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은부는 신라 왕실의 후손으로, 고려 현종 때 공주절도사로 현종을 극진히 영접하여 중앙 정계에 진출했다. 현종에게 딸 셋을 바쳐 왕후로 삼게 하였으며, 이후 형부시랑, 요나라 사신, 지중추사, 호부상서를 거쳐 중추원사, 상장군을 역임했다. 현종의 외척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누렸으며, 사후 안평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추충수절창국공신에 추증되었다. 그의 딸들은 덕종, 정종, 문종을 낳아 김은부는 고려 왕실과 이중의 인척 관계를 형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17년 사망 - 왕단 (북송)
왕단은 북송 시대의 관료이자 재상으로, 과거에 수석 합격 후 송 진종의 신임을 얻어 요직을 역임하며 중앙 정치에서 활약했고, 재상 재임 중 과거 제도 발전과 인재 등용을 통해 북송 발전에 기여했다. - 1017년 사망 - 산조 천황
산조 천황은 레이제이 천황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영향력 아래 정치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안질 악화와 압박으로 양위했으나 와카에 능통하여 작품이 《오구라 백인일수》에 수록된 일본의 제67대 천황이다. - 고려의 호부시랑 - 서눌
서눌은 996년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형부시랑, 상서이부시랑 등을 역임하고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고려 전기의 문신으로, 딸 원목왕후가 현종의 비가 되면서 문하시중에 올랐으며, 거란과의 외교 관계에서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 고려의 호부시랑 - 소태보
소태보는 고려 시대 문신으로, 문종, 선종을 거쳐 헌종 때 문하시랑평장사 상주국에 임명되었고 이자의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수사도·판이부사로 특진되었으며 숙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김은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 한글 이름 | 김은부 |
| 한자 이름 | 金殷傅 |
| 로마자 표기 | Gim Eun-bu |
| 기본 정보 | |
| 작위 | 고려의 공주절도사 |
| 재임 | 알 수 없음 |
| 전임자 | 알 수 없음 |
| 공동 재위자 | 알 수 없음 |
| 후임자 | 알 수 없음 |
| 군주 | 고려 현종 |
| 군주 칭호 | 국왕 |
| 국적 | 고려 |
| 성별 | 남성 |
| 출생일 | 미상 |
| 출생지 | 고려 수주 안산현 |
| 사망일 | 1017년 6월 11일 |
| 사망지 | 미상 |
| 매장지 | 알 수 없음 |
| 능묘 | 알 수 없음 |
| 가문 | 안산 김씨 |
| 아버지 | 알 수 없음 |
| 어머니 | 알 수 없음 |
| 배우자 | 알 수 없음 |
| 형제자매 | 알 수 없음 |
| 자녀 | 알 수 없음 |
| 친인척 | 알 수 없음 |
| 종교 | 알 수 없음 |
| 참전 | 알 수 없음 |
2. 생애
신라 왕족의 후손으로, 김긍필의 아들이다.[7] 그는 수주(水州) 안산현(安山縣)에서 태어났으며, 장인은 경원 이씨의 시조인 이허겸이다.
공주 절도사로 재직하던 1011년, 거란의 고려 침입으로 현종이 개경을 떠나 피난길에 올랐을 때, 김은부는 공주에서 현종을 극진히 맞이했다. 이를 계기로 그는 중앙 정계에 진출하게 되었다. 현종은 그의 딸들을 후궁으로 맞아들였는데, 이들이 바로 원성왕후, 원혜왕후, 원평왕후이다. 이로써 김은부는 강력한 왕실 외척 세력으로 부상했다.
이후 형부시랑(形部侍郞)에 임명되었고, 요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1015년에는 지중추사(知中樞事)로, 이듬해에는 호부상서(戶部尙書)로 승진했으며, 이후 중추원사(中樞院事)와 상장군(上將軍)의 지위에 올랐다.
1017년 6월 11일에 사망했으며[6], '안평'(安平)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사후 왕후의 아버지로서 다음과 같이 추증되었다.
| 대상 | 추증 내용 |
|---|---|
| 김은부 | 추충수절창국공신(推忠守節昌國功臣),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수사공(守司空), 상주국(上柱國), 안산현개국후(安山縣開國侯), 식읍(食邑) 1천 호 |
| 아내 (이허겸의 딸) | 안산군대부인(安山郡大夫人) |
| 아버지 (김긍필) | 좌복야(左僕射), 상주국, 안산현개국후, 식읍 1천 5백 호 |
| 어머니 | 안산군대부인 |
| 장인 (이허겸) | 좌복야, 상주국, 소성현개국후(邵城縣開國侯), 식읍 1천 5백 호 |
김은부는 안산 출신으로, 아버지는 김긍필(金兢弼)이다. 장인 이허겸(李許謙)의 딸 인천 이씨와 혼인하였는데, 이허겸은 인천 이씨의 시조이다.
고려 왕실과 이중의 인척관계를 형성하였다. 덕종, 정종, 문종, 정간왕은 그의 외손자들이면서, 동시에 덕종, 정종 형제와 문종, 추존왕 정간왕 형제는 이종사촌간이었다.[8] 또한 외손자 문종(그의 딸 원혜왕후 소생)의 정비 인평왕후는 현종과 김은부의 딸 원성왕후의 소생으로 그의 외손녀가 된다.
3. 가계
공주 절도사(節度使)를 지내던 중, 1011년 거란의 침입을 피해 남쪽으로 피난하던 현종을 공주에서 극진히 맞이하였다. 이에 현종은 김은부의 세 딸(원성왕후, 원혜왕후, 원평왕후)을 모두 후궁으로 맞이하였고, 김은부는 강력한 왕실 외척 세력으로 부상하였다. 1015년 지중추사(知中樞事), 1016년 호부상서(戶部尙書)로 승진하였다. 1017년 6월 11일에 사망하였다.관계 이름 비고 아버지 김긍필(金兢弼) 어머니 미상 장인 이허겸(李許謙) 인천 이씨 시조 부인 안산군대부인(安山郡大夫人) 인천 이씨(仁川 李氏) 이허겸의 딸, 이자연의 숙모 아들 김충찬(金忠贊) ? ~1036년 아들 김난원(金爛圓) 승려, 법명 경덕국사(景德國師). 대각국사 의천(義天)의 스승 딸 원성왕후(元成王后) ? ~1028년. 현종의 비 외손자 덕종(德宗) 1016년~1034년. 고려 제9대 국왕 외손자 정종(靖宗) 1018년~1046년. 고려 제10대 국왕 딸 원혜왕후(元惠王后) ? ~1022년. 현종의 비 외손자 문종(文宗) 1019년~1083년. 고려 제11대 국왕 외손자 정간왕(靖簡王) 1021년~1069년[9] 딸 원평왕후(元平王后) ? ~1028년. 현종의 비 사위 현종(顯宗) 992년~1031년. 고려 제8대 국왕 처남 이한(李翰) 중추부사 이부시랑(中樞副使 吏部侍郞) 처조카 이자연(李子淵) 1003년~1061년. 문종의 장인, 이자겸의 조부 처남 이눌(李訥) 대장군(大將軍) 처남 이진(李玲) 좌복야(左僕射)
4. 기타
문종의 제2비인 인예왕후(仁睿王后), 인경현비(仁敬賢妃), 인절현비 이씨(仁節賢妃)는 그의 처조카 이자연의 딸로 처종손녀뻘이 된다.
5. 김은부가 등장한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김은부(金殷傅)
https://encykorea.ak[...]
2023-08-27
[2]
웹사이트
김은부
https://www.doopedia[...]
2023-08-27
[3]
웹사이트
중추사 호부상서 김은부가 죽다
https://db.history.g[...]
[4]
웹사이트
등장인물
https://program.kbs.[...]
2023-11-08
[5]
서적
고려사
[6]
서적
복흥사 경덕국사 묘지명
[7]
문서
고려사에는 김긍필(金肯弼), 《복흥사 경덕국사 묘지명》에는 김긍필(金兢弼)로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는 1차 사료인 묘지명의 기록을 따른다.
[8]
문서
덕종, 정종은 원성왕후 소생, 문종, 정간왕은 원혜왕후 소생
[9]
문서
문종의 친동생 왕기의 작위는 평양공으로 사후 왕으로 추증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