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수 (교육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남수는 침술 교육인으로, 부친에게 침학을 배운 뒤 남수침술원을 개설했다. 서울맹학교 교과서 제정위원 및 심의위원을 역임하고, 세계침구학회연합회 등 여러 단체에서 활동했다.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과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훈했으며, 미국과 중국에서 봉사상과 특별공로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무극보양》, 《나는 침으로 승부한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김남수 (교육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남수 |
별칭 | 호(號)는 구당(灸堂) |
출생일 | 1915년 05월 1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의주군 친척집 (추정) |
사망일 | 2020년 12월 27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장성군 자택 |
거주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
본관 | 김해(金海) 김씨 문경공파 |
종교 | 유교(성리학) |
직업 | 침사·사적 자영업자기업가·교육인 |
경력 | |
경력 | 서울정통침뜸연구소 소장 서울구당침뜸클리닉 원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강사 |
활동 기간 | 1943년 5월~2013년 2월 28일 |
가족 | |
부모 | 김서중(부), 최임곡(모) |
형제 | 김기수(형)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뜸사랑 |
2. 약력
(내용 없음)
2. 1. 생애 초기
전라남도 광산군 하남면(現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한다. 부친 김서중(金瑞中)으로부터 침학(鍼學)을 배웠다.[2][3]2. 2. 주요 활동
활동 내용 | 비고 | |
---|
남수침술원 개설 | 신고번호 제92호 | |
서울맹학교 교과서 제정위원 및 심의위원 | | |
세계침구학회연합회(WFAS) 각주단 집행위원, 교육위원, 침구의사고시위원 | | |
세계중의약학회연합회(WFCMS) 각주단 집행위원, 국제침구의사고시 한국 대표 | | |
대한침구사협회 입법추진위원장, 봉사단장 | | |
허임기념사업회 설립 이사장 | | |
한국정통침구학회 회장 겸 정통침뜸교육원 원장 | | |
사랑 봉사단 단장 | | |
정통침연구소 소장 | | |
효행봉사단 단장 | | |
계간 구당 발행인 겸 명예대표위원장 | | |
한국정통침구학회 원격평생교육원장 | | |
세계중의약학회연합회(WFCMS) 무극보양 국제연맹 총재 | | |
대통령 표창 수상 | 대한민국 정부 | |
국민훈장 동백장 서훈 | 대한민국 정부 | |
미국 애틀랜타 리버데일 호스피탈 암센터, 암환자 침시술 임상연구 진행 | | |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 ‘자원봉사상’ 금상 수상 | | |
중국 UN MDGs(새천년개발목표) 특별공로상 수상 | | |
2. 3. 수상 경력
- 2002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
- 2008년: 국민훈장 동백장 서훈
- 2012년: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 ‘자원봉사상’ 금상 수상
- 2013년: 중국 UN MDGs 새천년개발목표 특별공로상 수상
3. 저서
- 《무극보양》: 구당 김남수 선생이 창안한 무병장수 의학 (정통침연구소)
- 《나는 침으로 승부한다》 (정통침연구소)
- 《평생 건강을 위한 침뜸 이야기》 (정통침연구소)
- 《뜸의 이론과 실제》 (정통침연구소)
- 《침사의 맥이 끊어지면 된다》 (1998년 12월 15일)
- 《침사를 키워 인류를 구해야》 (1999년 10월 15일)
- 《생활침의학》 (1999년 11월 30일)
- 《침사랑 사랑, 아∼ 내사랑》 (정통침연구소, 2002년 9월 7일)
- 《침의학개론》, 《경락경혈학》, 《장상학》, 《병인병기학》, 《침술》, 《취혈자침실기》, 《침진단학》, 《경락학》 등
참조
[1]
뉴스
보도 자료 리스트
http://www.hani.co.k[...]
[2]
뉴스
보도 자료 리스트
http://weekly.donga.[...]
[3]
서적
무극보양뜸을 통해 본 구당 김남수의 의학사상
뜸사랑 침뜸의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