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길이 거리 공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길이 거리 공간은 거리 공간의 일종으로, 두 점 사이의 거리가 그 점들을 잇는 경로의 길이의 하한과 같은 공간을 의미한다. 유도된 내재적 거리를 통해 정의되며, 이 거리는 경로의 길이를 기반으로 한다. 길이 공간은 내재적 거리를 가지며, 근사 중간점을 갖는 완비 거리 공간과 동치 관계를 가진다. 연결 리만 다양체, 유클리드 공간 등이 길이 공간의 예시이며, 초구와 같은 공간은 길이 공간이 아닐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량기하학 - 거리
    거리는 수학에서 두 점 사이를 측정하는 함수, 물리학에서 물체의 위치 변화량, 일상생활에서 두 지점 사이의 길이를 의미하며, 국제단위계에서는 길이로 표현된다.
  • 계량기하학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길이 거리 공간

2. 정의

(M, d)거리 공간이라고 하자. 여기서 M은 평면이나 원 위의 모든 점과 같은 점들의 집합이고, d(x,y)는 점 x, y \in M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M에 대한 새로운 거리 d_\text{I}를 정의하는데, 이를 '''유도된 내재적 거리'''라고 한다. 이는 x에서 y까지의 모든 경로 길이의 하한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x에서 y까지의 ''경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연속 함수 \gamma \colon [0,1] \rightarrow M이다.


  • \gamma(0) = x
  • \gamma(1) = y


이러한 경로의 ''길이''는 가측 곡선에 대해 설명된 대로 정의된다. 만약 x에서 y까지 유한한 길이의 경로가 없다면 d_\text{I}(x,y) = \infty로 설정한다.

d \mapsto d_\text{I}는 멱등이다. 즉, (d_\text{I})_\text{I} = d_\text{I}이다.

만약 M의 모든 점 xy에 대해 d_\text{I}(x,y) = d(x,y)가 성립한다면, (M, d)를 '''길이 공간''' 또는 '''경로 거리 공간'''이라고 하며, 거리 d는 '''내재적'''이라고 한다.

거리 d가 '''근사 중간점'''을 가진다는 것은, 임의의 \varepsilon > 0M의 점 xy에 대해, d(x,c)d(c,y)가 모두 \frac{d(x,y)}{2} + \varepsilon 보다 작은 M의 점 c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1. 길이를 갖는 곡선

로비어 공간 (X,d) 속의 '''곡선'''(curve영어)은 임의의 닫힌구간 [a,b]\subseteq\mathbb R에서 X로 가는 함수이다.

곡선 \gamma\colon[a,b]\to X가 주어졌을 때, 각 양의 정수 n\in\mathbb Z^+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값을 정의할 수 있다.

:\operatorname{length}_n(\gamma)\stackrel{\text{def}}=\sup_{a=t_0
=

\begin{cases}

\sup_{a1\\

d(\gamma(a),\gamma(b))&n=1

\end{cases}\in[0,\infty]

삼각 부등식에 의하여, 이 함수는 항상 증가 함수이다. 곡선 \gamma의 '''길이'''(length영어)는 이 수열의 상한이다.[2][3]

:\operatorname{length}(\gamma)\stackrel{\text{def}}=\lim_{n\to\infty}\operatorname{length}_n(\gamma)=\sup_{n\in\mathbb Z^+}\operatorname{length}_n(\gamma)\in[0,\infty]

길이가 유한한 곡선을 '''길이를 갖는 곡선'''(-曲線, rectifiable curve영어)이라고 한다.[2][3]

2. 2. 내재적 거리

로비어 공간 (X,d) 위의 함수 d_{\text{I}}\colon X\times X\to[0,\infty]는 '''내재적 거리'''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2][3]

:d_{\text{I}}(x,y)=\inf_{\gamma\in\operatorname{Curve}(x,y)}\operatorname{length}\gamma

여기서 \operatorname{Curve}(x,y)x에서 y로 가는 모든 곡선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즉,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gamma\colon[a,b]\to X

:\gamma(a)=x

:\gamma(b)=y

(X,d_{\text{I}})로비어 공간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다음 부등식이 성립한다.

:d(x,y)\le d_{\text{I}}(x,y)\qquad\forall x,y\in X

d=d_{\text{I}}가 성립하는 로비어 공간은 '''길이 로비어 공간'''이라고 하며, 추가로 거리 공간을 이룬다면 '''길이 거리 공간'''이라고 한다.[2]

거리 공간 (M, d)에서 M은 평면이나 원 위의 모든 점과 같은 점들의 집합이고, d(x,y)는 점 x,y\in M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M에 대한 새로운 거리 d_\text{I}를 정의하는데, 이를 '''유도된 내재적 거리'''라고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_\text{I}(x,y)x에서 y까지의 모든 경로의 길이의 하한이다.

여기서 x에서 y까지의 경로는 다음과 같은 연속 함수이다.

:\gamma \colon [0,1] \rightarrow M

여기서 \gamma(0) = x이고 \gamma(1) = y이다. 이러한 경로의 길이는 가측 곡선에 대해 설명된 대로 정의된다. 만약 x에서 y까지 유한한 길이의 경로가 없다면 d_\text{I}(x,y) =\infty로 설정한다. (이는 닫힌 구간 [0,+∞] 내에서 공집합의 하한이 +∞이므로 하한 정의와 일치한다.)

d\mapsto d_\text{I} 는 멱등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 (d_\text{I})_\text{I} = d_\text{I}.

만약 M의 모든 점 xy에 대해 다음이 성립하면,

:d_\text{I}(x,y)=d(x,y)

(M, d)를 '''길이 공간''' 또는 '''경로 거리 공간'''이라고 하며, 거리 d는 '''내재적'''이라고 한다.

거리 d가 '''근사 중간점'''을 가진다는 것은, 임의의 \varepsilon>0M의 점 xy에 대해, d(x,c)d(c,y)가 모두 다음보다 작은

: {d(x,y) \over 2} + \varepsilon.

M의 점 c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성질

내재적 거리에 의해 정의된 위상은 원래 거리에 의해 정의된 위상보다 세밀하거나 같다.

'''볼록 거리 공간'''(convex metric space영어) (X,d)는 임의의 x,y\in X에 대하여, x\ne y라면

:d(x,m)+d(m,y)=d(x,y)

가 되는 m\in X가 존재하는 거리 공간이다. 모든 완비 볼록 거리 공간은 길이 거리 공간이다.[4] (그러나 볼록 거리 공간이 아닌 길이 거리 공간이 존재한다.)

(M, d)거리 공간이라 하고, d(x,y)를 점 x,y\in M 사이의 거리라고 하자. M에 대한 새로운 거리 d_\text{I}를 정의하는데, 이를 '''유도된 내재적 거리'''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_\text{I}(x,y)x에서 y까지의 모든 경로 길이의 하한이다.

매핑 d\mapsto d_\text{I} 는 멱등이다. 즉,

: (d_\text{I})_\text{I} = d_\text{I}.

M의 모든 점 xy에 대해

:d_\text{I}(x,y)=d(x,y)

가 성립한다면, (M, d)를 '''길이 공간''' 또는 '''경로 거리 공간'''이라고 하며, 거리 d는 '''내재적'''이라고 한다.


  • 공간 (M, d_\text{I})는 항상 경로 거리 공간이다(단, d_\text{I}는 무한대가 될 수 있다).
  • 호프-리노우 정리에 따르면, 길이 공간 (M,d)가 완비이고 국소 콤팩트하면 M의 임의의 두 점은 최소 측지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M의 모든 유계 닫힌 집합은 콤팩트하다.

3. 1. 근사적 중점

근사적 중점을 갖는 거리 공간(metric space with approximate midpoints영어) (X, d)는 다음 조건을 갖는 거리 공간이다.

  • 임의의 양의 실수 ε > 0 및 두 점 x, y ∈ X에 대하여, 2d(x, m) < d(x, y) + ε이자 2d(y, m) < d(x, y) + ε인 점 m ∈ X가 존재한다.


모든 길이 거리 공간은 근사적 중점을 갖는 거리 공간이다. 완비 거리 공간에 대하여, 길이 거리 공간 조건과 근사적 중점을 갖는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거리 d가 근사 중간점을 가진다는 것은, 임의의 ε > 0과 M의 점 x와 y 쌍에 대해 d(x, c)와 d(c, y)가 모두 (d(x, y) / 2) + ε 보다 작은 M의 c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길이 공간의 거리는 근사 중간점을 갖는다. 반대로, 근사 중간점을 갖는 모든 완비 거리 공간은 길이 공간이다.

4. 예

연결 리만 다양체의 표준적인 거리 공간 구조는 길이 거리 공간을 이룬다. 특히, 유클리드 공간 위의 표준적인 거리 구조는 길이 거리 공간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모든 연결 핀슬러 다양체는 길이 공간을 이룬다.

임의의 거리 공간에서 모든 내재적 거리가 유한하다면, 그 거리 공간은 길이 거리 공간을 이룬다.

이산 공간은 다음과 같은 이산 계량을 갖는다.

:d(x,y)=\begin{cases}0&x=y\\1&x\ne y\end{cases}

이산 공간 위에서 모든 곡선은 상수 함수이므로, 모든 이산 공간은 (자명하게) 길이 거리 공간을 이룬다.


  • 일반적인 유클리드 공간 \R^n는 일반적인 유클리드 거리를 갖는 경로 거리 공간이다.
  • 모든 연결된 리만 다양체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두 점을 연결하는 연속적으로 미분 가능한 곡선의 길이의 하한으로 정의함으로써 경로 거리 공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 (리만 구조를 통해 이러한 곡선의 길이를 정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길이가 정의된 다른 다양체에는 핀슬러 다양체와 부분 리만 다양체가 포함된다.
  • 모든 완비 거리 공간이자 볼록 거리 공간은 길이 거리 공간이다. 이는 칼 멩거의 결과이다. 그러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볼록하지 않은 길이 거리 공간이 존재한다.

4. 1. 길이 공간이 아닌 거리 공간

유클리드 공간 속의 초구는 유클리드 공간의 부분 거리 공간으로 볼 때 길이 거리 공간이 아니다. 단위 원 S^1\R^2의 유클리드 거리에서 상속된 거리('''현 거리''')를 갖지만 경로 거리 공간은 아니다. S^1에 유도된 고유 거리는 라디안의 각도로 거리를 측정하며, 결과적으로 얻은 길이 거리 공간을 리만 원이라고 한다. 2차원에서 의 현 거리는 고유하지 않으며, 유도된 고유 거리는 대원 거리로 주어진다.

4. 2. 완비 거리 공간이 아닌 길이 거리 공간

원점을 제거한 유클리드 공간 $ {\mathbb R}^n\setminus\{0\} $을 유클리드 공간의 부분 거리 공간으로 생각한다면, 이는 길이 거리 공간이지만 완비 거리 공간이 아니다.[1]

4. 3. 원순서 집합

원순서 집합 (X,\lesssim)로비어 공간 구조

:d(x,y)=\begin{cases}

0&x\lesssim y\\

\infty&x\not\lesssim y

\end{cases}

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임의의 곡선 \gamma\colon[a,b]\to X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만약 \gamma가 증가 함수라면 (\forall s,t\in[a,b]\colon s\le t\implies \gamma(s)\lesssim \gamma(t)), 그 길이는 0이다.
  • 만약 \gamma가 증가 함수가 아니라면 그 길이는 ∞이다.


:\operatorname{length}\gamma=

\begin{cases}

0&\forall s,t\in[a,b]\colon s\le t\implies\gamma(s)\lesssim\gamma(t)\\

\infty&\exists s,t\in[a,b],\;s\le t\colon \gamma(s)\not\lesssim\gamma(t)\\

\end{cases}

특히, (X,\lesssim)이산 공간일 때 (x\lesssim y\implies x=y) 거리가 0인 곡선은 상수 곡선 밖에 없으며, 다른 곡선의 길이는 ∞이다.

참조

[1] 서적 Metric structures for Riemannian and non-Riemannian spaces Birkhäuser
[2] 서적 Metric spaces of non-positive curvature Springer-Verlag
[3] 저널 On asymmetric distances 2013
[4] 서적 An introduction to metric spaces and fixed point theory Wiley-IEEE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