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의 독재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의 독재자'는 1972년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일성 대역 배우를 찾기 위한 중앙정보부의 비밀 프로젝트를 배경으로 한다. 무명 배우 김성근은 이 역할에 발탁되어 훈련을 받지만, 회담은 무산되고 스스로를 김일성이라고 여기게 된다. 시간이 흘러 1990년대, 김성근의 아들 태식은 아버지와의 갈등을 겪다 요양원에 그를 맡기고, 22년 후 남북 정상 회담 개최를 앞두고 다시 만나게 된다. 영화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통해 독재 시대의 아픔을 조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몬스터 (2003년 영화)
    몬스터는 매춘부 에일린 우어노스가 연쇄 살인을 저지르고 사형을 선고받는 과정을 그린 2003년 개봉 미국 전기 드라마 영화이다.
  • 199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8 마일
    《8 마일》은 에미넴 주연으로 디트로이트를 배경으로 래퍼를 꿈꾸는 백인 청년 지미 스미스 주니어(B-래빗)가 8마일 로드라는 사회적 장벽을 극복하며 성장하는 힙합 드라마 영화이다.
  •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브로크백 마운틴
    브로크백 마운틴은 1963년 와이오밍을 배경으로 두 카우보이의 사랑과 갈등을 그린 영화로, 사회적 제약 속에서 비극적인 사랑을 겪는 이야기를 통해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사랑의 본질을 탐구한다.
  •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더 노멀 하트
    《더 노멀 하트》는 1980년대 초 뉴욕시 에이즈 위기 속에서 활동가 래리 크레이머의 경험을 바탕으로, 게이 남성 커뮤니티의 반응, 활동가들의 노력, 게이 남성 건강 위기(GMHC) 설립 과정, 에이즈 환자들이 겪는 차별과 무관심을 그린 2014년 HBO 영화이다.
  • 2014년 영화 - 다크 밸리
    다크 밸리는 알프스 산맥을 배경으로 복수, 결투, 마지막 결전을 통해 마을의 변화를 암시하는 결말로 마무리되는 2014년 오스트리아-독일 합작 영화이다.
  • 2014년 영화 - 디 인터뷰
    2014년 개봉한 정치 풍자 코미디 영화 《디 인터뷰》는 김정은 인터뷰를 성사시킨 토크쇼 진행자와 프로듀서가 CIA의 암살 지령을 받으면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린 영화로, 북한의 반발, 해킹 사건, 테러 위협 속에 논란과 화제 속에 개봉하여 평범한 평을 받았다.
나의 독재자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극장 개봉 포스터
제목(한국어)나의 독재자
로마자 표기Naui Dogjaeja
영어 제목My Dictator
감독이해준
제작자김무령
각본이해준
각색백철현
주연설경구
박해일
촬영 감독김병서
음악이진희
김홍집
편집남나영
배급사롯데엔터테인먼트
제작사banzakbanzak Film Production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상영 시간127분
제작비364만 미국 달러
일본 개봉 제목22년째의 기억
제작 정보
제작 지원banzakbanzak Film Production
흥행 정보
대한민국 관객수385,933명

2. 줄거리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 이후, 한반도에 통일에 대한 열기가 고조되었다. 중앙정보부는 곧 열릴 수 있는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을 준비하며,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정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김일성과 만나는 것에 대비해 가상의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결정한다. 이를 위해 중앙정보부는 김일성의 대역을 맡을 배우를 찾기 위한 비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김성근은 극단에서 잡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하는 무명 배우였다.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서 어릿광대 역할로 캐스팅되었지만, 무대 공포증으로 인해 대사를 잊어버리는 실수를 한다.

무대 뒤에서 낙담한 김성근에게 허 교수가 다가와 "특별 오디션"을 제안한다. 오디션에서 김성근은 캐스팅 디렉터들이 정부 과학자처럼 보이는 것에 혼란스러워했지만, 그의 엉망진창인 연기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으로 김일성 역에 발탁된다. 김성근은 이 역할을 일생일대의 기회로 여기고 연기에 몰두한다.

김성근은 대학교 연극과 교수 허삼웅과 중앙정보부의 구속 하에 있는 학생활동가의 지도를 받으며 김일성 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기 위해 맹훈련을 받지만, 남북 정상 회담은 열리지 않았고, 김성근은 회담 리허설에 불려가지 못했다. 한편, 김성근은 스스로를 김일성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시간이 흘러 1990년대, 아들 태식은 사채업자들과의 문제로 인해 낡은 집을 얻기 위해 소원해진 아버지와 다시 연결될 수밖에 없게 된다. 아버지에게 좌절감을 느낀 성인이 된 태식은 김성근을 요양원에 넣고 그 후 20년 동안 그를 찾아가지 않는다. 22년 후인 1994년, 다단계 판매원이 된 아들 태식은 어떤 사건을 계기로 아버지 성근을 찾아간다. 이윽고 남북 정상 회담 개최가 결정된다.

2. 1. 1972년: 김일성 대역 오디션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 이후, 한반도에 통일에 대한 열기가 고조되었다. 중앙정보부는 곧 열릴 수 있는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을 준비하며,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정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김일성과 만나는 것에 대비해 가상의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결정한다. 이를 위해 중앙정보부는 김일성의 대역을 맡을 배우를 찾기 위한 비밀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김성근은 극단에서 잡일을 하며 생계를 유지하는 무명 배우였다.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서 어릿광대 역할로 캐스팅되었지만, 무대 공포증으로 인해 대사를 잊어버리는 실수를 한다.

무대 뒤에서 낙담한 김성근에게 허 교수가 다가와 "특별 오디션"을 제안한다. 오디션에서 김성근은 캐스팅 디렉터들이 정부 과학자처럼 보이는 것에 혼란스러워했지만, 그의 엉망진창인 연기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으로 김일성 역에 발탁된다. 김성근은 이 역할을 일생일대의 기회로 여기고 연기에 몰두한다.

2. 2. 김성근의 훈련과 변화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으로 남북 통일의 분위기가 고조되는 한반도. 중앙정보부(KCIA)는 남북 정상 회담에 대비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와 그 결과를 준비하고, 이를 위한 리허설을 진행하기 위해 극비 오디션을 개최한다. 이 오디션의 목적은 북한의 지도자인 김일성의 대역을 연기할 배우를 찾는 것이었다.

오디션에서 선택된 것은 팔리지 않는 연극 배우 김성근이었다. 성근은 대학교 연극과 교수 허삼웅과 KCIA의 구속 하에 있는 학생활동가의 지도를 받으며 김일성 역을 완벽하게 소화하기 위해 맹훈련을 받지만, 남북 정상 회담은 열리지 않았고, 따라서 성근은 회담 리허설에 불려가지 못했다. 한편, 성근은 스스로를 김일성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2. 3. 1990년대: 아버지와 아들의 재회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으로 남북 통일 분위기가 고조되던 한반도. 중앙정보부는 남북 정상 회담에 대비하여 리허설을 위한 극비 오디션을 개최하고, 북한 지도자 김일성의 대역 배우를 찾았다.

오디션에서 팔리지 않는 연극 배우 김성근이 선택되었다. 성근은 대학교 연극과 교수 허삼웅과 중앙정보부의 구속 하에 있는 학생활동가의 지도를 받으며 김일성 역을 위한 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남북 정상 회담은 열리지 않았고, 성근은 스스로를 김일성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22년 후인 1994년, 다단계 판매원이 된 아들 태식은 어떤 사건을 계기로 아버지 성근을 찾아간다. 이후 남북 정상 회담 개최가 결정되었다.

3. 등장인물


  • 김성근 (설경구 분): 무명 배우에서 김일성의 대역이 되는 인물이다. 1994년에는 치매 기미를 보이며, 리허설 본 공연에서 대본을 무시한 연기로 오 계장에게 제지당하며, 김일성의 사망 며칠 후 사망한다. 잘나가지 못하는 연극 배우로, 리어왕 역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 김태식 (박해일 분): 김성근의 아들로,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갈등과 화해를 경험한다. 다단계 세미나를 열어 수상한 상품을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 오 장관 (윤제문 분): 중앙정보부(KCIA) 장관. 김성근을 김일성 대역으로 훈련시키는 인물이다.
  • 허삼운 (이병준 분): 김성근의 연기 지도를 맡은 서울대학교 연극과 교수이다.
  • 송여정 (류혜영 분): 김태식의 여자친구이다.
  • 이철주 (이규형 분): 서울대학교 국문과 학생 운동가. 공산주의 사상으로 인해 장기간 수감되어 있다.
  • 백 사장 (배성우 분)
  • 대통령: 영화에서는 이름이 명시되지 않았다. (배우 - 정국환)
  • 또 다른 김일성: (배우 - 김정무) 중앙정보부 시설에서 성근이 목격한 오 장관과 함께 걷는 또 다른 배우.
  • 요양원 간호사: (배우 - 장소연) 성근의 담당 간호사.
  • 성근의 어머니: (배우 - 손영순) 배우로 성공하지 못하는 아들을 걱정하며, 손자 태식을 극진히 돌본다.
  • 박민수: 어린 태식 역
  • 손상경: 덩치 역
  • 전국환: 1972년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 역
  • 이준혁: 기철 역
  • 김세동: 연극 선배 역
  • 정해균: 리어왕 역
  • 장현석: 켄트 역
  • 신철진: 마을이장 역
  • 김경범: 상황실장 역
  • 민경진: 교장 역
  • 이화정
  • 박재철: 복도 안내병 역
  • 박지환: 고문팀장 역
  • 홍기준: 전기고문 역
  • 허형규: 물고문 역
  • 김동희: 꽃분이남 역
  • 정영기: 오디션 스탭 역
  • 안병식: 합격발표 점퍼남 역
  • 이국호: 버스 점퍼남 역
  • 윤세현: 시위학생 역
  • 고서희: 다방언니 역
  • 김철무: 또다른 김일성 역
  • 정인겸: 연극 연출 역
  • 배유람: 연극 조연출 역
  • 성유빈: 중학생 태식 역
  • 김자영: 요양원장 역
  • 장소연: 요양원 간호사 역
  • 김영웅: 마트주임 역
  • 허준석: 신경외과 의사 역
  • 채수빈: 배꼽티녀 역
  • 이신성: 상황실 직원 역
  • 남연우: 오디션 배우 역
  • 윤진하: 오디션 배우 역
  • 이현걸: 상병 역
  • 남윤호: 청와대 경호원 역
  • 윤소미: 유치원선생님 역
  • 신문성: 담임 역
  • 권혁: 오계장 수행원 역
  • 김강현: 병장 역 (특별출연)
  • 박영서: 중국집 배달원 역 (특별출연)
  • 김대명: 연극 배우 역

3. 1. 주요 인물


  • 김성근 (설경구 분): 무명 배우에서 김일성의 대역이 되는 인물이다. 1994년에는 치매 기미를 보이며, 리허설 본 공연에서 대본을 무시한 연기로 오 계장에게 제지당하며, 김일성의 사망 며칠 후 사망한다.
  • 김태식 (박해일 분): 김성근의 아들로,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갈등과 화해를 경험한다. 다단계 세미나를 열어 수상한 상품을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 오 계장 (윤제문 분): 중앙정보부 요원으로, 김성근을 김일성 대역으로 훈련시키는 인물이다.
  • 허 교수 (이병준 분): 김성근의 연기 지도를 맡은 서울대학교 연극과 교수이다.
  • 손여정 (류혜영 분): 김태식의 여자친구이다.
  • 이철주 (이규형 분): 서울대학교 국문과 학생 운동가. 공산주의 사상으로 인해 장기간 수감되어 있다.
  • 백 사장 (배성우 분)
  • 대통령: 영화에서는 이름이 명시되지 않았다. (배우 - 정국환)
  • 또 다른 김일성: (배우 - 김정무) 중앙정보부 시설에서 성근이 목격한 오 장관과 함께 걷는 또 다른 배우.
  • 요양원 간호사: (배우 - 장소연) 성근의 담당 간호사.
  • 성근의 어머니: (배우 - 손영순) 배우로 성공하지 못하는 아들을 걱정하며, 손자 태식을 극진히 돌본다.

3. 2. 조연

4. 제작

이해준 감독은 아버지의 낡은 사진을 보고 영화 제작을 결심했다고 밝혔다. 사진 속 젊은 아버지의 모습은 감독이 알고 있던 엄격하고 침울한 아버지의 모습과는 달랐으며, 독재 정권 시대를 겪으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고 생각했다. 감독은 "이 영화는 나약하고 연약한, 독재자 같은 아버지와 전 세계의 그와 같은 아버지들에게 늦은 고백"이라고 제작 의도를 밝혔다.[4]

《나의 독재자》는 2012년 홍콩 아시아 영화 투자 포럼(HAF)에서 선정한 32편의 영화 중 하나였다.[5][6] 롯데엔터테인먼트는 40억 원을 투자했으며,[7][8] 2014년 3월 26일 전라북도 남원시의 한 소극장에서 촬영을 시작하여[7] 3개월 뒤인 2014년 7월 8일 서울 창신동에서 촬영을 마쳤다.[8]

5. 평가

5. 1. 수상 및 후보

wikitable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2014제22회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영화 부문 대상설경구수상
제35회 청룡영화상신인여우상류혜영후보
기술상송종희 (특수 분장)후보
제1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남우주연상설경구수상
각본상이해준, 백철현수상
2015제10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최고의 신인 여자배우상류혜영후보
제51회 백상예술대상영화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설경구후보


6. 역사적 배경

7. 영화 속 한국 사회

참조

[1] 웹사이트 HAF feature interview with LEE Hae-jun, ''My Dictator'' http://koreanfilm.or[...] 2012-03-08
[2] 웹사이트 Director LEE Hae-jun of MY DICTATOR: "A story about father and son, my dictator" http://koreanfilm.or[...] 2014-11-10
[3] 웹사이트 Playing a most dictatorial dad http://koreajoongang[...] 2014-10-28
[4] 웹사이트 My Dictator http://www.haf.org.h[...] 2014-10-12
[5] 웹사이트 HAF unveils record line-up of 32 projects http://www.screendai[...] 2012-01-06
[6] 웹사이트 Three Korean projects selected to HAF http://www.koreanfil[...] 2012-01-06
[7] 웹사이트 In Focus: MY DICTATOR - History and Family Mingle in LEE Hae-jun's Latest http://koreanfilm.or[...] 2014-11-14
[8] 웹사이트 MY DICTATOR Begins Shooting with SEOL Kyung-gu and PARK Hae-il http://www.koreanfil[...] 2014-04-04
[9] 웹사이트 ソル・ギョング主演映画「22年目の記憶」日本での公開が決定!予告映像を解禁 https://news.kstyle.[...] 2018-10-31
[10] 웹사이트 ソル・ギョングが自分を金日成と思いこむ父親役 『22年目の記憶』1月公開 https://www.cinra.ne[...] 2018-10-31
[11] 웹사이트 韓国NO.1俳優ソル・ギョングが、北の独裁者に!?『22年目の記憶』予告編が解禁。 https://www.cinemana[...] 2018-10-31
[12] 웹사이트 金日成になりきった男をソル・ギョングが演じる「22年目の記憶」公開 https://natalie.mu/e[...] 2018-10-31
[13] 웹사이트 ソル・ギョングが大根役者演じる「22年目の記憶」本編映像 https://natalie.mu/e[...] 2018-12-11
[14] 웹사이트 <韓国文化>韓流シネマの散歩道 第40回 時代の変化の中でつくられた映画 二松学舎大学 田村 紀之 客員教授 http://www.toyo-keiz[...] 2019-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