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80년은 명나라 홍무 13년, 북원 천원 2년, 고려 우왕 6년 등에 해당하는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고려 수군이 진포대첩에서 화포를 사용하여 왜선 500척을 격침하고, 이성계가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물리쳤다. 또한 쿨리코보 전투에서 러시아가 킵차크 한국을 격파했으며, 보스니아 왕국, 스코틀랜드, 프랑스 등에서 다양한 정치적 사건이 발생했다. 이 해에는 창왕, 이츠코아틀 등이 태어났으며, 시에나의 성녀 카타리나, 베르트랑 뒤 게클랭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80년 - 쿨리코보 전투
쿨리코보 전투는 1380년 드미트리 돈스코이가 이끄는 루스 연합군이 마마이가 이끄는 킵차크 칸국 군대에 돈 강 유역 쿨리코보 평원에서 기습적인 승리를 거두어, 모스크바 대공국의 위상을 높이고 러시아 국가 형성의 토대를 마련한 사건이다.
1380년 |
---|
2. 연호
3. 기년
4. 주요 사건
- 1월 - 보스니아 왕국의 국왕 트브르트코 1세가 코토르를 합병했다.
- 2월 - 올라프 2세가 그의 어머니 마르그레테의 섭정 하에 노르웨이의 올라프 4세가 되었다. 아이슬란드와 페로 제도는 노르웨이의 일부로서 덴마크 왕관으로 넘어갔다.
- 5월 31일 - 리투아니아 대공 요가일라가 튜턴 기사단과 비밀 조약인 도비디슈키스 조약을 체결하여 그의 삼촌 케스투티스와의 내전을 촉발했다.
- 6월 15일 - 코소보 전투: 오스만 제국이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연합군을 격파하여 발칸 반도에서 지배력을 강화했다.
- 6월 21일 - 키오자 전투: 베네치아 공화국 함대가 제노바를 격파했다.
- 7월 27일 - 헨리 4세가 어린들 성에서 메리 드 보훈과 결혼했다.
- 9월 8일 - 쿨리코보 전투: 모스크바의 드미트리 돈스코이 대공이 이끄는 러시아군이 청색 군단, 리투아니아, 랴잔의 대규모 침략에 저항하여 그들의 진격을 막아냈다.
- 10월 -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공 요가일라가 크레보에서 폴란드 여왕 야드비가와 결혼하여 폴란드의 국왕이 되었다.
- 10월 2일 - 카테리나 비스콘티가 산 조반니 인 콩카 교회에서 사촌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훗날 밀라노 공작)와 결혼했다.
- 노브고로드 공화국이 모스크바 대공국과 전쟁을 시작했다.
- 우마이야 왕조의 마지막 술탄 유수프 2세가 사망하고, 무하마드 5세가 그라나다에서 나스르 왕조의 술탄이 되었다.
- 사파비 왕조가 설립되었다.
- 어류 상인 길드의 일원인 윌리엄 월워스 경이 두 번째로 런던 시장이 되었다.
- 백장토흐타미쉬 칸이 청장마마이를 폐위시키고 두 칸국을 통합하여 골든 호드를 형성했다.
- 폴리네시아의 마지막 섬들이 발견되고 거주하게 되었다.
-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1세에 의해 Companhia das Naus가 설립되었다.
- 교황 우르바노 6세에 의해 콘스탄티노폴리스 라틴 총대주교로 임명된 사칭자 파울로스 팔레올로고스 타가리스가 칼키스에서 그의 교구에 거주했다.
4. 1. 한국
4. 2. 중국 및 아시아
- 9월 8일 - 쿨리코보 전투에서 러시아가 킵차크 칸국을 격파하였다.
- 홍무제는 중국 재상 호유용을 숙청하고 그 관직을 폐지하며, 명나라 6부에 대한 직접적인 황제 통치를 시행하였다.
- 왜구의 무신 아지발도가 사망하였다.
- 고려의 문화시중 경복흥이 사망하였다.
- 고려의 왕비 희비 윤씨가 사망하였다.
- 카림 알-마크둠이 홀로에 도착하여 모스크를 지었다.
4. 3. 유럽
5. 탄생
- 창왕
- 이츠코아틀
- 2월 11일 - 잔 프란체스코 포조 브라촐리니, 이탈리아 인문학자 (1459년 사망)
- 9월 8일 - 시에나의 베르나르디노, 이탈리아 프란체스코회 선교사 (1444년 사망)
- 11월 27일 - 아라곤의 페르난도 1세, 아라곤 왕 (1416년 사망)
- ''날짜 불명''
- * 압드 알 라흐만 이븐 무함마드 알 비스타미, 오스만 수피 (1455년 사망)
- * 조반니 베라르디, 타렌토 대주교 (1449년 사망)
- * 응우옌 짜이, 유교 학자 (1442년 사망)
- * 부르봉의 앤, 프랑스 귀족 (1408년 사망)
- * 얀 젤리브스키, 후스파 사제 (1422년 사망)
- * 아사쿠라 노리카게,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아사쿠라 씨의 제5대 당주 (1463년 사망)
- * 유키 미쓰히로,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유키 씨의 제10대 당주 (1416년 사망)
- ''추정''
- * 우이칠리우이틀 2세, 테노치티틀란 (현대 멕시코 시티)의 2대 ''틀라토아니''(왕), 1396–1417, 모테쿠소마 1세의 아버지 (c. 1417년 사망)
- * 잠시드 알 카시, 페르시아 천문학자 및 수학자 (1429년 사망)
- * 루케니 루아 니미, 콩고 왕국의 국왕 (1420년 사망)
- * 토마스 아 켐피스, 독일 수도사이자 작가 (1471년 사망)
- * 파라메슈바라, 인도 수학자 (1425년 사망)
6. 사망
- 4월 10일 - 마누일 칸타쿠지노스, 모레아 전제 공국 초대 통치자 (* 1326년?)[1]
- 4월 29일 - 시에나의 카타리나, 도미니코회 수녀 (* 1347년)
- 5월 3일 - 만리코지 후지후사, 남북조 시대의 공가 (* 1296년)[1]
- 5월 5일 - 성 필로테오스, 콥트교 순교자
- 6월 19일 - 우츠노미야 모토츠나, 남북조 시대의 시모츠케국 수호 다이묘 (* 1350년)[1]
- 7월 7일 - 고쿠분 타네스케, 남북조 시대의 무사 (* 1313년?)[1]
- 7월 13일 - 베르트랑 뒤 게클랭, 프랑스 왕국 군인 (* 1320년)
- 7월 26일 - 고묘 천황, 북조 제2대 천황 (* 1322년)
- 9월 16일 - 샤를 5세, 프랑스 왕국 발루아 왕조 제3대 국왕 (* 1338년)
- 12월 12일 - 오오치 히로요,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수호 다이묘, 오오치 씨의 제9대 당주 (* 1325년?)[1]
- 12월 29일 - 엘제비에타 워키에토우나, 헝가리 왕 카로이 1세의 3번째 왕비 (* 1305년)
- 고려 문화시중 경복흥
- 고려 왕비(王妃) 희비 윤씨(禧妃 尹氏)
- 왜구 무신(武臣) 아지발도(阿只抜都)
- 노르웨이 호콘 6세 (* 1340년)
- 헤로니무스의 니심, 카탈루냐 랍비 (1320년 출생)
- 몰디브의 카디자, 몰디브 술탄
- 샴스 알딘 아부 압드 알라 알-할릴리, 시리아 천문학자 (1320년 출생)
- 우에스기 아키사다, 남북조 시대의 무장, 오기야츠 우에스기 씨의 당주 (* 1351년)[1]
- 야코포 델 카젠티노, 이탈리아의 화가 (* 1330년?)[1]
- 후웨이용, 명의 정치가 (* 생년 미상)[1]
- 주오 소키,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린자이 종의 승려 (* 1296년)[1]
참조
[1]
서적
Fires, Great
C. and E. Layton
1876
[2]
웹사이트
Huitzilihuitl II
https://www.biografi[...]
Biografias y Vidas
2019-06-01
[3]
웹사이트
Charles V | king of France
https://www.britanni[...]
2018-08-22
[4]
네이버 지식백과
진포해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