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비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비 이씨는 고려 우왕의 왕비로, 1379년 왕비로 책봉되어 근비가 되었으며, 1380년 창왕을 낳았다. 이인임의 족질녀였으며, 이인임은 자신의 지위 강화를 위해 그녀를 우왕의 왕비로 들였다. 1388년 우왕이 폐위되고 창왕이 즉위하면서 왕대비가 되었으나, 이듬해 창왕마저 폐위되면서 아버지 이림이 죽고 우왕과 창왕이 살해되었다. 이후 행적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우왕 - 이백유
이백유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공신으로, 이성계의 친척이자 이색의 문하생으로 조선 건국에 기여하여 개국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왕자의 난 때 정도전의 당여로 몰려 유배되었다. - 고려 우왕 - 공원왕후
공원왕후 홍씨는 충숙왕의 비이자 충혜왕과 공민왕의 생모로, 덕비, 대비, 왕태후에 책봉되었고 공민왕의 개혁 정치에 관여했으며 사후 영릉에 안장되었다. - 고성 이씨 - 이기백 (1931년)
대한민국의 육군 대장 출신 군인이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인 이기백은 아웅산 묘역 폭탄 테러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 생존, 평화의 댐 건설을 주도했으나, 금강산댐 과장 보도 논란과 5·18 민주화운동 관련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으로 비판받았으며, 군 주요 직책과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거쳐 예편 후 보수 정당에서 정치 활동을 했다. - 고성 이씨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14세기 출생 - 안드레이 루블료프
15세기 러시아의 이콘 화가이자 수도사인 안드레이 루블료프는 러시아 정교회 미술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인물로, 「성삼위일체」 이콘은 성삼위일체 묘사의 표준으로 인정받았으며 금욕적인 아름다움과 비잔틴 양식의 조화로 '루블료프파'라는 독자적인 예술 사조를 형성했다. - 14세기 출생 - 경선공주
경선공주는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의 딸로, 1393년 심종에게 하가하여 딸 하나를 두었으며, 남편의 사망 후 1446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고종 때 공주로 봉해졌다.
근비 이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위 | 고려의 왕비 |
재위 기간 | 1379년–1388년 |
유형 | 통치 |
즉위 | 1379년 |
이전 | 인덕왕후 |
이후 | 노왕후 |
개인 정보 | |
아버지 | 이림 |
어머니 | 남양 홍씨 |
배우자 | 우왕 (1379년 결혼, 1389년 사망) |
자녀 | 창왕 |
출생일 | 1365년 |
출생지 | 고성, 고려 |
사망일 | 미상 |
사망 장소 | 미상 |
묻힌 곳 | 미상 |
사후 칭호 | 미상 |
가문 | |
출신 가문 | 고성 이씨 |
왕가 | 왕씨 (혼인) |
종교 | |
종교 | 불교 |
2. 생애
1379년 4월, 이인임의 족질녀로서 우왕의 왕비로 책봉되어 '''근비'''(謹妃)가 되었으며, 1380년 훗날 창왕이 되는 왕자 창을 낳았다[11].
1388년 6월, 위화도 회군을 일으킨 이성계에 의해 우왕이 폐위되고 창왕이 옹립되면서 왕대비에 책봉되었다[12]. 그러나 1389년 창왕이 폐위되면서 아버지 이림은 충주로 귀양을 갔다가 죽었고, 우왕과 창왕은 모두 살해되었다[8].
이후 근비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창왕 폐위 후의 생애, 생몰년, 능지에 대한 것은 알 수 없다. 《고려사》 저자들은 우왕과 창왕을 신돈의 후손으로 보아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왕의 후비들은 《고려사》 후비 열전에 수록되지 못했고, 시호도 받지 못했다.
2. 1. 왕비 책봉
1379년 4월에 우왕의 왕비로 책봉되어 '''근비'''(謹妃)가 되었다. 이와 함께 근비를 위한 부(府)가 설치되어 그 이름을 후덕부(厚德府)라고 하였고, 아버지 이림은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에 봉해졌다[10]. 또 근비의 어머니 홍씨는 변한국부인(卞韓國夫人)에, 할머니 이씨는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8]. 근비가 책봉될 당시 최고의 권력자는 이인임이었는데, 이인임은 자신의 족질녀가 되는 근비를 우왕의 왕비로 입궁시켜 자신의 지위를 더욱 단단히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8]. 근비는 1380년 훗날 창왕이 되는 왕자 창을 낳았다[11].2. 2. 왕비 시절
1379년 4월에 우왕의 왕비로 책봉되어 '''근비'''(謹妃)가 되었다. 동시에 근비를 위한 부가 설치되어 그 이름을 후덕부(厚德府)라고 하였고, 아버지 이림은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에 봉해졌다[10]. 또 근비의 어머니 홍씨는 변한국부인(卞韓國夫人)에, 할머니 이씨는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8]. 근비가 책봉될 당시 최고의 권력자는 이인임(李仁任)이었는데, 이인임은 자신의 족질녀가 되는 근비를 우왕의 왕비로 입궁시켜 자신의 지위를 더욱 단단히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8]. 근비는 1380년 훗날 창왕(昌王)이 되는 왕자 창을 낳았다[11].1388년 6월, 이성계(李成桂)와 그 일파는 요동 정벌의 명을 받아 압록강까지 갔다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개경을 쳤고, 그 결과 우왕은 폐위되어 강화도로 쫓겨가고 창왕이 옹립되었다. 그리고 그 모후인 근비는 왕대비에 책봉되었다[12]. 그러나 불과 1년 뒤인 1389년 창왕마저 폐위되면서 근비의 아버지 이림은 충주(忠州)로 귀양을 갔다가 죽었고, 우왕과 창왕은 모두 살해되었다[8].
2. 3. 몰락
1388년 6월 요동 정벌에 나섰던 우군도통사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일으켜 개경을 함락시키고, 우왕을 폐위하여 강화도로 유배보냈다. 이후 우왕의 아들 창왕이 즉위하면서 그 모후인 근비는 왕대비가 되었다[12]. 그러나 이듬해인 1389년 창왕마저 폐위되면서, 근비의 아버지 이림은 충주로 귀양을 갔다가 사망했고, 우왕과 창왕은 모두 살해되었다[8].이후 근비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창왕 폐위 이후 그녀의 생애, 생몰년, 능지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다. 《고려사》의 저자들은 우왕과 창왕을 신돈의 후손으로 간주하여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우왕의 후비들은 《고려사》 후비 열전에 수록되지 못했고, 시호도 받지 못했다.
3. 일화
청파극담에 따르면, 우왕과 창왕이 폐위되고 시해된 뒤에도 근비 이씨는 개경에서 살았다. 근비의 집에는 살 한 폭이 부러진 병풍이 하나 있었는데, 우왕이 부러뜨린 것이었다. 시비(侍婢)가 그것을 고치려 하면 근비는 “선왕께서 친히 부러뜨리신 것이니 고쳐선 안 된다.”라며 반대했고, 우왕의 기일이 되면 눈물을 흘리며 제사를 지냈다.[1] 이성계는 근비와 영비 최씨에게 정절을 기려 각각 수신전(守信田) 3백 결을 주었는데, 근비에게 특별히 3백 결을 더 주었다고 한다.[1]
4. 가계
관계 | 이름 | 출생-사망 |
---|---|---|
아버지 | 이림 | ? ~ 1391년 |
어머니 | 변한국부인 남양 홍씨 | 생몰년 미상 |
형제 | 이귀생 | 1352년 ~ ? |
형제 | 이무생 | 1354년 ~ ? |
언니 | 이씨 | 1342년 ~ ? |
언니 | 이씨 | 생몰년 미상 |
여동생 | 이씨 | 1367년 ~ ? |
남편 | 우왕 | 1365년 ~ 1389년 |
아들 | 창왕 | 1380년 ~ 1389년 |
시아버지 | 공민왕 | 1330년 ~ 1374년 |
시어머니 | 반야 | ? ~ 1376년 |
5. 미디어에서
참조
[1]
서적
Goryeosa
[2]
서적
Goryeosa
[3]
서적
Goryeosa
[4]
서적
Goryeosa
[5]
서적
Goryeosa
[6]
서적
Goryeosa
[7]
서적
Goryeosa
[8]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근비〉항목
https://web.archive.[...]
2012-07-01
[9]
고려사
고려사》권134〈열전〉권47 - 우왕 7년 12월 - 근비 생일에 사면을 베풀다
http://db.history.go[...]
[10]
고려사
고려사》권134〈열전〉권47 - 우왕 5년 4월 - 이림의 딸을 맞아 근비로 책봉하다
http://db.history.go[...]
[11]
고려사
고려사》권134〈열전〉권47 - 우왕 6년 8월 - 근비가 아들 왕창을 낳다
http://db.history.go[...]
[12]
고려사
고려사》권137〈열전〉권50 - 창왕 즉위년 6월 - 왕의 모친 근비를 왕대비로 높여 책봉하고 전왕의 왕비와 옹주를 모두 쫓아내다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