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침반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침반자리는 18세기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고안한 별자리이다. 라카유는 아르고자리의 일부를 잘라내고 그 자리에 나침반자리를 만들었다. 나침반자리는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된 88개의 별자리 중 하나이며, 약칭은 'Pyx'이다. 이 별자리에는 알파 나침반자리, 베타 나침반자리, 감마 나침반자리 등 밝은 별들과, 행성상 성운 NGC 2818, 구상 성단, 나선 은하 NGC 2613 등 다양한 천체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HD 73256 b, HD 73267 b 등 행성계가 확인된 별들도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침반자리 - 글리제 317 b
  • 나침반자리 - HD 73267 b
    HD 73267 b는 항성 HD 73267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목성 질량의 3.10배이며 2.198 AU 거리에서 1259일 주기로 약간의 이심률을 가지며 공전한다.
  • 남반구의 별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비둘기자리
    1679년 오귀스탱 루아예에 의해 큰개자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별자리로 인정받은 비둘기자리는 성경 속 노아의 비둘기를 상징하며, 2.65 등급의 가장 밝은 별 '팍트'와 궤도 이탈성인 뮤별, 그리고 NGC 1851, NGC 1792, NGC 1808 등의 천체를 포함한다.
  • 별자리에 관한 - 이십팔수
    이십팔수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황도를 따라 나눈 28개의 별자리 체계로, 천체 위치 측정, 시간 계산, 계절 예측 등에 활용되었으며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다.
  • 별자리에 관한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나침반자리
일반 정보
명칭나침반자리
로마자 표기Nachimbapanjari
약자Pyx
소유격Pyxidis
발음, 속격:
심볼항해에 사용하는 방위자침
위치 (적경)8h 53m
위치 (적위)−29°47′
남중3월 15일
북쪽 위도50
남쪽 위도90
속하는 사분면SQ2
넓이221
넓이 순위65
주요 별의 수3
Bayer/Flamsteed 지정 별의 수10
행성을 거느리는 별의 수3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의 수0
가까운 별의 수1
가장 밝은 별α Pyx
밝기3.68
가장 가까운 별 이름글리제 318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광년)30.13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파섹)9.55
메시에 천체0
19세기 영국의 별자리 카드집 《우라니아의 거울》에 그려진 나침반자리(오른쪽 아래).
19세기 영국의 별자리 카드집 《우라니아의 거울》에 그려진 나침반자리(오른쪽 아래).
인접 별자리바다뱀자리
고물자리
돛자리
공기펌프자리
기원
의미나침반 상자
속하는 별자리 그룹천상의 물
관측 가능 위도50°N ~ 90°S
최적 관측 시기3월

2. 역사

나침반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그린 『Coelum australe stelliferum』(1763년)에 묘사된 뱃머리자리(Pixis Nautica, 중앙 상단).


요한 보데가 그린 『우라노그래피아』(1801년)에 묘사된 뱃머리자리(Pyxis Nautica)와 돛대 밧줄자리(Lochium Funis).


나침반자리는 18세기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희망봉에서 남반구 하늘을 관측하며 고안한 14개의 새로운 별자리 중 하나이다. 원래 아르고자리의 일부였으나, 항해와 과학 도구를 상징하는 별자리들을 분리하면서 만들어졌다.[6]

독일 천문학자 요한 엘레르트 보데는 1801년 자신의 성도에서 나침반자리 주변에 '로치움 푸니스(Lochium Funis)'라는 별자리를 제안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8] 19세기 영국의 천문학자 존 허셜은 나침반자리를 아르고자리의 일부인 '돛대(Malus)'로 되돌리려 했으나, 벤자민 아프토프 골드 등 다른 천문학자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6]

1922년 국제천문연맹(IAU)이 88개의 현대 별자리를 확정하면서 나침반자리는 독자적인 별자리로 최종 확정되었다.

2. 1. 명칭과 기호

라카유는 1752년에 나침반자리를 프랑스어 'La Boussole'(나침반)로 처음 묘사했고,[4][5] 1763년에는 'Pyxis Nautica'(항해용 나침반)로 라틴어화했다.[6] 현대에는 'Pyxis(나침반)'로 줄여 부르며, 국제천문연맹(IAU)이 정한 공식 약칭은 'Pyx'이다.

라카유는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서 아르고자리의 "돛대의 4개(Quatuor in malo)"로 여겨지던 영역의 일부를 잘라내고, 그 자리에 뱃머리자리를 만들었다. 또한 비교적 밝은 별에 대해 바이어식으로 α에서 θ, λ까지 9개의 그리스 문자 기호를 부여했다.

2. 2. 한국 전통 천문학에서의 나침반자리

한국 전통 천문학에서 나침반자리에 해당하는 별자리는 없지만, 나침반자리의 일부 별들은 28수 중 귀수에 속해 있었다. 귀수에서 나침반자리의 α, β, γ, δ 별은 고물자리의 별들과 함께 '천구(天狗)'라는 별자리를 이루었다. 천구는 하늘을 지키는 개를 상징한다.

3. 위치와 관측

나침반자리는 남반구 하늘에 위치한 작은 별자리로, 바다뱀자리의 별 알파드 남쪽, 처녀자리게자리 중간 지점에 있다.[3] 북위 53도 이남 지역에서는 나침반자리 전체를 관측할 수 있다.[10] 2월과 3월 저녁 하늘에서 가장 잘 보이며,[11] 북쪽으로는 바다뱀자리, 서쪽으로는 고물자리, 남쪽으로는 돛자리, 동쪽으로는 펌프자리와 접한다.[12]

1922년 국제천문연맹에서 채택한 나침반자리의 세 글자 약어는 "Pyx"이다.[12] 1930년 벨기에 천문학자 외젠 델포르트가 설정한 공식 별자리 경계는 8각형의 다각형으로 정의된다.[13] 적도 좌표계에서 이 경계의 적경 좌표는 와 사이에 있고, 적위 좌표는 -17.41°와 -37.29° 사이에 있다.[13]

4. 주요 천체

나침반자리에는 밝은 별은 없지만, 몇몇 주목할 만한 천체들이 있다. 4등성 세 개가 남북으로 나란히 있는 것 외에는 특별한 천체가 없다.

4. 1. 항성

α별(알 수무트)는 나침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겉보기 등급은 3.68등급인 청백색 거성으로, 지구에서 약 880광년 떨어져 있다.[17][16] 우주 먼지 때문에 빛이 30% 어두워져서 그렇지 않았다면 3.31 등급이었을 것이다.[16]

β별은 겉보기 등급 3.97의 황색 밝은 거성 또는 초거성이다.[19] 지구로부터 약 420 ± 10 광년 떨어져 있다.[17]

γ별은 겉보기 등급 4.02의 오렌지색 거성이다.[21] 지구로부터 약 207 ± 2 광년 떨어져 있다.[17]

T별은 백색 왜성과 적색 왜성으로 구성된 이중성계로, 재발 신성이다.[26][27] 1890년, 1902년, 1920년, 1944년, 1966년, 2011년에 약 14등급에서 7등급으로 밝아지는 폭발이 관측되었다.[27] 이러한 폭발은 백색 왜성이 동반성에서 물질을 흡수하여 주기적으로 방출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27]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T 나침반자리의 사진. 과거 폭발로 방출된 물질을 보여준다.


TY별은 식쌍성이자 RS 사냥개자리 변광성으로, 3.2일 동안 6.85에서 7.5 사이의 겉보기 등급을 갖는다.[28] 두 별 사이에 물질 고리가 존재한다.[31]

4. 2. 심원천체

NGC 2818은 8.2등급의 희미한 산개 성단 내에 위치한 행성상 성운이다.[46] NGC 2818A는 시선상에 있는 산개 성단이다.[48] K 1-2는 중심별이 분광 쌍성인 행성상 성운으로, 두 별이 좁은 궤도로 공전하며 시스템에서 천체물리학적 제트가 뿜어져 나온다. 한 구성 요소의 표면 온도는 최대 85,000K로 추정된다.[47] NGC 2627은 쌍안경으로 볼 수 있는 8.4등급의 산개 성단이다.[48]

어두운 배경에 색깔이 있는 타원형 물질 구름
허블 망원경으로 촬영한 행성상 성운 NGC 2818


1995년에 발견된[49] 나침반자리 구상 성단은 지구로부터 약 13만 광년, 은하 중심으로부터 약 13만 3천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133 ± 13억 년 된 구상 성단으로, 이 지역은 이전에 구상 성단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되지 않았던 곳이다.[50] 은하 헤일로에 위치하며, 대마젤란 은하와 같은 평면에 놓여 있으며, 그 은하에서 탈출한 천체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49]

NGC 2613은 10.5등급의 나선 은하로, 지구 관찰자에게 거의 옆으로 보여 방추형으로 보인다.[51] Henize 2-10은 3천만 광년 떨어진 왜소 은하이다. 중심부에 약 백만 태양 질량의 블랙홀이 있다. 매우 높은 별 형성률로 인해 별 폭발 은하로 알려져 있으며, 그 안에 있는 수많은 젊은 별들 때문에 푸르스름한 색을 띤다.[52]

4. 3. 행성계

나침반자리에는 행성계가 확인된 별 세 개가 있으며, 모두 도플러 분광법으로 발견되었다.

HD 73256 b는 2003년 CORALIE 분광기를 사용하여 발견된 핫 주피터로, HD 73256을 2.55일마다 공전한다. HD 73256은 분광형 G9V의 황색 별로, 태양 광도의 69%, 지름의 89%, 질량의 105%를 가지고 있다. 약 119광년 거리에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8.08이고 약 10억 년 된 별이다.[43]

HD 73267 b는 2008년 고정밀 시선 속도 행성 탐색기(HARPS)로 발견되었다. 이 행성은 분광형 G5V의 70억 년 된 별 HD 73267을 1260일마다 공전하며, 태양 질량의 약 89%에 해당한다.[44]

태양 질량의 약 42%를 가진 분광형 M2.5V의 적색 왜성 글리제 317은 두 개의 가스 행성을 가지고 있다. 지구에서 약 50광년 떨어진 이 별은 향후 더 많은 지구형 행성을 탐색하기에 좋은 후보이다.[45]

5. 신화와 문화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아르고자리를 나누면서 만든 별자리이므로, 고대 그리스 신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3] 하지만, 아르고자리의 일부였기 때문에 아르고 호 원정대의 신화와 연결 지어 해석하기도 한다.

라카유는 1752년에 이 별자리를 프랑스어로 ''la Boussole''(해상 나침반)라고 처음 묘사했으며,[4][5] 1763년 차트에서 ''Pixis'' [sic] ''Nautica''로 라틴화했다.[6] 고대 그리스인들은 뱃머리자리의 네 개의 주요 별을 신화 속 이아손의 배인 아르고 배의 돛대로 식별했다.[7]

1922년 국제천문연맹(IAU)의 설립 총회에서 현행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이때 공식 명칭은 '''Pyxis''', 약칭은 '''Pyx'''로 결정되었다. 새로운 별자리이므로 별자리에 얽힌 신화나 전설은 없다. 나침반자리는 항해와 탐험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라카유가 살았던 계몽주의 시대의 과학적 탐구 정신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L&S pyxis
[2] LSJ puci/s
[3] 웹사이트 Pyxi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2-10-08
[4] 웹사이트 Lacaille's Southern Planisphere of 1756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5-08-01
[5] 간행물 Relation abrégée du Voyage fait par ordre du Roi au cap de Bonne-espérance http://gallica.bnf.f[...]
[6] 서적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2003
[7] 서적 Eyewitness Companions: Astronomy DK Publishing (Dorling Kindersley)
[8] 웹사이트 Lochium Funi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5-07-06
[9] 서적 Catalogue of Stars observed at the United States Naval Observatory during the years 1845 to 1877, third edition https://archive.org/[...]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10] 웹사이트 Constellations: Lacerta–Vulpecula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5-06-25
[11] 서적 Constellations: the stars and stories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12] 간행물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3] 간행물 Pyxis,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5-06-25
[14] 서적 Cambridge Guide to Stars and Plane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5] 웹사이트 The Bortle Dark-Sky Scale http://www.skyandtel[...] Sky Publishing Corporation 2015-08-01
[16] 웹사이트 Alpha Pyxidis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2-10-06
[17] 간행물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http://www.aanda.org[...]
[18] 간행물 Fundamental properties of nearby single early B-type stars 2014
[19] 간행물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2012
[20] 웹사이트 Beta Pyxidi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5-07-31
[21] 간행물 Catalogue of Apparent Diameters and Absolute Radii of Stars (CADARS) – Third edition – Comments and statistics 2001
[22] 웹사이트 Kappa Pyxidis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5-07-01
[23] 서적 The Constellation Observing Atla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24] 간행물 Long-term photometry and periods for 261 nearby pulsating M giants 2009
[25] 서적 The Constellations https://archive.org/[...] Doubleday 1988
[26] 간행물 The 2011 outburst of the recurrent nova T Pyxidis. Evidence for a face-on bipolar ejection 2011
[27] 웹사이트 T Pyxidis: Enjoy the Silence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5-07-31
[28] 웹사이트 AK Pyxidis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5-07-30
[29] 간행물 Starspots 2009
[30] 간행물 The G-type eclipsing binary TY Pyxidis. 1975
[31] 간행물 Soft X-ray imaging of the TY Pyx binary system - II. Modelling the interconnecting loop-like structure 1995
[32] 간행물 RZ Pyxidis – an early-type marginal contact binary 1987
[33] 웹사이트 RZ Pyxidis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5-07-31
[34] 간행물 The δ Scuti star XX Pyx is an ellipsoidal variable 2002
[35] 웹사이트 Delta Scuti and the Delta Scuti Variables http://www.aavso.org[...] AAVSO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5-09-05
[36] 웹사이트 AK Pyxidis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09-08-25
[37] 웹사이트 AK Pyxidis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2-04-15
[38] 웹사이트 VY Pyxidis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1-11-15
[39] 논문 The Gaia spectrophotometric standard stars survey – I. Preliminary results 2012
[40] 논문 1.The White Dwarfs Within 20 Parsecs of the Sun: Kinematics and Statistics 2009
[41] 논문 The Solar Neighborhood. XXI. Parallax Results from the CTIOPI 0.9 m Program: 20 New Members of the 25 Parsec White Dwarf Sample 2009
[42] 논문 Further Defining Spectral Type "Y" and Exploring the Low-mass End of the Field Brown Dwarf Mass Function
[43] 논문 The CORALIE survey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 A Hot Jupiter orbiting HD 73256
[44] 논문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VII. Six long-period giant planets around BD −17 0063, HD 20868, HD 73267, HD 131664, HD 145377, HD 153950 http://www.aanda.org[...] 2009
[45] 논문 Astrometry and radial velocities of the planet host M dwarf Gliese 317: new trigonometric distance, metallicity and upper limit to the mass of Gliese 317 b 2012
[46] 서적 Astronomy of the Milky Way: Observer's Guide to the Southern Sk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
[47] 논문 The planetary nebula K 1-2 and its binary central star VW Pyx https://academic.oup[...]
[48] 서적 Observer's Guide to Star Clust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49] 논문 The PYXIS Cluster: A Newly Identified Galactic Globular Cluster
[50] 논문 Deep Photometry of the Outer Halo Globular Cluster in PYXIS
[51] 서적 Steve O'Meara's Herschel 400 Observing Gui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2] 웹사이트 Henize 2–10: A Surprisingly Close Look at the Early Cosmos http://chandra.harva[...] NASA 2012-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