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페이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페이훙은 1847년 청나라 시대에 태어난 무술가이자 의술가이다. 그는 아버지 황기영에게 홍가권을 배우고, 철선권, 무영각, 취팔선권 등 다양한 무술을 익혔다. 사자춤에도 능했으며, 광저우에서 무관을 세우고 제자를 양성했다. 흑기군에서 의관으로 활동하기도 했으며, 말년에는 진료소 파괴와 아들의 죽음으로 고통받다 1925년 사망했다. 황페이훙은 홍가권의 중흥조로 추앙받으며, 그의 무술은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그는 수많은 영화, 드라마, 소설, 게임 등의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그의 삶과 무술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침구사 - 김남수 (교육인)
김남수는 부친에게 침술을 전수받아 남수침술원을 개설하고 대한침구사협회 등에서 활동하며 한국정통침구학회 회장, 정통침뜸교육원 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침구사로, 국민훈장 동백장과 미국 대통령 자원봉사상 금상을 수상했다. - 침구사 - 아사하라 쇼코
아사하라 쇼코는 옴진리교의 창시자이자 1995년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을 주도하여 2004년 사형 선고를 받고 2018년 사형이 집행된 일본의 인물이다. - 황비홍 - 황비홍 (1991년 영화)
서극 감독이 제작하고 이연걸이 황비홍 역을 맡은 영화 황비홍은 청나라 말 격변하는 시대 속 영웅의 활약을 그린 홍콩 무협 영화로, 1990년대 초중반 무술 영화 열풍을 주도하며 흥행했고 홍콩 금상장 영화제에서 여러 상을 받았다. - 황비홍 - 황비홍 2
황비홍 2는 서극 감독, 이연걸, 견자단 주연의 1992년 홍콩 무협 영화로, 황비홍이 쑨원을 만나 백련교의 혼란에 맞서 싸우며 정의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납란원술과의 대결을 펼치는 이야기이다. - 청나라의 철학자 - 홍수전
홍수전은 과거 시험에 낙방한 후 기독교적 사상을 받아들여 태평천국을 건국하고 천왕으로 즉위하여 토지 개혁과 사회 개혁을 시도했지만, 내부 갈등과 청나라의 공격으로 사망하며 태평천국을 멸망시킨 중국의 농민 반란 지도자이다. - 청나라의 철학자 - 고염무
고염무는 명말청초의 유학자이자 사상가로, 주자학 비판과 경세치용 학풍 주창, 반청복명 운동 참여, 그리고 《일지록》 등의 저술 활동을 통해 청대 고증학의 선구자이자 청초 3대 유학자로 평가받으며 "천하흥망 필부유책"이라는 어록으로도 알려져 있다.
황페이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본명 | 웡 셱청 (黃錫祥) |
출생일 | 1847년 8월 19일 |
출생지 | 청나라 광둥성 광저우시 난하이 포산 시차오 링시촌 루저우 촌락 |
사망일 | 1925년 4월 17일 |
사망지 | 중화민국 광둥성 광저우시 청시 팡롄 병원 |
다른 이름 | 황페이훙 (黃飛鴻) 웡 셱청 (黃錫祥) 탓완 (達雲) |
국적 | 중국 |
민족 | 광둥인 |
거주지 | 중화민국 광둥성 광저우시 |
직업 | 무술가, 의사, 혁명가 |
무술 정보 | |
무술 | 중국 무술 |
스타일 | 홍가권, 취권 |
사범 | 웡 게이잉 람푹싱 성 파이통 소찬 |
제자 | 렁 푼 람 사이윙 당 퐁 링 완카이 |
유파 | 포치람 |
가족 정보 | |
부모 | 웡 게이잉 (아버지), 폭 라이응오 (어머니) |
배우자 | 뤄 씨 (1871년 결혼, 1871년 사망) 마 씨 (1896년 결혼, 사망) 센 씨 (1902년 결혼, 사망) 막 계란 (1915년 결혼) |
자녀 | 웡 혼람 (마 씨와의 아들) 웡 혼삼 (마 씨와의 아들) 2명의 딸 (마 씨와의 딸) 웡 혼슈 (센 씨와의 아들) 웡 혼헤이 (센 씨와의 아들) |
2. 생애
1847년 음력 7월 9일, 청나라 제8대 황제 도광제 치세에 광둥성(廣東省) 포산부(佛山府) 난하이현(南海縣) 시차오(西樵) 루저우촌(禄舟村)에서 태어났다.[5] 그의 아버지 황기영(黃麒英, 황치잉)은 광동십호(廣東十虎) 중 한 사람이었다. 5세 때부터 아버지에게 홍가권(洪家拳)과 의술을 전수받았다.[5] 13세에는 철선권(鐵線拳) 고수 철교삼(鐵橋三)의 제자 임복성(林福成, 린푸청)에게서 철선권과 비타(飛砣)를, 송휘당(宋輝鏜, 쑹후이탕)에게서 무영각(無影腳)을, 소걸아(蘇乞兒, 쑤치얼)에게서 취팔선권(醉八仙拳)을 배웠다. 사자춤에도 뛰어나 '광주사자왕(廣州獅王)'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1859년 12세 때 곤술의 달인을 이겨 '소년 영웅'이라는 별명을 얻었고, 1864년 17세 때 광저우에 첫 무관을 세웠다.[5] 19세에는 포산 서초 관산의 전당포를 습격한 도적 무리를 격퇴했다. 1867년 20세 때 광저우에서 영국인이 훈련시킨 셰퍼드를 발차기 한 방으로 즉사시켜 명성을 얻었다. 1873년 26세 때 광저우 인안리(仁安里)에 병원 바오즈린(寶芝林, 보지림)을 세웠다.[5]
1888년 41세에 흑기군(黑旗軍) 수령 유영복(劉永福)의 다리를 고쳐준 인연으로 흑기군 의관(醫官) 및 군중기격교련(軍中技擊教練)에 임명되었고, 유영복과 함께 타이완(臺灣)에서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5] 유영복은 황페이훙에게 '의예정통(醫藝精通)' 현판을 선물했다. 이후 오전미(吳全美, 우취안메이) 제독 휘하에서 무술 교련을 맡았고, 광동 민단 총교련(廣東民團總教練)으로 임명되었다. 1915년 45년 연하의 막계란(莫桂蘭, 모구이란)과 4번째 결혼을 했다. 1919년 포산 정무체육회(精武體育會) 광저우 지회 개회식에 초청받아 무술을 선보였다.
황페이훙은 4번 결혼했으나 앞의 3명은 병으로 사망했고, 막계란이 그의 곁을 지켰다.[5] 막계란은 황페이훙 사후 홍콩(香港)에서 홍가권을 전수하다 1982년 11월 3일 사망했다. 슬하에 4남 2녀를 두었으나, 두 딸은 어려서 죽고 둘째 아들 황한삼(黃漢森)은 독살당했다.
다음은 황비홍의 생애를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사건 |
---|---|
1847년 | 광둥 난하이에서 출생[23] |
1853년 | 5세, 아버지 황치잉에게 무술을 배우기 시작 |
1859년 | 아버지와 함께 포산, 광저우, 순더 등 각지에서 무술 연마, 곤술 달인을 꺾고 소년 영웅 칭호 획득 |
1860년 | 13세, 톄차오산의 제자 린푸청에게 2년간 철선권과 비타를 배움 |
1863년 | 아버지 사망, 광저우로 이주하여 보즈린 관주가 됨 |
1866년 | 시차오 관산에서 도적떼 격퇴 |
1867년 | 무영각으로 맹견을 제압, 명성을 떨침 |
1888년 | 류융푸에게 무술 교관으로 초빙, 의예정통 현판 받음 |
1925년 | 광저우 청서 방편 병원에서 사망[22] |
1919년 황페이훙의 무예를 잘 이어받은 둘째 아들 황한삼(黃漢森)이 무술 대회에서 승리한 후, 앙심을 품은 상대방에게 독살당했다. 이 일로 황페이훙은 크게 상심하여 마음의 병을 얻게 되었다. 4년 후인 1923년 8월 광저우 상단의 폭동으로 서관(西關) 일대에 큰 불이 났고, 황페이훙의 보지림(寶芝林)도 불에 타 파산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장남 황한방(黃漢邦)은 일자리를 잃었고, 차남 황한삼의 사망에 이어 3남 황한업(黃漢業)마저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다. 이미 큰 상심에 빠져있던 황페이훙은 이로 인해 큰 병을 얻었다. 1924년 3월 25일, 황페이훙은 향년 77세로 광저우 방편의원(廣州 方便醫院)에서 생을 마감했다.
황페이훙은 홍가권의 고수였다. 그는 아버지 황기영으로부터 홍가권을 전수받았으며, 기존의 홍가권을 개량하여 공자복호권, 호학쌍형권 등을 발전시켰다.[10] 또한 소걸아, 송휘당, 임복성 등으로부터 배운 권법들을 홍가권에 통합하여 영남무술 5대 문파 중 최대 문파로 성장시키고, 현대 홍가권 체계 형성에 기여하여 일대종사이자 중흥조로 추앙받는다.[10]
황페이훙의 주요 제자로는 량관(梁寬), 린스룽(林世榮, 임세영), 링윈제(凌雲階, 능운제), 덩스충(鄧世瓊, 등세경), 모구이란(莫桂蘭, 막계란), 린자쿤(林家坤, 임가곤) 등이 있다.[10] 덩스충과 모구이란은 여제자였으며, 이 중 모구이란은 황페이훙의 마지막 아내가 되었다. 황페이훙의 무술을 가장 잘 이어받은 제자는 량관이었으나 20대에 폐병으로 사망하여 황페이훙은 크게 상심하였고, 수제자 자리는 린스룽에게 돌아갔다. 린스룽은 황페이훙을 도와 중화민국(中華民國) 건국에 공헌하였고, 황페이훙 사후 홍콩으로 건너가 홍가권을 전수하며 활발한 저술 및 영화 제작 활동을 통해 스승의 이름을 알렸다. 유가량(劉家良, 류자량) 등 1970년대 홍콩 영화계를 주도했던 감독과 배우들 대다수가 린스룽 계통의 홍가권을 수련한 제자들이었다. 흑기군 출신 린자쿤은 황페이훙이 수군(해군) 무예 교관 시절부터 그를 따라다니며 무술을 배워 후일 타이완(臺灣, 대만)으로 건너가 홍가권을 전수하였다. 영화 속 황페이훙의 제자로 자주 등장하는 '아찰소'는 가공 인물로, 실존하지 않았다.
황페이훙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그를 엄숙하고 진지하면서도 때로는 소탈하고 온화한 모습을 보였던 인간적인 사람이라고 회고했다. 그는 무술을 가르칠 때 신중했으며, 훈련을 게을리하는 제자들을 엄하게 꾸짖었다고 한다. 그는 용감무쌍하여 힘없는 민중이 억압받는 것을 참지 못하고 항상 민중들의 편에 서서 상인들과 민중들을 보호했다.[15]
황비홍을 소재로 한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9년에 제작된 관더싱(Kwan Tak-hing) 주연의 『황비홍전 상집·편풍멸촉』이 최초였다. 이후 수많은 황비홍 영화가 제작되었으며, 2007년 기준으로 홍콩에서 제작된 황비홍을 그린 쿵푸 영화는 84편에 달하며, 이는 동일한 소재로 제작된 영화 수로는 세계 최다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21]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성룡 주연의 『취권』, 이연걸 주연의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차이나』 시리즈 등이 있다.
3. 사망
말년의 화재로 파산하여 유족들이 관을 사지 못할 지경이었으나, 생전에 황페이훙에게 은혜를 입었던 많은 사람들이 돈을 모아 장례비를 보탰다. 광둥성 광저우 바이윈구(白雲府) 바이윈 산(白雲山) 아래에서 장례가 치러졌으며, 이는 황페이훙의 인품과 영웅적 업적을 보여주는 일화가 되었다. 사후, 그의 아내 모구이란과 장남 황한방, 4남 황한희(黃漢熙), 그리고 사제 린스룽과 덩스충(鄧世瓊)은 홍콩으로 이주하여 무술 도장을 열었다. 흑기군(黑旗軍) 출신 린자쿤(林家坤)은 황페이훙이 수군(水軍) 무예 교관 시절부터 그를 따라 무술을 배웠고, 훗날 타이완으로 건너가 홍가권을 전수하였다.
4. 무술
황페이훙은 곤술과 남방호극 등 무기 사용에도 능했다. 광저우 부두에서 곤봉으로 30명의 갱단을 물리쳤다는 일화도 전해진다.[10] 그의 제자로는 임세영, 량관, 덩팡, 링윈제 등이 있다.[10]
황페이훙은 "광동 십호" 중 한 명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하지만, 그의 아버지 황기영이 십호 중 한 명이었다.[11] 황페이훙은 "십호 이후의 호랑이"라고도 불렸다.[11] 전설에 따르면, 소걸아가 황페이훙에게 취권을 가르쳤다고도 한다.
그의 무술 실력은 13세 때 이미 도장주에 필적하여 "소년 영웅"으로 불렸다. 그는 아버지에게서 배운 홍가권을 바탕으로 농민들에게 무술을 가르쳐 자경단을 이끌었고, 관군과 경찰에게도 홍가권을 가르쳐 국가 치안 유지에 헌신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황페이훙의 대표적인 무기술로는 '무영각'이 유명하다. 이는 정식 기술 명칭은 아니지만, 빠른 연환 족술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그는 북파 무술가 송휘당에게서 이 기술을 배워 자신의 대명사가 될 정도로 연마했다. 무영각에 대한 공식적인 시합 기록은 그 속도와 파괴력을 언급하며, "그 이전도 이후도 없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호권, 철선권, 십독수, 매화권 등 다양한 무술을 전수했으며, 고급 기술로는 오형권과 십형권을 배웠다. 특히 '호형권'을 잘하여 '호치'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또한 사자춤의 명수로 '사자왕'이라는 칭호도 가지고 있었다.기술 종류 기술 권법 공자복호권, 호학쌍형권, 철선권, 오형권, 십형권, 괴자무영각, 십독수 무기술 오랑팔괘곤, 쌍비타, 자모도, 나한포, 단쌍호조, 나한금전표, 사상표룡곤, 칠성연환구, 요가대파
5. 대표적인 제자들
6. 후세의 평가
2001년 포산시는 황페이훙을 기리기 위해 기념관을 건립하기로 결정했고, 현재 포산시 조묘(祖廟) 근처에 '포산 황페이훙 기념관(佛山黄飛鴻紀念館)'이 설립되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기념관에는 그의 사진, 기록화, 소설, 무술 사료, 무기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매일 사자춤 및 권법 공연이 열린다. 매년 그의 생일에는 전 세계에서 그를 추종하는 사람들이 모여 기념식을 거행한다. 황페이훙이 뿌리내린 홍가권은 전 세계로 퍼져 최대 문파가 되었으며, 대다수 홍가권 계보가 황페이훙을 거치고 있다. 최근에는 황페이훙이 항일 독립운동 부대에서 활약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어 '광둥 역사 문화의 명인 100인'에 선정되었고, 항일 독립운동가로서의 그의 지위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광둥 역사문화 명인사진전 기획시 뽑은 116명의 향토 인물 중에서는 탈락했는데, 그의 일화가 설화적인 면이 많다는 이유였다. 역대 향토 인물 중 무술인은 2명이 뽑혔으며, 그 중 하나가 황페이훙의 수제자인 린스룽(林世榮, 임세영)이다. 이 결정에 대해 해당 지역에서 일부 반발이 있었다.[15]
1996년, 황비홍 사자춤 무술 박물관이 포산에 건립되었다.[15] 2000년에는 황비홍 기념관이 건립되었으며, 2001년 1월 포산시, 찬청구에 기념관이 정식으로 개관하였다. 그는 아버지 황치잉(웡케이잉)에게서 남파 소림권의 한 갈래인 홍가권을 배워 "소년 영웅"으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기량을 보였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한약방 겸 권법 도장인 보지람을 이어받아 농민들에게 무술을 가르쳐 자경단을 이끌고, 관군과 경찰에게도 홍가권을 가르쳐 국가 치안 유지에 헌신한 인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불산시 중심 지구 조묘 인접지에 "불산 황비홍 기념관"이 세워져 가족 소개, 관련 영화, 월극, 무협 소설에 관한 전시와 무술 시연, 사자춤이 선보여지고 있다. 황비홍은 중국 무술가 중 가장 많이 영상화된 인물로, 영화사상 영웅이자 중국 근대사에서 가장 위대한 무술가 중 한 명으로 꼽힌다.[15]
7. 영화 및 드라마
황비홍의 제자 린스룽(林世榮, 임세영)의 문하생 중 상당수는 영화 산업에 종사하였는데, 그 중 한 명이 유명한 무술감독인 유가량(劉家良, 류자량)이다. 그의 부친 유담(劉湛, 류잔)은 린스룽의 제자였다. 황비홍의 손제자(제자의 제자)에 해당하는 유가량은 황비홍 직계 홍가권을 아버지로부터 배워 "홍가 종사"로 불린다.
일본 작가 도조 타로는 황비홍을 주인공으로 한 활극 소설을 3권 출간했고, 카지 켄고의 셜록 홈즈 소설 『배틀 홈즈』 시리즈 2권에도 황비홍이 등장한다.
대만의 게임 제작사 IGS(鈊象電子)가 발매한 대전 격투 게임 『형의권』은 황비홍을 모티브로 하고 있지만, 일본 발매 버전에서는 모두 가공의 인물명으로 변경되었다.
7. 1. 영화
린스룽(林世榮, 임세영)의 제자 중 상당수는 훗날 영화 산업에 종사하였는데, 그 중 한 명이 유명한 무술감독인 유가량(劉家良, 류자량)이다. 그의 부친 유담(劉湛, 류잔)은 린스룽의 제자였다. 1950~1960년대 홍콩에서는 80편에 가까운 황페이훙 영화가 촬영되었다. 극중에서 황페이훙은 바이위탕(白玉堂, 백옥당)이 연기한 2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관덕흥(關德興, 관더싱)이 역할을 맡았으며 악역은 모두 석견(石堅, 스첸)이 연기하였다. 그래서 당시 홍콩 사람들은 관덕흥을 "황사부"(黃師傅)라고 불렀다.[21]
그 후 성룡(成龍, 청룽), 유가휘(劉家輝, 류자후이) 등도 황페이훙을 연기하였다. 근년에는 서극(徐克, 쉬커)이 감독한 황페이훙 영화 시리즈가 크게 성공하였는데, 주연은 이연걸(李連杰, 리롄제)이 맡았다.[21]
1949년 이후 황비홍을 소재로 한 100편 이상의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가 제작되었으며, 대부분 홍콩에서 제작되었다. 홍콩 배우 관덕흥은 194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70편이 넘는 영화에서 황비홍 역을 맡아 "황 선생"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영화에서 황비홍을 연기한 다른 주요 배우로는 이연걸이 ''황비홍'' 영화 시리즈에서, 조문탁이 텔레비전 드라마 ''황비홍 시리즈''에서 출연했다.[21]
황비홍이 사망한 직후, 중국 각지의 신문과 잡지 등에서 황비홍의 전기 소설과 무용담이 잇달아 연재된 것을 계기로 그의 전설은 급속히 퍼져나갔다. 그를 소재로 한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민국 38년(1949년)에 제작된 관더싱(Kwan Tak-hing) 주연의 『황비홍전 상집·편풍멸촉』이 최초이다. 이후 수많은 황비홍 영화가 제작되었으며, 2007년 현재까지 홍콩에서 제작된 황비홍을 그린 쿵푸 영화는 84편에 달하며, 이는 동일한 소재로 제작된 영화 수로는 현재 세계 최다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21]
'''주목할 만한 황비홍 영화 목록'''
'''텔레비전 드라마'''
'''기타'''7. 2. 드라마
방영 연도 | 방송사 | 드라마 제목 | 감독 | 출연 |
---|---|---|---|---|
1984년 | 홍콩 TVB | 보지림(寶芝林) | 구가웅 | 유강, 석수, 탕진업, 유덕화, 주윤발, 남결영 |
1986년 | 대만 CTV | 취권(醉拳) | 원상인 | 구우정, 이예민, 원상인, 왕광, 검훈 |
1992년 | 홍콩 TVB | 아애아찰소(我愛牙擦蘇) | 증려진 | 장위건, 려자, 유소혜, 관해산, 증위권 |
1994년 | 홍콩 TVB | 황비홍-철담양관(鐵膽梁寬) | 양가인 | 이극근, 양영충, 나낙림, 선훤 |
1995년 | 대만 CTV | 황비홍여십삼이(黃飛鴻與十三姨) | 유응종, 증수초 | 장신광, 임의진, 마경도, 도선니 |
2004년 | 홍콩 TVB | 아사전계황비홍(我師傅係黃飛鴻) | 황위성 | 황종택, 진건봉, 이가성, 강대위, 이채화 |
2005년 | 홍콩 TVB | 황비홍여십삼이(黃飛鴻與十三姨) | 유가휘 | |
2006년 | 홍콩 TVB | 황비홍오대제자(黃飛鴻五代第子) | 백도 | 장신광, 정칙사, 막소총, 웅흔흔 |
2007년 | 홍콩 TVB | 간인견(奸人堅) | 임지화 | 황자화, 엽동, 양수혜, 임가화, 허소웅, 임경강 |
2008년 | 홍콩 TVB | 인자황비홍(仁者黃飛鴻) | 왕정 | 장위건, 정효동, 임자총, 왕정 |
8. 테마곡
중국 민요 "장군령"(將軍令|장군령중국어)은 여러 황비홍 영화의 주제가로 사용되어 황비홍과 대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이 곡은 성룡 주연의 1978년 영화 ''취권''의 오프닝 테마였다. ''황비홍'' 영화 시리즈에서는 이 곡의 제목이 '''남아당자강''' (男兒當自強|남아당자강중국어)으로 변경되었다. 임자상이 광둥어로 불렀으며, 황참이 작사했다. 성룡은 두 번째 영화에서 이 곡을 만다린어로 불렀다. "남아당자강" 버전은 현재까지 이 곡의 가장 잘 알려진 연주 버전이다.
편곡된 버전은 황자화가 ''남자본색''의 주제가로 다시 쓰고 불렀다.
참조
[1]
서적
On Hung Gar: History and Practice
CreateSpace
2009-04-13
[2]
서적
Rethinking Chinese Popular Culture: Cannibalizations of the Can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12-08
[3]
서적
Jin Yong's Martial Arts Fiction and the Kungfu Industrial Complex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3-02-13
[4]
서적
Iron Thread. Southern Shaolin Hung Gar Kung Fu Classics Series
CreateSpace
2008-12-15
[5]
웹사이트
佛山黄飞鸿—黄飞鸿史略 (Historical Biography of Wong Fei-hung from Foshan)
http://www.foshanmus[...]
2015-09-19
[6]
웹사이트
黄飞鸿的家庭 (Wong Fei-hung's family)
http://www.foshanmus[...]
2015-09-19
[7]
웹사이트
广州城西方便所:曾为华南最大慈善机构-公益时报网
http://www.gongyishi[...]
2019-01-16
[8]
웹사이트
广州市第一人民医院擅长领域及诊疗优势介绍_名医主刀资讯
http://zixun.mingyiz[...]
2019-01-16
[9]
웹사이트
黄飞鸿离世90年 葬身之地成谜
https://www.chinatim[...]
2019-01-09
[10]
웹사이트
Wong Fei-Hung
http://www.wongfeihu[...]
2019-01-16
[11]
서적
World of Martial Arts !
https://books.google[...]
Lulu.com
2010-09-08
[12]
웹사이트
Source file of the photo.
http://hunggarenchil[...]
2014-10-17
[13]
웹사이트
黄飞鸿子女今何在?不练武功,卖凉茶、开药厂 [Where are Huang Feihong's children today? They don't practise martial arts, sell tea or open medicine shops]
http://dy.163.com/we[...]
2017-04-26
[14]
웹사이트
黄飞鸿的后人今何在:儿孙分布于澳洲拉丁美洲东南亚 [Where Wong Fei-hung's descendants are: His descendants are living in Australia, Latin America and Southeast Asia]
http://news.ifeng.co[...]
2015-01-03
[15]
웹사이트
「黃飛鴻」的後代竟然這麼美!被她一腳踢死也甘愿阿...
http://yes-news.com/[...]
2019-01-29
[16]
웹사이트
黄飞鸿照片之谜_亦文亦武四十年_新浪博客
http://blog.sina.com[...]
2019-01-09
[17]
웹사이트
Incredible Discovery: A Photo of Real Wong Fei Hung! {{!}} Practical Hung Kyun
http://practicalhung[...]
2013-06-08
[18]
웹사이트
黄飞鸿照片之谜(续一):还有一张疑似黄飞鸿的照片_亦文亦武四十年_新浪博客
http://blog.sina.com[...]
2019-01-08
[19]
웹사이트
Another Photo Discovery: Is this REAL Wong Fei Hung? {{!}} Practical Hung Kyun
http://practicalhung[...]
2013-10-20
[20]
웹사이트
黄飞鸿照片之谜(续三):黄飞鸿的亲人说黄飞鸿的外貌_亦文亦武四十年_新浪博客
http://blog.sina.com[...]
2019-01-08
[21]
웹사이트
Tiger Crane Fist!
http://steamcommunit[...]
Maschinen-Mensch
2017-04-17
[22]
웹사이트
佛山黄飞鸿—黄飞鸿史略
http://www.foshanmus[...]
2015-09-19
[23]
문서
『「大図解」カンフーの必殺技』や『「決定版」中国武術最強の必殺技FILE』では1848年の8月18日生まれとあり、享年75か76と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