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자리는 겨울 저녁에 보이는 작은 별자리로, 프레세페 성단이 유명하다. 서쪽으로는 쌍둥이자리, 북쪽으로는 살쾡이자리 등과 접해 있으며, 국제천문연맹에서 약자는 "Cnc"로 정했다. 밝은 별자리들에 가려져 도시에서는 육안으로 보기 어렵지만, 사자자리와 쌍둥이자리 사이에 위치하여 쉽게 찾을 수 있다. 게자리는 프레세페 성단을 포함한 여러 천체를 품고 있으며, 북회귀선(Tropic of Cancer)의 어원이 되기도 했다. 신화에서는 헤라클레스에게 밟혀 죽은 게가 별자리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자리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게자리 - 거해궁
    거해궁은 황도대의 네 번째 별자리로, 6월 22일부터 7월 22일 사이에 태어난 사람들의 별자리이며, 점성술에서 물의 원소, 감정, 직관, 보호 본능 등을 상징한다.
  • 북반구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북반구의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는 W자 모양의 별자리로, 북반구에서 관측 가능하며 그리스 신화 속 오만한 왕비 카시오페이아와 연관되며, 셰다르, 카프 등의 별과 다양한 성운, 초신성 잔해를 포함한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게자리
기본 정보
별자리 이름게자리
로마자 표기Gyejari
약자Cnc
소유격Cancri
기호
적경07h 55m 19.7973s – 09h 22m 35.0364s
적위+6.4700689° – +33.1415138°
황도대황도대
방위NQ2
넓이505.872 평방도
넓이 순위31위
주요 별의 수0
바이어 지정 별의 수70
행성 보유 별의 수10
밝은 별의 수2
가장 밝은 별β Cnc (타르프)
별 밝기3.53
가장 가까운 별 이름DX Cnc
가장 가까운 별 거리 (광년)11.84
가장 가까운 별 거리 (파섹)3.63
메시에 천체 수2
유성우게자리 델타 유성우
관측 가능 위도북위 90° ~ 남위 60°
최적 관측 시기3월
남중 시각20시
남중 날짜3월 하순
인접 별자리

2. 특징

프레세페 성단(M44)


겨울철 저녁 하늘에서 볼 수 있지만, 밝은 별이 없어 눈에 잘 띄지 않는 비교적 작은 별자리이다. 산개 성단인 프레세페 성단(M44)이 가장 유명하다.

게자리는 서쪽으로 쌍둥이자리, 북쪽으로 살쾡이자리, 동쪽으로 사자자리, 남쪽으로 바다뱀자리, 남서쪽으로 작은개자리와 경계를 이룬다. 1922년 국제천문연맹(IAU)이 채택한 세 글자 약자는 "Cnc"이다.[2] 벨기에 천문학자 외젠 들포르트가 1930년에 설정한 공식적인 별자리 경계는 10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다각형 모양이다. 적도 좌표계에서 이 경계의 적경 좌표는 07h 55m 19.7973s와 09h 22m 35.0364s 사이이며, 적위 좌표는 33.1415138°와 6.4700689° 사이에 있다.[1] 하늘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약 506제곱도(전체 하늘의 0.921%)로, 88개 별자리 중 크기로는 31번째이다.

북위 90°에서 남위 60° 사이의 위도에서 관측할 수 있으며, 북반구에서는 봄의 별자리로 여겨진다. 3월 저녁 9시경에 남중하여 관측하기 가장 좋다. 게자리는 밝은 별자리인 사자자리와 쌍둥이자리 사이에 위치하여 비교적 찾기 쉽지만, 가장 밝은 별인 알타프(β Cnc)도 3.52등급에 불과하여 도시의 빛 공해 속에서는 맨눈으로 보기 어렵다.

게자리의 전경. 사진 오른쪽 위에는 쌍둥이자리의 카스토르와 폴룩스도 보인다.


별자리 중앙 부근, 아셀루스 보레알리스(γ Cnc)와 아셀루스 아우스트랄리스(δ Cnc) 사이에 있는 프레세페 성단(M44)은 맨눈으로도 희미한 빛의 얼룩처럼 보인다. 흔히 '게 성운'으로 불리는 초신성 잔해 M1은 게자리가 아닌 황소자리에 위치한다.

영어에서 북회귀선을 의미하는 'Tropic of Cancer'는 기원전 시대에 하지점이 게자리에 위치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Tropic'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로 '방향을 바꾸다'를 의미하는 τροπή|트로페gr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하지점에서 태양의 남북 방향 움직임이 바뀌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는 지구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하지점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황소자리 부근에 있다.

3. 별과 천체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게자리 별자리


게자리는 황도 12궁 별자리 중 가장 어두우며, 4등급보다 밝은 별이 단 두 개뿐이다. 별자리 경계 내에는 겉보기 등급 6.5 이상인 별이 104개 있다.[4]

  • 베타 게자리 (β Cnc, 알타르프): 겉보기 등급 3.5로 게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6] 지구에서의 거리는 약 290 ± 30 광년이며,[8] 쌍성계이다. 주성은 분광형 K4III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태양 지름의 약 50배 크기이며 태양 밝기의 660배로 빛난다.[6] 29 각초 떨어진 곳에 14등급의 희미한 적색 왜성 동반성이 있다.[6] 2014년에는 이 별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 행성 b가 발견되었다. '알타르프(Altarf)' 또는 '타르프(Tarf)'[5]라는 이름이 있다.

  • 델타 게자리 (δ Cnc, 아셀루스 아우스트랄리스): 겉보기 등급 3.9의 별로,[9] 지구와의 거리는 약 137 광년이다. 주계열 단계를 지나 태양의 11배 반경과 53배 밝기를 가진 오렌지색 거성이 되었다.[9] 이름 '아셀루스 아우스트랄리스(Asellus Australis)'는 라틴어로 "남쪽 당나귀"를 의미한다.

  • 감마 게자리 (γ Cnc, 아셀루스 보레알리스): 겉보기 등급 4.67의 백색 준거성(분광형 A1IV)이다.[10] 지구에서 약 175 광년 거리에 있으며, 태양보다 35배 밝다.[11] 이름 '아셀루스 보레알리스(Asellus Borealis)'는 라틴어로 "북쪽 당나귀"를 의미한다.

  • 알파 게자리 (α Cnc, 아쿠벤스): 겉보기 등급 4.26의 다중성계이다.[13] 지구까지의 거리는 약 178 광년이다. 주성은 겉보기에는 분광형 A5의 백색 주계열성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서로 약 5.3 천문단위 떨어진 거의 동일한 밝기의 백색 주계열성 두 개(Aa, Ab)로 이루어진 근접쌍성이다. 약 10.3 각초 떨어진 곳에 보이는 동반성 B도 비슷한 거리에 있지만, A와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지는 불확실하다. 이름 '아쿠벤스(Acubens)'는 아랍어로 "집게발"을 의미한다.

  • 제타 게자리 (ζ Cnc, 테그미네): 지구에서 약 80 광년 떨어진, 최소 4개의 별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다. 크게 ζ1과 ζ2 두 쌍성계로 나뉘며, 이 둘은 약 1150년 주기로 서로 공전한다. ζ1은 5.3등급의 A별과 6.2등급의 B별이 59.6년 주기로 공전하는 쌍성이다. ζ2 역시 쌍성이며, 추가 동반성이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름 '테그미네(Tegmine)'는 라틴어로 "껍질"을 의미한다.

  • 요타 게자리 (ι Cnc): 겉보기 등급 4.0의 황색 거성(주성 A)과 6.0등급의 백색 주계열성(동반성 B)으로 이루어진 이중성이다. 지구로부터 약 347 광년 거리에 있으며, 두 별은 약 30.6 각초 떨어져 있어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도 분리해서 볼 수 있다. 두 별은 비슷한 거리와 고유 운동을 보여 쌍성일 가능성이 높다.

  • 55 게자리 (55 Cnc, 코페르니쿠스): 지구에서 약 41 광년 떨어진 쌍성계로,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ρ1 Cancri에 해당한다. 황색 왜성(55 Cnc A)과 적색 왜성(55 Cnc B)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성 A 주위에서 5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 이 행성계는 NASA의 지구형 행성 탐사선 임무에서 주요 탐사 목표 중 하나였다. 2015년 국제천문연맹(IAU)의 NameExoWorlds 캠페인을 통해 주성 A는 '코페르니쿠스(Copernicus)', 행성들은 각각 갈릴레오(Galileo), 브라헤(Brahe), 리퍼헤이(Lipperhey), 얀센(Janssen), 해리엇(Harriot)으로 명명되었다.


이 외에도 게자리 엡실론(ε Cnc, 멜레프), 게자리 람다(λ Cnc, 피아우토스), 게자리 크시(ξ Cnc, 난), HD 73534(가키드), 글리제 3470(카우코신) 등 여러 별에 고유한 이름이 붙여졌으며, 일부 별에서는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산개성단 M67 내의 태양과 유사한 별인 YBP 1194는 3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 1. 심원천체



메시에 44(벌집 성단)


게자리에서 가장 유명한 심원천체는 별자리의 중심부에 위치한 산개성단프레세페 성단 (메시에 44)이다. 이 성단은 '벌집 성단' 또는 고대에는 '인간의 문'으로도 불렸으며, 게자리 ε 별을 포함한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590 광년으로,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산개성단 중 하나이다. M44는 약 5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밝은 별은 6등급의 밝기를 가진다. 전체 면적은 1.5 평방도에 달해 보름달 크기의 세 배 정도이며, 육안으로도 희미하게 관측 가능하지만 쌍안경으로 가장 잘 볼 수 있다. 북반구에서는 2월부터 5월 사이에 하늘 높이 떠 있을 때 관측하기 좋다.

프톨레마이오스는 프레세페 성단을 "게자리의 가슴에 있는 성운 덩어리"라고 묘사했으며, 1609년 갈릴레오망원경으로 이 성단을 관찰하여 40개의 별을 식별했다. 현대에는 약 1,010개의 별이 성단의 구성원으로 추정되며, 이 중 68%는 적색 왜성이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이 성단을 두 마리의 당나귀(북쪽의 아셀루스 보레알리스와 남쪽의 아셀루스 아우스트랄리스)가 여물을 먹는 여물통으로 여겼는데, 이 당나귀들은 신 디오니소스와 그의 스승 실레노스티탄과의 전쟁에서 탔던 당나귀를 상징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이 천체를 수레를 타고 다니는 유령이나 악마로 해석하여 "버드나무 꽃가루 아래에서 날아온 꽃가루 구름"이라고 불렀다.

게자리에는 프레세페 성단 외에도 더 작고 밀도가 높은 산개성단인 M67이 있다. 지구로부터 약 2,87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약 0.5 평방도의 면적(보름달 크기)을 차지한다. M67은 약 200개의 별을 포함하며, 가장 밝은 별은 10등급이다. 이 성단은 생성된 지 35억에서 48억 년이 지난 것으로 추정되어, 메시에 목록에 포함된 산개성단 중에서는 매우 오래된 편에 속한다. 또한, 성단의 나이와 화학적 조성이 태양과 비슷하여 태양과 같은 유형의 별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관측 대상이 되고 있다. 요한 보데에 따르면 M67은 1779년 이전에 Johann Gottfried Köhler|요한 고트프리트 쾰러de가 발견했다고 하지만, 샤를 메시에는 1780년 4월 6일에 독립적으로 발견하여 자신의 목록에 추가했다.

다른 심원천체로는 다음이 있다.

  • NGC 2775: 약 7,270만 광년 떨어진 나선 은하로, 콜드웰 목록 48번 천체이다. 바다뱀자리와의 경계 근처에 위치한다. 뚜렷한 나선 팔 대신 양털이나 깃털처럼 보이는 불규칙하고 끊어진 구조의 나선 팔(플라큘런트 나선 팔)을 가지고 있으며, 은하 중심의 거대한 벌지에서는 별 생성 활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 QSO J0842+1835: 2002년 VLBI 실험에서 중력의 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 퀘이사이다.
  • OJ 287: 약 35억 광년 떨어진 BL Lacertae 천체이다. 1891년부터 관측 기록이 있으며, 약 120년 동안 주기적인 광학 폭발을 보여왔다. 중심의 초거대 블랙홀은 질량이 약 180억 태양 질량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발견 당시 알려진 가장 거대한 블랙홀 중 하나였다.[14][15]

4. 역사와 신화

게자리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정리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였으며, 현대의 88개 별자리에도 포함된다. 서기 2세기 프톨레마이오스는 그의 저서 《알마게스트》에 게자리를 그리스어 이름 Καρκίνος|카르키노스grc로 처음 기록했다.[16]

가장 널리 알려진 신화는 영웅 헤라클레스와 관련된 이야기이다. 제우스의 아내 헤라는 제우스의 외도로 태어난 헤라클레스를 미워하여 그에게 여러 어려운 과업을 부과했다. 그중 하나인 레르네의 괴물 히드라 퇴치 과정에서, 헤라는 히드라를 돕기 위해 게 한 마리를 보냈다. 이 게는 헤라클레스의 발가락을 물었지만, 결국 헤라클레스의 발에 밟혀 죽고 말았다. 헤라는 자신의 명령을 수행하다 죽은 게를 불쌍히 여겨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19] 하지만 게자리는 비교적 어두운 별들로 이루어져 있어, 밝은 별들 사이에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문헌에서는 이 게의 특별한 이름은 언급되지 않으며, '카르키노스'는 단순히 '게'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일반 명사이다.

고대에는 하지 때 태양이 게자리에 위치했기 때문에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다. 태양이 가장 북쪽 하늘(황도 경사 23.437° N)에 도달하는 지점이 바로 게자리 부근이었던 것이다. 비록 세차 운동으로 인해 현재 하지점은 황소자리 부근으로 이동했지만, 태양이 가장 북쪽에서 머리 위를 지나는 위선은 여전히 '북회귀선'이라고 불린다.

게자리는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이 거의 없고 가장 밝은 별도 4등급에 불과하여 종종 "어두운 별자리"로 여겨졌다. 단테는 《천국》에서 게자리의 희미함을 언급하기도 했다.[18]

4. 1. 역사

게자리의 현대적인 기호는 의 집게발을 나타내지만, 역사적으로 게자리는 물속에 사는 다양한 외골격 생물체로 묘사되어 왔다.

기원전 2000년경 고대 이집트 기록에서는 불멸의 신성한 상징인 스카라베우스(딱정벌레)로 묘사되었다. 기원전 1천 년기의 고대 바빌로니아 점성술 텍스트에는 현재 게자리 위치에 해당하는 게 모양 별자리 'MUL.AL.LUL'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는 게와 자라를 모두 지칭할 수 있는 이름이었다. 고대 바빌로니아의 천문 관련 점토판 문서인 MUL.APIN (기원전 1000년경 편찬 추정)에서도 게자리는 "게"를 나타내는 별자리 Mul Al-lul로 여겨졌다.[20][20] 당시 하지점이 게자리 부근에 있었기 때문에, 태양이 황도의 가장 높은 위치에 이르는 이곳을 하늘의 신 아누에 어울리는 장소로 여겨 "아누의 자리"라고 불렀다. 바빌로니아 경계석에는 거북이 그림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게자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바빌로니아 별자리와 죽음, 지하 세계로의 통로 사이에는 강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후대의 그리스 신화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20]

이 별자리가 지중해 세계로 전해진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의 저서 『파이노메나 (Φαινόμενα|파이노메나grc)』에 기록된 별자리 목록에 이미 게자리가 포함되어 있었다. 기원전 3세기 전반 마케도니아 시인 아라토스는 에우독소스의 저술을 바탕으로 쓴 시 『파이노메나』에서 게자리를 고대 그리스어로 "게"를 의미하는 '''καρκίνος|카르키노스grc'''(Karkinos)라는 명칭으로 언급했다. 아라토스는 게자리가 큰곰 아래에 있으며, 태양이 게자리를 지나 사자로 들어갈 무렵 여름이 절정에 달한다고 묘사했다.

기원전 3세기 후반 천문학자 에라토스테네스의 『카타스테리스모이 (Καταστερισμοί|카타스테리스모이grc)』나 1세기고대 로마 저술가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천문시 (De Astronomica|데 아스트로노미카lat)』에서는 게 자체보다 별자리 안의 두 마리 노새(현재의 γ성과 δ성)와 그 여물통(산개 성단 M44)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했다. 현재 γ성의 고유명 Asellus Borealis|아셀루스 보레알리스lat("북쪽 노새"), δ성의 고유명 Asellus Australis|아셀루스 아우스트랄리스lat("남쪽 노새"), M44의 통칭 프레세페 성단(Praesepe Cluster|프레세페 클러스터lat)은 여기서 유래했다.

제정 로마 시대인 2세기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저서 『알마게스트 (ἡ Μεγάλη Σύνταξις τῆς Ἀστρονομίας|헤 메갈레 쉰탁시스 테스 아스트로노미아스grc)』에서 게자리를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포함시켰다. 그는 게 본체를 이루는 별 9개와 별자리에 속하지 않는 별 4개를 구분했다. 10세기 페르시아 천문학자 압드 알 라흐만 알 수피는 964년경 저술한 『별자리 책』에서 게자리를 "게"를 의미하는 al-Saraṭān|알사라탄ara으로 불렀고, 프톨레마이오스와 같이 별 9개와 그 외 별 4개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프레세페 성단은 "여물통"을 의미하는 al-Miʻlaf|알미으라프ara로 불렀다.

12세기의 삽화가 있는 천문학 필사본에서는 게자리가 물방개로 묘사되기도 했다. 알부마사르 역시 그의 저서에서 이 기호에 대해 언급했다. 이슬람 세계를 거쳐 『알마게스트』가 유럽에 다시 전해지면서 al-Saraṭān은 라틴어로 "게"를 의미하는 Cancer|칸케르lat로 번역되었지만, 점성술 텍스트나 성도에서의 묘사에는 혼란이 있었다. 1488년 아우크스부르크의 에르하르트 라트돌트가 출판한 『천문학 입문 (Introductorium in astronomiam Albumasaris Abalachi octo continens libros partiales|인트로둑토리움 인 아스트로노미암 알부마사리스 아발라키 옥토 콘티넨스 리브로스 파르티알레스lat)』(9세기 아부 마샤르 알 발키의 저서를 1140년 카린티아의 헤르만이 라틴어로 번역한 것)에서는 Cancer가 새우와 비슷한 모습으로 그려졌다.[21] 1489년 판본에서는 큰 가재로 묘사되었으며,[21] 이는 대부분의 게르만어군 언어에서 별자리의 이름이기도 하다.

16세기 독일 판화가 알브레히트 뒤러1515년 유럽 최초의 전천 성도에서 게자리를 가늘고 긴 몸통과 한 쌍의 집게발을 가진 가재나 바다가재처럼 그렸다. 뒤러의 예술적 명성 덕분에 이 묘사는 큰 영향력을 가졌고, 16세기부터 18세기 초까지 천구의와 성도에 바다가재를 닮은 Cancer가 널리 그려졌다. 요도쿠스 혼디우스(1600년), 빌렘 블라우(1602년, 1603년), 야코프 바르치우스(1633년), 안드레아스 셀라리우스(1660년), 요하네스 헤벨리우스(1690년), 필리프 드 라 이르(1705년) 등의 작품이 그 예이다. 17세기에 야코프 바르취와 스타니슬라우스 루비에니츠키도 게자리를 바다가재로 묘사했다.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이들 성도의 Cancer 그림은 몸과 집게발에 가시가 없는 특징이 유러피안 바다가재와 유사하며, 특히 셀라리우스의 붉게 채색된 Cancer는 조리된 바다가재를 모델로 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독일요한 바이어1603년 간행한 성도 『우라노메트리아』에서 라트돌트의 그림과 유사한 게 모양 갑각류를 그렸다. 그는 게자리 별 34개와 프레세페 성단에 그리스 문자 및 라틴 문자 부호를 붙였으며, 프레세페 성단에는 ε(엡실론) 부호를 부여했다. 18세기 영국 천문학자 존 플램스티드가 편찬하고 사후인 1729년 간행된 성도 『천구도보(Atlas coelestis|아틀라스 코엘레스티스lat)』에서는 게와 비슷한 모습의 Cancer가 그려졌고, 이후 성도에서는 점차 게에 가까운 모습으로 그려지게 되었다.

1922년 5월 로마에서 개최된 국제천문연맹(IAU) 설립 총회에서 현대 88개 별자리가 확정될 때 게자리도 포함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Cancer|칸케르lat, 약칭은 '''Cnc'''로 정해졌다.[2]

동아시아에서는 청나라 건륭제 때인 1752년 편찬된 성표 『흠정의상고성』에서 게자리의 별들이 이십팔수주작 7수의 두 번째 별자리인 귀수(鬼宿)에 배정되었다. θ, η, γ, δ성은 시체를 실은 가마를 뜻하는 성관 '귀(鬼)', 프레세페 성단은 시체에서 피어오르는 기운을 뜻하는 성관 '적시(積尸)', ψ, λ, φ1, 15번 별은 봉화를 뜻하는 성관 '곽(爟)'에 해당했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거해좌(巨蟹座)'''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초기인 1874년 『성학첩경』에서 "칸세루(カンセル)" 또는 "게(蟹)"로 소개되었고, 1879년 『낙씨천문학』에서는 "칸세루(カンセル)", "큰 게(大蟹)", "거해숙(巨蟹宿)" 등으로 불렸다. 메이지 후기에는 "게(蟹)"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1925년 『이과연표』 초판에도 "게(かに)"로 실렸다. 1944년 학술 용어 재검토와 1952년 일본 천문학회의 결정에 따라 히라가나 표기인 "'''게'''(かに)"가 공식 명칭으로 확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4. 2. 신화

기원전 6세기 후반에 제작된 흑회식 암포라. 레르네의 히드라(중앙)와 싸우는 헤라클레스(좌)와 이올라오스(우), 헤라클레스의 발 아래에 게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루브르 박물관 소장, CA7318)


게자리에 얽힌 가장 널리 알려진 신화는 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 중 두 번째인 레르네의 히드라 퇴치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 제우스의 아내 헤라는 제우스의 외도로 태어난 헤라클레스를 미워하여 그가 히드라와 싸울 때 히드라를 돕기 위해 게 한 마리를 보냈다. 기원전 3세기 후반의 천문학자 에라토스테네스의 『카타스테리스모이』와 1세기 초의 히기누스의 『천문시』에 따르면, 이 게는 헤라클레스의 발을 물었지만 분노한 헤라클레스에게 밟혀 죽고 말았다. 헤라는 자신의 명령을 따르다 죽은 게를 불쌍히 여겨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한다. 에라토스테네스는 이 이야기가 기원전 5세기할리카르나소스의 서사 시인 파뉴아시스의 『헤라클레이아』에 기록되어 있다고 전했다. 일부 자료에서는 이 게의 이름이 '칼키노스'라고 언급하기도 하지만, καρκίνος|카르키노스grc는 고대 그리스어로 단순히 '게' 또는 ''을 뜻하는 일반 명사이며, 고대 문헌에서 이 게에게 특별한 이름이 주어졌다는 기록은 없다.

현대 연구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의 열두 과업 이야기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신 닌우르타와 괴물의 싸움 신화와 유사점이 많으며, 헤라클레스의 발을 문 게 이야기도 닌우르타의 발을 문 거북이 이야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편, 에라토스테네스와 히기누스는 게자리의 일부 별들이 "당나귀"와 관련이 있다는 다른 전승도 기록했다. 기간토마키아라 불리는 올림포스 신들과 기간테스의 전쟁 때, 디오니소스, 헤파이스토스, 사티로스 등이 당나귀를 타고 전장으로 향했다. 이들이 기간테스에게 접근하자 당나귀들이 울기 시작했고, 그 소리에 놀란 기간테스들이 혼란에 빠졌다. 이 공로로 당나귀들은 하늘에 올라 별이 되었는데, 이들이 현재 게자리 감마성(아셀루스 보레알리스, 북쪽 당나귀)과 게자리 델타성(아셀루스 아우스트랄리스, 남쪽 당나귀)이며, 그 옆의 프레세페 성단(M44)은 당나귀들의 여물통(프레세페)이라고 한다.

히기누스는 당나귀에 관한 또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 로마 신화리베르(그리스 신화의 디오니소스)가 유노(헤라)에 의해 광기에 사로잡혔을 때, 제정신을 차릴 방법을 묻기 위해 도도나의 유피테르(제우스) 신탁소로 향했다. 도중에 거대한 늪을 만났는데, 마침 나타난 두 마리의 당나귀 중 한 마리를 타고 무사히 늪을 건넜다. 신탁소에 도착해 광기에서 벗어난 리베르는 감사의 표시로 당나귀들을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었다. 다른 버전에서는 리베르가 자신을 태워준 당나귀에게 사람처럼 말하는 능력을 주었으나, 이 당나귀가 프리아포스성기 크기를 겨루다 패배하여 죽임을 당하자, 리베르가 불쌍히 여겨 별자리로 만들었다고도 한다.

게자리의 기원은 고대 바빌로니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기원전 1천 년경의 천문 기록 문서인 『MUL.APIN|물.아핀akk』에는 현재 게자리 위치에 해당하는 별자리가 "게"를 의미하는 Mul Al-lul|물 알룰akk로 기록되어 있다. 이 시기에는 하지점이 게자리 부근에 있었기 때문에, 태양이 황도에서 가장 북쪽에 높이 위치하는 이곳을 하늘의 신 아누에게 적합한 장소라 하여 "아누의 자리"라고 불렀다.

5. 점성술

서양 점성술에서 사용하는 황도의 게자리와 천문학상의 실제 게자리 별자리는 그 기준과 기간이 다르다.

서양 점성술(열대 점성술)에서는 태양이 매년 6월 22일부터 7월 22일까지 ''기호''로서의 게자리에 위치한다고 간주한다.

인도 점성술에서는 항성(恒星)을 기준으로 하여 7월 21일부터 8월 9일까지를 게자리 기간으로 삼는다. 한편, 항성 점성술에서는 일반적으로 7월 16일부터 8월 16일까지를 게자리 기간으로 본다.

참고로, 천문학에서 실제로 태양이 게자리 영역을 지나는 기간은 2002년 기준으로 7월 20일부터 8월 9일까지였다. 이처럼 점성술에서의 별자리 구분은 실제 하늘의 별자리 위치와는 차이가 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Cancer,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4-02-14
[2] 간행물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3] 웹사이트 The Bortle Dark-Sky Scale http://www.skyandtel[...] 2001-02
[4] 웹사이트 Constellations: Andromeda–Indu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15-08-26
[5]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8-07-30
[6] 웹사이트 Al Tarf (Beta Cancr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4-03-20
[7] 웹사이트 NSV 3973 http://www.aavso.org[...] American Association of Variable Star Observers 2014-03-20
[8] 간행물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
[9] 웹사이트 Asellus Australis (Delta Cancr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5-04-07
[10] SIMBAD gam Cnc 2015-04-08
[11] 간행물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2012
[12] 웹사이트 Iota Cancr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5-05-29
[13] 웹사이트 Acubens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5-05-29
[14] 간행물 A massive binary black-hole system in OJ 287 and a test of general relativity http://astrophysics.[...] 2015-09-01
[15] 뉴스 Biggest black hole in the cosmos discovered https://www.newscien[...] NewScientist.com news service 2008-01-10
[16] 서적 Star Tales https://books.google[...] ISD LLC 2018-06-28
[17]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University of Minnesota
[18] 서적 Paradiso
[19] 서적 De Astronomica
[20] 문서
[21] 웹사이트 Flowers of Abu Ma'shar http://www.wdl.org/e[...] 2013-07-15
[22] 문서
[23] 웹사이트 http://aeea.nmns.edu[...] 2010-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