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01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19년은 각국의 연호와 기년, 주요 사건, 출생, 사망 등을 기록하는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강감찬의 귀주 대첩 승리, 여진 해적의 규슈 침입(도이의 침입), 후지와라노 요리미치의 관백 임명, 야로슬라프 1세의 키예프 대공 즉위 등이 있다. 이 해에는 고려 문종, 사마광 등이 태어났으며, 전보인, 유진, 스뱌토폴크 1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019년
지도
기본 정보
연도1019년
세기11세기
천년기2천년기
달력
로마 숫자MXIX
비잔틴 달력6527–6528년
아르메니아 달력468년
중국 달력2715 – 2716년
에티오피아 달력1011–1012년
히브리 달력4779–4780년
이슬람 달력409 – 410년
페르시아 달력397 – 398년
인도 달력비크람 삼바트: 1074–1075년
샤카 삼바트: 941–942년
칼리 유가: 4119–4120년

2. 연호

3. 기년

4. 사건


  • 3월 10일 - 강감찬귀주 대첩에서 승리하였다.
  • 후지와라노 요리미치관백이 되었다.
  • 도이(刀伊)의 침입이 있었다.
  • 키예프 대공국에서 야로슬라프 1세(현공)가 즉위하였다. 이 시대에 『루스카야 프라우다』의 편찬이 시작되었다.
  • 자와섬 동부의 쿠디리 왕국에서 아이르랑가 왕이 즉위하였다.

4. 1. 한국

4. 2. 아시아


  • 3월 10일 - 강감찬귀주 대첩에서 승리하였다.[1]
  • 12월 29일 - 고려 11대 국왕 문종이 태어났다.
  • 토이 침입: 여진 해적들이 약 50척의 배를 이끌고 일본 규슈를 침략하여 쓰시마섬이키섬을 공격했다. 4월에 해적들은 마쓰우라 반도를 습격했지만 일본군에 패했다.[1]
  • 일본의 정치가이자 섭정인 후지와라노 미치나가가 공직에서 은퇴하고 그의 아들 후지와라노 요리미치를 섭정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미치나가는 은퇴 후에도 계속해서 국정을 지휘했고, 1028년에 사망할 때까지 일본의 사실상 통치자로 남았다.[1]
  • 후지와라노 요리미치관백이 되었다.[1]
  • 도이(刀伊)의 침입이 있었다.[1]
  • 키예프 대공국에서 야로슬라프 1세(현공)가 즉위하였다. 이 시대에 『루스카야 프라우다』의 편찬이 시작된다.[1]
  • 자와섬 동부의 쿠디리 왕국에서 아이르랑가 왕이 즉위하였다.[1]

4. 3. 유럽

키예프 대공국의 야로슬라프 1세(현공)가 즉위하였다. 키예프의 스비아토폴크 1세가 사망하자 그의 동생 야로슬라프 1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그는 노브고로드 주민들의 지지와 바랑인(바이킹) 용병들의 도움으로 키예프 대공이 되었다. 야로슬라프는 문화 및 행정 개혁과 군사 원정을 통해 키예프 국가를 통합하였다.[1] 이 시대에 『루스카야 프라우다』의 편찬이 시작되었다.

4. 4. 아프리카

모로코 네코르 왕국이 아즈다지 정복으로 멸망했다.

5. 탄생


  • 12월 29일 - 고려 문종, 고려 11대 국왕[1]
  • 사마광 - 중국 북송 유학자[1]
  • 11월 17일 - 사마광, 중국 정치가이자 작가[1]
  • 아베노 사다토(Abe no Sadato), 일본 귀족이자 사무라이[1]
  • 도미니크 드 라 칼사다(Dominic de la Calzada), 스페인 사제이자 성인[1]
  • 아이히슈테트의 군데카르 2세(Gundekar II of Eichstätt) (또는 '''군조'''(Gunzo)), 아이히슈테트 로마 가톨릭 교구 주교[1]
  • 루앙 대주교 모저(Mauger (archbishop of Rouen)) (또는 '''말저'''(Malger)), 루앙 로마 가톨릭 대교구 대주교[1]
  • 슈리파티(Śrīpati), 인도 천문학자이자 수학자[1]
  • 덴마크의 스베인 2세(Sweyn II of Denmark) ('''에스트리드손'''(Estridsson)), 덴마크 국왕 (추정 날짜)[1]
  • 왕규(Wang Gui (Song dynasty)), 중국 관리이자 재상[1]
  • 문통(Wen Tong), 중국 화가이자 서예가[1]
  • 유수프 발라사구니(Yūsuf Balasaguni), 카라칸 왕조의 정치가[1]
  • 증공(Zeng Gong), 중국 학자이자 역사가[1]
  • 아베 사다토(安倍貞任), 헤이안 시대무장[1]
  • 증강(曾鞏), 북송의 산문가[1]
  • 후지와라의 사네마사(藤原実政), 헤이안 시대의 공경[1]
  • 후지와라의 도시카네(藤原俊家), 헤이안 시대의 공경, 가인[1]
  • 류창(劉敞), 북송의 경학자, 역사가, 정치가, 문인[1]

6. 사망


  • 고려의 무신 전보인
  • 고려의 문신 유진
  • 6월 28일 - 하이메라드(Heimerad) 또는 하이모(Heimo), 독일의 사제이자 성인
  • 10월 6일 - 룩셈부르크의 프리드리히(Frederick of Luxembourg), 모젤가우(Moselgau) 백작 (생년: 965년)
  • 알두운(Aldhun) 또는 에알두운(Ealdhun), 린디스펀(Lindisfarne) 주교 (또는 1018년)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세르기우스 2세(Sergius II of Constantinople) (스투디테(the Studite)),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 키예프의 스비아토폴크 1세(Sviatopolk I of Kiev), 키예프 대공(Grand Prince of Kiev) (생년: 980년)
  • 1월 25일 - 敦康親王, 헤이안 시대의 황족 (* 999년)
  • 1월 25일 - 平忠頼, 헤이안 시대의 무장 (* 930년?)
  • 5월 14일 - 藤原利忠, 헤이안 시대의 무장 (*생년 미상)
  • 6월 4일 - 安倍吉昌, 헤이안 시대의 음양사, 음양가 (* 955년?)
  • 10월 3일 - 慶円, 헤이안 시대의 천태종승려, 천태좌주 (* 944년)
  • 源道済, 헤이안 시대의 관인, 가인, 중고 삼십육가선의 한 사람 (*생년 미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