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수 (의료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희수는 대한민국의 의료인이다. 공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사 및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군의관으로 복무하며 국방부 충남대전지역보건소장, 제3육군병원 안과 과장을 역임했으며, 보건사회부 의료행정심의관을 지냈다.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충남대학교에서 객원교수 및 교수를 역임했으며, 건양대학교 총장과 의과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명예교수 및 명예총장으로 있다. 또한, 김안과병원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양대학교 - 건양대학교병원
건양대학교병원은 중부권 최초 인공와우이식수술 성공을 시작으로 로봇 사이버나이프 도입 등 첨단 의료 기술 도입에 적극적이며,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정 및 각종 의료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는 의료기관이다. - 건양대학교 - 건양대학교 병설 건양고등학교
건양대학교 병설 건양고등학교는 1994년에 설립 인가를 받아 1995년에 개교했으며, 1998년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한 학교이다. - 논산부창초등학교 동문 - 심대평
심대평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충청남도지사, 국회의원, 국민중심당 대표, 자유선진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17대 대선 후보로 출마했다가 사퇴하고 정계 은퇴 후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 논산부창초등학교 동문 - 임선규
임선규는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에 활동한 극작가로, 신파극을 통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친일 연극 활동과 좌익 계열 활동을 거쳐 월북했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되었다.
김희수 (의료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희수 |
출생일 | 1928년 7월 9일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공주군 공주읍 신관리 |
출생지 (최신) | 이후 지금의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 |
거주지 | 대한민국 충청남도 논산시 부창동 |
본관 | 광산 |
종교 | 무교(무신론) |
경력 | |
군 복무 | 대한민국 육군(복무 기간: 1953년 3월~1962년 9월)에 군의관(군의무장교 공중보건의)으로 복무하여 한국 전쟁에도 4개월간 참전 후 1962년 9월,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군의관 소령 예편(전역) |
국방부 보건소 소장 | 군복무 시기(1953년 3월~1961년 3월)에 국방부 충남 대전지역보건소 소장(1953년 3월~1961년 3월) |
국방부 제3육군병원 안과 과장 | 국방부 제3육군병원 안과 과장(1961년 3월~1962년 9월) |
국방부 제3육군병원 안과 과장 (참고) | 1961년 3월부터 1년 6개월 동안, 국방부 제3육군병원 안과 과장 봉직 및 복무 시절 당시 역대 국가원수: 윤보선 대통령, 송요찬 권한대행, 최덕신 권한대행, 박정희 권한대행, 김현철 권한대행(당시 역대 내각 영수: 장면 국무총리, 김종오 내각수반 직무대행, 장도영 내각수반, 송요찬 내각수반, 최덕신 내각수반 직무대행, 박정희 내각수반, 김현철 내각수반 ; 당시 역대 국방부 장관: 현석호, 장도영, 신응균 국방장관 직무대리, 송요찬, 박병권 장관 ; 당시 역대 국방부 차관: 김업, 우희창, 신응균, 신현준 국방차관 직무대리, 김재명 국방차관 직무대리, 김점곤 국방차관 직무대리, 이흥배 차관). |
대학교수 |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1988년 8월 사직)와,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1994년 8월 정년 퇴임 이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와, 건양대학교 총장(2001년 8월 이후 건양대학교 명예총장 역임) |
학력 | |
학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직업 | |
직업 | 안과 의사 겸 대학 교수 및 교육인 겸 의료인 및 저술가 |
활동 기간 | |
활동 기간 | 1953년 3월~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보트114 - 김희수 교수 |
2. 학력
- 1947년 3월: 공주고등학교 졸업
- 1953년 2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학사 (안과 전공)
- 1964년 8월: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 석사
- 1966년 2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 박사[3]
3. 주요 경력
wikitext
기간 | 직함 |
---|---|
1953년 3월 ~ 1962년 9월 | 육군 군의관[1] |
1953년 3월 ~ 1961년 3월 | 국방부 충남대전지역보건소장[1] |
1961년 3월 ~ 1962년 9월 | 국방부 제3육군병원 안과 과장[1] |
1968년 ~ 1969년 | 보건사회부 의료행정심의관[1] |
1966년 2월 ~ 1966년 8월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1] |
1966년 8월 ~ 1968년 8월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1] |
1968년 8월 ~ 1969년 8월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1] |
1969년 8월 ~ 1988년 8월 |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1] |
1988년 12월 ~ 1991년 1월 | 교육재단법인 건양학원 공동비상대책위원장[1] |
1991년 ~ 2001년 8월 | 건양대학교 총장[1] |
1991년 ~ 1994년 8월 |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1] |
1994년 8월 이후 현재 |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1] |
2001년 8월 이후 현재 | 건양대학교 명예총장[1] |
2006년 3월 ~ 2016년 8월 | 대전 소재 김안과병원 이사장[1] |
2016년 8월 이후 현재 | 세종 소재 김안과병원 이사장[1] |
3. 1. 군 복무 및 공직
1953년 3월 육군 군의관 중위로 임관하여, 1955년 3월 육군 군의관 대위로 진급, 1958년 8월 육군 군의관 소령으로 진급했다. 1953년 3월부터 1961년 3월까지 국방부 충남대전지역보건소장을 역임했다. 1961년 3월부터 1962년 9월까지 국방부 제3육군병원 안과 과장을 지냈으며, 1962년 9월 육군 군의관 소령으로 전역하였다. 1968년부터 1969년까지 보건사회부 의료행정심의관을 역임하였다.3. 2. 교육 경력
기간 | 직함 |
---|---|
1966년 2월 ~ 1966년 8월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1] |
1966년 8월 ~ 1968년 8월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1] |
1968년 8월 ~ 1969년 8월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1] |
1969년 8월 ~ 1988년 8월 |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교수[1] |
1988년 12월 ~ 1991년 1월 | 교육재단법인 건양학원 공동비상대책위원장[1] |
1991년 ~ 2001년 8월 | 건양대학교 총장[1] |
1991년 ~ 1994년 8월 |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1] |
1994년 8월 이후 현재 |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1] |
2001년 8월 이후 현재 | 건양대학교 명예총장[1] |
3. 3. 의료 경력
참조
[1]
날짜
1986-01-01
[2]
정보
[3]
학술자료
光線의 量的 및 質的變化가 基礎代謝에 미치는 影響
https://www.riss.kr/[...]
196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