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트라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트라교는 미트라 신을 숭배하는 고대 종교로, 로마 제국에서 널리 퍼졌다. 미트라교는 페르시아의 미트라 신앙에서 기원했으며, 황소를 죽이는 미트라스, 바위에서 태어나는 미트라스, 사자 머리의 인물 등 독특한 도상과 의식을 특징으로 한다. 미트라에움이라 불리는 지하 신전에서 만찬과 비전 의식이 행해졌으며, 7개의 계위가 존재했다. 1세기 후반에 나타나 2~3세기에 절정에 달했으나, 기독교의 성장과 함께 4~5세기경에 쇠퇴했다. 미트라교는 기독교와 유사한 점이 있어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논쟁이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제국의 종교 - 바알샤민 신전
    바알샤민 신전은 고대 도시 팔미라에 위치한 신전으로 셈족의 하늘 신 바알샤민에게 봉헌되었으며, 고대 시리아와 로마 건축 양식이 융합된 건축 양식을 보여주었으나 ISIL에 의해 파괴되어 유네스코에 의해 전쟁 범죄로 규정되었고, 현재 디지털 기록 구축 및 재건 계획이 논의 중이다.
  • 로마 제국의 종교 - 벨 신전
    벨 신전은 시리아 팔미라에 위치한 고대 신전으로, 다양한 시대를 거치며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2015년 ISIL에 의해 파괴되었고 현재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미트라교 - 미륵
    미륵은 자애 또는 자비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미래에 부처가 될 보살로 도솔천에서 수행하며 석가모니불의 뒤를 이어 세상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할 것으로 여겨진다.
  • 미트라교 -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는 미트라교 도상에서 각각 위와 아래로 향한 횃불을 든 시종으로, 떠오르는 태양과 지는 태양, 춘분과 추분, 또는 삶과 죽음 등 빛의 상징으로 해석되며, 미트라의 중요성과 미트라교의 동양 기원을 나타내는 존재이다.
  • 그리스-로마 밀의종교 - 오르페우스교
    오르페우스교는 영혼 불멸과 윤회 사상을 중심으로 오르페우스, 페르세포네, 디오니소스를 숭배하며 금욕 생활과 신비 의례를 강조한 고대 그리스 종교로, 그 기원과 발전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논의 중이다.
  • 그리스-로마 밀의종교 - 바카날리아
    바카날리아는 고대 로마에서 술의 신 바쿠스를 기리는 축제였으며, 비밀 의식과 과도한 음주 등으로 인해 원로원의 통제를 받았고, 현대에는 억제되지 않은 흥청거림을 의미한다.
미트라교
개요
마리네무지움 박물관에 있는 미트라스 석상
마리네무지움 박물관에 있는 미트라스 석상
다른 이름미트라교
미트라 신비
유형신비 종교
기원기원후 1세기 ~ 4세기 로마 제국
지역로마 제국
미트라스
경전알려진 경전 없음
의례타우로크토니
성찬
입문 의식
특징동굴 숭배 장소
7단계 입문
남성 신자 전용
관련 종교조로아스터교
로마 다신교
기독교
역사적 배경
기원기원전 6세기페르시아에서 발생 추정
로마 제국에서 기원후 1세기경 발전
전성기기원후 2세기 ~ 4세기
쇠퇴기원후 4세기 후반 테오도시우스 1세의 기독교 국교화 이후 쇠퇴
이교도 박해 정책으로 인해 종교 활동 중단
신앙 체계
주요 신미트라스
타우로크토니황소 죽이기는 미트라스교의 중심 이미지
윤리알려진 윤리 강령은 없으나, 공동체 의식 강조
내세관영혼 불멸과 부활에 대한 믿음 존재 추정
의례 및 예배
미트라에움지하 동굴 또는 유사한 구조의 예배 장소
입문 의식7단계의 입문 과정 존재
성찬빵과 물 또는 포도주를 사용한 성찬 의식
동물 희생황소 희생은 가장 중요한 의식
사회적 측면
신자주로 로마 군인, 상인, 공무원 등 남성
여성 참여여성의 참여는 제한적이었을 것으로 추정
조직계층적인 조직 구조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
유산
영향로마 제국의 종교 및 문화에 영향
고고학적 유적로마 제국 전역에서 미트라에움 발견
타우로크토니 조각상 등 다양한 유물 출토
연구미트라스교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 중
종교 기원, 신앙 체계, 의례 등에 대한 다양한 해석 존재

2. 이름과 용어

미트라(Mithras, 정확히는 "미트라스") 신의 이름은 라틴어그리스어로 "Μίθρας (미트라스)"라고 표기되었다.[204] 미트라(Mithras)라는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 신의 이름이었던 미트라(Mithra)의 한 변형으로, 프란츠 퀴몽(Franz Cumont: 1868~1947) 이래 미트라교 연구 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205][206][207] 미트라(Mithra)의 그리스어인 "Μίθρας (미트라스)"는 기원전 4세기에 크세노폰(기원전 430?~354?)이 저술한 키루스 2세(재위: 기원전 559~530)의 전기 《키루스의 교육(Cyropaedia)》에 나타난다.[208]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 낱말의 정확한 형태는 어형 변화 또는 격 변화 때문에 차이가 있다. 라틴어 사용 숭배자들이 "미트라(Mithras)"를 주격으로 사용한 고고학적 사례가 있다. 포르피리오스의 그리스어 저작 《육식의 기피에 대하여(De abstinentia)》에는 에우불로스와 팔라스가 미트라교 역사에 대한 책을 저술했다는 내용이 있는데, 포르피리오스의 표현에 따르면 이들은 "미트라(Mithra)"를 격 변화를 하지 않는 외래어로 취급했다.[209]

부조의 타우로크토니 미스터리, 메츠, 프랑스.


다른 언어에서 미트라(Mithras)와 관련된 신의 이름들이 사용된 예는 다음과 같다.

  • 《리그베다》에서 발견되는 산스크리트어의 미트라(मित्र mitra).[210][211][212] 산스크리트어에서 "미트라(mitra)"는 "친구 '''·''' 우정 '''·''' 친구 관계"를 뜻한다.[213]
  • "미-이트-라(mi-it-ra-)"라는 형태의 낱말이 히타이트와 미탄니 간의 평화 조약이 새겨진 기원전 1400년경의 비문에서 발견되었다.[213][214]


학자들은 이란어 "미트라(Mithra)"와 산스크리트어 "미트라(Mitra)"는 모두 "계약, 협정, 약속"을 뜻하는 인도이란어 낱말인 "미트라(mitra)"로부터 온 것으로 보고 있다.[215]

현대 역사가들은 이들 이름들이 동일한 신을 가리키는지에 대해 서로 견해가 다르다. 존 힌넬스(John R. Hinnells)는 미트라(Mitra) '''·''' 미트라(Mithra) '''·''' 미트라(Mithras)는 모두 서로 다른 지역들에서 숭배된 같은 신의 다른 이름이라고 본다.[216] 반대로, 데이빗 울란지(David Ulansey)는 황소를 죽이는 미트라는 기원전 1세기에 숭배되기 시작한 신으로 옛 이름이 새로운 신에게 적용된 것이라고 본다.[217]

메리 보이스(Mary Boyce)는 로마 제국의 미트라교는 역사가들이 생각하는 것보다는 이란 종교적인 내용을 덜 가지고 있으나 "미트라(Mithras)라는 이름이 대변하는 것처럼 이란 종교적인 내용은 여전히 미트라교의 중요한 부분이다"라고 하였다.[218]

"밀의(Mystery)" 또는 "신비(Mystery)"라는 용어는 라틴어 미스테리움(mysterium)과 그리스어 미스테리온(mysterion)에서 유래되었으며, 대개 복수형이 사용되는데 그리스어 복수형 미스테리아(μυστήρια mysteria)에서 유래한 것이다. 밀의(Mysteries) 또는 신비(Mysteries)는 "비밀한 의식들 또는 교의들"을 뜻하며, 영어 Mysteries는 문맥에 따라 밀교, 신비, 비의 등으로 번역된다. "밀의종교(Mystery)"를 따른 사람은 "미스테스(mystes)", 즉 밀의가(mystic)라고 하며, "비전 전수를 받은 사람" 즉 비전가(initiate)를 뜻한다. 미스테스(밀의가)라는 낱말은 "닫다 또는 차단하다"를 뜻하는 "미에인(myein)"으로부터 유래했는데, 이는 비밀엄수, 즉 눈과 입을 닫는 것[219] 또는 비전가들만이 의식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밀의종교(Mysteries)"는 그 모든 종교적 활동이 비비전가들에게는 닫혀 있으며 교의와 수행법이 비밀로 되어 있는 컬트 종교를 뜻한다.

"미트라교"라는 용어는 현대에 쓰이는 용어이며, 로마 시대 작가들은 "미트라교의 신비", "미트라스의 신비", "페르시아의 신비" 등으로 언급했다.[1][4] 현대 자료에서는 그리스-로마 종교를 미트라에 대한 페르시아 숭배와 구별하기 위해 ''로마 미트라교'' 또는 ''서방 미트라교''라고 부르기도 한다.[1][1]

3. 아이코노그래피

미트라교의 도상은 주로 '''황소를 죽이는 미트라스''', '''바위에서 태어나는 미트라스''', '''사자머리 신'''이 알려져 있다. 또한 미트라 신의 이야기를 그린 '''미트라 신 일대기'''라고 불리는 일련의 도상군이 있다.

== 토럭터니 ==

모든 미트라에움에서 가장 중요한 아이콘은 미트라가 황소를 죽이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이 장면은 토럭터니(tauroctony)라고 불린다.[223]

토럭터니가 묘사된 이탈리아마리노(Marino)에 있는 기원후 3세기의 벽화. 왼쪽 위 모서리에는 태양신 헬리오스가 까마귀와 함께 나타나 있고 오른쪽 위 모서리에서는 달의 여신 루나가 나타나 있다.


1926년에 이탈리아 피아노 로마노에서 발견된 기원후 2~3세기의 고대 로마의 양면 부조의 앞면으로 토럭터니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이 양면 부조의 뒷면에는 만찬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


비엔나의 미술사 박물관의 토럭터니


토럭터니의 이미지는 벽화인 경우도 있고 부조인 경우도 있고 입체 조각품인 경우도 있다. 그리고 토럭터니 장면 주위에 주변 세부 사항들이 함께 있는 경우도 있고 생략된 경우도 있다. 중심 아이콘인 토럭터니에서, 미트라는 아나톨리아식의 의복을 하고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는데, 힘이 다빠져 지친[224] 상태의 황소를 무릎으로 누르면서 왼손으로는 황소의 양코를 잡고[224] 오른손으로는 황소를 칼로 찔러 죽이고 있다. 그러면서 미트라는 어깨 너머로 왼쪽 위에 있는 태양신 솔을 보고 있다. , 각각 한 마리가 흘러내리는 피로 다가가고 있다. 전갈이 황소의 생식기를 붙잡고 있다. 까마귀가 황소 주위를 날고 있거나 황소 위에 앉아 있다. 세 개의 밀알이 황소의 꼬리로부터 나오는 것이 보이는데, 칼로 찔린 상처로부터 나오는 사례도 있다. 황소는 흰색인 경우가 흔하다. 미트라 신은 황소 위에 자연스럽지 않은 자세로 앉아 있는데, 오른다리는 황소의 발굽을 눌러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있고 왼다리는 구부려서 황소의 등 또는 옆구리를 누르고 있다.[225] 양쪽 옆에는 각각 한 명씩, 미트라와 유사한 복장을 한 총 2명의 횃불을 든 사람들 또는 신들이 있는데, 이들은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라고 불린다. 카우테스는 위로 향한 횃불을 들고 있고 카우토파테스는 아래로 향한 횃불을 들고 있다.[226][227] 때때로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는 횃불 대신에 양치기의 지팡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228]

토럭터니의 이벤트는 동굴 속에서 일어나는데, 미트라가 황소를 사냥한 후 그것에 올라타서 황소의 힘을 압도한 후에 동굴 속으로 끌고들어간 후에 일어난다.[229] 때때로 동굴은 원으로 둘러싸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 원 둘레에는 황도대의 12 궁도들이 나타나 있다. 동굴 밖의 왼쪽 위에는 태양신인 솔이 불타는 왕관을 쓰고 있는데 , 종종 4두2륜 마차인 콰드리가를 몰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종종 한 줄기의 광선이 솔에서 미트라에게로 발출 또는 비추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동굴 밖의 오른쪽 위에는 달의 여신인 루나가 초승달과 함께 나타나 있는데 종종 2두2륜 마차인 비가를 몰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230]

어떤 사례들에서는 중앙의 토럭터니가 왼쪽, 위,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보조적인 장면들로 둘러싸여 있다. 이 장면들은 미트라에 대한 일련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미트라가 바위에서 태어나는 이야기, 물의 기적 이야기, 황소를 사냥하고 타는 이야기, 솔과 만나고 솔이 미트라에게 무릎을 꿇는 이야기, 솔과 악수하는 이야기, 황소 고기를 솔과 함께 먹는 만찬 이야기, 전차를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이야기로 되어 있다.[230] 산타 프리스카 미트라에움의 스투코 치장벽토 부조와 같은 어떤 사례들에서는 미트라 신이 그리스-로마의 영웅들이 흔히 취하는 누드 모습으로 나타나 있다.[231] 어떤 부조들은 양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한쪽 면을 본 후 축을 따라 회전시켜, 보는 사람이 이동하지 않고도, 다른 쪽 면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한 쪽에는 황소를 죽이는 장면이 토럭터니가 부조되어 있고 다른 면에는 황소 고기로 만찬을 하는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이것은 황소를 죽이는 장면이 의식의 전반부에서 사용되고, 이 의식이 끝나면 부조를 돌려서 의식의 후반부에서 두 번째 장면을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준다.[232] 많은 미트라에움에서, 중심 컬트 아이콘으로서의 일차적인 토럭터니외에도 여러 이차적인 토럭터니들이 함께 발견되었으며, 또한, 집 또는 다른 장소에서 개인적인 예배 용도로 사용했으리고 추정되는 작은 휴대용 토럭터니 버전들이 발견되었다.[233]

개와 뱀은 수소의 피를 마시려 한다.


수소의 고환을 공격하는 전갈.


이 도상은 미트라스 신에 의한 성우(聖牛) 헌상의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미트라스 신은 페르시아풍 의상을 입고 있으며, 수소의 등에 올라 왼쪽 무릎을 꿇으면서 오른발로 수소의 뒷다리를 누르고 있다. 왼쪽 손은 수소의 코를 잡고, 오른손은 수소에게 칼을 꽂고 있다. 상처에서 흘러넘치는 피에는 이, 또한 수소의 배 밑에서는 전갈이 수소의 생식기에 달려들고 있다. 미트라스 신의 양쪽에는 횃불을 든 두 명의 시종신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가 시중들고, 그 외에도 태양과 달, 사방의 바람, 십이궁, 까마귀 등의 상징이 따른다.

이 도상이 성우 헌상에 의해 생명력이 해방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미트라스교는 풍요 숭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미트라스교의 도상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미트라스교 신전의 지성소 중앙에 반드시 이 도상이 배치되어, 그 앞에서 의례가 행해졌다[165]

== 만찬 ==

미트라와 솔이 만찬을 하는 장면이 묘사된 부조


미트라교의 아이코노그래피에서, 토럭터니 다음으로, 두 번째로 가장 중요한 아이콘은 만찬 장면이다.[234] 만찬 장면의 특징적인 부분은 미트라와 태양신이 죽임을 당한 황소에 기대 앉아서 만찬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234]

1926년에 이탈리아 로마 근처의 피아노 로마노(Fiano Romano)에서 발견되어 현재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 중인 양면 부조의 앞면에는 토럭터니가 부조되어 있고 뒷면에는 만찬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이 만찬 장면의 가운데에는 죽임을 당한 황소가 놓여 있는데, 황소의 머리와 뒷다리 하나가 보이고 있다. 미트라와 솔(Sol)이 죽은 황소에 기댄 상태로 나란히 앉아 있다. 부조를 쳐다볼 때, 오른쪽에 미트라가 있고 왼쪽에 솔이 있다. 미트라는 왼손에 횃불을 들고 있고 오른손을 솔의 등쪽으로 내뻗고 있다. 솔은 망토만 두르고 있는데, 망토는 옷을 어깨에 고정시키는 브로치를 사용하여 오른쪽 어깨 위에서 매여 있다. 솔의 머리 뒤의 광배에는 11개의 광선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 양면 부조의 앞면의 토럭터니 장면의 왼쪽 위 모서리에 있는 솔에는 12개의 광선이 있는 것으로 보아, 1개가 목에 가려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솔은 왼손에 채찍을 들고 있고 오른손을, 부조를 쳐다 볼 때 왼쪽 아래에 있는, 횃불을 들고 있는 자에게로 내뻗고 있다. 이 횃불을 들고 있는 자는 솔에게 뿔로 만든 술잔 또는 뿔모양의 술잔인 리톤(rhyton)을 바치고 있다. 오른쪽 아래에서는 다른 한 명의 횃불을 든 자가 있는데 이 사람 또는 신은 위로 향한 횃불을 왼손에 들고 있다. 이 사람 또는 신의 오른손에는 카듀셔스가 들려 있는데, 카듀셔스는 하단 중앙에 있는 제단 아래로 내뻗어져 있다. 카듀셔스의 끝은 땅에서 솟아나고 있는 물 또는 불 속으로 뻗어있다. 이것들이 물인지 불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이견이 있다. 볏이 있는 이 하단 중앙의 제단을 휘감고 있다. 왼쪽 위 모서리에는 달의 여신인 루나가 구름 속에서 오른쪽으로 바깥쪽을 보고 있다. 미트라, 솔, 횃불을 든 자들 모두의 의복에는 빨간색으로 칠한 흔적이 있다.

로버트 터칸(Robert Turcan)은 카듀셔스의 끝이 닿아 있는 것은 물이 아니라 불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는 카듀셔스가 메르쿠리우스(Mercury)의 물품이고 신화에서 메르쿠리우스는 저승 사자(psychopomp)의 역할을 하므로, 이 장면에서 카듀셔스로 불꽃을 이끌어내는 것은 인간의 영혼들을 사후세계로 보내는 것을 가리키며 카듀셔스와 불꽃은 미트라교의 이러한 교의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235][24] 로버트 터칸은 또한 이 부분을 토럭터니와 연결시키고 있는데, 그의 주장에 따르면, 죽임을 당한 황소의 피가 제단 아래의 땅을 적시고, 그 피로부터 영혼이 카듀셔스에 의해 불꽃의 형태로 끌어내어지고 있다.[235][24]

== 바위로부터의 탄생 ==

미트라는 바위로부터 태어난 것으로 묘사된다.[236] 바위로부터 탄생하는 미트라의 아이콘은 토럭터니와 만찬 아이콘 다음으로, 세 번째로 중요한 미트라교의 아이콘이다.[236]

240px


바위(페트라 제네트릭스)로부터 탄생하는 미트라:
목동들이 미트라를 돕고 있으며 무기들은 주위에 흩어져 있다. 하반신이 아직 바위 속에 있는 상태이다.


미트라는 보통 아기나 어린아이가 아닌 청년의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한 손에는 새로운 빛을 비추이는 횃불을 들고 다른 손에는 황소를 죽일 칼을 들고 바위(어머니 바위(mother rock) 또는 풍요와 다산의 바위(fecund rock)라는 뜻의 '''페트라 제네트릭스'''(petra genetrix))로부터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236] 머리에는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으며, 다리를 벌린 남성의 생식기를 가진 모습이나, 다리를 오므린 생식기가 가려진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미트라가 남성이라는 것, 또는 양성일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236]

하지만, 전형적인 모습과는 다르게 어린아이, 구체, 번개, 불꽃이 쏘아져 나오는 모습, 샘이나 물의 신의 얼굴이 새겨진 바위 등 다양한 변형된 모습들도 있다.[236]  '''·'''  '''·''' 돌고래 '''·''' 독수리 '''·''' 다른 종의 새 '''·''' 사자 '''·''' 악어 '''·''' 바닷가재 '''·''' 달팽이가 주위에 있는 사례도 있으며, 바다의 신인 오케아노스와 4명의 바람의 신들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4원소를 모두 부르는 것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236] 때때로 빅토리아 '''·''' 루나 '''·'''  '''·''' 사투르누스가 미트라의 탄생시에 어떤 역할을 하는 것으로도 보이며, 특히 사투르누스(Saturn)는 미트라에게 칼을 주어 미트라가 강력한 행위를 할 수 있게 돕는다.[236]

몇몇 사례들에서는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가 나타나 있기도 하며 또한 이들이 목동으로 나타나 있는 경우들도 있다.[237] 어떤 경우에는 암포라가 보이기도 하며, 소수의 변형된 사례에서는 알 또는 나무에서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난 것도 있다. 어떤 사례들에서는 횃불 또는 촛불로 탄생을 축하하는 광경으로 묘사된 것도 있다.[236][238]

한편, 조지프 캠벨은 미트라스의 탄생을 처녀 출생이라고 기술했지만,[179] 고대 문헌에서는 미트라스가 처녀에게서 태어났다고 여겨지지 않으며, 오히려 동굴의 바위에서 자연스럽게 깨어났다고 여겨진다.[180] ''Mithraic Studies''에서는 미트라스가 단단한 바위 속에서 성인의 모습으로 태어났다고 언급하고 있다.[181] 데이비드 우란지는 이것이 석회 동굴에서 태어났다는 페르세우스 신화에서 착안된 믿음이라고 추측한다.[182]

== 사자 머리의 인물 ==

미트라교의 특징적인 아이콘 중 하나는 미트라에움에서 종종 발견되는 사자 머리를 한 나체의 인물상으로, '''레온토세팔린'''이라 불린다.[239][240]

upright


미트라 밀교의 레온토세팔린: 뱀의 머리가 사자의 입 안에 들어가 있다


upright


레온토세팔린 아이콘에서 은 사자 머리의 인물을 휘감고 있으며, 뱀의 머리는 흔히 인물의 머리 위에 놓이거나, 때로는 사자의 입 안에 들어가 있기도 하다. 사자는 대부분 입을 벌려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인물은 대개 4개의 날개, 2개의 열쇠(또는 1개의 열쇠)와 1개의 홀(笏)을 들고 있으며, 때로는 대각선 십자가가 새겨진 구체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오스티아 안티카 미트라교 사원의 형상(CIMRM[69] 312)에서 네 개의 날개는 사계절을 상징하며, 가슴에는 벼락이 새겨져 있다. 조각상 기단에는 불카누스의 망치와 족집게, 메르쿠리우스의 수탉과 지팡이(카두케우스)가 있다. 드물게 사람의 머리에 사자 머리가 솟아나는 형상도 발견된다.[28][29]

당시 이집트 신화와 나스티시즘의 신화적 표현 양식에서 동물의 머리를 한 아이콘은 널리 퍼져 있었으나, 미트라 밀교의 레온토세팔린과 정확히 상응하는 아이콘은 발견되지 않았다.[28]

이 형상의 이름은 아리마니우스(Arimanius)로 추정되는데, 이는 조로아스터교의 악마적 존재인 아흐리만의 이름이다. 그러나 아리마니우스라는 이름이 새겨진 사자 머리 형상은 발견되지 않았고, 아리마니우스라는 이름에 대한 모든 헌정은 형상이 없는 제단에 새겨져 있다. 아리마니우스는 미트라교 숭배에서 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스티아의 CIMRM[69] 222, 로마의 CIMRM 369, 판노니아의 CIMRM[69] 1773 및 1775 등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30]

일부 학자들은 이 사자 머리의 인물을 아이온, 주르반, 크로노스와 동일시하기도 하고, 다른 학자들은 조로아스터교의 아흐리만 또는 베다의 아리아만의 변형이라고 주장한다.[64] 이 신의 정확한 정체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지만, 시간과 계절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동의한다.[102]

지금까지 약 40체 정도 발견된 사자 머리와 날개를 가진 이 기이한 신상은 그 이름이나 미트라교에서의 역할이 문헌이나 비문에 전혀 나타나지 않아, 아직까지 그 정체가 불명이다.[166] 큐몬은 이 신이 시간신 크로노스=사투르누스이며, 이란의 신 주르반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한다.[166]

미트라교 비문에는 앙그라 마이뉴에 해당하는 '''아리마니우스'''(Arimanius)라는 신명이 5예 나타나지만,[167] 이 신이 이란의 악신 앙그라 마이뉴와 같은 성격을 가지는지, 미트라교가 악마 숭배나 조로아스터교적인 대립 구조를 가졌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미트라 신이 이란의 미트라와는 다른 것처럼, 아리마니우스 또한 헬레니즘적인 변화를 겪었을 것으로 생각된다.[168]

비문들은 아리마니우스를 신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특히 로마, 요크, 아쿠인쿰에서 출토된 것은 아리마니우스에게 맹세하고 신상을 봉납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요크에서 발견된 비문은 머리 부분이 없는 신상을 동반하고 있으며, 목 부분에는 사자의 갈기를 연상시키는 것이 남아 있어,[169] 이 사자 머리 신상이 비문의 아리마니우스라는 증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3. 1. 토럭터니

모든 미트라에움에서 가장 중요한 아이콘은 미트라가 황소를 죽이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이 장면은 토럭터니(tauroctony)라고 불린다.[223]

토럭터니의 이미지는 벽화인 경우도 있고 부조인 경우도 있고 입체 조각품인 경우도 있다. 그리고 토럭터니 장면 주위에 주변 세부 사항들이 함께 있는 경우도 있고 생략된 경우도 있다. 중심 아이콘인 토럭터니에서, 미트라는 아나톨리아식의 의복을 하고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는데, 힘이 다빠져 지친[224] 상태의 황소를 무릎으로 누르면서 왼손으로는 황소의 양코를 잡고[224] 오른손으로는 황소를 칼로 찔러 죽이고 있다. 그러면서 미트라는 어깨 너머로 왼쪽 위에 있는 태양신 솔을 보고 있다. , 각각 한 마리가 흘러내리는 피로 다가가고 있다. 전갈이 황소의 생식기를 붙잡고 있다. 까마귀가 황소 주위를 날고 있거나 황소 위에 앉아 있다. 세 개의 밀알이 황소의 꼬리로부터 나오는 것이 보이는데, 칼로 찔린 상처로부터 나오는 사례도 있다. 황소는 흰색인 경우가 흔하다. 미트라 신은 황소 위에 자연스럽지 않은 자세로 앉아 있는데, 오른다리는 황소의 발굽을 눌러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있고 왼다리는 구부려서 황소의 등 또는 옆구리를 누르고 있다.[225] 양쪽 옆에는 각각 한 명씩, 미트라와 유사한 복장을 한 총 2명의 횃불을 든 사람들 또는 신들이 있는데, 이들은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라고 불린다. 카우테스는 위로 향한 횃불을 들고 있고 카우토파테스는 아래로 향한 횃불을 들고 있다.[226][227] 때때로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는 횃불 대신에 양치기의 지팡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228]

토럭터니의 이벤트는 동굴 속에서 일어나는데, 미트라가 황소를 사냥한 후 그것에 올라타서 황소의 힘을 압도한 후에 동굴 속으로 끌고들어간 후에 일어난다.[229] 때때로 동굴은 원으로 둘러싸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이 원 둘레에는 황도대의 12 궁도들이 나타나 있다. 동굴 밖의 왼쪽 위에는 태양신인 솔이 불타는 왕관을 쓰고 있는데 , 종종 4두2륜 마차인 콰드리가를 몰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종종 한 줄기의 광선이 솔에서 미트라에게로 발출 또는 비추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동굴 밖의 오른쪽 위에는 달의 여신인 루나가 초승달과 함께 나타나 있는데 종종 2두2륜 마차인 비가를 몰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230]

어떤 사례들에서는 중앙의 토럭터니가 왼쪽, 위,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보조적인 장면들로 둘러싸여 있다. 이 장면들은 미트라에 대한 일련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미트라가 바위에서 태어나는 이야기, 물의 기적 이야기, 황소를 사냥하고 타는 이야기, 솔과 만나고 솔이 미트라에게 무릎을 꿇는 이야기, 솔과 악수하는 이야기, 황소 고기를 솔과 함께 먹는 만찬 이야기, 전차를 타고 하늘로 올라가는 이야기로 되어 있다.[230] 산타 프리스카 미트라에움의 스투코 치장벽토 부조와 같은 어떤 사례들에서는 미트라 신이 그리스-로마의 영웅들이 흔히 취하는 누드 모습으로 나타나 있다.[231] 어떤 부조들은 양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즉, 한쪽 면을 본 후 축을 따라 회전시켜, 보는 사람이 이동하지 않고도, 다른 쪽 면을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한 쪽에는 황소를 죽이는 장면이 토럭터니가 부조되어 있고 다른 면에는 황소 고기로 만찬을 하는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이것은 황소를 죽이는 장면이 의식의 전반부에서 사용되고, 이 의식이 끝나면 부조를 돌려서 의식의 후반부에서 두 번째 장면을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준다.[232] 많은 미트라에움에서, 중심 컬트 아이콘으로서의 일차적인 토럭터니외에도 여러 이차적인 토럭터니들이 함께 발견되었으며, 또한, 집 또는 다른 장소에서 개인적인 예배 용도로 사용했으리고 추정되는 작은 휴대용 토럭터니 버전들이 발견되었다.[233]

이 도상은 미트라스 신에 의한 성우(聖牛) 헌상의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미트라스 신은 페르시아풍 의상을 입고 있으며, 수소의 등에 올라 왼쪽 무릎을 꿇으면서 오른발로 수소의 뒷다리를 누르고 있다. 왼쪽 손은 수소의 코를 잡고, 오른손은 수소에게 칼을 꽂고 있다. 상처에서 흘러넘치는 피에는 이, 또한 수소의 배 밑에서는 전갈이 수소의 생식기에 달려들고 있다. 미트라스 신의 양쪽에는 횃불을 든 두 명의 시종신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가 시중들고, 그 외에도 태양과 달, 사방의 바람, 십이궁, 까마귀 등의 상징이 따른다.

이 도상이 성우 헌상에 의해 생명력이 해방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미트라스교는 풍요 숭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미트라스교의 도상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미트라스교 신전의 지성소 중앙에 반드시 이 도상이 배치되어, 그 앞에서 의례가 행해졌다[165]

3. 2. 만찬



미트라교의 아이코노그래피에서, 토럭터니 다음으로, 두 번째로 가장 중요한 아이콘은 만찬 장면이다.[234] 만찬 장면의 특징적인 부분은 미트라와 태양신이 죽임을 당한 황소에 기대 앉아서 만찬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234]

1926년에 이탈리아 로마 근처의 피아노 로마노(Fiano Romano)에서 발견되어 현재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 중인 양면 부조의 앞면에는 토럭터니가 부조되어 있고 뒷면에는 만찬 장면이 부조되어 있다. 이 만찬 장면의 가운데에는 죽임을 당한 황소가 놓여 있는데, 황소의 머리와 뒷다리 하나가 보이고 있다. 미트라와 솔(Sol)이 죽은 황소에 기댄 상태로 나란히 앉아 있다. 부조를 쳐다볼 때, 오른쪽에 미트라가 있고 왼쪽에 솔이 있다. 미트라는 왼손에 횃불을 들고 있고 오른손을 솔의 등쪽으로 내뻗고 있다. 솔은 망토만 두르고 있는데, 망토는 옷을 어깨에 고정시키는 브로치를 사용하여 오른쪽 어깨 위에서 매여 있다. 솔의 머리 뒤의 광배에는 11개의 광선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 양면 부조의 앞면의 토럭터니 장면의 왼쪽 위 모서리에 있는 솔에는 12개의 광선이 있는 것으로 보아, 1개가 목에 가려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솔은 왼손에 채찍을 들고 있고 오른손을, 부조를 쳐다 볼 때 왼쪽 아래에 있는, 횃불을 들고 있는 자에게로 내뻗고 있다. 이 횃불을 들고 있는 자는 솔에게 뿔로 만든 술잔 또는 뿔모양의 술잔인 리톤(rhyton)을 바치고 있다. 오른쪽 아래에서는 다른 한 명의 횃불을 든 자가 있는데 이 사람 또는 신은 위로 향한 횃불을 왼손에 들고 있다. 이 사람 또는 신의 오른손에는 카듀셔스가 들려 있는데, 카듀셔스는 하단 중앙에 있는 제단 아래로 내뻗어져 있다. 카듀셔스의 끝은 땅에서 솟아나고 있는 물 또는 불 속으로 뻗어있다. 이것들이 물인지 불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간에 이견이 있다. 볏이 있는 이 하단 중앙의 제단을 휘감고 있다. 왼쪽 위 모서리에는 달의 여신인 루나가 구름 속에서 오른쪽으로 바깥쪽을 보고 있다. 미트라, 솔, 횃불을 든 자들 모두의 의복에는 빨간색으로 칠한 흔적이 있다.

로버트 터칸(Robert Turcan)은 카듀셔스의 끝이 닿아 있는 것은 물이 아니라 불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는 카듀셔스가 메르쿠리우스(Mercury)의 물품이고 신화에서 메르쿠리우스는 저승 사자(psychopomp)의 역할을 하므로, 이 장면에서 카듀셔스로 불꽃을 이끌어내는 것은 인간의 영혼들을 사후세계로 보내는 것을 가리키며 카듀셔스와 불꽃은 미트라교의 이러한 교의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235][24] 로버트 터칸은 또한 이 부분을 토럭터니와 연결시키고 있는데, 그의 주장에 따르면, 죽임을 당한 황소의 피가 제단 아래의 땅을 적시고, 그 피로부터 영혼이 카듀셔스에 의해 불꽃의 형태로 끌어내어지고 있다.[235][24]

3. 3. 바위로부터의 탄생

미트라는 바위로부터 태어난 것으로 묘사된다.[236] 바위로부터 탄생하는 미트라의 아이콘은 토럭터니와 만찬 아이콘 다음으로, 세 번째로 중요한 미트라교의 아이콘이다.[236]

미트라는 보통 아기나 어린아이가 아닌 청년의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한 손에는 새로운 빛을 비추이는 횃불을 들고 다른 손에는 황소를 죽일 칼을 들고 바위(어머니 바위(mother rock) 또는 풍요와 다산의 바위(fecund rock)라는 뜻의 '''페트라 제네트릭스'''(petra genetrix))로부터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236] 머리에는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으며, 다리를 벌린 남성의 생식기를 가진 모습이나, 다리를 오므린 생식기가 가려진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미트라가 남성이라는 것, 또는 양성일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236]

하지만, 전형적인 모습과는 다르게 어린아이, 구체, 번개, 불꽃이 쏘아져 나오는 모습, 샘이나 물의 신의 얼굴이 새겨진 바위 등 다양한 변형된 모습들도 있다.[236]  '''·'''  '''·''' 돌고래 '''·''' 독수리 '''·''' 다른 종의 새 '''·''' 사자 '''·''' 악어 '''·''' 바닷가재 '''·''' 달팽이가 주위에 있는 사례도 있으며, 바다의 신인 오케아노스와 4명의 바람의 신들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4원소를 모두 부르는 것을 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236] 때때로 빅토리아 '''·''' 루나 '''·'''  '''·''' 사투르누스가 미트라의 탄생시에 어떤 역할을 하는 것으로도 보이며, 특히 사투르누스(Saturn)는 미트라에게 칼을 주어 미트라가 강력한 행위를 할 수 있게 돕는다.[236]

몇몇 사례들에서는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가 나타나 있기도 하며 또한 이들이 목동으로 나타나 있는 경우들도 있다.[237] 어떤 경우에는 암포라가 보이기도 하며, 소수의 변형된 사례에서는 알 또는 나무에서 태어나는 것으로 나타난 것도 있다. 어떤 사례들에서는 횃불 또는 촛불로 탄생을 축하하는 광경으로 묘사된 것도 있다.[236][238]

한편, 조지프 캠벨은 미트라스의 탄생을 처녀 출생이라고 기술했지만,[179] 고대 문헌에서는 미트라스가 처녀에게서 태어났다고 여겨지지 않으며, 오히려 동굴의 바위에서 자연스럽게 깨어났다고 여겨진다.[180] ''Mithraic Studies''에서는 미트라스가 단단한 바위 속에서 성인의 모습으로 태어났다고 언급하고 있다.[181] 데이비드 우란지는 이것이 석회 동굴에서 태어났다는 페르세우스 신화에서 착안된 믿음이라고 추측한다.[182]

3. 4. 사자 머리의 인물

미트라교의 특징적인 아이콘 중 하나는 미트라에움에서 종종 발견되는 사자 머리를 한 나체의 인물상으로, '''레온토세팔린'''이라 불린다.[239][240]

레온토세팔린 아이콘에서 은 사자 머리의 인물을 휘감고 있으며, 뱀의 머리는 흔히 인물의 머리 위에 놓이거나, 때로는 사자의 입 안에 들어가 있기도 하다. 사자는 대부분 입을 벌려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 인물은 대개 4개의 날개, 2개의 열쇠(또는 1개의 열쇠)와 1개의 홀(笏)을 들고 있으며, 때로는 대각선 십자가가 새겨진 구체 위에 서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오스티아 안티카 미트라교 사원의 형상(CIMRM[69] 312)에서 네 개의 날개는 사계절을 상징하며, 가슴에는 벼락이 새겨져 있다. 조각상 기단에는 불카누스의 망치와 족집게, 메르쿠리우스의 수탉과 지팡이(카두케우스)가 있다. 드물게 사람의 머리에 사자 머리가 솟아나는 형상도 발견된다.[28][29]

당시 이집트 신화와 나스티시즘의 신화적 표현 양식에서 동물의 머리를 한 아이콘은 널리 퍼져 있었으나, 미트라 밀교의 레온토세팔린과 정확히 상응하는 아이콘은 발견되지 않았다.[28]

이 형상의 이름은 아리마니우스(Arimanius)로 추정되는데, 이는 조로아스터교의 악마적 존재인 아흐리만의 이름이다. 그러나 아리마니우스라는 이름이 새겨진 사자 머리 형상은 발견되지 않았고, 아리마니우스라는 이름에 대한 모든 헌정은 형상이 없는 제단에 새겨져 있다. 아리마니우스는 미트라교 숭배에서 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스티아의 CIMRM[69] 222, 로마의 CIMRM 369, 판노니아의 CIMRM[69] 1773 및 1775 등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30]

일부 학자들은 이 사자 머리의 인물을 아이온, 주르반, 크로노스와 동일시하기도 하고, 다른 학자들은 조로아스터교의 아흐리만 또는 베다의 아리아만의 변형이라고 주장한다.[64] 이 신의 정확한 정체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지만, 시간과 계절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동의한다.[102]

지금까지 약 40체 정도 발견된 사자 머리와 날개를 가진 이 기이한 신상은 그 이름이나 미트라교에서의 역할이 문헌이나 비문에 전혀 나타나지 않아, 아직까지 그 정체가 불명이다.[166] 큐몬은 이 신이 시간신 크로노스=사투르누스이며, 이란의 신 주르반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한다.[166]

미트라교 비문에는 앙그라 마이뉴에 해당하는 '''아리마니우스'''(Arimanius)라는 신명이 5예 나타나지만,[167] 이 신이 이란의 악신 앙그라 마이뉴와 같은 성격을 가지는지, 미트라교가 악마 숭배나 조로아스터교적인 대립 구조를 가졌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미트라 신이 이란의 미트라와는 다른 것처럼, 아리마니우스 또한 헬레니즘적인 변화를 겪었을 것으로 생각된다.[168]

비문들은 아리마니우스를 신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특히 로마, 요크, 아쿠인쿰에서 출토된 것은 아리마니우스에게 맹세하고 신상을 봉납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요크에서 발견된 비문은 머리 부분이 없는 신상을 동반하고 있으며, 목 부분에는 사자의 갈기를 연상시키는 것이 남아 있어,[169] 이 사자 머리 신상이 비문의 아리마니우스라는 증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4. 의식과 숭배

베르마세렌(M.J.Vermaseren)에 따르면 미트라교의 새해와 미트라의 탄생일은 모두 12월 25일이었다.[244][245] 그러나 베크(Beck)는 이 견해에 대해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246] 만프레드 클라우스는 "미트라 밀교에서는 자신들만의 공개적인 의식 또는 축제가 없었다. 12월 25일에 열린 나탈리스 인빅티(Natalis Invicti: 무적의 존재(태양)의 탄생) 축제는 태양을 기리는 일반적인 축제이며 결코 미트라 밀교에 특정한 것이 아니었다"라고 말하였다.[247]

미트라교의 의식들에 대해서는 비밀이 엄수되었는데, 이 의식들을 보여주는 미트라교 자체의 조각상이나 1차적인 설명은 현존하지 않는다.[221] 미트라에움들의 벽은 대개 백색 도료를 발라 원래 그림이나 부조를 볼 수 없도록 처리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처리되지 않은 것들은 대부분 낙서가 광범위하게 그려져 있거나 새겨져 있다. 그렇기는 하지만, 미트라교의 의식들을 보여주는 미트라교 자체의 조각상이나 1차적인 설명 문헌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미트라에움의 벽에서 보이는 이들 그림과 부조와 함께 미트라교의 기념물들에 새겨진 명문(銘文)들이 미트라교 연구의 원천 문헌을 이루고 있다.[250]

미트라에움의 유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점은 미트라교의 대부분의 의식들은 만찬 또는 연회와 관련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즉, 식기류와 잔여 양식이 미트라에움마다 거의 언제나 발견되며, 또한 동물 뼈와 아주 대량의 잔여 양식이 발견되는 경우도 흔하다.[251] 특히 대량의 버찌 씨가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미트라교의 축제가 열린 계절이 6월말과 7월초의 한여름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청동 명판(銘板)의 형태를 하고 있는 비루눔 알붐(Virunum album: 비루눔 목록)에는 미트라교의 기념 축제 중 하나가 184년의 6월 16일에 열렸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베크(Beck)는 종교적 축제가 이 날에 열렸다는 것은 하지에 대해 특별한 의미가 부여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또한 북유럽과 중부유럽에서 난방이 되지 않는 동굴에서 석조 대좌에 비스듬히 기대 앉는 것은 두드러진 여름철 행동들 중 하나였다. 만찬 시에 미트라교의 비전가들은 미트라에움의 길이 방향으로 양 옆에 배치된 석조 벤치에 비스듬히 기대 앉았는데, 보통 15~30명이 만찬을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 하지만 40명 이상이 함께 만찬을 할 수 있는 미트라에움들도 아주 드물게 있었다.[252]

로마 제국의 거의 모든 신전 또는 종교적 성지에는 지상에 트리클리니움(triclinium)이라 불리는 식당방이 있었다. 그리고 이 식당방들은 대개 콜레기움(collegium)이라 불린 로마 시대의 클럽의 구성원들이 정기적으로 연회 또는 만찬을 가지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콜레기움의 만찬이 그 구성원들에게 제공한 역할과 유사한 역할을 미트라교의 만찬도 그 교인들에게 제공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로마의 콜레기움에 입회할 수 있는 자격은 특정 가문들, 지역 인사들 또는 전통 있는 무역상들로 제한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미트라교는 이런 콜레기움에 가입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클럽(동호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253] 한편, 미트라에움의 규모가 반드시 해당 미트라에움에 속한 전체 교인의 규모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254]

로마 제국 시대의 트리클리니움의 재현물


교회의 제실(祭室)에 해당하는 미트라에움의 안쪽 끝에는 토럭터니 부조나 그림 아래에 여러 개의 제단들이 있었다. 또한 미트라에움의 주실(主室)과 곁방(대기실) 혹은 배랑(拜廊) 둘 다에는 대개 상당한 수의 보조 제단들이 있었다.[255] 이 제단들은 표준 로마 양식으로 되어 있는데, 미트라의 보살핌과 은총에 감사하여 미트라에게 해당 제단을 바친 비전가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타다 남은 동물 내장이 주제단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이는 동물 공희가 정기적으로 행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대개, 미트라에움에서는 동물을 죽이는 희생 의식을 행하는 시설이 발견되지는 않는다. 동물을 죽이는 희생 의식은 고대 로마의 종교에서 매우 특화된 전문화된 기능이었는데, 각 미트라에움은 이러한 희생 의식을 공공 컬트 종교의 전문적인 빅티마리우스(victimarius)의 도움을 받아 이들과의 협력하에 다른 장소에서 행했던 것으로 보인다.[256] 미트라에움에서는 하루에 세 번 태양을 향해 기도를 바쳤는데 일요일을 특별히 신성하게 여겼다.[257]

미트라교가 내적으로 일관된 단일한 교의를 가졌는가 하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258] 미트라교의 교의는 지역마다 달랐을 수도 있다.[259] 그러나 아이코노그래피는 비교적 모든 지역에서 일관되고 있다.[230] 미트라교에는 중심적인 역할을 한 신전 또는 종교적 중심지가 없었다. 각 미트라에움에는 소속된 담당자들 혹은 사제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미트라교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주교단과 같은 중앙 감독 기관이 없었다. 두라 에우로포스(Dura Europos)의 미트라에움과 같은 몇몇 미트라에움들의 벽화에는 두루마리를 들고 있는 예언자들이 묘사되어 있다.[260] 그러나 미트라교의 현자들 중 이름이 알려져 있는 사람은 없으며, 미트라교의 경전의 제목이나 교의의 이름을 가리키는 어떠한 언급도 존재하지 않는다. 미트라교의 비전가가 현재 속한 미트라에움에서 다른 미트라에움으로 이적할 때 자신의 현재 계위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61]

게르만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감사하여 희생 의식을 바치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황실: 당시에 제작된 부조로 카피톨리누스 언덕에 소재하였으나 지금은 로마의 카피톨리노 박물관에 소재


《수다》의 "미트라(Mithras)" 항목에서는 "여러 등급으로 이루어진 테스트를 거쳐 자신이 경건하고 독실하며 흔들림이 없는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전에는 그 누구도 그것(미트라 밀교 또는 미트라 밀교의 궁극적 진리)으로의 입문이 허락되지 않았다."라고 말하고 있다.[268][269]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329?~390)는 "미트라 밀교의 시험"을 언급하였다.[270]

미트라 밀교의 비전에는 7 계위가 있었는데, 히에로니무스는 이들의 목록을 나열하고 있다.[271] 만프레드 클라우스(Manfred Clauss)는 비전 계위들의 총 수인 7은 틀림없이 고대의 행성들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펠리시시무스의 오스티아 미트라에움(Ostia Mithraeum of Felicissimus)에는 이들 비전 계위들을 묘사하고 있는 모자이크 그림이 있다. 이 그림에는 비전 계위들에 관련된 것이거나 아니면 단지 행성들을 상징하는 것인 문장(紋章)들이 함께 그려져 있다. 또한 각 계위 옆에는 그 계위와 관련된 특정한 행성의 신의 보호를 받게 되는 것을 기리는 명문(銘文)이 그려져 있다.[272]

펠리시시무스의 오스티아 미트라에움의 모자이크 그림


오스티아 안티카의 미트라교 유적에서 발굴된 모자이크화. 7계위의 심볼이 그려져 있다.


코락스(Corax),
코룩스(Corux),
갈까마귀,
까마귀
비커, 카듀셔스수성
님푸스(Nymphus),
신랑램프, 종, 베일, 관, 왕관, 다이아뎀(diadem)금성
밀레스(Miles)군인파우치(주머니), 헬멧, 랜스(긴 창), 드럼, 벨트, 화성마르스
레오(Leo)사자발티룸(batillum), 시스트룸(sistrum), 월계관, 벼락목성
페르세스(Perses)페르시아인아키나케스(akinakes), 프리기아 모자, 낫(sickle), 초승달과 별, 루나
태양의 주자
(sun-runner)
횃불, 헬리오스(태양)의 이미지, 채찍, 로브태양
파테르(Pater)아버지파테라(patera), 주교관, 주교 지팡이, , 석류석 반지, 루비 반지, , 실로 보석을 박은 정교한 로브토성사투르누스



두라 에우로포스의 미트라에움처럼 신자들의 목록을 보여주는 낙서가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목록에는 미트라교의 비전가들의 이름이 그들의 계위와 함께 기재되어 있다. 비루눔(Virunum)의 미트라에움에서는 알붐 사크라토룸(album sacratorum), 즉 신자들의 목록이 명판에 새겨진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 목록은 새 신자가 비전을 받고 들어옴에 따라 매년 업데이트되었다. 이러한 목록들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한 미트라에움에서 다른 미트라에움으로 이적한 비전가들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 미트라교의 비전가들의 목록과 당시의 다른 목록들, 즉 병역자 명단 또는 미트라교 이외의 종교의 신전의 신자 명단 등과 비교함으로 미트라교의 비전가들이 어떤 사람들이었는지를 찾는 것도 때때로 가능하였다. 또한 미트라교의 비전가들의 이름이 제단이나 다른 성물의 명문(銘文)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1990년의 만프레드 클라우스의 보고에 따르면, 250년 이전에 새겨진 미트라교인의 이름들 중 약 14%만이 비전 계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그는 이것이 미트라교의 모든 비전가들이 7계위들 중의 하나에 속했다는 전통적인 견해가 틀렸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하였다.[274] 만프레드 클라우스는 미트라교의 각 비전 계위는 사케르도테스(sacerdotes), 즉 특정한 사제 계층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에 반해 고돈(Gordon)은 메르켈바흐(Merkelbach)를 비롯한 다른 학자들이 지지해 온 이전의 이론이 맞다고 보았는데, 특히 두라 에우로포스의 목록의 경우 모든 이름에 미트라교의 비전 계위가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들과는 달리, 비전 계위에 관한 것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 관습이 변천했거나 또는 미트라에움마다 그 관습이 달랐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

봉헌문(奉獻文)이나 명문(銘文)에는 최고 계위인 파테르(pater)가 가장 많이 발견된다. 한 미트라에움에 이 최고 계위의 인물이 여러 명 있었던 것이 특별한 일이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 중의 아버지라는 뜻의 파테르 파트룸(pater patrum)이라는 호칭도 종종 발견되는데 이것은 해당 인물이 해당 미트라에움에서 최고위의 지위를 가진 인물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들이 미트라에움에 가입할 때 곧바로 파테르(pater)라는 계위를 가진 몇몇의 예가 있는데, 특히 4세기의 율리아누스(재위 355~363, 로마황제로는 361~363) 때의 이교도 부흥기의 로마에서 이러한 사례가 나타났다. 이것은 몇몇 미트라에움에서 미트라교를 지지하는 사회적 고위 인사들에게 명예직으로서의 파테르(pater)라는 계위를 부여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275]

오른쪽


각 계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해당 비전가는 반드시 특정한 시련 또는 테스트를 감내하며 통과해야 했던 것으로 보인다.[276] 예를 들어 열기 '''·''' 냉기 '''·''' 위험 등에 노출되는 것이 이러한 시련에 포함되었다. 3세기초에 만들어진 '시련의 구덩이(ordeal pit)' 하나가 카로버그(Carrawburgh)의 미트라에움에서 발견되었다. 폭군으로 유명했던 로마 황제 콤모두스(재위 180~192)가 즐거움을 위해 미트라교의 비전의 시련들을 살인의 형태로 재연하면서 즐겼다는 기록이 있다. 3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시련의 구덩이'들을 땅으로 메워 없앤 것에서 보듯이, 미트라교는 비전의 시련들의 가혹도를 완화했던 것으로 보인다.

미트라교 공동체로의 들어가는 것이 허락되는 것은 최종적으로 "파테르(pater)"와 악수를 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는데 이것은 미트라와 솔이 악수를 하는 것을 재연한 것인었다. 이러한 이유로 미트라교의 비전가들은 악수로 하나된 자들이라는 뜻의 "신덱시오시(syndexioi)"라 불리었다. 이 낱말은 프로피센티우스(Proficentius)의 비문에 사용되었는데[277] 비기독교를 공격한 4세기의 기독교 저작인 《세속적인 종교의 오류에 대하여(De errore profanarum religionum)》에서 이 책의 저자 피르미쿠스 마테르누스(Firmicus Maternus)는 미트라교의 악수와 관련된 이러한 종교적 관습을 조롱하였다.[278][279] 고대 이란에서 오른손을 잡는 것은 협정을 결론짓고 마무리한 것이나 양자간에 어떤 진지한 혹은 신성한 이해(理解)가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전통적인 행위였다.[280]

미트라교의 주요 신화적 장면들에 나오는 주요한 신인 솔과 미트라의 행위들은 미트라교의 계위 체계에서 가장 상위에 속한 파테르(Pater)와 헬리오드로무스(Heliodromus)에 의해 의식에서 재연되었다.[281] 미트라교의 비전가들은 신성한 만찬(성찬)을 가졌는데 이것은 미트라와 솔의 만찬을 재연한 것이었다.[281]

마인츠(Mainz)에서 발견된 컵이 있는데, 이 컵에 새겨져 있는 부조는 미트라교의 비전들 중 하나를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282][283] 이 부조에는 미트라의 모습으로 변장한 파테르(Pater)가 활을 당긴 상태로 앉아 있는 장소로 비전가가 인도되고 있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비전가에게 상징과 신학을 설명하는 역할을 하는 한 명의 미스타고그(mystagogue: 비법 전수자, 밀교 해설자)가 비전가와 동행하고 있다. 이 부조에 새겨진 의식은 "물의 기적(Water Miracle)"이라고 불리는 장면을 재연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물의 기적은 미트라가 바위에 번개를 내려치고 그 결과 바위로부터 물이 분출되는 신화적 장면이다.

로저 베크(Roger Beck)는 마인츠의 컵과 포르피리오스의 글을 근거로 하여 미트라교에 3번째 행렬 의식이 존재했다는 가설을 세웠다. 로저 베크는 이 의식을 태양의 주자의 행렬(Procession of the Sun-Runner)이라 불렀는데, 그에 따르면, 이 행렬 의식은 밀레스(Miles) 계위의 한 비전가가 앞을 이끌고 카우테스와 카우토파데스(Cautes and Cautopates)를 나타내는 두 인물이 헬리오드로무스(Heliodromus) 계위의 비전가를 호위하는 가운데 태양황도대를 돌듯이 헬리오드로무스 비전가가 미트라에움을 도는 것을 재연하는 의식으로, 이 의식에서 미트라에움우주를 나타낸다.[284]

이와 같이, 대다수의 미트라교의 의식들은 미트라교의 신화 또는 설화에 나오는 에피소드들을 비전가들이 재연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었다고 학자들은 보고 있다.[285] 이러한 에피소드들 중 주요한 것으는 바위로부터 미트라가 탄생하는 것, 화살로 통을 쳐서 물이 나오게 하는 것, 황소를 죽이는 것, 솔이 미트라에게 복종하는 것, 미트라와 솔이 죽은 황소에 기댄 상태로 만찬을 하는 것, 미트라가 전차를 타고 승천하는 것 등이다. 한편, 이 에피소드들과 현존하는 부조들에 나타난 정규적인 묘사들에서 특기할 만한 사실은 여성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286]

미트라교의 신자 목록, 즉 비전가 목록에는 여성이 들어 있는 경우가 전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미트라교는 남성만이 참가 가능했던 종교인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287][288] 고대의 학자인 포르피리오스가 여성 미트라교 신자 혹은 비전가를 언급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대해 20세기초의 역사가인 게덴(A.S. Geden)은 포르피리오스의 언급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게덴은 동방의 컬트 종교에서 의식에 여성들이 참여하는 것이 없지는 않았지만 미트라교의 경우 군인들의 영향력이 지배적이었던 것을 볼 때 미트라교에 여성들이 참여했던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였다.[195] 한편, 데이비드 요나단(David Jonathan)은 2000년에 발표된 자신의 논문에서 "최소한 로마 제국의 몇몇 지역에서는 여성들이 미트라교의 그룹들과 관련되어 있었다"고 말하였다.[289] 미트라교의 신자들 또는 비전가들은 주로 군인들이었고, 또한 상인들, 세관원들, 하급 관료들도 있었다. 4세기 중반의 이교도 부흥기 때까지는 지도적인 귀족 가문이나 원로원 가문에서 미트라교의 비전가가 나오는 경우는 사실상 거의 없었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극히 소수였다. 미트라교의 비전가들은 대다수가 자유민이나 노예였다.[290]

미트라교의 레오(Leo) 계위로 들어간 사람들은 고통이나 해악을 가져오는 그 모든 것 또는 순수하지 못한 그 모든 것으로부터 자신의 손을 순수하게 유지해야만 했다는 포르피리오스의 진술에 대해, 만프레드 클라우스는 이 진술은 지켜야 할 도덕 또는 윤리가 미트라교의 신자들에게 명해져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하였다.[291] 배교자 율리아누스의 《황제들(Caesares)》의 한 구절에서는 "미트라교의 계명들"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292] 테르툴리아누스는 자신의 논서 《화관론(De Corona Militis)》에서 미트라교인들은 군대에서 화관(花冠 '''·''' corona), 즉 축하의 관을 쓰는 것이 공식적으로 면제되었는데, 이것은 "자신들의 왕관은 오직 미트라뿐"이라는 교의에 기반하여 미트라교의 비전 전수 의식에는 수여된 관을 물리치는 의식이 들어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하였다.[293]

5. 미트라에움

이탈리아 오스티아 안티카 유적에서 발견된 미트라에움


미트라교의 신전을 뜻하는 '''미트라에움'''은 현대에 만들어진 용어이며, 미트라교 신자들은 자신들의 신성한 건축물을 스펠레움(speleum) 또는 안트룸(antrum, 동굴), 크립타(crypta, 지하 복도 혹은 통로), 파눔(fanum, 성소), 템플룸(templum, 신전 또는 성소)이라 불렀다.[262]

미트라에움은 지하에 위치하고 창이 없으며 매우 독특하다. 도시에서는 주로 대형 아파트 건물의 지하실을 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도시가 아닌 곳에서는 직접 굴착하여 아치형 지붕을 만들거나 천연 동굴을 개조하여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규모가 작고, 외적으로 드러나지 않으며,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건설되었다. 미트라교는 기존 종교적 센터를 확장하기보다는 새로운 센터를 짓는 것을 선호하였다. 미트라에움은 미트라황소를 죽인 동굴을 상징하며, 석조 둥근 천장을 만들 수 없는 경우에는 라스와 플라스터를 사용하여 모방하였다. 대개 샘 또는 개울 가까이에 위치하는데, 이는 신선한 물이 미트라교 의식에 필요했음을 보여주며, 웅덩이 또는 집수지가 함께 조성되기도 한다.[263] 미트라에움의 현관에는 대개 배랑 또는 곁방이 있으며, 음식을 저장하고 준비하기 위한 보조적인 방들도 흔히 발견된다.

미트라에움의 기본 형태는 고대 로마 종교 신전들과는 완전히 달랐다. 고대 로마 종교의 표준적인 신전 건축 양식은 신전이 신의 거주처로서 기능하며, 신은 신전에 거주하면서 열린 문들과 주랑 현관을 통해 개방된 마당(courtyard)에 차려진 제단에서 행해지는 희생 의식을 보는 것으로 디자인되었다. 이러한 구조는 고대 로마의 종교 의식이 비전가뿐 아니라 비전가가 아닌 숭배자들에게도 참관이 허락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64] 미트라에움은 구조적으로 이와는 반대였다.[265]

미트라에움은 로마 제국 시대에 흔한 것이었는데, 상당수가 로마, 오스티아 안티카(Ostia Antica), 누미디아, 달마티아, 브리타니아, 라인강 유역, 도나우강 유역에서 발견되었다. 반면, 그리스, 이집트, 시리아에서는 발견된 것이 거의 없다.[266] 발터 부르케르트(Walter Burkert)는 미트라교의 의식들이 비밀 의식의 성격을 가졌다는 것은 미트라교의 가르침과 실천들이 미트라에움 내에서만 행해질 수 있었다는 뜻한다고 말한다.[267] 벨기에 플랑드르 지방의 도시인 티넨(Tienen)에서 새로이 발굴된 유적들은 미트라교의 만찬 또는 축제가 대규모였으며 이 신비 종교가 일반적으로 믿어지고 있는 것만큼 비밀엄수주의적인 것은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254] 2013년 런던 고고학 박물관은 런던 중심부 금융가 건물 건설 예정지 발굴 조사에서 1954년 발견된 미트라교 사원 유적을 재발굴 및 재건하고 출토품을 전시하였다.[176]

6. 역사와 발전

케토로부터 안드로메다를 구출하는 페르세우스: 베를린 알테스 박물관에 소장 중인 암포라에 묘사된 그림


제1차 미트라다테스 전쟁(89 BC) 시의 고대 근동과 그리스: 아나톨리아의 북동부에 폰토스(지도에서 "PONTUS", 녹색의 일부) 지방이 있으며 남동부에 킬리키아(지도에서 "CILICIA", 분홍의 일부) 지방이 있다


산타 프리스카 바실리카 지하의 미트라에움에서 발견된 헬리오스의 머리, 3세기


미트라가 자신의 동굴에서 나와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에게 둘러싸인 모습의 모자이크 (1세기 CE) (월터스 미술관)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인타글리오로, 타우로크토니(황소 살해)를 묘사하고 있다. (월터스 미술관)


황소 살해 장면을 묘사한 부조. 미트라(Mithras)는 황소를 죽이는 동안 솔 인빅투스(Sol Invictus)를 바라보고 있다. 솔(Sol)과 루나(Luna)는 부조 상단에 나타난다.


밀라노 고고학 박물관의 솔 인빅투스(Sol Invictus) (Museo archeologico)


보이스(Boyce)에 따르면, 미트라교를 언급하는 최초의 문헌은 기원후 80년경의 라틴 시인 스타티우스와 기원후 100년경의 플루타르코스의 저작이다.[316]

스타티우스의 서사시 〈테바이드(Thebaid)〉 (c.80 AD[317])에는 미트라가 동굴 속에서 뿔을 가진 어떤 생명체와 싸우는 것을 묘사하고 있다.[318] 이 묘사는 태양신 포이보스에게 바치는 기도 속에 들어있다.[319] 이 동굴은 "페르세이(persei)"라는 형용사가 붙어있는데 대개 이 형용사는 문맥상 "페르시아의(Persian)"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번역자인 모즐리(J.H.Mozley)에 따르면 "페르세이(persei)"는 문자 그대로는 "페르시안(Persean)"을 뜻하는데, 이것은 페르세우스와 안드로메다의 아들인 페르세스(Perses)를 가리킨다.[317] 그리고 그리스의 전설에 따르면 이 페르세스는 페르시아인들의 선조이다.[320]

그리스의 전기 작가 플루타르코스(기원후 47~127)에 따르면, "미트라의 ... 밀의"가 기원전 1세기에 활동하였던, 아나톨리아의 남서부 해안 지방인 킬리키아의 해적들에 의해 실행되었다: "이 해적들은 유사한 기이한 희생 의식을 바쳤다. 내가 유사하다고 말하는 것은 올림포스의 신들에게 바치는 희생 의식들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어떤 비밀한 의식들을 행했다. 이 비밀한 의식들 중 미트라의 비밀 의식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이 미트라의 비밀 의식은 원래 이 해적들에 의해 설립된 것이다."[321] 플루타르코스는 이 킬리키아 해적들이 로마 공화정과 폰토스의 미트리다테스 6세 간의 미트리타데스 전쟁 시에 특히 활동적이었으며 미트리다테스 6세를 지지했다고 말하고 있다.[321] 고대의 역사가인 아피아노스(Appian: 95?~165?)도 미트리다테스 6세가 해적들과 관련이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322] 베르길리우스(70~19 BC)에 대한 세르비우스(Servius: fl. 4세기 후반)의 기원후 4세기 후반의 주해에는 폼페이우스가 이 해적들 중 일부를 이탈리아 남부의 칼라브리아에 정착시켰다고 말하고 있다.[323]

사가 디오 카시우스(2~3세기)는 아르메니아의 트리다테스 1세(Tiridates I of Armenia)가 네로(재위 37~68)의 재위 시에 로마를 공식적으로 방문했을 때 이 방문 기간 동안 미트라라는 이름이 언급되었던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공식 방문은 파르티아의 보노네스 2세의 아들이었던 아르메니아의 트리다테스 1세가 기원후 66년에 로마 황제 네로로부터 왕위를 수여받는 대관식을 치르기 위한 것이었는데 이것은 파르티아와 로마 제국 간의 전쟁을 종결하는 것을 확증하는 것이었다. 디오 카시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아르메니아의 트리다테스 1세가 네로로부터 왕관을 받기 직전에 네로에게 말하길 자신은 로마 황제를 "미트라(Mithras)"인 것으로 존경한다고 말했다.[324] 미트라교 연구가인 로저 베크는 이 에피소드가 미트라교가 로마 제국에서 대중적인 종교가 되는데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325]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포르피리오스(234~305?)는 자신의 저서 《님프의 동굴에 대하여(De antro nympharum)》에서 미트라 밀교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326] 자신의 이야기는 에우불로스(Eubulus)로부터 전해들은 것이라고 하면서, 포르피리오스는 미트라교의 원래 신전은 샘이 있는 천연 동굴인데, 이 동굴을 자라투스트라페르시아의 산맥 속에서 발견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 동굴을 발견했을 때 자라투스트라는 이 동굴이 세상 전체를 상징하는 이미지라고 생각하였고 따라서 이 동굴을 세상의 창조자(데미우르고스)인 미트라에게 바쳤다고 포르피리오스는 말하고 있다. 같은 책의 이 언급 뒤에 나오는 부분에서, 포르피리오스는 미트라와 황소를 행성과 황도대의 별자리와 연결시키고 있다. 이 연결에 따르면, 미트라는 별자리로는 양자리와, 행성으로는 화성과 관련이 있으며 황소는 금성과 관련이 있다.[327]

포르피리오스는 미트라교의 사멸이 가까웠던 시기에 《님프의 동굴에 대하여》를 저술하였다. 이러한 점에 바탕하여, 로버트 터칸(Robert Turcan)은 이 저작에 들어있는 미트라교에 대한 포르피리오스의 진술들이 정확한 것이라는 견해에 이의를 제기하였다. 로버트 터칸은 포르피리오스의 진술들은 미트라교인들이 믿고 있었던 바를 표현한 것이 결코 아니며 미트라 밀교에 대해 부여한 의미들 중 3세기 후반의 신플라톤주의자들의 마음에 들었던 것을 신플라톤주의자가 표현한 것일 뿐이라고 보고 있다.[328] 그러나, 메르켈바흐(Merkelbach)와 베크(Beck)는 포르피리오스의 《님프의 동굴에 대하여》가 "미트라 밀교의 교의로 완전히 채색되어 있다"고 본다.[329] 베크는 고전학자들이 포르피리오스의 진술을 소홀히 여겨왔으며 그의 진술에 대해 불필요한 회의적인 시각을 취해왔다고 주장한다.[330] 베크에 따르면, 포르피리오스의 《님프의 동굴에 대하여》는 미트라 밀교의 종지(宗旨)와 그 종지가 어떻게 실현되었는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고대의 문헌인데, 이러한 부류의 고대의 문헌으로는 그 명확성에 있어서 유일한 문헌이다.[331] 데이빗 울란지(David Ulansey)는 포르피리오스가 "아스트랄적 개념들(astral conceptions: 아스트랄계 '''·''' 별의 세계 '''·''' 황도대의 별자리와 관련된 사유 체계 및 개념들)이 미트라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확증하는데 이것은 미트라교와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이라고 하였다.[332]

미트라스(Μίθρας, Mithras)라는 그리스어 이름이 〈미트라 전례서(Mithras Liturgy)〉라고 알려진 고대 후기의 텍스트에서 나타나고 있다. 〈미트라 전례서〉는 파리의 대마법 파피루스(Paris Great Magical Papyrus: 프랑스 국립도서관 Suppl. gr. 574)라고 불리는 문헌의 일부이다. 〈미트라 전례서〉에서 미트라는 "위대한 신"이라는 호칭으로 불리고 있으며 태양신 헬리오스와 동일한 신으로 여겨지고 있다.[333][334]

미트라 전례서〉라고 이름 붙여진 이 텍스트가 미트라교를 표현하고 있는 텍스트인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다. 프란츠 퀴몽(Franz Cumont)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였다.[335] 마빈 마이어(Marvin Meyer)는 그렇다고 본다.[336] 한스 디테르 베츠(Hans Dieter Betz)는 〈미트라 전례서〉가 그리스 전통 '''·''' 이집트 전통 '''·''' 미트라교 전통의 혼합주의적 산물이라고 보고 있다.[337][338]

미트라교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프란츠 퀴몽(1868~1947)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1894~1900년 동안 《Textes et monuments figurés relatifs aux mystères de Mithra (프랑스어: 미트라 밀교에 관련된 문헌과 기념물)》이라는 책명을 가진 프랑스어로 된 2권의 책을 출판했다.[339] 이 책의 일부의 영문 번역판이 1903년에 《The Mysteries of Mithra (미트라 밀교)》이라는 책명으로 출판되었다.[340]

이 책의 처음 32 페이지 분량에서 프란츠 퀴몽은 그 내용을 요약하고 있는데, 이 요약에 따르면 로마 미트라교는 페르시아의 국교인 "마즈다교(Mazdaism: 조로아스터교)가 로마화된 형태"로,[341]페르시아의 국교가 동양에서 서양으로 전파되어 형성된 종교라는 것이 퀴몽의 가설이다. 그는 페르시아 문헌에서 미트라(Mithras)라고 나오는 고대 아리아인의 신이 베다 찬가들에 나오는 힌두 신 미트라(Mitra)와 동일한 신이라고 보았다.[342] 퀴몽에 따르면 미트라 신은 "마즈다교의 판테온을 대표하는 많은 신들을 동반하고서 로마로 왔다".[343] 퀴몽은 마즈다교의 이 로마화(romanization)에 대해 "서양에서 어떤 변화들을 겪었지만, .... 그 변화들은 대체로 표면적인 수준이었다"고 보았다.[344]

퀴몽의 이론은 1971년에 열린 미트라교 국제학술대회(International Congress of Mithraic Studies)에서 존 힌넬스(John R. Hinnells)와 고든(R.L. Gordon)으로부터 맹렬한 비판을 받았다.[345] 존 힌넬스는 미트라교가 이란에서 기원했다는 견해를 전적으로 거부하지는 않았다.[346] 하지만 퀴몽의 이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미트라교에 대한 퀴몽의 가설, 즉 그에 의해 재구축된 미트라교 신학은 이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결론내릴 수 밖에 없다. 그의 가설은 이란의 자료들로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현존하는 텍스트들에서 보이는 이란 전통의 사상들 또는 개념들과는 실제로 충돌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그의 가설은 실제의 로마 아이코노그래피와는 일치하지 않는 이론적인 재구축이다."[347] 존 힌넬스는 토럭터니 장면에 대한 퀴몽의 재구축된 신학에 대해 논의하는데 이에 대해 "퀴몽이 제시한 미트라에 대한 묘사는 이란의 텍스트들에 의해 단순히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는 정도가 아니며, 알려진 이란의 신학과 심각한 정도로 실제로 모순된다"고 주장하였다.[348] 다른 논문에서 고든은 퀴몽이 미트라교가 조로아스터교에서 기원했다는, 자신의 이미 결정된, 모델에 맞추기 위해 이용 가능한 증거들을 왜곡했다고 주장하였다. 고든은 미트라교가 페르시아에서 기원했다는 이론은 완전히 근거가 없으며 서양에서의 미트라교는 완전히 새로운 창조물로 봐야 한다고 보았다.[349]

루터 마틴(Luther H. Martin)은 다음과 같이 비슷과 견해를 표명하였다: "신의 이름을 예외로 할 때, 달리 말하자면, 미트라교는 대체로 로마 문화의 문맥 속에서 전개되고 발달했으며 또한 로마 문화의 문맥 속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350]

그러나, 호페(Hopfe)에 따르면 "미트라교의 기원에 대한 모든 이론은 미트라교가 고대 아리아인의 종교의 미트라(Mithra/Mitra)와, 비록 명확하지 않은 관련이라 할지라도,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212] 1975년의 제2차 미트라교 국제학술대회에 대해 보고하면서, 우고 비앙키(Ugo Bianchi)는 자신은 "동양과 서양의 미트라교의 관계에 대해 역사적 사실성(事實性)의 측면에서 의문을 가지는 것"에 대해 환영하는 입장인데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의문이 "로마인들 자신에게 명확했던 것, 즉 미트라가 '페르시아'의 신(더 넓게는 인도-이란의 신)이었다는 것을 폐기해야 한다는 뜻이어서는 안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351]

보이스(Boyce)는 "자라투스트라 이전에 최고신의 관념이 이란인들 사이에서 존재했다거나 또는 미트라(Mithra) 혹은 다른 어떤 신이 고대의 이란인들의 판테온 혹은 조로아스터교의 판테온 바깥에서 그 신 자신만의 독자적인 컬트 종교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만족할만한 증거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하였다.[352] 그러나 그녀는 또한 말하길, 비록 최근의 연구들에서는 그 교인들 스스로는 자신의 종교를 페르시아의 종교라고 인식하고 있었던 미트라교의 이란적 측면이 "적어도 이 종교의 로마 제국 하의 형태에서는" 최소화되는 식으로 결론이 나고 있지만, 미트라(Mithras)라는 이름 그 자체만으로도 "이란적 측면이 일정한 중요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기에 충분하다고 말하였다. 또 그녀는 "미트라 밀교가 페르시아에서 기원했다는 것은 미트라 밀교를 언급하고 있는 초기 문헌들에서 인정하고 있는 바이다"라고 하였다.[218]

베크(Beck)는 1970년대 이후로 학자들이 대체로 퀴몽의 이론을 거부하고 있으나, 조로아스터교가 기원전의 시대 동안 어떠했는가에 대한 최근의 이론들은 동양에서 서양으로의 전파라는 퀴몽의 이론의 새로운 형태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고 말하였다.[353]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미트라 밀교에 페르시아의 유산들이 남아 있다는 의심할 바 없는 사실과 실제의 마즈다교를 구성했던 요소들에 대한 더 나은 이해 덕분에 현대의 학자들은 로마 미트라교가 이란 신학의 한 연속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었다. 이 가설 또는 이론은 참으로 미트라교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주류, 즉 후대 학자들이 받아들이거나 수정하거나 혹은 거부하는 퀴몽의 모델이다. 이란의 교의가 동양에서 서양으로 전파되었다는 이론을 위해, 퀴몽은 비록 가설적이라 할지라도 타당하다고 여겨지는 중간 매개체를 상정하였는데, 그것은 이란인의 디아스포라 때에 마기족이 아나톨리아로 왔다는 것이다. 이보다 더 문제거리이며 퀴몽과 그의 계승자들에 의해 결코 제대로 설명된 적이 없는 문제는 이란의 교의가 동양에서 서양으로 전파된 후 실제의 로마 미트라교인들이 어떻게 서양적인 외관 뒤에 상당히 복잡하고 정교한 이란의 신학을 유지해 왔는가 하는 것이다. 두 명의 '마기'가 두루마기를 가지고 있는 모습이 묘사된 두라 에우로포스의 이미지들을 제외하면, 이러한 교의들의 전달자들에 대한 직접적이고 명확한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어느 정도까지는, 퀴몽의 이란 패러다임, 특히 로버트 터칸(Robert Turcan)의 수정된 이론은 실제로 일어났을 듯한 확실히 타당한 모델이다."[354][355][356]


베크(Beck)는 또한 "아나톨리아에서 형성되었고 아나톨리아로부터 확산되었다는 오랜 퀴몽의 이론은 ... 결코 죽은 이론이 아니며 그렇게 되어서도 안 될 이론이다"라고 말하고 있다.[357]

베크(Beck)는 미트라교가 그리스와 동양의 종교 둘 다에 대해 얼마간의 지식을 가졌던 한 사람에 의해 로마에서 창시되었다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미트라교에서 사용된 개념들 중의 얼마간은 헬레니즘 왕국들을 거쳐온 것일 수 있다고 본다. 그는 "미트라(Mithras), 특히 그리스의 태양신 헬리오스와 동일시된 미트라(Mithras)"가 기원전 1세기 중반에 콤마게네의 안티오코스 1세에 의해 설립된 혼합주의적인 그리스-이란 왕궁 컬트 종교의 신들 중의 하나였다고 진술하고 있다.[358] 이 이론을 제안하면서 베크는 자신의 시나리오가 두 가지 이유로 퀴몽의 이론 계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첫째는 자신의 이론이 아나톨리아와 아나톨리아인에 대해 재검토하고 있다는 것이며, 더 중요한 것으로, 둘째로는 퀴몽이 사용했던 최초의 방법론을 고수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한다.[359]

메르켈바흐(Merkelbach)는 미트라 밀교는 본질적으로 특정한 한 사람 혹은 특정한 복수의 사람들에 의해 로마 시라는 특정 장소에서 창시되었는데, 이 창시자 혹은 창시자들은 이란 신화를 자세히 잘 알고 있던 고대 로마의 동부 속주 또는 동부 국경 주변의 국가 출신의 사람으로, 이란 신화를 자신의 새로운 비전 계위 체계에 짜넣었다고 말하고 있다.[360] 또한 메르켈바흐는 이 창시자가 플라톤주의의 요소들을 미트라 밀교에 결합시킨 것으로 보아서 그가 그리스인이거나 그리스 말을 하는 사람임에 틀림없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메르켈바흐는 미트라교의 신화들은 로마 제국의 관료 체제를 배경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원래 로마 제국의 관료들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다고 보고 있다.[361] 클라우스(Clauss)는 대체로 메르켈바흐의 이 이론에 동의하고 있다. 베크(Beck)는 이 이론을 "가장 그럴듯한 시나리오"라고 말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미트라교는 대체로 이 종교의 이란 선조로부터 마치 (《톰 아저씨의 오두막》에 나오는) 톱시(Topsy)처럼 성장해 나타난 것처럼 다루어지고 있는데, 만약 이러한 의견이 한 이론으로 공개적으로 표명된다면 그 이론은 가장 그럴듯하지 않은 시나리오들 중 하나가 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362]

고고학자인 루이스 호페(Lewis M. Hopfe)는 로마 제국의 시리아 속주에는 오직 3개의 미트라에움만이 있었는데 이는 서쪽에 더 많은 미트라에움들이 있었던 것과 대비된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고고학적 유물들이 가리키는 바에 따르면 로마 미트라교는 그 중심지가 로마 시에 있었다... 미트라교라고 알려진 완전히 발달된 종교는 로마 시에서 시작되어 군인들과 상인들에 의해 시리아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라고 진술하고 있다.[363]

울란지(Ulansey)는 다른 현대의 학자들과는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그는 미트라 밀교는 그리스 천문학자 히파르코스가 발견한 천문학적 현상인 세차 운동에 대한 종교적 반응으로 그리스-로마 세계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울란지의 주장에 따르면, 세차 운동의 발견은 당시까지 알려져 있던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전체 우주가 운동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해낸 것으로, 이 새로이 발견된 우주적인 운동은 우주의 천체들을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은 우주적인 이동을 통해 우주를 운행하고 다스리는 강력한 새로운 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고 미트라교의 창시자들은 생각했다.[364]

그러나 이와 같은 의견들, 즉 미트라교가 로마, 로마 동쪽 국경 지역 또는 그리스-로마 세계에서 시작되었다는 이론들과는 달리, 비바르(A. D. H. Bivar)와 캠벨(L. A. Campbell)과 비덴그렌(G. Widengren)은 이들 각자의 주장의 구체적인 모습은 다소 다르지만, 로마 미트라교는 이란의 미트라 숭배의 어떤 형태의 연속이라고 모두 공통적으로 주장하였다.[365]

안토니아 트리폴리티스(Antonia Tripolitis)는 로마 미트라교는 베다 시대의 인도에서 기원하였으며, 미트라교가 서쪽으로 전파되는 동안, 즉 페르시아와 바빌론을 거쳐 헬레니즘 세계와 로마 세계로 전파되는 동안 만나게 된 여러 문화들의 많은 특징들을 미트라교인들이 수용하여 자신들의 종교적 체계 속에 결합시켰다고 보고 있다.[366]

== 밀교 이전의 미트라 ==

미탄니의 왕 사우슈타타르(재위 1440-1410 BC)의 옥새


[[File:Mithra&Antiochus.jpg|thumb|태양 광선과 이란식 복장을 한 미트라-헬리오스,[59]와 코마게네의 안티오코스 1세 (네므르트 산], 기원전 1세기)

미탄니의 왕 사우슈타타르(재위 1440-1410 BC)의 옥새에는 토럭터니 장면의 미트라를 묘사한 문장(紋章)이 새겨져 있다는 주장이 있다.[299][64] 고고학자 마르텐 베르마세렌(Maarten Vermaseren)에 따르면 기원전 1세기의 콤마게네 왕국에서 나온 증거물에는 미트라에 대한 경외는 언급되지만 밀의종교에 대한 언급은 없다.[294][60] 콤마게네의 안티오코스 1세(재위 69~34 BC)가 넴루트 산에 세운 거상(巨像)에는 미트라가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363][295][111][61] 다른 신들과 안티오코스 1세와 나란히 왕좌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 있다.[296][62] 왕좌 뒷면에는 그리스어로 된 명문(銘文)이 있는데, 아폴론, 미트라, 헬리오스의 이름이 소유격 형태로 "Ἀπόλλωνος Μίθρου Ἡλίου (Apollonos Mithrou Heliou)"와 같이 언급되어 있다.[297][63] 베르마세렌은 기원전 3세기에 파이윰에 있었던 미트라 컬트 종교에 대해 보고한다.[298][64]

미트라스 신은 고대 인도·이란의 아리아인이 공동 거주하던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신 미스라(미트라)이며, 이란과 인도 양 지역에서 중요한 신이었다. 특히 『리그베다』에서는 아디티야 신군의 한 기둥이었으며, 마법적인 바루나(Varuna) 신과 짝을 이루는 계약·약속의 신이었다. 히타이트와 미탄니 사이에서 맺어진 조약문에는 바루나, 인드라, 아슈빈 쌍신과 함께 미스라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이후 인도에서는 미스라의 중요성이 낮아졌지만, 이란에서는 높은 인기를 누리며 중요한 역할을 했고, 다수의 신들 중에서도 특수한 위치를 차지했다. 조로아스터는 아후라 마즈다만을 숭배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미스라를 비롯한 많은 신들을 배척했지만, 이후 조로아스터교의 중급 신 야자타로 받아들여졌다. 아케메네스 제국 페르시아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는 미스라 신앙을 공공연하게 허용했다. 사산 왕조 페르시아(226년-651년)에서 조로아스터교가 국교가 되자 미트라는 영웅신, 태양신으로서 널리 숭배받았다.

== 로마 미트라교의 시작 ==

[[File:Stela_funerara_MItra_MNIR.JPG|thumb|알바 율리아에서 발견된 봉헌

6. 1. 밀교 이전의 미트라

미탄니의 왕 사우슈타타르(재위 1440-1410 BC)의 옥새에는 토럭터니 장면의 미트라를 묘사한 문장(紋章)이 새겨져 있다는 주장이 있다.[299][64] 고고학자 마르텐 베르마세렌(Maarten Vermaseren)에 따르면 기원전 1세기의 콤마게네 왕국에서 나온 증거물에는 미트라에 대한 경외는 언급되지만 밀의종교에 대한 언급은 없다.[294][60] 콤마게네의 안티오코스 1세(재위 69~34 BC)가 넴루트 산에 세운 거상(巨像)에는 미트라가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363][295][111][61] 다른 신들과 안티오코스 1세와 나란히 왕좌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 있다.[296][62] 왕좌 뒷면에는 그리스어로 된 명문(銘文)이 있는데, 아폴론, 미트라, 헬리오스의 이름이 소유격 형태로 "Ἀπόλλωνος Μίθρου Ἡλίου (Apollonos Mithrou Heliou)"와 같이 언급되어 있다.[297][63] 베르마세렌은 기원전 3세기에 파이윰에 있었던 미트라 컬트 종교에 대해 보고한다.[298][64]

[[File:Mithra&Antiochus.jpg|thumb|태양 광선과 이란식 복장을 한 미트라-헬리오스,[59]와 코마게네의 안티오코스 1세 (네므르트 산], 기원전 1세기)

미트라스 신은 고대 인도·이란의 아리아인이 공동 거주하던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신 미스라(미트라)이며, 이란과 인도 양 지역에서 중요한 신이었다. 특히 『리그베다』에서는 아디티야 신군의 한 기둥이었으며, 마법적인 바루나(Varuna) 신과 짝을 이루는 계약·약속의 신이었다. 히타이트와 미탄니 사이에서 맺어진 조약문에는 바루나, 인드라, 아슈빈 쌍신과 함께 미스라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이후 인도에서는 미스라의 중요성이 낮아졌지만, 이란에서는 높은 인기를 누리며 중요한 역할을 했고, 다수의 신들 중에서도 특수한 위치를 차지했다. 조로아스터는 아후라 마즈다만을 숭배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미스라를 비롯한 많은 신들을 배척했지만, 이후 조로아스터교의 중급 신 야자타로 받아들여졌다. 아케메네스 제국 페르시아에서는 기원전 5세기경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는 미스라 신앙을 공공연하게 허용했다. 사산 왕조 페르시아(226년-651년)에서 조로아스터교가 국교가 되자 미트라는 영웅신, 태양신으로서 널리 숭배받았다.


6. 2. 로마 미트라교의 시작

미트라 밀교의 기원과 확산에 대해 학자들은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논쟁을 벌여왔다.[300] 클라우스(Clauss)는 미트라 밀교가 기원후 1세기에 출현하였다고 주장하는 반면,[301] 울란지(Ulansey)는 플루타르코스의 기록을 근거로 기원전 1세기 중반에 킬리키아의 해적들이 미트라의 "비밀 의식"을 실천했다고 주장한다.[302] 그러나 다니엘스(Daniels)는 이러한 주장들이 명확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303]

고고학적 유물에 따르면, 미트라교의 신전인 미트라에움기원후 1세기 후반에 갑작스럽게 나타났다.[304] 미트라교 관련 유물들은 《코르푸스 인스크립티오눔 에트 모누멘토룸 렐리기오니스 미트리아카에(CIMRM)》에 정리되어 있다.[305] 가장 초기의 토럭터니 유물은 로마에서 발견된 CIMRM 593으로, 98~99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306]

크림반도케르치 부근에서 발굴된 테라코타 판은 기원전 1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지만,[307] 베크(Beck)는 기원전 50년부터 기원후 50년 사이로 추정한다.[308] 이 판에 묘사된 인물이 프리기아 모자를 쓰고 있으나, 표준적인 토럭터니 인물 모습과는 다르다는 점과 여성 무덤에서 발견되었다는 점 때문에 미트라교와의 연관성에 논쟁의 여지가 있다.[309]

로마 제국 모이시아 지방 (120년)


로마 제국 판노니아 지방


알바 율리아에서 발견된 봉헌 제단


로마의 에스퀼리누스 언덕에서 발견된 제단에는 무적의 태양신 미트라(Sol Invictus Mithras)에게 바쳐진 라틴어그리스어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기원후 80~100년으로 추정된다.[310]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의 노바에/스테클렌에서 발견된 제단은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를 묘사하고 있으며, 기원후 100년으로 추정된다.

베노시아에서 발견된 그리스어 명문은 기원후 100~150년으로 추정된다. 레바논의 시돈에서 발견된 키푸스는 기원후 140~141년의 것으로 추정된다. 판노니아의 카르눈툼에서 발견된 명문은 기원후 114년 이전의 것으로 추정된다.[311] 다니엘스에 따르면, 카르눈툼 명문은 다뉴브강 지역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미트라교 봉헌물이며, 다뉴브강 지역은 이탈리아와 함께 미트라교가 최초로 뿌리를 내린 두 지역이다.[312] 이탈리아가 아닌 지역의 미트라에움 중 가장 초기의 것은 네카어강 유역의 뵈킹엔(Böckingen)에서 발견된 미트라에움으로, 기원후 148년 또는 그 이후로 추정된다.[313] 카이사레아 마리티마에서 발견된 미트라에움은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발견된 유일한 미트라에움이다.[314]

로저 베크에 따르면 미트라교의 초기 단계(80?~120 AD)의 종교적 장소들로 증명된 곳은 로마,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노리쿰, 유다이아, 판노이아 수페리오르, 모이시아 인페리오르 등이다.[315]

플루타르코스의 "폼페이우스전"에 따르면, 폼페이우스 시대(기원전 106년~기원전 48년)에 킬리키아의 해적들이 미트라교를 신봉했다.[152] 스타티우스의 『테바이스(Thebaid)』(1·719-720)에는 미트라교에 대해 언급하는 부분이 있지만, 폼페이에서는 미트라교 유적이 발견되지 않아[159] 이 시점에 미트라교가 이탈리아에 전해지지 않았다는 견해도 있다.[160]

기원후 117년의 로마 제국: 미트라교 초기의 종교적 장소들이 있었던 로마(라벤더)와 로마 속주(빨강)

6. 3. 후기 역사

미트라교의 확산은 안토니누스 피우스(재위 138~161) 후반기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재위 161~180) 시기에 로마 제국에서 상당히 일찍 시작되었다.[367] 이 시기에 미트라교는 모든 핵심 요소들을 완전히 갖추고 확고히 자리 잡았다.[367] 미트라교는 2~3세기에 절정에 달해 "놀라운" 속도로 퍼져나갔으며,[368] 이 시기는 솔 인빅투스(무적의 태양신) 신앙이 널리 퍼진 시기와 일치한다.[368] 팔라스와 에우불로스는 각각 미트라에 대한 논문과 《미트라의 역사(History of Mithras)》를 저술했지만, 두 저서 모두 소실되었다.[369]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콤모두스 황제가 미트라교 의식에 참여했다.[371] 그러나 미트라교는 로마의 국가적 후원을 받는 종교가 된 적은 없었다.[372]

산 클레멘테 바실리카 지하의 미트라에움, 2세기


로마 속주 갈리아 벨기카의 위치


미트라교의 쇠퇴 시기를 확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베크(Beck)는 4세기 초에 미트라교가 로마 제국 전역에서 사실상 사멸되었다고 보았다.[373] 4세기 이후의 명문은 소수이며,[374] 클라우스(Clauss)는 4세기 후반 "이교도 부흥" 시기에 기독교로 개종하지 않은 로마 원로원 의원들이 작성한 명문에 미트라교가 있다고 언급했다.[374] 울란지(Ulansey)는 기독교가 세력을 얻으면서 미트라교가 쇠퇴하여 5세기 초에 사멸했다고 주장했다.[375] 스파이델(Speidel)은 기독교인들이 미트라교를 맹렬히 억압하여 4세기에 신전들이 파괴되었다고 말했다.[376] 루터 마틴(Luther H. Martin)은 테오도시우스 1세의 반(反)이교 칙령으로 로마 미트라교가 사멸되었다고 주장했다.[377]

산타 프리스카 미트라에움과 산 클레멘테 미트라에움처럼 교회 지하에서 발견된 미트라에움들은 기독교가 미트라교를 아래에 두고 있다는 것을 상징한다.[378] 험프리스(Humphries)는 일부 지역에서 미트라교 성물들이 의도적으로 숨겨진 것은 기독교 공격에 대한 대비를 시사하지만, 라인 강 국경지대와 같은 지역에서는 야만 부족의 침입도 미트라교 사멸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379]

미트라교가 5세기까지 계속되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폰스 사라비(Pons Sarravi)의 미트라에움에서 발견된 동전들은 갈리에누스부터 테오도시우스 1세까지의 동전들로, 미트라에움이 4세기 말까지 기능했음을 보여준다.[380] 미트라교는 이시스 밀교보다 먼저 사라졌으며, 고대 후기에 이미 잊혀졌다.[381] 퀴몽은 미트라교가 알프스산맥과 보주산맥의 외진 칸톤들에서 5세기까지 살아남았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382]

콤모두스 황제(재위 180-192)는 미트라교 의식에 참여한 최초의 로마 황제이며, 오스티아에 황제령 일부를 기증했다.[161] 루키우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재위 193-211) 궁정에도 미트라교 신자가 있었다. 250년경부터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통치 시작(284년)까지 미트라교 유적이 급감했는데, 이는 다키아에 게르만 민족이 침입했기 때문이다.[162]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우렐리아누스는 여러 종교를 태양신 솔 인빅투스 아래 통합하려 했지만, 미트라스 신은 아니었다.[163]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불패 태양신 미트라에게 제단을 쌓았다.

이후 미트라교는 쇠퇴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기독교를 공인하고(313년) 니케아 공의회를 주도했으며(325년), 죽을 때 기독교 세례를 받았다. 이후 미트라 신전은 기독교도에게 습격받았고, 플라비우스 클라우디우스 율리아누스 황제(재위 361-363) 치세에 일시적으로 부활했지만, 5세기경에는 소멸했다.[164]

7. 토럭터니의 해석

프란츠 퀴몽은 미트라가 황소를 죽이는 장면인 토럭터니조로아스터교 우주론의 한 사건을 그리스-로마 양식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9세기의 조로아스터교 문헌인 《분다히쉰(Bundahishn)》에 기술된, 악의 세력인 아흐리만(Ahriman)이 원초 생물체 가바에보다타(Gavaevodata)를 죽이는 사건을 언급했다.[383] 퀴몽은 이 신화의 다른 버전에서는 아흐리만이 아닌 미트라가 그 소를 죽였다고 주장했지만, 힌넬스는 이러한 버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순한 추측일 뿐이라고 반박했다.[384] "미트라가 황소를 죽이는 장면은 [조로아스터교의 문헌이건 혹은 다른 문헌이건 간에] 알려진 이란의 문헌들 그 어느 곳에도 나오지 않는다."[125]

데이빗 울란지는 미트라에움 자체에서 천문학적 증거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385] 그는 신플라톤주의자 포르피리오스동굴과 같은 미트라교 신전을 "세상의 한 이미지"라고 기술한 것과[386] 자라투스트라가 미트라가 만든 세상과 닮은 동굴을 봉헌했다고 기술한 점에 주목했다.[326] 또한 카이사레아 마리티마(Caesarea Maritima) 미트라에움 천장의 파란색 페인트 흔적은 하늘과 별을 묘사하기 위한 채색이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387]

베크(Beck)는 토럭터니의 천체 상징물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388]



토럭터니 장면의 미트라에 대응하는 천체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제시되었다. 베크는 학자들의 의견을 다음 표와 같이 요약했다.[389]

학자천체
노스(North, J.D.)미트라 = 베텔게우스(오리온자리의 α별), 미트라의 칼 = 삼각형자리, 미트라의 망토 = 카펠라(마차부자리의 α별)
러트거스(Rutgers, A.J.)미트라 = 태양, 황소 =
바우사니(Bausani, A.)미트라는 사자자리와 관련
바이스(Weiss, M.)미트라 = 밤하늘
베크(Beck, R.L.)미트라 = 사자자리에 위치한 태양
상들랭(Sandelin, K.-G.)미트라 = 마차부자리
스파이델(Speidel, M.P.)미트라 = 오리온, 오리온자리
울란지(Ulansey, D.)미트라 = 페르세우스, 페르세우스자리
인슬러(Insler, S.)황소를 죽이는 것 = 황소자리의 혼몰
제이콥스(Jacobs, B.)황소를 죽이는 것 = 황소자리의 혼몰



울란지는 미트라가 황소자리 바로 위에 위치한 페르세우스자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미트라와 페르세우스의 유사성으로 젊은 영웅, 단검 소지, 프리기아 모자 착용을 들었다. 또한 페르세우스고르고를 죽이는 장면과 토럭터니의 유사성, 두 인물 모두 지하 동굴 및 페르시아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390]

마이클 스파이델은 미트라를 오리온자리와 관련시켰는데, 오리온자리황소자리에 가깝고, 미트라와 오리온 모두 넓은 어깨, 벌어진 끝부분, 좁은 허리, 허리띠를 가진 옷을 입은 모습에서 유사성을 찾았다.[391]

베크는 스파이델과 울란지가 문자 그대로 지도를 읽는 태도를 고수하는 것을 비판하며, 그들의 이론을 "잘못된 길로 꾀어 이끄는 도깨비불(will-o'-the-wisp)"이라고 혹평했다.[392] 그는 토럭터니를 문자 그대로 별자리표(star chart)로 읽는 것의 문제점으로, 미트라 자체에 대응하는 별자리를 찾기 어렵다는 점과 토럭터니의 각 요소가 한 가지 이상의 대응물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베크는 미트라를 한 별자리로 보기보다는, 토럭터니 장면의 다른 상징물들이 나타내는 천상의 무대의 제일의 여행자, 즉 별자리들을 통과하는 무적의 태양신(Unconquered Sun)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392]

메이어(Meyer)는 〈미트라 전례서〉가 미트라교의 세계를 반영하고 있으며, 미트라가 세차운동을 일으킨 신이라는 울란지의 이론이 맞다는 것을 확인해 주는 문헌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393]

피터 크리스프는 살해된 황소가 "성스러운 황소"였으며, 이 "행위[가] 우주의 생명력을 창조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믿어졌다"고 주장한다.[135] 이 도상은 미트라스 신에 의한 성우(聖牛) 헌상의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미트라스 신은 페르시아풍 의상을 입고 있으며, 수소의 등에 올라 왼쪽 무릎을 꿇으면서 오른발로 수소의 뒷다리를 누르고 있다. 왼쪽 손은 수소의 코를 잡고, 오른손은 수소에게 칼을 꽂고 있다. 상처에서 흘러넘치는 피에는 이, 또한 수소의 배 밑에서는 전갈이 수소의 생식기에 달려들고 있다. 미트라스 신의 양쪽에는 횃불을 든 두 명의 시종신 카우테스와 카우토파테스가 시중들고, 그 외에도 태양과 달, 사방의 바람, 십이궁, 까마귀 등의 상징이 따른다. 미트라스교는 풍요 숭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미트라스교의 도상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미트라스교 신전의 지성소 중앙에 반드시 이 도상이 배치되어, 그 앞에서 의례가 행해졌다[165]

8. 미트라교와 다른 종교

혼합주의는 고대 로마 종교의 특징인데, 미트라교도 예외는 아니었다. 거의 모든 미트라에움에는 다른 컬트 종교의 신들에게 바쳐진 상들이 있었다. 다른 신들의 신전에서 미트라에게 봉헌한 명문(銘文)이 흔히 발견되곤 하는데, 특히 유피테르 돌리케누스(Jupiter Dolichenus)의 신전에서 그러하다.[394] 미트라교는 고대 로마의 다른 전통적인 종교들을 대체하지 않았으며, 여러 종교적 실천 형태들 중 하나였다. 많은 미트라교 비전가들이 고대 로마시민 종교에 참여하고 있었고, 다른 신비 종교의 비전가들 목록 속에서 발견되기도 하였다.[395]

미트라교는 다른 이교의 신들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미트라교가 기독교와 연결 관계가 있다는 것을 지적하는 저술가들이 있다.

카르눈툼에서 발견된 유피테르 돌리케누스의 상, 3세기


|섬네일|240px|오른쪽|315년경의 콘스탄티누스 1세의 동전으로, 동전의 뒷면에는 솔 인빅투스가 묘사되어 있는데 [http://www.forumancientcoins.com/numiswiki/view.asp?key=soli%20invicto%20comiti "나의 동료인 무적의 태양신에게 헌정하는"]이라는 뜻의 솔리 인빅토 코미티(SOLI INVICTO COMITI)라는 문자가 새겨져 있다]]

|섬네일|240px|오른쪽|솔 또는 아폴로-헬리오스로서의 그리스도: 바티칸의 성 베드로 대성전 [http://www.saintpetersbasilica.org/Necropolis/Scavi.htm 아래]의 네크로폴리스의 4세기의 "영묘 M"에서 발견된 모자이크로 많은 학자들이 그리스도를 묘사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 동시대의 다른 신들 ===

오르페우스교(Orphism)의 교의와 사상은 미트라교에 가끔씩 영향을 끼쳤다.[396]

소피스트인 제노비오스(Zenobius)와 철학자이자 수학자였던 스미르나의 테온(Theon of Smyrna)의 저작에서 창조의 8원소 목록이 나오는데, 제노비오스의 저작에서는 7번째 원소가 '미트라(Mithras)'로, 스미르나의 테온의 저작에서는 '파네스(Phanes)'로 나온다는 점을 제외하면 동일하다.[397] 로마의 한 미트라에움에서 발견된 조각상의 기단부 명문에는 "솔-미트라-파네스 신에게 바치는"이라고 새겨져 있으며,[398] 하드리아누스 성벽의 베르코비키움(Vercovicium)에서 발견된 부조에는 미트라가 우주 알(cosmic egg)이자 황도대 고리 모양에서 나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398] 울란지(Ulansey)는 미트라와 파네스가 동일한 신이라는 것이 로마에서 발견된 명문들에 의해 명백하게 증명된다고 주장한다.[399] 이탈리아 모데나에 있는 또 다른 혼합주의 부조에는 파네스가 알에서 나오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는데, 뉴캐슬대학교 소장 부조와 매우 유사하다.[400] 이 외에도 미트라와 파네스가 같은 신으로 여겨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들이 더 있다.[401]

대여섯 명문(銘文)에서 미트라는 무적의 태양신을 뜻하는 "데우스 솔 인빅투스(deus sol invictus)"라는 호칭으로 불린다.[402] 그러나 미트라교는 고대 로마 후기의 국가 공인 종교였던 솔 인빅투스(Sol Invictus) 컬트 종교처럼 국가의 후원을 받은 적은 없었다.[372]

로마 속주 노리쿰의 카르눈툼(Carnuntum)에서 발견된 미트라에움들은 동시대의 유피테르 돌리케누스(Jupiter Dolichenus) 신전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건축되었으며,[403] 두 종교는 모두 비밀 의식을 가진 신비 종교였고 군인들 사이에 널리 퍼졌으며 성직자와 비전가 호칭이 서로 비슷했다. 아나톨리아 돌리케(Doliche)에서 발견된 두 개의 큰 규모의 미트라에움은 초기에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

미트라와 솔은 미트라교 아이코노그래피의 대여섯 장면에서 서로 다른 인물로 나타난다. 특히 솔과 미트라가 함께 만찬을 하는 장면,[404] 솔의 뒤에서 미트라가 솔의 전차를 타고 승천하는 장면, 두 신이 악수하는 장면 등이 두드러진다.[234] 솔이 미트라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있는 특이한 장면도 있는데, 이 장면에서 솔은 페르시아 모자나 황소 우둔살로 해석되는 물건을 들고 있다.[234]

미트라는 쿠샨 왕조에서 박트리아어 형태인 미이로(Miiro)로 불렸으며, 이 어형이 미륵의 어원이 되었다고 생각되며[192], 쿠샨 왕조에서의 태양신 미이로는, 후대의 미래불 미륵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193]。사다카타 아키라는 마니교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미이로에게 구세주적인 측면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마츠모토 분자부로의 가설에서는, 비교신화학 및 비교언어학의 계통 분석을 통해, 미트라교의 신화 체계가 불교에서는 보살로 받아들여져, 마이트레야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종말론적인 "미륵 신앙"이 형성되었다고 한다.[194]

=== 미트라교와 기독교 ===

초기 기독교와 미트라교의 관계는 2세기의 기독교 저술가인 순교자 유스티노스(100~165)의 언급에서 비롯된다. 유스티노스는 미트라교인들이 기독교의 성찬 의식을 악마로부터 전수받아 모방하고 있다고 비난하였다.[405] 그는 "악마들은 [성찬식을] 모방하여 전함으로써 그 똑같은 것[= 성찬식]이 미트라 밀교에서 행해지도록 만들었다."라고 주장했다.[406] 테르툴리아누스(160?~225?)는 미트라교의 비전 의식에서 비전가가 목욕 의식을 받고 이마에 표식을 받는 것을 기독교의 세례 성사와 견진 성사를 모방한 것이라고 기술하였다.[407]

마빈 메이어는 "초기 기독교는 ... 전반적으로, 많은 면에서 미트라교와 닮았다."라고 주장하며, 이 유사성이 기독교 변증론자들로 하여금 신학적 설명을 만들게 했다고 본다.[408] 호페(Hopfe)는 기독교 저술가들이 미트라교를 악마로부터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종교로 여겼기 때문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고 주장한다.[409] 고든(Gordon)은 기독교 변증론자들의 정보는 신뢰할 수 없다고 말한다.[410]

에르네스트 르낭(1823~1892)은 "만약 기독교의 성장이 어떤 치명적인 병폐에 의해 저지되었더라면 세상은 미트라교의 것이 되었을 것이다."라고 묘사했다.[411][412] 그러나 레너드 보일은 로마에 미트라에움이 50개밖에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미트라교의 위협이 과장되었다고 주장했다.[413] 에스퀘라(J. A. Ezquerra)는 두 종교의 지향점이 달랐기 때문에 미트라교가 로마 세계를 지배할 것이라는 위협은 실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414] 에드윈 야마우치는 르낭의 저작이 150년 전에 출판된 것으로 원천 자료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평가했다.[415]

보이스(Boyce)는 서방에서 미트라교가 기독교의 강력한 적이었다고 주장한다.[416][417][418] 필리포 코렐리는 로마 제국에 최소 680~690개의 미트라에움들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201] 루이스 호페는 400개 이상의 미트라교 유적이 로마 제국 전역에 퍼져 있었다고 말하며, 미트라교가 기독교의 라이벌이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203]

데이빗 울란지는 르낭의 진술이 "다소 과장된 것"이라면서도,[419] 미트라교가 "로마 제국에서의 기독교의 주요 경쟁자들 중의 하나"였다고 본다.[419] 그는 미트라교 연구가 "기독교가 탄생하게 된 문화적 모체"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419] 또한, 미트라와 예수가 "궁극적 신비와 만난다는 면에서, 인간의 영혼 속에 있는 한 가지 깊은 열망의 두 가지 모습의 현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420]

반면, 로널드 내시[421]와 에드윈 야마우치[422]를 포함한 학자들은 미트라교가 기독교에 영향을 주었다기보다는 오히려 기독교가 미트라교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는 주장을 제시하였다.

황소를 타고 있는 미트라


미트라가 예수처럼 처녀 잉태로 태어났다는 주장은 고대 기록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미트라교 연구(Mithraic Studies)》에 따르면, 미트라는 단단한 바위로부터 성인의 모습으로 태어났다.[424] 데이빗 울란지는 미트라가 바위로부터 탄생했다는 신화가 페르세우스 신화에서 유래한 믿음이라고 추정한다.[425]

미트라가 12월 25일에 태어났다는 주장에 대해, 베크(Beck)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필로칼루스의 달력〉에 나타나 있는 12월 25일자의 기념일 중에 인빅투스(Invictus: 무적의 존재)의 탄생일 축제가 있다는 것이 유일한 증거이며, '인빅투스(Invictus)'는 아우렐리아누스의 태양신솔 인빅투스이지 미트라가 아니라고 설명한다.[246] 클라우스(Clauss)는 12월 25일에 열린 '나탈리스 인빅티' 축제는 태양 또는 태양신에 대한 일반적인 축제였으며 미트라 밀교에 특정한 축제가 아니였다고 진술하였다.[427]

로마의 산타 프리스카 미트라에움 벽에는 "에트 노스 세르바스티(?) . . . 산구이네 푸소(et nos servasti (?) . . . sanguine fuso: 그리고 당신은 우리를 구원하였습니다. . . 흘린 피로써)"라는 텍스트가 있지만,[430] 미트라교의 구원에 대해 언급하는 자료는 없으며, 텍스트의 전체 의미는 불분명하다.[430] 로버트 터칸(Robert Turcan)은 미트라교의 구원이 개인의 영혼이 내세로 가는 것과는 관계가 없으며, 조로아스터교적 패턴에 기반한 것이었다고 설명한다.[431][432]

도나우강 유역에서 발견된 기념물에는 미트라가 암벽에 활을 쏘는 장면이 있는데, 이것은 물이 나오게 하기 위한 것으로, 클라우스는 이 물의 기적을 식사 의식 다음으로 '기독교와 가장 유사한 것'이라고 말하였다.[433][434]

테르툴리아누스는 미트라교 비전가들이 이마에 표식을 찍었다고 말했지만, 그 방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435] 이 표식이 십자가였는지 등에 대해서는 아무런 자료가 없으며, 페르 베스코브(Per Beskow)는 이마에 표식을 찍었다는 아이디어 자체가 "학자적인 신화"라고 주장하였다.[436]

18세기 말부터 몇몇 저술가들은 중세 기독교 미술의 요소들이 미트라교 부조에서 발견되는 이미지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437] 프란트 퀴몽은 미술가들이 미트라교를 위해 고안된 스톡이미지들을 성경 이야기를 묘사하는 데 사용하였다고 주장했다.[439]

동굴 속에서 불의 전차를 타고 있는 엘리야 (불가리아 릴라 수도원 프레스코, 중세 동방 정교회 전통)


베르마세렌(Vermaseren)은 엘리야가 불의 말들이 끄는 전차를 타고 승천하는 이미지가 미트라교의 영향을 받은 확실한 예라고 말한다.[441] 디먼(Deman)은 개별 요소들을 독립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유용하지 않으며, 이미지 유사성이 사상적 영향인지 기술적 전통의 문제인지 판별할 기준이 없다고 지적했다.[442]

산 클레멘테 미트라에움과 산타 프리스카 미트라에움처럼 로마에 소재한 미트라에움들이 기독교 교회 아래에서 발견되었지만, 미트라에움 위에 교회를 세우기 전에 잡석과 쇄석으로 미트라에움을 매운 후 교회를 세운 것으로 보여 계획적으로 기독교 교회로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되지 못한다.[443] 브리튼 제도의 초기 기독교 교회는 이전에 미트라에움으로 사용되었던 장소를 피해서 교회 부지를 선정하는 경향이 있었다.[443]

영국 링컨셔주 링컨의 성 베드로 교회 탑에는 여러 개의 열쇠를 들고 있는 미트라교의 사자 머리를 한 인물상이 있는데, 로마 제국 시대 링컨에 소재했던 미트라에움 유적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며, 사도 베드로를 나타낸 것이라고 오인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444]

8. 1. 동시대의 다른 신들

오르페우스교(Orphism)의 교의와 사상은 미트라교에 가끔씩 영향을 끼쳤다.[396] 오르페우스교에 따르면, 파네스(Phanes)는 태초에 시간이 시작될 때 세계 알(world egg)에서 나와 우주를 창조하였다.

소피스트인 제노비오스(Zenobius)와 철학자이자 수학자였던 스미르나의 테온(Theon of Smyrna)의 저작에서 창조의 8원소 목록이 나오는데, 제노비오스의 저작에서는 7번째 원소가 '미트라(Mithras)'로, 스미르나의 테온의 저작에서는 '파네스(Phanes)'로 나온다는 점을 제외하면 동일하다.[397] 로마의 한 미트라에움에서 발견된 조각상의 기단부 명문에는 "솔-미트라-파네스 신에게 바치는"이라고 새겨져 있으며,[398] 하드리아누스 성벽의 베르코비키움(Vercovicium)에서 발견된 부조에는 미트라가 우주 알(cosmic egg)이자 황도대 고리 모양에서 나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398] 울란지(Ulansey)는 미트라와 파네스가 동일한 신이라는 것이 로마에서 발견된 명문들에 의해 명백하게 증명된다고 주장한다.[399] 이탈리아 모데나에 있는 또 다른 혼합주의 부조에는 파네스가 알에서 나오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는데, 뉴캐슬대학교 소장 부조와 매우 유사하다.[400] 이 외에도 미트라와 파네스가 같은 신으로 여겨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자료들이 더 있다.[401]

대여섯 명문(銘文)에서 미트라는 무적의 태양신을 뜻하는 "데우스 솔 인빅투스(deus sol invictus)"라는 호칭으로 불리며, "인빅투스(invictus)"라는 낱말이 사용된 것은 이 호칭이 널리 사용되었다는 것을 뜻한다.[402] 그러나 미트라교는 고대 로마 후기의 국가 공인 종교였던 솔 인빅투스(Sol Invictus) 컬트 종교처럼 국가의 후원을 받은 적은 없었다.[372]

로마 속주 노리쿰의 카르눈툼(Carnuntum)에서 발견된 미트라에움들은 동시대의 유피테르 돌리케누스(Jupiter Dolichenus) 신전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건축되었으며,[403] 두 종교는 모두 비밀 의식을 가진 신비 종교였고 군인들 사이에 널리 퍼졌으며 성직자와 비전가 호칭이 서로 비슷했다. 아나톨리아 돌리케(Doliche)에서 발견된 두 개의 큰 규모의 미트라에움은 초기에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

미트라와 솔은 미트라교 아이코노그래피의 대여섯 장면에서 서로 다른 인물로 나타난다. 특히 솔과 미트라가 함께 만찬을 하는 장면,[404] 솔의 뒤에서 미트라가 솔의 전차를 타고 승천하는 장면, 두 신이 악수하는 장면 등이 두드러진다.[234] 솔이 미트라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있는 특이한 장면도 있는데, 이 장면에서 솔은 페르시아 모자나 황소 우둔살로 해석되는 물건을 들고 있다.[234]

미트라는 쿠샨 왕조에서 박트리아어 형태인 미이로(Miiro)로 불렸으며, 이 어형이 미륵의 어원이 되었다고 생각되며[192], 쿠샨 왕조에서의 태양신 미이로는, 후대의 미래불 미륵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193]。사다카타 아키라는 마니교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미이로에게 구세주적인 측면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마츠모토 분자부로의 가설에서는, 비교신화학 및 비교언어학의 계통 분석을 통해, 미트라교의 신화 체계가 불교에서는 보살로 받아들여져, 마이트레야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종말론적인 "미륵 신앙"이 형성되었다고 한다.[194]

8. 2. 미트라교와 기독교

초기 기독교와 미트라교의 관계는 2세기의 기독교 저술가인 순교자 유스티노스(100~165)의 언급에서 비롯된다. 유스티노스는 미트라교인들이 기독교의 성찬 의식을 악마로부터 전수받아 모방하고 있다고 비난하였다.[405] 그는 "악마들은 [성찬식을] 모방하여 전함으로써 그 똑같은 것[= 성찬식]이 미트라 밀교에서 행해지도록 만들었다."라고 주장했다.[406] 테르툴리아누스(160?~225?)는 미트라교의 비전 의식에서 비전가가 목욕 의식을 받고 이마에 표식을 받는 것을 기독교의 세례 성사와 견진 성사를 모방한 것이라고 기술하였다.[407]

마빈 메이어는 "초기 기독교는 ... 전반적으로, 많은 면에서 미트라교와 닮았다."라고 주장하며, 이 유사성이 기독교 변증론자들로 하여금 신학적 설명을 만들게 했다고 본다.[408] 호페(Hopfe)는 기독교 저술가들이 미트라교를 악마로부터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종교로 여겼기 때문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다고 주장한다.[409] 고든(Gordon)은 기독교 변증론자들의 정보는 신뢰할 수 없다고 말한다.[410]

에르네스트 르낭(1823~1892)은 "만약 기독교의 성장이 어떤 치명적인 병폐에 의해 저지되었더라면 세상은 미트라교의 것이 되었을 것이다."라고 묘사했다.[411][412] 그러나 레너드 보일은 로마에 미트라에움이 50개밖에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미트라교의 위협이 과장되었다고 주장했다.[413] 에스퀘라(J. A. Ezquerra)는 두 종교의 지향점이 달랐기 때문에 미트라교가 로마 세계를 지배할 것이라는 위협은 실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414] 에드윈 야마우치는 르낭의 저작이 150년 전에 출판된 것으로 원천 자료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평가했다.[415]

보이스(Boyce)는 서방에서 미트라교가 기독교의 강력한 적이었다고 주장한다.[416][417][418] 필리포 코렐리는 로마 제국에 최소 680~690개의 미트라에움들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201] 루이스 호페는 400개 이상의 미트라교 유적이 로마 제국 전역에 퍼져 있었다고 말하며, 미트라교가 기독교의 라이벌이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203]

데이빗 울란지는 르낭의 진술이 "다소 과장된 것"이라면서도,[419] 미트라교가 "로마 제국에서의 기독교의 주요 경쟁자들 중의 하나"였다고 본다.[419] 그는 미트라교 연구가 "기독교가 탄생하게 된 문화적 모체"를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419] 또한, 미트라와 예수가 "궁극적 신비와 만난다는 면에서, 인간의 영혼 속에 있는 한 가지 깊은 열망의 두 가지 모습의 현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420]

반면, 로널드 내시[421]와 에드윈 야마우치[422]를 포함한 학자들은 미트라교가 기독교에 영향을 주었다기보다는 오히려 기독교가 미트라교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는 주장을 제시하였다.

미트라가 예수처럼 처녀 잉태로 태어났다는 주장은 고대 기록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미트라교 연구(Mithraic Studies)》에 따르면, 미트라는 단단한 바위로부터 성인의 모습으로 태어났다.[424] 데이빗 울란지는 미트라가 바위로부터 탄생했다는 신화가 페르세우스 신화에서 유래한 믿음이라고 추정한다.[425]

미트라가 12월 25일에 태어났다는 주장에 대해, 베크(Beck)는 사실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는 〈필로칼루스의 달력〉에 나타나 있는 12월 25일자의 기념일 중에 인빅투스(Invictus: 무적의 존재)의 탄생일 축제가 있다는 것이 유일한 증거이며, '인빅투스(Invictus)'는 아우렐리아누스의 태양신솔 인빅투스이지 미트라가 아니라고 설명한다.[246] 클라우스(Clauss)는 12월 25일에 열린 '나탈리스 인빅티' 축제는 태양 또는 태양신에 대한 일반적인 축제였으며 미트라 밀교에 특정한 축제가 아니였다고 진술하였다.[427]

로마의 산타 프리스카 미트라에움 벽에는 "에트 노스 세르바스티(?) . . . 산구이네 푸소(et nos servasti (?) . . . sanguine fuso: 그리고 당신은 우리를 구원하였습니다. . . 흘린 피로써)"라는 텍스트가 있지만,[430] 미트라교의 구원에 대해 언급하는 자료는 없으며, 텍스트의 전체 의미는 불분명하다.[430] 로버트 터칸(Robert Turcan)은 미트라교의 구원이 개인의 영혼이 내세로 가는 것과는 관계가 없으며, 조로아스터교적 패턴에 기반한 것이었다고 설명한다.[431][432]

도나우강 유역에서 발견된 기념물에는 미트라가 암벽에 활을 쏘는 장면이 있는데, 이것은 물이 나오게 하기 위한 것으로, 클라우스는 이 물의 기적을 식사 의식 다음으로 '기독교와 가장 유사한 것'이라고 말하였다.[433][434]

테르툴리아누스는 미트라교 비전가들이 이마에 표식을 찍었다고 말했지만, 그 방식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435] 이 표식이 십자가였는지 등에 대해서는 아무런 자료가 없으며, 페르 베스코브(Per Beskow)는 이마에 표식을 찍었다는 아이디어 자체가 "학자적인 신화"라고 주장하였다.[436]

18세기 말부터 몇몇 저술가들은 중세 기독교 미술의 요소들이 미트라교 부조에서 발견되는 이미지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437] 프란트 퀴몽은 미술가들이 미트라교를 위해 고안된 스톡이미지들을 성경 이야기를 묘사하는 데 사용하였다고 주장했다.[439]

베르마세렌(Vermaseren)은 엘리야가 불의 말들이 끄는 전차를 타고 승천하는 이미지가 미트라교의 영향을 받은 확실한 예라고 말한다.[441] 디먼(Deman)은 개별 요소들을 독립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유용하지 않으며, 이미지 유사성이 사상적 영향인지 기술적 전통의 문제인지 판별할 기준이 없다고 지적했다.[442]

산 클레멘테 미트라에움과 산타 프리스카 미트라에움처럼 로마에 소재한 미트라에움들이 기독교 교회 아래에서 발견되었지만, 미트라에움 위에 교회를 세우기 전에 잡석과 쇄석으로 미트라에움을 매운 후 교회를 세운 것으로 보여 계획적으로 기독교 교회로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되지 못한다.[443] 브리튼 제도의 초기 기독교 교회는 이전에 미트라에움으로 사용되었던 장소를 피해서 교회 부지를 선정하는 경향이 있었다.[443]

영국 링컨셔주 링컨의 성 베드로 교회 탑에는 여러 개의 열쇠를 들고 있는 미트라교의 사자 머리를 한 인물상이 있는데, 로마 제국 시대 링컨에 소재했던 미트라에움 유적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며, 사도 베드로를 나타낸 것이라고 오인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444]

참조

[1] 백과사전 Mithraism http://www.iranicaon[...] 2011-03-14
[2] 웹사이트 The pagan shadow of Christ? http://www.bbc.co.uk[...] BBC-History 2011-06-04
[3]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The god and his mysteries Edinburgh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Contra Celsus http://www.newadvent[...] 2012-11-11
[5] 백과사전 Mithras https://www.perseus.[...] 2021-02-20
[6]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7] 백과사전 Μίθρας https://www.perseus.[...] Tufts University 2023-01-24
[8] 서적 Rig Veda 2011-05-13
[9] 서적 Mithras-Orion: Greek hero and Roman army god https://books.google[...] Brill
[10]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https://archive.org/[...] Eisenbrauns 2011-03-19
[11] 서적 The cults of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2011-03-19
[12] 간행물 The 'Aryan' gods of the Mitanni treaties 1960-10
[13] 이라니카 mithra-i
[14] 서적 Studies in Mithraism L'Erma di Bretschneider
[15] 서적 Zoroastrianism under Macedonian and Roman Rule https://books.google[...] Brill 2011-03-16
[16]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Oxford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Harmonious Opposition (Part I): Pythagorean themes of cosmogonic mediation in the Roman mysteries of Mithras http://www.irisnoir.[...] 2011-06-14
[18] 웹사이트 The sacrifices of Mithras http://www.isvroma.i[...] 2011-04-04
[19] 간행물 The iconography of Cautes and Cautopates: The data
[20] 웹사이트 Mithraism http://www2.evansvil[...] 2004-04-02
[21] 학위논문 Hic locus est felix, sanctus, piusque benignus: The cult of Mithras in fourth century Rome
[22] 서적 The Religious Context of Early Christianity: A guide to Graeco-Roman religions https://books.google[...] T & T Clark Ltd. 2011-09-04
[23]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Studia Archaeologica https://books.google[...] Brill 2011-10-04
[26] 서적 Studia Archaeologica Brill 2011-10-04
[27] 서적 Instructiones
[28] 서적 Études mithriaques
[29]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s http://www.sacred-te[...] 2011-02-13
[30] 간행물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leontocephaline in Roman Mithraism 1985-07
[31] 서적 The Excavations in the Mithraeum of the Church of Santa Prisca in Rome https://books.google[...] Brill 2011-04-03
[32] 백과사전 Roman religion https://www.britanni[...] 2011-07-04
[33] 간행물 Merkelbach's Mithras
[34] 서적 Mithras: Kult und Mysterien Beck
[35] 웹사이트 Mithraism http://www.novaroma.[...] Nova Roma 2013-09-07
[36] 서적 History of Art: The Western Tradition Pearson Education
[37] 서적 A Mithraic catechism from Egypt: https://books.google[...] Verlag Adolf Holzhausens 2022-08-06
[38] 서적 The "Mithras liturgy" https://archive.org/[...] Scholars Press for th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39] 서적 Mithraic Studi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0]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arva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Classical Myth and Religion
[42] 서적 Religions of the Hellenistic-Roman Age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43]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Mithraic Studi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5]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arvard University Press
[46] 서적 Letters
[47] 논문 Die sieben Grade des Mithras-Kultes
[48] 논문 Mithraism in the private and public lives of 4th-c. senators in Rome http://www.uhu.es/ej[...] 2010-01-10
[49] 간행물 Firmicus Maternus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1-04-08
[50]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11-04
[51] 논문 Ritual, myth, doctrine, and initiation in the Mysteries of Mithras: New evidence from a cult vessel
[52] 논문 Das Mainzer Mithrasgefäß http://www.uni-koeln[...] 2008-10-17
[53] 서적 Religion as a Human Capacity: A festschrift in honor of E. Thomas Lawson BRILL
[54]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s https://archive.org/[...] 2011-07-06
[55] 간행물 Mithraism Thomas Gale, Macmillan Reference USA
[56] 서적 Select Passages Illustrating Mithraism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11-03-28
[57] 논문 The Exclusion of women in the Mithraic Mysteries: Ancient or modern?
[58] 서적 De Corona Militis
[59] 간행물 Mithra (ii). Iconography in Iran and Central Asia http://www.iranicaon[...] 2016-05-19
[60] 서적 Mithras: the Secret God Chatto and Windus
[61] 서적 Corpus inscriptionum et monumentorum religionis mithriacae Martinus Nijhoff
[62] 서적 Corpus inscriptionum et monumentorum religionis mithriacae Martinus Nijhoff
[63] 서적 Corpus inscriptionum et monumentorum religionis mithriacae Martinus Nijhoff
[64] conference "[no title cited]" Manchester University Press
[65] 서적 Religious Rivalries in the Early Roman Empire and the Rise of Christianity
[66] 웹사이트 The Cosmic Mysteries of Mithras http://www.well.com/[...] 2011-03-20
[67] conference The role of the Roman army in the spread and practice of Mithra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68] 논문 The mysteries of Mithras: A new account of their genesis
[69] 서적 Corpus inscriptionum et monumentorum religionis mithriacae Martinus Nijhoff
[70] 논문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CIMRM 593 (British Museum, Townley Collection http://www.hums.cant[...]
[71] 서적 Études mithriaques
[72] 서적 Le culte de Mithra sur la cote spetentrionale de la Mer Noire
[73] 서적 Aufsteig und Niedergang der romischen Welt 2022-08-06
[74] 간행물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CIMRM 593 (British Museum, Townley collection) http://www.hums.cant[...]
[75]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Eisenbrauns
[76] 웹사이트 Thebaid http://www.theoi.com[...] 2011-04-12
[77] 웹사이트 Thebaid http://www.theoi.com[...] 2011-04-12
[78] 서적 First and Second Apologies of Justin Martyr
[79] 서적 Lives 2021-02-19
[80] 간행물 Plutarch's Mithraic pirates: An appendix to the article by Franz Cummont "The Dura Mithraeum"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3-02-23
[81] 서적 '[no title cited]'
[82] 간행물 Mithraism http://www.iranicaon[...] 2011-05-15
[83] 서적 Theorizing Religions Past: Archaeology, history, and cognition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11-03-28
[84]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85] 서적 Greek Magical Papyrus Bibliothèque Nationale
[86] 서적 Eine Mithrasliturgie https://archive.org/[...] B.G. Teubner
[87] 서적 The "Mithras Liturgy":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Mohr Siebeck
[88]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ersity Press
[89] 간행물 Probably not Mithras 2005-03
[90] 뉴스 Mithra ii. Iconography in Iran and Central Asia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2016
[91] 서적 Textes et monuments figurés relatifs aux mystères de Mithra H. Lamertin 1894-1900
[92]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 http://www.sacred-te[...] Open Court 2011-02-13
[93]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https://archive.org/[...] Eisenbrauns 2011-03-19
[94] 웹사이트 The Mysteries of Mithra http://www.sacred-te[...] 2011-02-13
[95] 웹사이트 The Mysteries of Mithra http://www.sacred-te[...] 2011-02-13
[96] 서적 Mithraic studies
[97] 서적 Mithraic Studi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98] 서적 Mithraic Studies
[99] 서적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Ashgate
[100] 웹사이트 The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of Mithraic Studies, Tehran, September 1975 http://www.hums.cant[...] 2011-03-20
[101] 간행물 Mithra the King and Varuna the Master WWT
[102] 서적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Ashgate 2023-02-23
[103]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04] 웹사이트 Roger Beck,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Mysteries of the Unconquered Sun. Reviewed by Peter Edwell, Macquarie University, Sydney http://bmcr.brynmawr[...] 2011-06-14
[105]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106] 서적 Religious Rivalries in the Early Roman Empire and the Rise of Christianity
[107] 간행물 Mithraism http://www.iranicaon[...] Mazda Pub 2007-10-28
[108] 웹사이트 The mysteries of Mithras: A new account of their genesis http://azargoshnasp.[...] 2011-03-23
[109] 문서 Beck, R., 2002: "Discontinuity's weaker form of argument postulates re-invention among and for the denizens of the Roman empire (or certain sections thereof), but re-invention by a person or persons of some familiarity with Iranian religion in a form current on its western margins in the first century CE. Merkelbach (1984: pp. 75–77), expanding on a suggestion of M. P. Nilsson, proposes such a founder from eastern [[Anatolia]], working in court circles in Rome. So does Beck (1998), with special focus on the dynasty of Commagene (see above). Jakobs 1999 proposes a similar scenario."
[110] 문서 Reinhold Merkelbach, ''Mithras'', Konigstein, 1984, ch. 75–77
[111]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Eisenbrauns
[112] 웹사이트 Mithraism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Online Edition 2011-05-16
[113] video The Literary Holy Grail of Mithraic Studies, East and West: The Parthian Epic of Samak-e ʿAyyar https://www.youtube.[...] 2019-09
[114] 서적 Religions of the Hellenistic-Roman Age https://archive.org/[...] Wm.B. Eerdmans Publishing
[115] 논문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CIMRM 593 (British Museum, Townley Collection)
[116] 서적 Scriptores Historiae Augustae: Commodus
[117] 서적 The Age of Constantine the Grea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52
[118] 웹사이트 The Cosmic Mysteries of Mithras http://www.well.com/[...] 2011-03-20
[119] 서적 Mithras-Orion: Greek hero and Roman army god https://books.google[...] Brill 2011-03-27
[120] 서적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Ashgate Publishing 2004-12-30
[121]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 Open Court
[12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arly Christian stud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12-10
[123] 서적 The Excavations in the Mithraeum of the Church of Santa Pricsa in Rome https://books.google[...] Brill 2011-04-03
[124] 서적 The Greater [Bundahishn] http://www.avesta.or[...] 2009-10-09
[125] 컨퍼런스 Reflections on the bull-slaying scen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26] 서적 De Antro Nympharum http://www.tertullia[...] 2009-10-09
[127] 서적 De Antro Nympharum http://www.tertullia[...] 2009-10-09
[128]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Eisenbrauns
[129] 서적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Ashgate Publishing
[130] 서적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Ashgate Publishing
[131] 서적 Mithras-Orion: Greek hero and Roman army god Brill Academic Publishers 1997-08
[132] 논문 Illuminating Mithraic Iconography: Mithras, God of Light, as the Milky Way
[133] 서적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Ashgate Publishing 2023-02-23
[134]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5] 서적 History of the World in 1,000 Objects DK (publisher) and the Smithsonian 2014-10
[136]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arvard University Press
[137]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https://archive.org/[...] Eisenbrauns 2011-03-19
[138] 웹사이트 FAQ http://www.hums.cant[...] 2011-03-22
[139] 서적 The Christian Myster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4-09-10
[140] 서적 Ablution, Initiation, and Baptism: Late antiquity, early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Walter de Gruyter
[141] 서적 Forerunners and Rivals of Christianity: Being studies in religious history from 330 B.C.–330 A.D. https://books.google[...] 2011-04-12
[142] 서적 Marc-Aurele et la fin du monde antique
[143] 서적 The Hibbert Lectures 1880: Lectures on the Influence of the Institutions, Thought and Culture of Rome on Christian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Church 1898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11-03-22
[144] 서적 A short guide to St. Clement's, Rome Collegio San Clemente
[145] 서적 Romanising Oriental Gods: Myth, salvation and ethics in the cults of Cybele, Isis and Mithras https://books.google[...] Brill 2023-02-23
[146]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Routledge
[147] 서적 Zoroastrian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1-03-17
[148] 서적 The Excavations in the Mithraeum of the Church of Santa Pricsa in Rome https://books.google[...] Brill 2011-09-04
[149] 백과사전 Mithra https://www.britanni[...] 2011-04-09
[150] 서적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3-20
[151]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https://archive.org/[...] Eisenbrauns 2011-03-19
[152] 문서 プルタルコス「ポンペイウス伝」24。
[153] 문서 M・P・ニルソン、E・ウィル、A・D・ノック、メルケルバッハ。
[154] 서적 Marc-Aurele et la fin du monde antique https://books.google[...]
[155] 서적 Sekai shūkyōshi https://www.worldcat[...] Chikuma Shobō 1991
[156] 문서 小川、リトン、p.62~63。
[157] 문서 ジョルジュ・デュメジル『神々の構造』p.60-62、165。
[158] 문서 岡田明憲『ゾロアスター教』p.43、180-181。
[159] 문서 フェルマースレン、邦訳、p.32。
[160] 문서 小川、リトン、p.175。
[161] 문서 小川、中公新書、p.123。
[162] 문서 ヴィカンデル、邦訳、p.204。
[163] 문서 小川、リトン、p.182。
[164] 문서 ヴィカンデル、邦訳、p.133によれば末期の数年間。
[165] 문서 小川、リトン、p.36。
[166] 문서 小川、リトン、p.231。
[167] 문서 小川、リトン、p.229。
[168] 문서 小川、リトン、p.230-231。
[169] 문서 小川、リトン、p.229-230。
[170] 문서 小川、リトンの図版p.5-6を参照。
[171] 문서 小川、リトン、p.197。
[172] 문서 小川、リトン、p.239。
[173] 문서 小川、リトン、p.302、312。
[174] 문서 小川、リトン、p.129。
[175] 문서 小川、リトン、p.67。
[176] 뉴스 ロンドン金融街でローマ時代の遺物発見、工芸品など1万点 https://www.cnn.co.j[...]
[177] 문서 First Apology http://www.tertullia[...]
[178] 문서 The Case for the Real Jesus Zondervan
[179] 서적 The Masks of God: Occidental Mythology Viking Press
[180] 문서 Reinventing Jesus
[181] 간행물 Mithraic Studi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f Mithraic Studies Manchester U. Press
[182] 서적 The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Cosmology and Salvation in the Ancient World Oxford U. Press
[183] 간행물 Salut Mithriaque et soteriologie neoplatonicienne
[184] 문서 Merkelbach's Mithras
[185] 문서 De praescriptione haereticorum
[186] 서적 “Mithras and Christ: Some Iconographical Similarities,” in Mithraic Studies, vol. 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87] 서적 “Mithras and Christ: Some Iconographical Similarities,” in Mithraic Studies, vol. 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88]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s Dover Publications
[189] 서적 “Mithras and Christ: Some Iconographical Similarities,” in Mithraic Studies, vol. 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0] 서적 Mithras: The Secret God Chatto & Windus
[191] 서적 “Mithras and Christ: Some Iconographical Similarities,” in Mithraic Studies, vol. 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2] 서적 ゾロアスターの神秘思想 講談社現代新書
[193] 서적 ミトラス教 山本書店
[194] 서적 弥勒浄土論・極楽浄土論 平凡社東洋文庫
[195] 서적 Select Passages Illustrating Mithraism 1925 http://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04-10-15
[196] 웹인용 Mithraism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Online Edition 2002-07-20
[197] 웹인용 Electronic Journal of Mithraic Studies http://www.uhu.es/ej[...] 2011-03-28
[198] 웹인용 Mithraism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Online Edition 2002-07-20
[199] 문서 The Roman cult of Mithras
[200]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The God and his Mysteries
[201] 서적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The Rise and Decline of the Roman World] http://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3-20
[202]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203]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Eisenbrauns 2011-03-19
[204] 문서 A Latin Dictionary http://www.perseus.t[...]
[205]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206] 백과사전 Britannica,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7]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208] 문서 Cyropaedia http://www.perseus.t[...]
[209] 저널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CIMRM 593 (British Museum, Townley Collection
[210] 문서 Rig Veda 3, Hymn 59 http://www.sacred-te[...]
[211] 서적 Mithras-Orion: Greek hero and Roman army god http://books.google.[...] Brill
[212]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http://books.google.[...] Eisenbrauns 1994-09
[213] 서적 The cults of the Roman Empire http://books.google.[...] Wiley-Blackwell 1996
[214] 저널 The 'Aryan' Gods of the Mitanni Treaties
[215] 서적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iranica.com
[216] 서적 Studies in Mithraism L'Erma di Bretschneider
[217]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218] 서적 Zoroastrianism under Macedonian and Roman rule, Part 1 http://books.google.[...] Brill 2011-03-16
[219] 서적 Why God Won't Go Away Ballantine
[220]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221] 문서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 xxi:
“we possess virtually no theological statements either by Mithraists themselves or by other writers.”

[222]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223] 문서 David Ulansey, 《The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p. 6]:
"Although the iconography of the cult varied a great deal from temple to temple, there is one element of the cult's iconography which was present in essentially the same form in every mithraeum and which, moreover, was clearly of the utmost importance to the cult's ideology; namely the so-called tauroctony, or bull-slaying scene, in which the god Mithras, accompanied by a series of other figures, is depicted in the act of killing the bull."

[224] 문서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77.
[225] 웹인용 Harmonious Opposition (PART I): Pythagorean Themes of Cosmogonic Mediation in the Roman Mysteries of Mithras http://www.irisnoir.[...] 2011-06-14
[226] 문서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98-9.
“An image search for "tauroctony" will show many examples of the variations.”

[227] 웹인용 The sacrifi ces of Mithras http://www.isvroma.i[...] 2011-04-04
[228] 간행물 J. R. Hinnells, "The Iconography of Cautes and Cautopates: the Data," Journal of Mithraic Studies 1, 1976, pp. 36-67. See also William W. Malandra, [http://www.iranica.com/newsite/index.isc?Article=http://www.iranica.com/newsite/articles/unicode/v5f1/v5f1a033.html Cautes and Cautopates http://www.iranica.c[...]
[229] 문서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74.
[230] 웹사이트 L'Ecole Initiative: Alison Griffith, 1996. "Mithraism" http://www2.evansvil[...]
[231] 서적 Hic locus est felix, sanctus, piusque benignus: The cult of Mithras in fourth century Rome,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philosophiae doctor (PhD)
[232] 서적 The religious context of early Christianity: a guide to Graeco-Roman religions http://books.google.[...] T & T Clark Ltd. 2011-04-09
[233]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34] 문서 Beck, Roger, "In the Place of the Lion: Mithras in the Tauroctony" in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2004), p. 286-287].
[235]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36] 서적 Studia Archaeologica http://books.google.[...] Brill 2011-04-10
[237] 서적 Studia Archaeologica http://books.google.[...] Brill 2011-04-10
[238] 문서 Commodian, 《Instructiones》 1.13: "The unconquered one was born from a rock, if he is regarded as a god." See also image of "Mithras petra genetrix Terme" inset above.
[239] 간행물 von Gall, Hubertus, "The Lion-headed and the Human-headed God in the Mithraic Mysteries," in Jacques Duchesne-Guillemin ed. 《Études mithriaques》, 1978, pp. 511
[240] 문서 Cumont Franz, 《The Mysteries of Mithras》, http://www.sacred-te[...]
[241] 간행물 Jackson, Howard M.,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Leontocephaline in Roman Mithraism" in《Numen》, Vol. 32, Fasc. 1 (Jul., 1985), pp. 17-45
[242] 서적 Mithraic studi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f Mithraic studies, Vol II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243] 문서 Beck, R, 《Beck on Mithraism》, pp. 194
[244] 서적 The Excavations in the Mithraeum of the Church of Santa Pricsa in Rome http://books.google.[...] Brill 2011-04-03
[245] 백과사전 Roman Religio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1-04-07
[246] 논문 Merkelbach's Mithras
[247] 서적 Mithras: Kult und Mysterien Beck
[248]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249] 웹사이트 The "Mithras Liturgy" http://www.hermetic.[...]
[250] 서적 "Mithraic graffiti from Dura-Europos," in Mithraic Studies, vol. 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51]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52]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53]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54] 서적 Hic locus est felix, sanctus, piusque benignus: The cult of Mithras in fourth century Rome,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philosophiae doctor (PhD)
[255]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56] 서적 Oxford Dictionary of Classical Myth and Religion
[257] 서적 Religions of the Hellenistic-Roman age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258]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59] 문서 "Beck on Mithraism"
[260] 서적 Mithraic Studies, vol. 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61]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62] 서적 Hic locus est felix, sanctus, piusque benignus: The cult of Mithras in fourth century Rome,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philosophiae doctor (PhD)
[263]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64] 서적 Oxford Dictionary of Classical Myth and Religion
[265] 서적 Oxford Dictionary of Classical Myth and Religion
[266]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67]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68]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69] 웹사이트 Mithras http://www.stoa.org/[...] 2015-09-24
[270]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71] 서적 Letters http://www.ccel.org/[...]
[272]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73]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74] 논문 Die sieben Grade des Mithras-Kultes
[275] 논문 Mithraism in the private and public lives of 4th-c. senators in Rome http://www.uhu.es/ej[...] 2010-09-28
[276]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77]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78]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7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atrick J. Healy, 1909 Edition http://www.newadvent[...]
[280]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ttp://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1-04-11
[281] 문서 Beck on Mithraism
[282] 저널 Ritual, Myth, Doctrine, and Initiation in the Mysteries of Mithras: New Evidence from a Cult Vessel
[283] 저널 Das Mainzer Mithrasgefäß http://www.uni-koeln[...]
[284] 서적 Ritual Competence and Mithraic Ritual BRILL
[285]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86]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87]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s http://www.archive.o[...] 2011-06-07
[288] 백과사전 Mithraism Thomas Gale, Macmillan Reference USA 2011-03-31
[289] 저널 The Exclusion of Women in the Mithraic Mysteries: Ancient or Modern?
[290]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91]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92]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293] 문서 De Corona Militis
[294] 서적 Mithras: the Secret God Chatto and Windus
[295] 서적 Corpus inscriptionum et monumentorum religionis mithriacae Martinus Nijhoff
[296] 서적 Corpus inscriptionum et monumentorum religionis mithriacae Martinus Nijhoff
[297] 서적 Corpus inscriptionum et monumentorum religionis mithriacae Martinus Nijhoff
[298] 서적 Mithraic studi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f Mithraic studies, Vol. II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299] 서적 Mithraic studi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f Mithraic studies, Vol. II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300] 서적 Religious Rivalries in the Early Roman Empire and the Rise of Christianity
[301]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Edinburgh University Press
[302] 웹인용 The Cosmic Mysteries of Mithras http://www.well.com/[...] 2011-03-20
[303] 간행물 The role of the Roman army in the spread and practice of Mithra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304] 저널 The Mysteries of Mithras: A New Account of their Genesis
[305] 서적 Corpus inscriptionum et monumentorum religionis mithriacae Martinus Nijhoff
[306] 저널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CIMRM 593 (British Museum, Townley Collection
[307] 간행물 The routes of early Mithraism
[308] 간행물 Mithraism since Franz Cumont
[309] 간행물 The routes of early Mithraism
[310] 저널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CIMRM 593 (British Museum, Townley Collection
[311] 저널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CIMRM 593 (British Museum, Townley Collection
[312] 간행물 The Roman army and the spread of Mithraism Manchester UP
[313] 간행물 The Roman army and the spread of Mithraism Manchester UP
[314] 간행물 Archaeological indications on the origins of Roman Mithraism Eisenbrauns
[315] 문서 Beck on Mithraism
[316] 서적 Zoroastrianism under Macedonian and Roman rule, Part 1 http://books.google.[...] Brill 2011-03-16
[317]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318] 문서 Statius: Thebaid 1.719 to 720 http://www.theoi.com[...]
[319] 문서 The prayer begins at Statius Thebaid 1.696 http://www.theoi.com[...]
[320]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321] 문서 "《Life of Pompey》 24" http://penelope.uchi[...]
[322]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323] 간행물 Plutarch's Mithraic pirates http://books.google.[...] E.D.Francis
[324] 문서 Dio Cassius 63.5.2
[325] 웹인용 Mithraism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Online Edition 2011-05-15
[326] 문서 De antro nympharum http://www.tertullia[...] Porphyry
[327] 문서 De antro nympharum http://www.tertullia[...] Porphyry
[328] 서적 Mithras Platonicus 1975
[329] 문서 Merkelbach's Mithras
[330] 서적 Theorizing religions past: archaeology, history, and cognition http://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11-03-28
[331]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32]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333]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4] 문서 Eine Mithrasliturgie, 2nd edition, pp 1-2 http://www.archive.o[...]
[335] 문서 'The "Mithras Liturgy":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Mohr Siebeck 2003
[336]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37] 문서 'The "Mithras Liturgy":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Mohr Siebeck 2003
[338] 간행물 Probably Not Mithras 2005-03
[339] 서적 Textes et monuments figurés relatifs aux mystères de Mithra H. Lamertin 1894-1900
[340]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 http://www.sacred-te[...] Open Court 2012-05-16
[341] 문서 Merkelbach's Mithras 1987
[342]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http://books.google.[...] Eisenbrauns 2011-03-19
[343] 문서 The Mysteries of Mithra http://www.sacred-te[...] 2011-02-13
[344] 문서 The Mysteries of Mithra http://www.sacred-te[...] 2012-05-16
[345]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346] 간행물 Reflections on the bull-slaying scene http://books.google.[...]
[347] 간행물 Reflections on the bull-slaying scene http://books.google.[...]
[348] 간행물 Reflections on the bull-slaying scene
[349] 간행물 Franz Cumont and the doctrines of Mithraism
[350] 서적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Ashgate
[351] 웹인용 The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of Mithraic Studies, Tehran, September 1975 http://www.hums.cant[...] 2011-03-20
[352] 저널 Mithra the King and Varuna the Master WWT
[353] 서적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http://books.google.[...] Ashgate
[354]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55] 웹인용 Roger Beck,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Mysteries of the Unconquered Sun. Reviewed by Peter Edwell, Macquarie University, Sydney http://bmcr.brynmawr[...] 2011-06-14
[356]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357] 서적 Religious Rivalries in the Early Roman Empire and the Rise of Christianity
[358] 백과사전 Mithraism http://www.iranicaon[...] Mazda Pub 2007-10-28
[359] 웹인용 The mysteries of Mithras: A new account of their genesis http://azargoshnasp.[...] 2011-03-23
[360] 문서 Beck, R., 2002: "Discontinuity’s weaker form of argument postulates re-invention among and for the denizens of the Roman empire (or certain sections thereof), but re-invention by a person or persons of some familiarity with Iranian religion in a form current on its western margins in the first century AD. Merkelbach (1984: pp. 75-77), expanding on a suggestion of M.P. Nilsson, proposes such a founder from eastern Anatolia, working in court circles in Rome. So does Beck 1998, with special focus on the dynasty of Commagene (see above). Jakobs 1999 proposes a similar scenario."
[361] 문서 Reinhold Merkelbach, 《Mithras》, Konigstein, 1984, ch. 75-7
[362] 문서 Beck, R., 《Merkelbach's Mithras》, p. 304, 306.
[363] 문서 Lewis M. Hopfe, "Archaeological indications on the origins of Roman Mithraism", in Lewis M. Hopfe (ed).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Eisenbrauns (1994), pp. 147-158. p. 156:
"Beyond these three Mithraea [in Syria and Palestine], there are only a handful of objects from Syria that may be identified with Mithraism. Archaeological evidence of Mithraism in Syria is therefore in marked contrast to the abundance of Mithraea and materials that have been located in the rest of the Roman Empire. Both the frequency and the quality of Mithraic materials is greater in the rest of the empire. Even on the western frontier in Britain, archaeology has produced rich Mithraic materials, such as those found at Walbrook.

[364] 문서 Ulansey, D., 《The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p. 77f.
[365] 웹인용 Mithraism http://www.iranicaon[...] Encyclopaedia Iranica, Online Edition 2011-05-16
[366] 서적 Religions of the Hellenistic-Roman age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367] 저널 The date and significance of CIMRM 593 (British Museum, Townley Collection
[368] 문서 Beck, R., 《Merkelbach's Mithras》, p.299; 《Clauss, R., The Roman cult of Mithras》, p. 25:
"... the astonishing spread of the cult in the later second and early third centuries AD ... This extraordinary expansion, documented by the archaeological monuments..."

[369] 문서 Clauss, R., 《The Roman cult of Mithras》, p. 25, referring to Porphyry, 《De Abstinentia》, 2.56 and 4.16.3 (for Pallas) and 《De antro nympharum》 6 (for Euboulus and his history).
[370] 문서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en:Historia Augusta|Historia Augusta]])》는 "[http://book.naver.com/bookdb/text_view.nhn?bid=1547910&dencrt=JbMPnI%253%39kaCA%253%39gBBrxYbghtFznRC8PR15ncmMahusNTs%253D&term=historia+augusta&query=Historia+Augusta 로마황제 이야기]" 또는 "[http://book.naver.com/bookdb/text_view.nhn?bid=4898697&dencrt=mpFXUgirshwRIkm2BS6AFtFznRC8PR15ncmMahusNTs%253D&term=historia+augusta&query=Historia+Augusta 황제실록]"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2012년 5월 28일에 네이버에서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Historia+Augusta&sm=top_hty&fbm=0&sourceid=Mozilla-search Historia Augusta]"로 검색하여 책 본문 절에서 확인.
[371] 서적 Scriptores Historiae Augustae: Commodus
[372] 문서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 24:
"The cult of Mithras never became one of those supported by the state with public funds, and was never admitted to the official list of festivals celebrated by the state and army - at any rate as far as the latter is known to us from the 'Feriale Duranum', the religious calendar of the units at Dura-Europos in Coele Syria;" [where there was a Mithraeum] "the same is true of all the other mystery cults too." He adds that at the individual level, various individuals did hold roles both in the state cults and the priesthood of Mithras.

[373] 문서 Beck, R., 《Merkelbach's Mithras》, p. 299.
[374] 문서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 29-30:
"Mithras also found a place in the 'pagan revival' that occurred, particularly in the western empire, in the latter half of the fourth century AD. For a brief period, especially in Rome, the cult enjoyed, along with others, a last efflorescence, for which we have evidence from among the highest circles of the senatorial order. One of these senators was Rufius Caeionius Sabinus, who in 377 dedicated an altar to a long list of gods including Mithras."

[375] 웹인용 The Cosmic Mysteries of Mithras http://www.well.com/[...] 2011-03-20
[376] 서적 Mithras-Orion: Greek hero and Roman army god http://books.google.[...] Brill 2011-03-27
[377] 서적 Beck on Mithraism: Collected Works With New Essays Ashgate Publishing 2004-12-30
[378] 서적 The Excavations in the Mithraeum of the Church of Santa Pricsa in Rome http://books.google.[...] Brill 2011-04-03
[37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early Christian studies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4-03
[380] 문서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p. 31-32.
[381] 문서 Clauss, M., 《The Roman cult of Mithras》, p.171.
[382]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 http://www.sacred-te[...] Open Court
[383] 문서 The Greater [Bundahishn] [http://www.avesta.org/mp/grb1.htm#chap4 IV.19-20]:
"19. He let loose Greed, Needfulness, [Pestilence,] Disease, Hunger, Illness, Vice and Lethargy on the body of , Gav' and Gayomard. 20. Before his coming to the 'Gav', Ohrmazd gave the healing Cannabis, which is what one calls 'banj', to the' Gav' to eat, and rubbed it before her eyes, so that her discomfort, owing to smiting, [sin] and injury, might decrease; she immediately became feeble and ill, her milk dried up, and she passed away."

[384] 서적 Mithraic Studi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thraic Studies Manchester UP
[385] 서적 The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Oxford University Press
[386] 문서 De Antro nympharum http://www.tertullia[...]
[387] 논문 Archaeological indications on the origins of Roman Mithraism Eisenbrauns
[388] 논문 Astral Symbolism in the Tauroctony: A statistical demonstration of the Extreme Improbability of Unintended Coincidence in the Selection of Elements in the Composition
[389] 논문 The Rise and Fall of Astral Identifications of the Tauroctonous Mithras
[390] 서적 The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391] 서적 Mithras-Orion: Greek Hero and Roman Army God Brill Academic Publishers 1997-08
[392] 논문 In the place of the lion: Mithras in the tauroctony http://books.google.[...]
[393]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94]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395]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96]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397] 문서 Proverbia http://books.google.[...]
[398]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399] 서적 The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www.mithraism[...]
[400] 서적 The miraculous birth of Mithras
[401] 문서 Vermaseren 695
[402]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403]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404] 논문 In the Place of the Lion: Mithras in the Tauroctony
[405] 문서 First Apology http://www.tertullia[...]
[406] 서적 Forerunners and rivals of Christianity: being studies in religious history from 330 B.C. to 330 A.D http://books.google.[...] 2012-06-02
[407] 서적 The Christian Mystery http://books.google.[...] 2011-05-28
[408]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http://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06-02
[409] 서적 Uncovering ancient stones: essays in memory of H. Neil Richardson http://books.google.[...] Eisenbrauns 2011-03-19
[410] 웹사이트 FAQ http://www.hums.cant[...] 2011-06-02
[411] 서적 Marc-Aurele et la fin du monde antique http://books.google.[...] Paris
[412] 서적 The Hibbert Lectures 1880: Lectures on the Influence of the Institutions, Thought and Culture of Rome on Christian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atholic Church 1898 http://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12-06-02
[413] 서적 A short guide to St. Clement's, Rome Collegio San Clemente
[414] 서적 Romanising oriental Gods: myth, salvation and ethics in the cults of Cybele, Isis and Mithras. http://books.google.[...] Brill
[415] 문서 The Case for the Real Jesus Zondervan
[416] 서적 Zoroastrian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http://books.google.[...] Routledge 2011-03-17
[417] 서적 The Excavations in the Mithraeum of the Church of Santa Pricsa in Rome http://books.google.[...] Brill 2012-06-02
[418] 백과사전 Mithr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2-06-02
[419] 서적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https://archive.org/[...] Oxford UP
[420] 웹사이트 The Cosmic Mysteries of Mithras http://www.well.com/[...] 2011-03-30
[421] 서적 "Mystery Religions of the Near East"
[422] 문서 "Easter: Myth, Hallucination, or History?" 1974-03-29
[423]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424] 간행물 Mithraic Studie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Congress of Mithraic Studies Manchester U. Press
[425] 서적 The Origins of the Mithraic Mysteries: Cosmology and Salvation in the Ancient World Oxford U. Press
[426] 서적 Ancient Mystery Cult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427] 서적 《Mithras: Kult und Mysterien》 Beck
[428] 논문 Sol Invictus, the Winter Solstice, and the Origins of Christmas
[42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hums.cant[...] 2012-02-11
[430] 간행물 "Il materiale epigrafico dallo scavo del mitreo di S. Stefano Rotondo"
[431] 간행물 "Salut Mithriaque et soteriologie neoplatonicienne,"
[432] 서적 《Merkelbach's Mithras》
[433]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434] 서적 《The Roman Cult of Mithras》
[435] 문서 《De praescriptione haereticorum》
[436] 문서 "Branding in the Mysteries of Mithras?" http://www.hums.cant[...]
[437] 서적 “Mithras and Christ: Some Iconographical Similarities,” in Mithraic Studies, vol. 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38] 간행물 "Mithras and Christ: Some Iconographical Similaritie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39] 서적 The Mysteries of Mithras Dover Publications
[440] 서적 “Mithras and Christ: Some Iconographical Similarities,” in Mithraic Studies, vol. 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41] 서적 Mithras: The Secret God Chatto & Windus
[442] 서적 “Mithras and Christ: Some Iconographical Similarities,” in Mithraic Studies, vol. 2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43] 서적 The Pagan Religions of the Ancient British Isles;their nature and legacy Blackwell
[444] 논문 A Hitherto Unidentified Image of the Mithraic God Arimanius at Lincol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