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02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22년은 서력 기원 1022년에 해당하며, 북송 건흥 원년, 요 태평 2년, 일본 지안 2년, 리 왕조 투언티엔 13년 등으로, 임술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고려가 거란의 침입에 대비해 강감찬의 주도로 나주에 성을 쌓았으며, 송나라 군대가 100만 명에 달했다. 주요 인물로는 잉글랜드의 마지막 왕 해럴드 2세, 송나라 황제 진종 등이 태어나고 사망했다.

2. 연호

3. 기년

간지임술
일본치안 2년
황기1682년
중국
북송건흥 원년
태평 2년
대리국명계 13년, 건흥 원년
조선
베트남
리 왕조순천 13년
불멸기원
유대력


4. 사건


  • 향리 직제가 개편되어 군현의 호장(戶長)과 향·부곡의 장(長)으로 명칭이 간소화되었다.
  • 조조가 호세이지 조불의 공으로 불사로서 처음으로 호쿄가 되었다.
  • 오를레앙에서 이단 카타리파에 대한 최초의 화형이 행해졌다.

4. 1. 동아시아


  • 고려에서는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감찬의 주도로 나주에 성을 쌓았다.[1]
  • 송나라 군대는 100만 명의 등록된 군인을 보유하였으며, 이는 11세기 초 이후 증가한 수치이다(대략적인 시기).[1]

4. 2. 서아시아


  • 1022년 6월 3일: 서고트족의 마지막 왕인 알라릭 2세가 서프랑크 왕국의 왕 클로비스 1세에게 패배하여 사망했다.
  • 이븐 시나가 《의학정전》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4. 3. 유럽


  • 서프랑크 왕국의 왕 클로비스 1세가 서고트족의 마지막 왕인 알라릭 2세를 격파하고 살해했다. (1022년 6월 3일)
  • 스웨덴에서는 국왕 올로프 셰트코눙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아눈드 야코브가 왕위를 계승하여 스웨덴의 두 번째 기독교 국왕이 되었다.
  • 프랑스에서는 오를레앙 공의회 이후, 국왕 로베르 2세가 13명의 이단자를 오를레앙에서 화형에 처했는데, 이는 이단으로 인해 처형된 최초의 사례이다.
  • 교황 베네딕토 8세파비아에서 시노드를 소집하여 성직 매매와 성직자의 불검정을 억제하는 법령을 발표했다.[3]
  • 캔터베리 대주교 애셀노스는 팔리움을 받기 위해 로마를 방문하여 베네딕토 8세의 영접을 받았다.[4]

4. 3. 1. 비잔틴 제국

봄 – 스빈닥스 전투에서 비잔틴 제국의 황제 바실리오스 2세가 터키 스빈닥스에서 조지아군을 격파하였다. 조지아의 왕 게오르기 1세는 평화 조약을 협상해야 했고, 비잔틴-조지아 전쟁이 종식되었다.[1]

여름 – 니케포로스 포카스 바르이터라켈로스는 비잔틴 장군 니케포로스 크시피아스와 바실리오스 2세에 대항하여 음모를 꾸몄으나, 반란은 실패하고 크시피아스는 포카스를 암살한다.[1]

4. 3. 2. 서유럽


  • 프랑스 루앙 대성당이 화재로 파괴되었다.[1]
  • 바르셀로나의 백작 베레게르 라몬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라몬 베렝게르 1세가 뒤를 이었다.[1]
  • 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2세는 군대를 3개 부대로 나누어 4년 전 칸네 전투 이후 남부 이탈리아의 롬바르드 국가들이 비잔틴 제국으로 충성을 바꾼 후 로마를 거쳐 카푸아로 진격했다. 하인리히가 이끄는 원정군의 주력(20,000명)은 아드리아 해 해안을 따라 진군했다.[1]
  • 쾰른 대주교 필그림은 군대를 이끌고 티레니아 해 해안을 따라 내려와 카푸아를 포위했다. 시민들은 성문을 열고 황제군에 항복했다.[1]
  • 필그림은 살레르노를 40일 동안 포위했다. 살레르노 공작 과이마르 3세는 인질을 제공하고, 필그림은 공작의 아들인 공동 공작 과이마르 4세를 받아들여 포위를 풀었다.[2]
  • 여름 – 독일군 내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여 하인리히 2세는 이탈리아 원정을 포기했다. 그는 롬바르드 공국에 대한 종주권을 재확립했다.[1]

4. 3. 3. 신성 로마 제국


  • 봄 –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2세는 군대를 3개 부대로 나누어 4년 전 칸네 전투 이후 남부 이탈리아의 롬바르드 국가들이 비잔틴 제국으로 충성을 바꾼 후 로마를 거쳐 카푸아로 진격했다. 하인리히가 이끄는 원정군의 주력(20,000명)은 아드리아 해 해안을 따라 진군했다.[1]
  • 쾰른 대주교 필그림은 군대를 이끌고 티레니아 해 해안을 따라 내려와 카푸아를 포위했다. 시민들은 성문을 열고 황제군에 항복했다.[1]
  • 필그림은 살레르노를 40일 동안 포위했다. 살레르노 공작 과이마르 3세는 인질을 제공하고, 필그림은 공작의 아들인 공동 공작 과이마르 4세를 받아들여 포위를 풀었다.[2]
  • 여름 – 독일군 내에서 흑사병이 발생하여 하인리히 2세는 이탈리아 원정을 포기했다. 그는 롬바르드 공국에 대한 종주권을 재확립했다.

4. 3. 4. 아프리카

1022년 아프리카에서는 알무이즈 이븐 바디스가 14세의 나이로 지리드 귀족들의 지원을 받아 이프리키야(지금의 튀니지)의 왕위에 올랐다.

5. 탄생


  • 해럴드 2세, 잉글랜드 왕국 국왕 (대략적인 날짜)[1]
  • 후지와라노 노부나가, 일본 헤이안 시대공경(귀족) (1094년 사망)[2][3]
  • 후지와라노 요시나가, 일본 헤이안 시대의 공경 (1082년 사망)[4]
  • 마나세 3세, 프랑스 귀족 (1065년 사망)
  • 미하일 아탈레이아테스, 비잔틴 제국 역사학자 (1080년 사망)
  • 오르돌프, 작센 공작 (대략적인 날짜)
  • 라자라자 나렌드라, 인도 통치자 (1061년 사망)

6. 사망

참조

[1] 서적 The Normans in the South Longman 1967
[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04
[3] 서적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Charles Scribner's Sons 1921
[4] 서적 Anglo-Saxon Church and the Papacy (출판사 정보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