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마귀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까마귀자리는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알려진 별자리로,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폴론이 보낸 까마귀가 거짓말을 하여 벌을 받은 이야기와 연관되어 있다. 중국, 인도, 폴리네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항해, 달력, 신화 등과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까마귀자리는 처녀자리, 바다뱀자리, 컵자리와 인접해 있으며, 주요 별로는 감마별(지에나), 델타별(알고라브) 등이 있다. 안테나 은하를 포함한 은하군과 행성상 성운 NGC 4361을 관측할 수 있으며, 유성우와도 관련이 있다. 또한, 대중문화에서는 슈퍼맨의 고향 행성인 크립톤과 연관되어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까마귀자리 - 더듬이 은하
더듬이 은하는 NGC 4038 은하군에 속하는 상호작용 은하로, 두 개의 은하 충돌로 인해 곤충 더듬이 형태를 가지며, 활발한 별 생성과 초신성 폭발을 보이며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충돌 과정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까마귀자리 - 까마귀자리 베타
까마귀자리 베타는 까마귀자리에 있는 밝은 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약 3.7배, 반지름은 약 16배이며, 분광형은 G5 II이고, 겉보기 등급은 2.60에서 2.66 사이로 변하는 변광성이며, 동아시아 천문학에서는 진수를 이루는 별 중 하나로, 2018년에는 '크라즈'라는 고유 명칭이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비둘기자리
1679년 오귀스탱 루아예에 의해 큰개자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별자리로 인정받은 비둘기자리는 성경 속 노아의 비둘기를 상징하며, 2.65 등급의 가장 밝은 별 '팍트'와 궤도 이탈성인 뮤별, 그리고 NGC 1851, NGC 1792, NGC 1808 등의 천체를 포함한다.
까마귀자리 | |
---|---|
기본 정보 | |
명칭 | 까마귀자리 |
로마자 표기 | Kkamagwijari |
약자 | Crv |
소유격 | Corvi |
기호 | 까마귀/레이븐 |
위치 및 관측 | |
위치 | 남쪽 하늘 |
적경 | 12h |
적위 | -20° |
넓이 | 184 평방도 |
넓이 순위 | 70위 |
남중일 | 5월 10일 21시 |
북쪽 한계 위도 | 60° |
남쪽 한계 위도 | 90° |
관측 용이 달 | 5월 |
별 | |
주요 별 수 | 4 |
바이어/플램스티드 지정 별 수 | 10 |
행성 보유 별 수 | 3 |
밝은 별 수 | 3 |
가장 가까운 별 이름 | Ross 695 |
가장 가까운 별 거리 (광년) | 28.99 |
가장 가까운 별 거리 (파섹) | 8.89 |
가장 밝은 별 이름 | γ Crv (지에나) |
가장 밝은 별 겉보기 등급 | 2.59 |
가장 밝은 별 겉보기 등급 (일본) | 2.58 |
가장 가까운 별 이름 (일본) | α Crv |
가장 가까운 별 거리 (광년, 일본) | 48.2 |
기타 | |
메시에 천체 수 | 0 |
유성우 | 코르비드 에타 코르비드 |
유성우 (일본) | 코르비드 (6월 26일) |
인접 별자리 | 처녀자리 컵자리 바다뱀자리 |
2. 역사와 신화
까마귀자리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이미 별자리로 인식되었으며, '까마귀(MUL.UGA.MUSHEN)'로 불렸다. 이 별자리는 비와 폭풍의 신인 아다드와 관련이 있었으며, 당시 가을 우기가 시작될 무렵 하늘에 나타났다고 한다.[1] 고대 그리스에서는 까마귀자리, 컵자리, 바다뱀자리가 함께 저승으로 가는 문을 상징하는 죽음의 상징으로 여겨졌다.[1] 이 별자리들은 미트라교의 도상학에도 등장하는데, 미트라교는 중동에서 기원하여 고대 그리스와 로마로 퍼져나간 종교이다.[3]
까마귀자리는 184 제곱도로 하늘의 0.446%를 차지하며, 88개의 별자리 중 70번째 크기이다.[12] 북쪽과 동쪽으로는 처녀자리, 남쪽으로는 바다뱀자리, 서쪽으로는 술잔자리와 접한다. 1922년 국제천문연맹에서 채택한 별자리의 세 글자 약자는 "Crv"이다.[13] 1930년 벨기에 천문학자 외젠 들포르트가 정한 공식 별자리 경계는 6개의 선분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으로 정의된다. 적도 좌표계에서 이 경계의 적경 좌표는 와 사이에 있으며, 적위 좌표는 -11.68°와 -25.20° 사이에 있다.[15] 남쪽 천구 반구에 위치하기 때문에 북위 65도 이남의 관측자들에게 전체 별자리가 보인다.[12] 한국에서는 봄철에 남쪽 하늘에서 잘 보인다.
그리스 신화에서 까마귀자리는 아폴론과 그의 연인 코로니스의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 코로니스가 아폴론에게 불성실했을 때, 아폴론은 흰 까마귀(또는 갈까마귀)로부터 이 사실을 알고 분노하여 깃털을 검게 만들었다.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까마귀가 아폴론을 위해 물을 길어오는 길에 무화과를 먹기 위해 멈췄고, 아폴론에게는 뱀 때문에 늦었다고 거짓말을 했다. 아폴론은 까마귀의 거짓말을 간파하고 까마귀, 잔(컵자리), 뱀(바다뱀자리)을 하늘로 던져 별자리로 만들었다. 또한 까마귀에게 영원한 목마름의 벌을 내려, 하늘에서도 잔에 든 물을 마실 수 없게 했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까마귀자리의 별들이 남방주작(南方朱雀)에 속해 있었다.[4] 4개의 주요 별은 수레를 뜻하는 '진(Zhen)'을, 알파별과 에타별은 바퀴의 축을, 제타별은 관을 뜻하는 '창사(Changsha)'를 나타냈다.[5] 인도 천문학에서는 5개의 주요 별이 손이나 주먹을 나타내는 13번째 낙샤트라(달의 별자리)인 '하스타(Hasta)'였다.[6]
여러 폴리네시아 문화권에서 까마귀자리는 항해의 지침으로 사용되었다. 마르키즈 제도에서는 '미(Mee)', 푸카푸카에서는 '테 마누(Te Manu)', 소시에테 제도에서는 '메투아아이파파(Metua-ai-papa)'라고 불렀다.[7]
한국에서는 까마귀자리가 돛단배, 가죽을 펴 놓은 모습, 바람의 방향을 알려주는 별 등으로 인식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과 관련 설화가 전해진다. 이시카와현 스즈시에서는 "호카케보시(帆掛け星, 돛단배 별)"라고 불렀다. 오쿠타마, 치치부, 야마나시 및 가나가와의 산간부에서는 "카와하리(皮張り, 가죽 펴기)", "카와하리보시(皮張り星, 가죽 펴기 별)", "카와하리사마(皮張り様, 가죽 펴기 님)"라고 불렀다. 홋카이도 동부・북부의 아이누는 "레라・차로(風の口, 바람의 입)"라고 불렀고, 홋카이도 중부・남부에서는 "카야노카・노치우(帆の形の星, 돛 모양의 별)"라고 불렀다.
3. 특징
3. 1. 별
까마귀자리에는 알파(α)별부터 에타(η)별까지 그리스 문자로 명명된 별들이 있으며, 플램스티드 번호가 부여된 별들도 있다.[16] 이 별자리 내에는 겉보기 등급 6.5보다 밝거나 같은 별이 29개 있다.[12]
까마귀자리의 주요 별 4개인 델타(δ), 감마(γ), 엡실론(ε), 베타(β)는 사변형 모양을 이루며, '스피카의 스팬커(Spica's Spanker)' 또는 '돛(the Sail)'으로도 알려져 있다.[18][19][20] 이 별들은 처녀자리의 가장 밝은 별인 스피카를 찾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데, 감마(γ)와 델타(δ)가 스피카를 가리킨다.[21]
감마(γ)별(지에나)는 겉보기 등급 2.59로 까마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22] 지구로부터 154±1 광년 떨어져 있으며,[23] 분광형 B8III의 청백색 거성으로, 태양 광도의 355배이다.[22] 쌍성으로, 주황색 또는 적색 왜성 동반성을 가지고 있다.[25]
델타(δ)별(알고라브)는 이중성으로, 주성은 겉보기 등급 2.9의 청백색 별이다.[23] 델타(δ)별은 Struve 1669와 함께 아마추어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이중성이기도 하다. Struve 1669는 지구로부터 280광년 떨어져 있으며, 두 별 모두 백색 별이다.[29]
베타(β)별(크라즈)는 겉보기 등급 2.7의 황색 밝은 거성이다.[30][16][23] 엡실론(ε)별(민카르)는 적색 거성으로, 태양 반지름의 약 54배이고 광도는 930배이다.[33] 베타(β)별과 엡실론(ε)별 남쪽에 위치한 6 까마귀자리는 노화된 거성으로, 태양 광도의 약 70배이다.[56]
알파(α)별(알키바)는 분광형 F1V, 겉보기 등급 4.0의 백색 별이다.[23] 에타(η)별은 황백색 주계열성으로 태양 질량의 1.52배, 광도의 4.87배이다.[36] 제타 까마귀자리는 까마귀의 목을 표시하며, 겉보기 등급은 5.21이다.[16]
31 Crv는 한때 수성의 위성으로 오인되기도 했으나,[40][41] 실제로는 원격 쌍성계이다.[43]
VV 까마귀자리는 근접한 분광 쌍성으로, 두 구성 별이 1.46일 주기로 서로 공전한다.[44] W 까마귀자리는 식쌍성이며,[48] SX 까마귀자리는 접촉 쌍성이기도 한 식쌍성이다.[50] RV 까마귀자리는 또 다른 식쌍성으로, 밝기는 18시간 동안 겉보기 등급 8.6에서 9.16으로 변한다.[51]
R 까마귀자리는 장주기(미라) 변광성으로, 약 317일 주기로 6.7등급에서 14.4등급까지 밝기가 변한다.[53][54] TT 까마귀자리는 준규칙 변광성 적색 거성이다.[55] TU 까마귀자리는 델타 방패 변광성이다.[57]
행성이 확인된 별 시스템으로는 HD 103774, HD 104067, WASP-83이 있다.[59][60][61] HD 111031은 확인되지 않은 행성이 있는 네 번째 별 시스템이다.[23]
Ross 695는 지구에서 28.9 ± 0.6광년 떨어진 적색 왜성이다.[23] VHS J1256–1257은 젊은 갈색 왜성의 삼중성계이다.[63] DENIS-P J1228.2-1547는 서로 공전하는 두 개의 갈색 왜성으로 구성된 시스템이다.[65] TV 까마귀자리는 백색 왜성과 갈색 왜성으로 구성된 왜성 신성이다.[66][67]
3. 2. 심원천체
까마귀자리에는 메시에 천체는 없지만, 몇몇 은하와 행성상 성운을 관측할 수 있다.[68]
NGC 4038 은하군은 까마귀자리와 배자리에 걸쳐 있는 은하군으로, 13개에서 27개의 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은하군에서 가장 잘 알려진 천체는 더듬이 은하(NGC 4038과 NGC 4039)로, 31 Crateris에서 북쪽으로 0.25도 떨어져 있다.[69] 이들은 두 개의 상호 작용하는 은하로, 지구에서 보면 하트 모양으로 보인다. 더듬이 은하라는 이름은 두 은하의 끝에서 나오는 거대한 조석 꼬리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나선 은하의 원래 회전 때문에 형성되었다. 두 은하는 원래 나선 은하였으며, 현재 가스 구름의 상호 작용으로 활발하게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다. 이 은하들은 지구에서 4500만 광년 떨어져 있으며, 각각 여러 개의 초광도 X선원을 가지고 있는데, 그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천문학자들은 이것이 희귀한 유형의 X선 방출 쌍성이거나 중간 질량 블랙홀일 수 있다고 추정한다.[70] 더듬이 은하는 망원경으로 10등급으로 관측된다. SN 2004gt는 2004년 12월 12일에 폭발한 Ic형 초신성이다. 이 초신성의 모체는 이전 이미지에서 확인되지 않았으며, 태양 질량의 40배 이상인 WC형 울프-레이에 별이거나, 쌍성계에서 태양 질량의 20~40배인 별로 추정된다.[71] SN 2007sr은 2007년 12월 14일에 최대 밝기에 도달한 Ia형 초신성이다.[72] 이 은하는 추가 초신성 발생 시 자세한 이미지를 얻기에 좋은 위치로 확인되었다.[71]
NGC 4027은 NGC 4038 은하군의 또 다른 구성원으로, 한쪽으로 뻗은 나선팔로 유명하다. Ringtail Galaxy로도 알려진 이 은하는 31 Crateris 근처에 있다.[69] 막대나선은하인 NGC 4027의 뒤틀린 모양은 아마도 주변의 NGC 4027A와의 과거 충돌 때문으로 추정된다.
NGC 4782와 NGC 4783은 약 2억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한 쌍의 충돌하는 타원은하이다.[73]
NGC 4361은 까마귀자리 중심부에 있는 행성상 성운이다.[68] 이 성운은 작은 타원은하처럼 보이며 겉보기 등급은 10.3이지만, 중심에 있는 13등급 별이 행성상 성운임을 알려준다.[53]
3. 3. 유성우
쿠노 호프마이스터는 1937년 6월 25일에서 7월 2일 사이에 유성우를 관측한 후 코비드를 발견하고 명명했다. 그 이후로 코비드는 관측되지 않았으며, 이전 기록을 검토했을 때 유성우의 증거가 없었다. 호프마이스터는 유성우의 궤적이 혜성 11P/템펠-스위프트-리니어의 궤적과 유사하다고 언급했지만, 2011년 주코프와 동료들에 의해 확인되지 않았다. 이 유성우는 4015 윌슨-해링턴과 잠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74] 2013년 1월, MO 비디오 유성 네트워크는 에타 코비드의 발견을 발표하며 1월 20일부터 26일 사이에 관측된 약 300개의 유성을 할당했다.[75] 그들의 존재는 그해 말 데이터 분석으로 확인되었다.[76]
4. 대중문화
액션 코믹스 #14 (2012년 11월 7일 출판, 2013년 1월)에서 천체물리학자 닐 디그래스 타이슨은 슈퍼맨의 고향 행성인 크립톤이 까마귀자리에 있는 적색왜성 LHS 2520을 공전하며, 지구에서 27.1 광년 떨어져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78][79] 타이슨은 DC 코믹스가 크립톤의 적절한 모항성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까마귀자리에 있는 별을 선택했는데, 이는 슈퍼맨의 고등학교인 스몰빌 크로우즈의 마스코트였다.[80]
참조
[1]
논문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1998
[2]
서적
Handbook of Archaeoastronomy and Ethnoastronomy
https://www.academia[...]
Springer
2015
[3]
논문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I. The Mediterranean traditions
1998
[4]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http://aeea.nmns.edu[...]
National Museum of Natural Science
2006
[5]
웹사이트
Corvus and Crater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6]
서적
The Nakshastras: The Lunar Mansions of Vedic Astrolog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7]
서적
The Morning Star Rises: an account of Polynesian astronomy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Reports of the Cambridge Anthropological Expedition to Torres Straits: Volume 4 of Reports of the Cambridge Anthropological Expedition to Torres Strai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논문
Ethnoastronomy of the Eastern Bororo Indians of Mato Grosso, Brazil
[10]
논문
Constellations and Time Keeping used by Indigenous Communities in the Northwestern Amazonian Region
http://escholarship.[...]
[11]
논문
Some Tupi Constellations
1984
[12]
웹사이트
Constellations: Andromeda–Indu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13]
논문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4]
웹사이트
Constellation boundaries: How the modern constellation outlines came to be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15]
웹사이트
Corvus,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16]
서적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2003
[17]
웹사이트
The Bortle Dark-Sky Scale
http://www.skyandtel[...]
Sky Publishing Corporation
2001-02
[18]
서적
Lift Up Your Eyes on High: Understanding the Stars
Christian Liberty Press
[19]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the Constellation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Herschel objects and how to observe them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1]
서적
The Photographic Atlas of the Star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9
[22]
웹사이트
Gienah Corv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04
[23]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
[24]
논문
High-contrast Imaging Search for Planets and Brown Dwarfs around the Most Massive Stars in the Solar Neighborhood
2011
[25]
논문
Adaptive Optics Photometry and Astrometry of Binary Stars. II. A Multiplicity Survey of B Stars
2007-02
[26]
논문
Parameters of Herbig Ae/Be and Vega-type stars
2009
[27]
논문
A near-infrared interferometric survey of debris-disk stars. IV. An unbiased sample of 92 southern stars observed in H band with VLTI/PIONIER
2014
[28]
웹사이트
Algorab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00
[29]
서적
1,001 Celestial Wonders to See Before You Die: The Best Sky Objects for Star Gaz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30]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31]
논문
Accurate fundamental parameters for A-, F- and G-type Supergiants in the solar neighbourhood
2010-02
[32]
웹사이트
Kraz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33]
논문
The magnetic fields at the surface of active single G-K giants
2015
[34]
웹사이트
Minkar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35]
논문
Multiplicity among F-type Stars
2012
[36]
논문
Disk Radii and Grain Sizes in Herschel-resolved Debris Disks
2014
[37]
논문
The nature of mid-infrared excesses from hot dust around Sun-like stars
[38]
논문
Submillimeter Images of a Dusty Kuiper Belt around η Corvi
[39]
웹사이트
Zeta Corv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5-03-18
[40]
서적
The Data Book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0
[41]
논문
31 Crateris reexamined
1980
[42]
간행물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2008-09
[43]
간행물
Masses and luminosities of O- and B-type stars and red supergiants
2010-04
[44]
논문
Sixth catalogue of the orbital elements of spectroscopic binary systems
1967
[45]
논문
Absolute Properties of the Eclipsing Binary VV Corvi
[46]
논문
The significance of binaries with nearly identical components
1979-03
[47]
학회자료
Tertiary companions to close spectroscopic binaries
Berlin Heidelberg
2008
[48]
웹사이트
W Corvi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5-07-21
[49]
논문
Changes in the Period and Light Curve of W Corvi
1996
[50]
논문
Origin of W UMa-type contact binaries – age and orbital evolution
2014
[51]
웹사이트
RV Corvi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5-07-21
[52]
논문
A catalogue of eclipsing variables
http://elar.urfu.ru/[...]
2006
[53]
서적
Star-Hopping: Your Visa to Viewing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웹사이트
R Corvi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4-05-24
[55]
논문
Long-term photometry and periods for 261 nearby pulsating M giants
[56]
논문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2012
[57]
웹사이트
Delta Scuti and the Delta Scuti Variables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5-07-21
[58]
웹사이트
TU Corvi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5-07-21
[59]
논문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XXVI. New multi-planet systems in the HARPS volume limited sample: a super-Earth and a Neptune in the habitable zone
[60]
논문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XIX. Four new planets in orbit around the moderately active dwarfs HD 63765, HD 104067, HD 125595, and HIP 70849
http://www.aanda.org[...]
2011
[61]
논문
Three WASP-South Transiting Exoplanets: WASP-74b, WASP-83b, and WASP-89b
[62]
논문
Stellar parameters of early-M dwarfs from ratios of spectral features at optical wavelengths
2015
[63]
논문
The Parallax of VHS J1256-1257 from CFHT and Pan-STARRS-1
2020-04
[64]
논문
Adaptive Optics imaging of VHS 1256-1257: A Low Mass Companion to a Brown Dwarf Binary System
2016-02
[65]
논문
The Hawaii Infrared Parallax Program. I. Ultracool Binaries and the L/T Transition
2012
[66]
논문
Some Personal Thoughts on TV Corvi
http://www.aavso.org[...]
2016-11-26
[67]
논문
The donor stars of cataclysmic variables
2006
[68]
서적
Observing Handbook and Catalogue of Deep-Sky Objec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69]
서적
The Caldwell Objec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0]
서적
300 Astronomical Objects: A Visual Reference to the Universe
Firefly Books
[71]
논문
Luminosity and Mass Limits for the Progenitor of the Type Ic Supernova 2004gt in NGC 4038
2005
[72]
논문
Supernova 2007sr in NGC 4038
2008
[73]
논문
Deepsky Delights: A Crow named Corvus
2008
[74]
서적
Meteor Showers: An Annotated Catalog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3
[75]
논문
Results of the IMO Video Meteor Network – January 2013
2013
[76]
논문
Confir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AU temporary meteor showers in EDMOND database
A.M. University Press
2014
[77]
서적
The Lost Constel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6
[78]
웹사이트
Superman's Home Planet Krypton 'Found'
http://www.scientifi[...]
2012-11-07
[79]
웹사이트
Superman Home: Planet Krypton 'Found' in Sky
https://abcnews.go.c[...]
2012-11-05
[80]
뉴스
NYER is 'super' smart
http://www.nypost.co[...]
2012-11-05
[81]
간행물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I. The Mediterranean traditions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