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전봉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전봉기는 1851년 홍수전이 이끄는 배상제회가 청나라에 대항하여 일으킨 봉기로, 태평천국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다. 1843년 배상제회를 조직하고, 사회적 혼란과 경제난 속에서 세력을 확장한 배상제회는 1850년 금전촌에 집결하여 군사 조직을 갖추고 봉기를 준비했다. 청나라 정부의 초기 진압 시도를 물리치고 태평천국을 선포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북상 계획은 실패했다. 금전봉기는 청나라 지배에 대한 도전으로, 이후 태평천국 운동의 확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0년 분쟁 - 제1차 슐레스비히 전쟁
    제1차 슐레스비히 전쟁은 1848년부터 1852년까지 덴마크 왕국과 독일 연방이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 공국의 지배권을 두고 벌인 전쟁으로, 덴마크의 슐레스비히 병합 시도에 반발한 독일계 주민들의 반란과 독일 연방의 지원, 그리고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덴마크 지원 등의 영향 속에 1852년 런던 의정서 체결로 종결되었으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 실패로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금전봉기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 명칭금전봉기
분쟁의 일부태평천국의 난
홍수전과 그의 추종자들이 금전봉기를 공식적으로 시작한 구이핑시 금전진 금전촌의 금전봉기 터
날짜1851년 1월 11일
장소광시성구이핑시 진티안진
결과태평천국 승리, 태평천국의 시작
교전 세력
교전국 1청나라
교전국 2태평천국
지휘관 및 지도자
청나라저우펑치
리뎬위안
이커탄부 (전사)
태평천국홍수전
병력 규모
청나라7,000명 이상
태평천국20,000명 이상
사상자 규모
청나라1,000명 이상
태평천국미상
캠페인 정보
관련 전투금전봉기
창사
우창
1차 난징
서정
북벌
동정
1차 강남
천경사변
산허
2차 강남
닝보
안칭
상하이
관중
츠시
창저우
3차 난징
후베이
푸젠
기타 정보
관련 정보태평천국의 난의 시작

2. 배경

19세기 중반 청나라 말기, 사회는 불안정했고 경제는 어려움에 직면했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태평천국 운동이 발생하게 되었다.

2. 1. 배상제회의 성립과 발전

1843년, 홍수전풍운산, 홍인간 등과 함께 광둥성 화현에서 ‘배상제회’를 조직하고, 이듬해 봄부터 광서성에서 민중들에게 포교활동을 했다. 홍수전은 광동성으로 돌아와 종교 이론을 다듬는 데 전념했지만, 풍운산은 광서성 깊숙한 자형산 산속으로 들어가 군중을 조직했다. 배상제회에는 양수청, 소조귀 등이 참여하여 지도부를 형성하고 있었다.[1] 1849년 전후, 광시성은 여러 해에 걸친 천재지변으로 천지회가 봉기하는 등 반란이 이어져 때가 무르익어 갔다.[1]

2. 1. 1. 홍수전과 초기 지도부

1843년 홍수전, 펑윈산, 홍런간은 화현(현재의 광둥성 화두 구)에서 개신교와 중국 민간 신앙을 혼합한 종교 혼합주의적인 종파인 배상제교를 창시했다.[1] 이듬해 이들은 광시 성으로 가서 농민들에게 자신들의 가르침을 전파했다.[1] 이후 홍수전은 자신의 신념에 대해 글을 쓰기 위해 광둥으로 돌아갔고, 펑윈산은 양슈칭, 샤오차오구이 등을 규합하여 종파에 합류시키기 위해 쯔징산(자금산) 지역에 머물렀다.[1]

2. 1. 2. 광시성에서의 포교 활동과 조직 확대

1843년, 홍수전, 펑윈산, 홍런간은 화현 (花縣; 현재의 광둥성 화두 구)에서 개신교와 중국 민간 신앙을 혼합한 종교 혼합주의적인 종파인 배상제교를 창시했다. 이듬해 이들은 광시 성으로 가서 농민들에게 자신들의 가르침을 전파했다.[1] 그 후 홍수전은 자신의 신념에 관해 글을 쓰기 위해 광둥으로 돌아갔고, 펑윈산은 양슈칭, 샤오차오구이 등을 규합하여 종파에 합류시키기 위해 쯔징산(자금산, 紫荊山) 지역에 머물렀다.[1]

3. 준비 과정

1843년, 홍수전풍운산, 홍인간 등과 함께 광동성 화현(화두구)에서 ‘상제를 숭배하는 교’(배상제회)를 조직하고, 이듬해 봄부터 광서성에서 민중들에게 포교활동을 했다. 홍수전은 광동성으로 돌아와 종교 이론을 다듬는 데 전념했지만, 풍운산은 광서성 깊숙한 자형산 산속으로 들어가 군중을 조직하여 배상제회를 만들었다. 배상제회에는 양수청, 소조귀 등이 참여하여 지도부를 형성하고 있었다. 1849년 전후, 광시성은 여러 해에 걸친 자연재해로 천지회가 봉기하는 등 반란이 이어져 때가 무르익어 갔다.

3. 1. 금전촌 집결과 군사 조직 편성

1849년경, 광시에서 기근이 발생했고 천지회가 청나라에 대항하여 봉기했다. 1850년 2월, 지방 부대가 여러 숭배자 마을을 지나가며 개종자들을 죽이겠다고 위협하자,[2] 펑윈산은 숭배자들에게 공개적인 반란을 촉구하기 시작했다.[3] 1850년 7월, 홍수전은 금전촌으로 신도들을 집결시켰고, 1만~3만 명의 병력이 모였다. 이들은 군사 조직으로 편성되었으며, 각 편제는 군사 계급을 가진 지휘관이 이끌었다.[4]

3. 1. 1. 군사 조직 체계

1850년 7월, 숭배자 지도자들은 추종자들에게 진톈에 집결하라고 지시했고, 빠르게 1만~3만 명의 병력을 모았다.[4] 봉기를 준비하면서, 홍수전은 이들을 군사 편제로 조직했는데, 각 편제는 군사 계급을 가진 지휘관이 이끌었다. 군사 조직 체계는 다음과 같다.

계급구성
원수(軍帥)5명의 사령관(師帥) 지휘
사령관(師帥)5명의 여단장(旅帥) 지휘
여단장(旅帥)5명의 보병 대장(卒長) 지휘
보병 대장(卒長)4명의 소령(兩司馬) 지휘
소령(兩司馬)5명의 중대장(伍長) 지휘
중대장(伍長)4명의 병사 지휘



그 달 말까지 장교와 사병의 총수는 13,155명에 달했으며, 나머지 민간인들을 통치하기 위해 민간 계급도 만들어졌다.

3. 2. 청나라 정부의 대응과 초기 진압 시도

1849년경, 광시성에서 기근이 발생했고 천지회가 청나라에 대항하여 봉기했다.

1850년 2월, 지방 부대가 여러 숭배자 마을을 지나가며 개종자들을 죽이겠다고 위협했다.[2] 이에 펑윈산은 숭배자들에게 공개적인 반란을 촉구하기 시작했다.[3] 같은 해 7월, 숭배자 지도자들은 추종자들에게 진톈에 집결하라고 지시했고, 빠르게 1만~3만 명의 병력을 모았다.[4]

광시의 청나라 제국군은 3만 명 정도의 병력으로 그다지 강하지 않았고, 천지회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전념하고 있었다. 홍수전과 그의 추종자들은 정부의 눈에 띄지 않고 병력을 구축할 수 있었다.

4. 초기 전개

1843년, 홍수전풍운산, 홍인간 등과 함께 광동성 화현에서 ‘상제를 숭배하는 교’(拝上帝教)를 조직하고, 이듬해 봄부터 광서성에서 민중들에게 포교활동을 했다. 홍수전은 광동성으로 돌아와 종교 이론을 다듬는 데 전념했지만, 풍운산은 광서성 깊숙한 자형산 산속으로 들어가 군중을 조직하여 배상제회를 만들어 냈다. 배상제회에는 양수청, 소조귀 등이 참여하여 지도부를 형성하고 있었다. 1849년 전후, 광시성은 여러 해에 이어진 천재지변으로 천지회가 봉기하는 등 반란이 이어져 때가 무르익어 갔다.

1850년 7월, 홍수전은 총동원령을 내리고, 금전촌에 신도들을 모아 대오를 편성하여 군사 훈련을 하며, 무장봉기를 준비했다. 당시 편성된 군대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 군수(軍帥)는 5명의 사수(師帥)를 지휘
  • 사수는 5명의 여수(旅帥)를 지휘
  • 여수는 5명의 졸장(卒長)을 휘하
  • 졸장은 5명의 양사마(兩司馬)를 지휘
  • 양사마는 5명의 오장(伍長)을 휘하
  • 오장은 4명의 병사를 지휘


7월 말까지 모여든 사람들은 13,155명에 달했다. 광서성의 청나라군은 인원이 부족했던데다 천지회의 봉기로 진압에 바빴기 때문에, 배상제회는 발각당하지 않고 조직을 구성할 수 있었다.

이후 반군은 동남쪽으로 이동하면서 뤄다강(羅大綱) 장군과 쑤싼냥(蘇三娘)이 이끄는 2,000명이 넘는 천지회 반군이 합류했다. 한편, 청나라 관료 리싱위안(李星沅)은 샹롱 장군에게 2,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공격하게 했고, 구이저우에서 1,000명의 추가 지원군을 받았다. 1851년 2월 18일, 샹롱은 리넝천(李能臣) 장군과 저우펑치 장군이 이끄는 다른 황실 군대와 합류하여 동쪽과 서쪽에서 동시에 다황장커우를 공격했다. 그러나 반군이 설치한 지뢰밭에 들어가 매복 공격을 받아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 정부군은 공세를 중단하고 포위 전술을 채택했다.

3월 10일 밤, 반군은 어둠을 틈타 우쉬안 현의 둥샹(東鄉)으로 철수했다. 황실군은 추격했지만 다시 매복 공격을 당했고, 양측은 싼리 둑(三里圩) 근처에서 교착 상태에 빠졌다. 3월 23일, 홍수전은 둥샹에서 스스로를 "천왕"(天王)이라고 선언했다. 4월 3일, 광시 성 지사 저우톈쥐에(周天爵)와 샹롱은 6,000명이 넘는 병력을 동원하여 둥샹을 공격했지만 격퇴당했다. 계속된 패배에 리싱위안은 5월 12일에 사망했고, 4일 후 반군은 포위망을 돌파하여 샹저우(象州)로 진격했다. 청군은 광저우에서 새로 배치된 1,000명의 황실 군대를 울란타이(烏蘭泰) 장군의 지휘 하에 량산 마을(梁山村)에 주둔시켰고, 샹롱의 부대는 반군의 북쪽 진로를 막기 위해 제령(界嶺)에 배치되었다.

량산 마을 북쪽 두아오 령(獨鰲嶺) 전투에서 울란타이의 군대는 반군에게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정부군은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반군의 포위망 돌파 시도를 막을 수 있었다. 결국 7월까지 반군은 샹저우에서 구이핑의 자싱산(紫荊山)에 있는 원래 기지로 철수해야 했다. 비록 북진 계획은 실패했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하층민들을 군에 합류시키고 많은 물자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천안문 광장의 인민영웅기념비에는 금전봉기를 기리는 부조가 새겨져 있다.

4. 1. 금전봉기 (1851년 1월 11일)

1851년 음력 1월 11일, 홍수전의 생일에, 배상제회금전에서 봉기를 선포하고 태평천국 건국을 선언했다. 이때 군대에 다섯 가지 규칙이 제시되었다.[1]

  • 명령에 복종할 것
  • 이동 중에는 남녀를 분리할 것
  • 잘못을 저지르지 말 것
  • 공정하고 화합할 것
  • 전투 중 협력하고 물러서지 말 것


반란군은 복장을 바꾸고 머리를 길렀으며, 머리에 붉은 천을 묶었다. 이는 청나라변발 강요에 대한 저항이었다.

4. 1. 1. 태평천국의 선포와 초기 강령

1851년 음력 1월 11일, 홍수전의 생일에, 배상제회금전에서 봉기를 선포하고 태평천국의 건국을 선언했다.[1]

군대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규칙이 제시되었다.[1]

# 명령에 복종할 것.

# 이동 중에는 남녀를 분리할 것.

# 잘못을 저지르지 말 것.

# 공정하고 화합할 것.

# 전투 중 협력하고 물러서지 말 것.

반란군은 옷을 바꾸고 머리를 길게 유지했으며(이전에는 청나라 법에 따라 남성은 변발을 해야 했다), 머리에 붉은 천을 묶었다.[1] 이후 1월 13일, 그들은 대황강구(大湟江口)로 향했다.[1]

4. 1. 2. 변발 금지와 복장 변화

반란군은 옷을 바꾸고 머리를 길렀으며, 머리에 붉은 천을 묶었다. 이전에는 청나라 법에 따라 남성은 변발을 해야 했다.[1]

4. 2. 대황강 전투와 우쉬안현 후퇴

1850년 음력 12월, 순주의 청나라군 지휘관 이전원은 반란군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이끌고 핑난현 화주산인촌에 있는 홍수전의 거주지를 포위했다. 그러나 홍수전과 펑윈산은 양수청이 보낸 지원군에 의해 구출되어 금전으로 돌아갔다. 1851년 음력 1월 1일, 주봉기와 그의 부관인 이전원, 이극탄부가 지휘하는 조정군은 금전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 그러나 반란군은 공격을 예상하고 금전에서 5km 떨어진 사왕제(思旺圩)와 채강촌(蔡江村) 근처에 매복을 설치했다. 정부군은 반란군에게 패배했고 이극탄부는 전사했다.[1]

5. 주요 충돌

1850년 7월, 홍수전은 총동원령을 내려 신도들을 금전촌에 모아 군사 훈련을 하며 무장봉기를 준비했다. 7월 말까지 13,155명이 모였다. 광서성의 청나라군은 인원이 부족하고 천지회 봉기 진압에 바빠 배상제회 조직을 발각하지 못했다.[1]

12월, 심주협의 부장 이전원이 평남현 사왕우에서 홍수전의 저택을 포위했지만, 양수청이 금전촌에서 지원군을 보내 청군을 물리쳤고, 홍수전풍운산은 금전촌으로 돌아갔다. 1851년 1월 1일, 주봉기, 이전원, 이커탄부(伊克坦布)가 지휘하는 청군은 금전촌을 공격했지만, 채강촌에 매복해 있던 배상제회군에게 패하고 이커탄부는 살해당했다.[1]

이 두 번의 승리로 배상제회의 사기가 높아졌다. 1851년 1월 11일, 배상제회는 금전촌에서 봉기하여 국호를 ‘태평천국’으로 정하고 군기 5개조를 정했다. 3일 후, 태평천국군은 대황강 나루를 점령했고, 나대강과 소삼랑이 이끄는 2천 명 이상의 천지회가 합류했다. 흠차대신 이성원은 광서제독 향영에게 2천 명의 병력으로 공격을 명령하고, 귀주성에서 수천 명의 원군을 불렀다. 2월 18일, 향영은 이능신과 주봉기의 원군과 함께 대황강 나루를 공격했지만, 태평천국군의 매복으로 포위 전략을 채택했다.[1]

3월 10일, 태평천국군은 어둠을 틈타 무선으로 피신했다. 청군도 그들을 추격했지만, 삼리우(三里圩)에서 교착 상태에 빠졌다. 4월 3일, 광서순무 주천작과 향영은 6천 명의 병력으로 공격했지만 패배했다. 5월 16일, 태평천국군은 포위를 돌파하여 상주(象州)로 향했다. 청군은 광저우 부도통 울란타이(烏蘭泰)가 이끄는 군대를 배치했고, 향영은 태평천국군의 북상을 막는 역할을 맡았다.[1]

5. 1. 양산촌 전투와 자형산 후퇴

1851년, 태평천국 운동 초기, 뤄다강(羅大綱)과 쑤싼냥(蘇三娘)이 이끄는 2,000명이 넘는 천지회 반군이 홍수전에게 합류했다. 청나라 관료 리싱위안(李星沅)은 샹롱 장군에게 2,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반군을 공격하도록 명령했고, 구이저우에서 1,000명의 추가 지원군을 받았다. 음력 2월 18일, 샹롱은 리넝천(李能臣) 장군과 저우펑치 장군이 이끄는 다른 황실 군대와 합류하여 다황장커우를 공격했지만, 반군이 설치한 지뢰밭에 들어가 매복 공격을 받아 수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 포위 전술을 채택해야 했다.[1]

음력 3월 10일 밤, 반군은 우쉬안 현 둥샹(東鄉)으로 철수했고, 황실군은 추격했지만 다시 매복 공격을 받았다. 싼리 둑(三里圩) 근처에서 양측은 교착 상태에 이르렀다. 음력 3월 23일, 홍수전은 둥샹에서 스스로를 "천왕"(天王)이라고 선언했다. 음력 4월 3일, 광시 성 지사 저우톈쥐에(周天爵)와 샹롱은 6,000명이 넘는 병력을 동원하여 둥샹을 공격했지만 반군에게 격퇴당했다. 계속된 패배를 겪은 리싱위안(李星沅)은 음력 5월 12일에 사망했다. 4일 후 반군은 포위망을 돌파하여 샹저우(象州)로 진격했다. 청군은 그들을 추격했고, 광저우에서 새로 배치된 1,000명의 황실 군대는 울란타이(烏蘭泰) 장군이 이끌며 량산 마을(梁山村)에 주둔했다. 샹롱의 부대는 반군의 북쪽 진로를 막기 위해 제령(界嶺)에 배치되었다.[1]

이후 벌어진 독오령 전투와 자형산 후퇴 과정에서 태평천국군은 북상 계획에 실패했지만, 많은 하층민들을 끌어들여 세력을 확장하는 데는 성공했다.

5. 1. 1. 독오령 전투

1851년 음력 7월, 반군은 샹저우(象州)에서 구이핑의 자싱산(紫荊山)에 있는 원래 기지로 철수해야 했다. 량산 마을 북쪽에 위치한 두아오 령(獨鰲嶺) 전투에서 울란타이(烏蘭泰)의 군대는 반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 그러나 청나라 정부군은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반군이 포위망을 돌파하려는 시도를 막을 수 있었다.[1]

5. 1. 2. 자형산으로의 후퇴

뤄다강(羅大綱)과 쑤싼냥(蘇三娘)이 이끄는 2,000명이 넘는 천지회 반군이 합류하면서, 태평천국군은 세력을 확장했다. 그러나 청나라 정부는 샹롱에게 2,000명의 병력을 주어 공격하게 하고, 구이저우에서 1,000명의 지원군을 추가로 파견했다.[1] 1851년 음력 2월 18일, 샹롱은 다른 황실 군대와 합류하여 다황장커우를 공격했지만, 태평천국군이 설치한 지뢰밭과 매복에 걸려 큰 피해를 입었다. 결국 정부군은 포위 전술을 선택했다.[1]

음력 3월 10일 밤, 태평천국군은 우쉬안 현의 둥샹(東鄉)으로 후퇴했다. 황실군은 추격했지만, 또다시 매복 공격을 당했다. 싼리 둑(三里圩) 근처에서 양측은 대치 상태에 들어갔다. 음력 3월 23일, 홍수전은 둥샹에서 자신을 "천왕"(天王)이라 칭했다.[1] 음력 4월 3일, 저우톈쥐에(周天爵)와 샹롱이 6,000명이 넘는 병력으로 둥샹을 공격했지만, 태평천국군에게 패배했다. 계속된 패배에 리싱위안(李星沅)은 음력 5월 12일에 사망했다.[1] 4일 후, 태평천국군은 포위망을 뚫고 샹저우(象州)로 진격했다. 청군은 추격했고, 광저우에서 새로 온 1,000명의 황실 군대는 울란타이(烏蘭泰) 장군의 지휘 아래 량산 마을(梁山村)에 주둔했다. 샹롱의 부대는 태평천국군의 북쪽 진로를 막기 위해 제령(界嶺)에 배치되었다.[1]

량산 마을 북쪽의 두아오 령(獨鰲嶺) 전투에서 울란타이의 군대는 태평천국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정부군은 지형적 이점을 이용해 태평천국군의 포위 돌파 시도를 막았다. 음력 7월, 태평천국군은 샹저우에서 구이핑의 자형산(紫荊山)에 있는 원래 기지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1] 비록 북진 계획은 실패했지만, 많은 하층민들을 끌어들이고 많은 물자를 확보하는 데 성공하여 태평천국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1]

6. 역사적 의의

1851년 홍수전이 주도한 금전봉기는 태평천국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배상제회를 기반으로 봉기한 태평천국군은 청나라 군대에 맞서 초기 승리를 거두며 세력을 확장했다. 비록 초기의 북상 계획은 실패했지만, 이 과정에서 많은 민중들이 합류하여 태평천국 운동의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천안문 광장의 인민영웅기념비에는 금전봉기를 기리는 부조가 새겨져 있어, 이 사건이 중국 역사에서 갖는 중요한 의미를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 History and Documents, Volume 1: Histor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66
[2] 논문 The Taiping Rebellion: History 1966
[3] 논문 The Taiping Rebellion: History 1966
[4] 논문 The Taiping Rebellion: History 1966
[5] 서적 The Taiping Rebellion : History and Documents, Volume 1: Histor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