐 프리어스 | 후보 | [17] |
여우주연상 | 안젤리카 휴스턴 | 후보 | ||
여우조연상 | 아네트 베닝 | 후보 | ||
각색상 |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 | 후보 | ||
아티오스상 | 장편 영화 캐스팅 부문 우수상 - 드라마 | 줄리엣 테일러 | 후보 | [18] |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여우주연상 | 안젤리카 휴스턴 | 수상 | [19]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여우조연상 | 아네트 베닝 | 후보 | [20] |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여우주연상 | 안젤리카 휴스턴 | 후보 | [21] |
댈러스-포트워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작품상 | 후보 | rowspan="4"| | |
감독상 | 스티븐 프리어스 | 후보 | ||
여우주연상 | 안젤리카 휴스턴 | 후보 | ||
여우조연상 | 아네트 베닝 | 후보 | ||
에드거 앨런 포 상 | 최우수 영화 |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 | 수상 | [22] |
골든 글로브상 | 영화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 안젤리카 휴스턴 | 후보 | [23] |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 작품상 | 수상 | [24] | |
여우주연상 | 안젤리카 휴스턴 | 수상 | ||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신인상 | 아네트 베닝 | 수상 |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여우주연상 | 안젤리카 휴스턴 | 수상 | [25] |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 10대 영화 | 10위 | [26] | |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작품상 | 2위 | [27] | |
감독상 | 스티븐 프리어스 | 2위 | ||
여우주연상 | 안젤리카 휴스턴 | 수상 | ||
여우조연상 | 아네트 베닝 | 수상 | ||
각본상 |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 | 3위 |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작품상 | 2위 | [28] | |
여우주연상 | 안젤리카 휴스턴 | 2위 | ||
미국 작가 조합상 | 각색상 | 도널드 E. 웨스트레이크 | 후보 | [29] |
7. 흥행
참조
[1]
서적
Film Noir: An Encyclopedic Reference to the American Style
The Overlook Press
1992
[2]
웹사이트
The Grifters
http://www.tcm.com/t[...]
2016-03-28
[3]
뉴스
A Shot at Point Blank
1990-07-16
[4]
뉴스
An English Director on Challenge of Making his First Yankee Flick
1990-09-15
[5]
서적
Payback
https://books.google[...]
Grand Central Publishing
1999-03-01
[6]
뉴스
At the Movies
1990-08-31
[7]
뉴스
Getting the Drift of the Grift
1991-01-31
[8]
뉴스
The Innocent Abroad
1991-01-31
[9]
뉴스
Anjelica Huston Seeks the Soul of a Con Artist
https://www.nytimes.[...]
1990-12-02
[10]
서적
Watch Me
https://archive.org/[...]
Scribner
[11]
웹사이트
Annette Bening: A Private Star
https://lebeauleblog[...]
2021-04-21
[12]
뉴스
Frears to Attend Premiere
1990-08-29
[13]
뉴스
Haute Huston
USA Today
1990-12-11
[14]
웹사이트
The Grifters
https://www.rottento[...]
2023-01-17
[15]
뉴스
The Grifters
https://www.rogerebe[...]
1991-01-25
[16]
뉴스
'Home Alone' Fends Off Yet Another 'Intruder' : Box Office: Vietnam War film opens to mediocre business as comedy remains on top for 10th week. After four weeks of release, 'Godfather Part III' drops to 12th.
https://www.latimes.[...]
2012-06-03
[17]
뉴스
The 63rd Academy Awards (1991)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5-09-12
[18]
웹사이트
Nominees/Winners
http://www.castingso[...]
Casting Society of America
1991-10-17
[19]
웹사이트
BSFC Winners: 1990s
https://bostonfilmcr[...]
Boston Society of Film Critics
2018-07-27
[20]
웹사이트
BAFTA Awards: Film in 1992
http://awards.bafta.[...]
British Academy Film Awards
2016-09-16
[21]
웹사이트
1988-2013 Award Winner Archives
https://chicagofilmc[...]
Chicago Film Critics Association
2013-01-01
[22]
웹사이트
Category List – Best Motion Picture
https://edgarawards.[...]
Edgar Awards
[23]
웹사이트
The Grifters
https://www.goldengl[...]
Golden Globe Awards
[24]
웹사이트
38 Years of Nominees and Winners
https://s3.amazonaws[...]
Independent Spirit Awards
[25]
웹사이트
The 16th Annual Los Angeles Film Critics Association Awards
http://www.lafca.net[...]
Los Angeles Film Critics Association
[26]
웹사이트
1990 Award Winners
https://nationalboar[...]
National Board of Review
[27]
웹사이트
Past Awards
https://nationalsoci[...]
National Society of Film Critics
2009-12-19
[28]
웹사이트
Awards – New York Film Critics Circle
https://www.nyfcc.co[...]
New York Film Critics Circle
[29]
웹사이트
Awards Winners
http://www.wga.org/a[...]
Writers Guild of America Awards
[30]
Box Office
Box Office Mojo
https://www.boxoff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