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건순은 조선 후기의 천주교 신자이자, 문신 김이구의 아들이다. 자는 정학, 호는 가귤이며, 안동 김씨 가문 출신이다. 1797년 주문모 신부에게 영세를 받고 천주교에 입교한 후, 《천당 지옥론》을 저술하고 전교 활동을 펼쳤다. 신유박해로 체포되어 1801년 참수되었으며, 황사영은 그를 순교자로 칭하였다.
2. 생애
2. 1. 어린 시절
김건순의 자는 정학(正學), 호는 가귤(嘉橘)이다.[2] 본관은 안동이다. 청음 김상헌의 7대손으로 노론 가문이며, 김이구의 아들이다. 서울 출신으로 경기도 여주군의 종갓집에 입양되었으나 1797년 청나라의 신부 주문모를 만나, 그의 지도로 영세를 받고 천주교에 입교하였는데, 가톨릭에 입교한 일로 일족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9세 때에 이미 도가의 학문을 습득하였으며 또 14세 때에 집안에 있던 《기인십편》, 《진도자증》, 《교요서론》, 《만물진원》 등 천주교 서적을 읽고 《천당 지옥론》을 저술하였으며, 이후에는 유학의 경사자집과 불가·도가·병가의 서적을 독파하였다.
2. 2. 천주교 입문
김건순은 경기도 양근에 살던 남인 출신 학자 권철신 등과 교류하며 주자가례에 대해 토론하였다.[3] 18세 때 양아버지가 서거하자 주자가례의 상례(喪禮)가 맞지 않는다 하여 따르지 않았고, 이를 비판하는 사대부에게는 변호의 글을 써서 내놓았다.[3] 남인 학자 이가환은 그의 천주교 변호문을 읽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3]
1797년 음력 8월경 주문모 신부를 만나 면담한 뒤, 천주교에 입교할 신념을 확신하게 되었다.[3] 주문모 신부를 만나기 전, 이중배(李中培, 마르티노) 등과 교분을 쌓고 청나라 북경의 선교사를 만나본 후 그들로부터 천주교 교리에 대한 지식을 학습, 조선에 들여와 널리 전파할 계획을 세운 적도 있었다.[3] 주문모 신부를 만나서는 그를 통해 서양의 군사 지식과 군함 제조술을 배웠으며, 이를 바탕으로 병자호란의 치욕을 갚으려 한다는 계획을 설명하기도 하였다.[3]
신부를 만난 뒤 집으로 돌아온 그는 이중배, 이희영(李喜英, 루가), 원경도(元景道, 요한) 등에게 천주교를 전하였다.[3]
2. 3. 전교 활동
김건순은 주문모 신부의 지도를 받아 영세를 받고 1799년 7월 8일 (음력 6월 6일) 신자가 되었다. 이후 천주교의 가르침을 따라 전교에 앞장섰으며, 정약종과 함께 교리를 체계적이면서도 쉽게 설명한 《성교전서》를 저술하기 시작하였으나, 박해로 인해 중단되었다. 가톨릭 입교는 일족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으며, 생부와 형의 배교 강요에도 불구하고 신앙을 지켰다.
2. 4. 신유박해와 순교
1800년 순조가 즉위하고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하면서 천주교 엄금에 관해 하교를 내렸다. (1801년 2월 22일(음력 1월 10일))[4] 주문모 신부가 자수(4월 24일(음력 3월 12일))한 직후 체포되어(4월 28일(음력 3월 16일)) 의금부로 압송되었다. 김건순은 형문에서 천주교 신자가 아님을 내세우려 하였고, 주문모 신부와의 대질에서도 처음에는 그를 본 일이 없다고 주장하였으며, 영세 사실까지도 부인하였다.[4] 그러나 6월 1일(음력 4월 20일) 서소문 밖에서 참수당하였다.(1801년의 신유박해)
황사영은 〈황사영 백서〉에서 김건순을 순교자라 칭했다.[4] 클로드샤를 달레의 《한국 천주교회사》에서도 그를 순교자로 설명하고 있다.[4]
"그가 처형당할 때 시민들에게 '세상의 벼슬이나 명예는 모두가 헛되고 거짓된 것이오. 나 역시 약간의 명망이 있고 벼슬도 할 수 있었지만 그것이 헛되고 거짓된 것이기에 버리고 취하지 않았소. 오직 하느님의 성교만이 지극히 진실한 것이기에 이것을 위해 죽음도 사양치 않는 것이오. 당신들도 이 뜻을 자세히 알도록 하시오'라고 말하고는 마침내 참수 당해 순교하였다. 이 때, 그의 나이 26세였는데 장안 사람들이 모두 애석해 했습니다" (황사영 백서)[4]
사형 집행 후 문중에서 종손의 자격을 박탈하였다.[1]
3. 사후
4. 가족 관계
5. 저서
- 《천당지옥론(天堂地獄論)》
참조
[1]
백과사전
김건순 [金健淳]
두산백과
[2]
족보
안동김씨 족보
[3]
백과사전
김건순 [金建淳]
한국학중앙연구원
[4]
사료
순조실록 (1838) 2권, 순조 1년 1월 10일 정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838-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