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유리이빨오징어과에 속하는 대형 오징어 종이다. 팔과 촉수에 갈고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최대 495kg까지 성장하여 현존하는 무척추동물 중 가장 무거운 종으로 기록되어 있다. 남극해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심해에 서식하며 털갯지렁이, 파타고니아 이빨고기 등을 먹고, 향유고래, 부리고래류, 남극 이빨고기 등의 포식자에게 잡아먹힌다. 2007년 포획된 개체가 뉴질랜드 국립 박물관 테 파파 통가레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5년 기재된 동물 - 볼기우럭
    볼기우럭은 눈퉁바리와 유사하나 뒷지느러미 줄기 수와 기저 길이에서 차이를 보이며 북서태평양에 서식하고 트롤 어업으로 어획되어 식용되지만 최근 어획량 감소로 지속 가능한 어업 정책이 요구되는 어류이다.
  • 남극의 동물상 - 남극물개
    남극물개는 남극해 주변 섬에 서식하는 물개과 기각류로, 한때 남획으로 멸종 위기를 겪었으나 보호 노력으로 개체수가 회복되었지만, 현재는 기후 변화, 해양 쓰레기, 질병 등으로 개체수 감소 추세에 있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단계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남극의 동물상 - 얼룩무늬물범
    얼룩무늬물범은 남극해에 서식하며 표범과 같은 얼룩무늬를 가진 남극물범족 중 가장 큰 종으로, 단독 생활을 하고 남극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보호받고 있다.
  • 십완상목 - 대왕오징어
    대왕오징어는 네오오징어과와 함께 초과를 구성하는 단형 분류군에 속하며, 과거에는 여러 종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2013년 DNA 연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단일 종으로 결론 내려졌다.
  • 십완상목 - 갑오징어목
    갑오징어목은 두족강 두순아강에 속하며 갑오징어뼈라는 독특한 내부 구조, 뛰어난 위장술, 색 변화 메커니즘, 정교한 시각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120종 이상의 종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
두족강
아강초형아강
상목십완형상목
아목개안목
하트오징어과
아과쿠자쿠이카아과(가칭)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속 (Mesonychoteuthis)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 (M. hamiltoni)
학명Mesonychoteuthis hamiltoni
명명자롭슨, 1925
일본어 이름다이오우호우즈키이카 (ダイオウホウズキイカ)
영어 이름Colossal Squid
형태 및 생태
예상 최대 무게495 kg
예상 최대 무게 참고 자료콜로살오징어(Oceana)
최대 무게 추정치600–700 kg
최대 길이 추정치10 m
최대 길이 가능성14 m
눈 크기27–30 cm
눈 크기40 cm
분포
분포 지역남극해
보존 상태
IUCN최소 관심
IUCN 참고 자료Barratt, I. & Allcock, L. 2014. Mesonychoteuthis hamilton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4: e.T163170A980001. https://dx.doi.org/10.2305/IUCN.UK.2014-1.RLTS.T163170A980001.en
이미지
부풀린 외투를 가진 묘사
부풀린 외투를 가진 묘사

2. 형태

대왕오징어는 모든 오징어에게 공통적인 특징인 외투막, 아가미, 부리, 팔과 촉수, 머리,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19] 유리이빨오징어과 내에서 팔과 촉수에 회전하거나 세 갈래로 된 갈고리가 있는 유일한 오징어이다.[20]

사람과의 크기 비교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심해 거대증을 나타내며, 최대 495kg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동물계에서 가장 큰 눈을 가지고 있으며, 지름은 27cm에서 30cm에 달한다.[22][23]

2. 1. 대왕오징어와의 비교

대왕오징어심해 거대증을 나타내지만,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가 더 무겁다.[21] 대왕오징어의 촉완에는 갈고리가 없고, 대신 딱딱한 모양의 이빨이 늘어선 흡반이 있다. 대왕오징어는 몸통의 지느러미가 매우 크며, 촉완은 몸에 비해 대왕오징어만큼 길지 않다. 체색은 둘 다 적갈색이다.

3. 분포 및 서식지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남극에서 남아메리카 남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부, 뉴질랜드 최남단까지 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분포하며, 주로 남극해 전체에 서식한다.[24] 웨델해와 서부 케르겔렌 제도 사이의 지역은 서식지의 특성을 바탕으로 "핫스팟"으로 여겨진다.[26]

이 오징어의 수직 분포는 나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린 오징어는 0m에서 500m 깊이에서 발견되며, 청소년기 오징어는 500m에서 2000m 깊이에서 발견되고, 성체 오징어는 주로 열린 바다의 중층 해역과 심해저 해역에서 발견된다.[24] 남극해 주변 수심 2000m의 심해역에 서식한다.

4. 생태

대왕오징어의 부리


대왕오징어는 털갯지렁이, 파타고니아 이빨고기와 같은 대형 어류, 심해의 작은 오징어 등을 먹이로 한다.[27] 남극 이빨고기가 대왕오징어의 식단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8] 프리츠 만 지역의 연구에서는 암컷 대왕오징어의 위에서 오징어 잔해가 발견되어 동족 포식의 가능성도 제기되었다.[29] 키틴질 부리의 δ15N 함량을 측정하는 연구를 통해 대왕오징어가 최상위 포식자임을 확인하였다.[30]

대왕오징어는 매우 느린 신진대사율을 가지고 있어, 몸무게 500kg인 성체는 하루에 약 30g의 먹이만 필요로 한다.[31] 에너지 요구량 추정치는 이들이 활동적인 사냥보다는 주로 먹이 감지를 위해 큰 눈을 사용하는 매복 포식자임을 시사한다.[31][32]

향유고래의 등에 난 상처는 대왕오징어의 갈고리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왕오징어는 남극해에서 향유고래의 주요 먹이 중 하나이며, 향유고래 위에서 발견된 오징어 부리의 14%가 대왕오징어의 부리였다. 이는 대왕오징어가 이 고래가 소비하는 생물량의 77%를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3] 부리고래류, 참고래, 범고래, 남방코끼리해표, 남극 이빨고기,[34] 남극 잠상어, 알바트로스 등도 대왕오징어를 먹는다.[24] 그러나 성체 대왕오징어의 부리는 대형 포식자에게서만 회수되었으며, 다른 포식자는 어린 개체만 먹는 것으로 보인다.[35]

키틴질 턱판(부리) 스케치


남극해 주변 수심 2,000m의 심해역에 서식하며, 심해에 사는 대형 오징어나 물고기를 먹이로 삼는 것으로 생각된다. 남극해에는 남극 크릴을 포식하는 오징어류가 매우 많으며, 그것을 먹이로 삼기 위해 모여드는 거대한 오징어류는 고래류의 먹이가 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자연 상태의 대왕오징어가 관측된 예는 없으며, 거대한 오징어류를 잡는 것이 곤란하여 생태의 전모는 불명이다.

기본적으로는 바다를 표류하면서 잠복하거나 지나가는 먹이를 잡는 것으로 생각된다. 신진대사를 억제하여 적은 먹이로 생명을 유지하며, 체중 500kg의 개체는 5kg의 물고기 1마리로 200일 동안 생명 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60]

대왕오징어의 생물 표본(뉴질랜드 웰링턴에 있는 국립 박물관 테 파파 통가레와 소장)


포획되는 기회가 매우 드물고 연구에 여러 난제가 있어, 현재까지 생태 해명이 많이 진전되지 않았다. 연구 대상으로, 남극 근해에서 포획된 개체가 거의 완전한 상태의 생물 표본으로 2007년 3월부터 뉴질랜드 웰링턴에 있는 뉴질랜드 국립 박물관 테 파파 통가레와에 전시되어 있다.

2014년 9월에는 남극 근해에서 사상 두 번째로 거의 완전 상태의 생물 표본이 조업 중인 어선에 의해 포획되었다. 오클랜드 공과 대학교 연구진에 의해, 길이 약 3.5m (추정)・무게 350kg (추정)의 암컷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눈의 직경이 35cm인 것과, 체내에 알을 가지고 있는 것, 다른 오징어・문어류와 마찬가지로 심장을 3개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개체도, 뉴질랜드 국립 박물관 테 파파 통가레와에 냉동 보존되어 있다[61]

4. 1. 번식

암수 구별은 뚜렷하다. 그러나 많은 오징어 종은 나이가 들고 발달하면서 성별에 따른 특정한 기관을 발달시킨다.[36] 성체 암컷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훨씬 얕은 수심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암컷이 평소 서식하는 깊이가 아닌 더 얕은 수심에서 산란한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24]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420만 개 이상의 난모세포에 달하는 높은 포란수를 가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이처럼 차가운 해역에 사는 다른 오징어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독특하다.[36]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 난모세포는 크기가 3.2x2.1 mm에서 1.4x0.5 mm에 이르기까지 관찰되었다.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 난소 표본은 그램당 평균 2,175개의 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7] 어린 오징어는 표면 수온이 -0.9°C~0°C인 여름철에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5]

4. 2. 감각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대왕오징어처럼 매우 큰 눈을 가지고 있다. 대왕오징어의 눈은 직경이 30cm에 달하는데, 이는 황새치와 같은 원양 생물의 평균 눈 지름(10cm)보다 훨씬 큰 크기이다.[37][38] 이렇게 큰 눈은 빛이 적은 심해에서 향유고래와 같은 포식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 유리하다.[37] 눈 옆에는 빛을 내는 발광기가 있어 어둠 속에서 시야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발광기에는 공생 박테리아가 서식하며, 화학 반응을 통해 빛을 생성한다.[39][40]

오징어는 평형 감각기라는 기관을 통해 소리를 감지하는데, 이는 인간의 달팽이관과 유사하다.[41]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의 평형 감각기는 원양어류와 비슷하게 500Hz 미만의 저주파 음에는 반응할 가능성이 높지만,[41] 고래의 음파 탐지기와 같은 고주파수에는 거의 반응하지 못하므로,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주로 시각에 의존한다.[37][42]

5. 분류 및 역사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Mesonychoteuthis hamiltoni'')는 1925년에 향유고래의 위에서 발견된 두 개의 팔관 덮개를 통해 처음 발견되었으며,[45] 유리살오징어과(Cranchiidae)에 속한다.[43]

5. 1. 주요 발견

이 종은 1925년 향유고래의 위에서 발견된 두 개의 팔관 덮개 형태로 처음 발견되었다.[45] 1981년 로스해에서 소련 트롤 어선이 미성숙 암컷 개체를 포획하면서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Mesonychoteuthis hamiltoni'')로 명명되었다.[46]

2003년에는 해수면 근처에서 미성숙 암컷의 완전한 표본이 발견되었고,[47] 2005년에는 사우스조지아 섬에서 살아있는 완전한 표본이 처음으로 포획되었다.[48]

2007년 초에 잡힌 이 표본은 기록된 가장 큰 두족류이다.


2007년 뉴질랜드 어선이 로스해에서 기록상 가장 큰 암컷 표본(495kg)을 포획했다.[23] 2014년에는 남극 근해에서 두 번째로 거의 완전한 상태의 암컷 표본(350kg)이 포획되어 뉴질랜드 국립 박물관 테 파파 통가레와에 보관되었다.[61]

5. 1. 1. 2007년 표본 해부 (2008년)

뉴질랜드 국립 박물관 테 파파 통가레와에서 표본 해동 및 해부가 진행되었다.[50] 오클랜드 공과대학교의 스티브 오셔, 구보데라 츠네미, 캇 볼스타드(Kat Bolstad)가 해부를 돕기 위해 박물관에 초청되었고, 해양 생태학자 마크 펜윅(Mark Fenwick)과 네덜란드 과학자 올라프 블루(Olaf Blaauw)도 함께했다.[50]

당시 언론 보도에 따르면, 박물관 과학자들은 오징어를 해동하기 위해 거대한 전자레인지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했으나, 실온에서 해동하면 며칠이 걸리고 외부부터 부패가 시작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51]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염수 욕조에서 표본을 해동하는 더 일반적인 방식을 선택했다.[52] 해동 결과, 표본은 몸통 길이 2.5m, 총 길이 4.2m, 무게 495kg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오징어가 죽은 후 촉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3]

표본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향유고래 위에서 발견된 다른 부리들보다 훨씬 작아,[54][55] 더 큰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54][55]
  • 눈의 너비는 27cm이고 렌즈 지름은 12cm이다.[22] 이는 알려진 동물 중 가장 큰 눈이다.[22] 이 측정값은 부분적으로 쪼그라든 표본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살아있을 때는 눈의 너비가 30[23]~40cm였을 것으로 추정된다.[56]
  • 내시경 검사 결과 난소에서 수천 개의 알이 발견되었다.[23]

6.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어부들의 주요 어획 대상이 아니며, 낚시 바늘에 걸린 물고기를 먹으려다 우연히 잡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58]

7. 인간과의 관계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체조직에 부력을 얻기 위해 염화 암모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쓴맛이 나기 때문에 식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심해에 서식하여 인간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7. 1. 명칭

속명 Mesonychoteuthis|메소니코테우티스grc는 μέσος|메소스grc(mesos) "중간" + ὄνυξ|오닉스grc(onyx; 어간: onych-) "짐승 발톱, 갈고리 발톱" + τευθίς|테우티스grc(teuthis) "오징어"의 합성어이다. 참고로, 뒤의 두 단어만을 조합한 Onychoteuthis|오니코테우티스grc는 참오징어과 혼츠메이카속의 명칭으로 사용된다.[1]

7. 2. 이용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는 체조직에 부력을 얻기 위해 염화 암모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특유의 쓴맛이 있어 식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심해에 서식하여 인간 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7. 3. 전시

뉴질랜드 국립 박물관 테 파파 통가레와는 2007년 3월부터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 표본을 전시하고 있다.[57] 2014년 9월에는 남극 근해에서 잡힌 두 번째 표본도 이 박물관에 냉동 보존되어 있다.[61]

참조

[1] IUCN "''Mesonychoteuthis hamiltoni''" 2022-09-15
[2] 웹사이트 "''Mesonychoteuthis hamiltoni'' G. C. Robson, 1925" 2022-09-15
[3] 웹사이트 How big is the colossal squid on display? https://www.tepapa.g[...] Te Papa 2019
[4] 웹사이트 The beak of the colossal squid https://www.tepapa.g[...] Te Papa 2019
[5] 간행물 Cephalopod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pecies known to date. Volume 2. Myopsid and Oegopsid Squids http://www.fao.org/d[...] FAO 2010
[6] 웹사이트 Colossal Squid https://oceana.org/m[...] 2024-02-12
[7] 웹사이트 The eyes of the colossal squid https://www.tepapa.g[...] 2016-12-29
[8] 논문 A Unique Advantage for Giant Eyes in Giant Squid 2012
[9] 뉴스 Is it a boy? Te Papa gets new colossal squid http://www.nzherald.[...] 2015-08-02
[10] 웹사이트 Scientists went on a hunt for the elusive colossal squid — and brought cruise ship tourists with them https://www.business[...] 2024-06-05
[11] 웹사이트 Studying the World's Largest Invertebrate - the Colossal Squid, Mesonychoteuthis hamiltoni https://experiment.c[...] 2024-06-05
[12] 웹사이트 Expedition Launching to Study the Colossal Squid in Antarctica https://www.ecomagaz[...] 2024-06-05
[13] 논문 New methods of undertaking marine science in Antarctica using tourism vessels 2024-02-20
[14] 웹사이트 A Baby Colossal Squid Might Have Been Filmed for the First Time Ever https://www.theinert[...] 2024-06-05
[15] 웹사이트 Visiting the Kraken at Home https://hakaimagazin[...] 2024-06-05
[16] 웹사이트 "Mystery" Glass Squid In Antarctica Could Be First-Ever Colossal Squid Baby Filmed https://www.iflscien[...] 2024-06-05
[17] 웹사이트 For the First Time Ever, the Colossal Squid Might Have Shown Its Secret Face https://www.popularm[...] 2024-06-05
[18] 논문 Expedition Launching to Study the Colossal Squid in Antarctica https://www.thejot.n[...] 2022
[19] 서적 Cephalopods of the World http://www.fao.org/3[...] "[[United Nations]]"
[20] 웹사이트 Hooks and suckers http://blog.tepapa.g[...] 2011-09-30
[21] 웹사이트 Colassal squid https://oceana.org/m[...] Oceana International 2023-08-12
[22] 뉴스 Colossal squid to give up its secrets http://www.radionz.c[...] Radio New Zealand 2015-08-02
[23] 뉴스 Colossal Squid's big eye revealed http://news.bbc.co.u[...] "[[BBC]]" 2008-04-30
[24] 논문 Biology and ecology of the world's largest invertebrate, the colossal squid (''Mesonychoteuthis hamiltoni''): a short review http://nora.nerc.ac.[...] 2017-03-30
[25] 논문 Distribution and biology of the colossal squid, Mesonychoteuthis hamiltoni: New data from depredation in toothfish fisheries and sperm whale stomach contents http://www.sciencedi[...] 2019-05-01
[26] 논문 Biogeography of Cephalopods in the Southern Ocean Using Habitat Suitability Prediction Models http://nora.nerc.ac.[...] 2015-10-19
[27] 논문 Distribution and biology of the colossal squid, ''Mesonychoteuthis hamiltoni'': New data from depredation in toothfish fisheries and sperm whale stomach contents 2019-05
[28] 논문 Colossal squid vs huge toothfish – clash of the deep-sea titans https://www.newscien[...] 2015-06-11
[29] 논문 Contribution to the biology of squid in the Prydz Bay region, Antarctica 1994-06
[30] 논문 Stable isotopes, beaks and predators: a new tool to study the trophic ecology of cephalopods, including giant and colossal squids 2005-08-07
[31] 논문 Slow pace of life of the Antarctic colossal squid 2010
[32] 뉴스 Huge 'monster squid' not fearsome http://news.bbc.co.u[...] 2015-08-02
[33] 논문 Cephalopoda in the diet of sperm whales of the southern hemisphere and their bearing on sperm whale biology
[34] 논문 Alien vs. Predator: interactions between the colossal squid (''Mesonychoteuthis hamiltoni'') and the Antarctic toothfish (''Dissostichus mawsoni'') https://doi.org/10.1[...] 2015-11-10
[35] 논문 Antarctic jaws: cephalopod prey of sharks in Kerguelen waters 2004
[36] 서적 Cephalopods of the world :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cephalopod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37] 논문 A Unique Advantage for Giant Eyes in Giant Squid 2012-04-24
[38] 논문 The giant eyes of giant squid are indeed unexpectedly large, but not if used for spotting sperm whales 2013-09-08
[39] 논문 The photophores of the squid family Cranchiidae (Cephalopoda: Oegopsida) https://onlinelibrar[...] 2002-09
[40] 웹사이트 The eyes of the colossal squid https://www.tepapa.g[...] 2016-12-29
[41]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that Squid Can Detect Sounds https://www.whoi.edu[...] 2022-04-10
[42] 논문 Sensory Ecology: Giant Eyes for Giant Predators? 2012-04-24
[43] 웹사이트 "''Mesonychoteuthis hamiltoni'' Robson, 1925" https://www.itis.gov[...]
[44] 논문 Sizing ocean giants: patterns of intraspecific size variation in marine megafauna
[45] 논문 " On ''Mesonychoteuthis'', a new genus of oegopsid, Cephalopoda"
[46] 문서 The Search for the Giant Squid The Lyons Press
[47] 뉴스 Super squid surfaces in Antarctic http://news.bbc.co.u[...] 2015-08-02
[48] 웹사이트 Very Rare Giant Squid Caught Alive http://www.sgisland.[...] 2015-08-02
[49] 뉴스 NZ fishermen land colossal squid http://news.bbc.co.u[...] 2015-08-02
[50] 웹사이트 Te Papa's Specimen: The Thawing and Examination http://www.tepapa.go[...]
[51] 웹사이트 NZ's colossal squid to be microwaved http://www.nzherald.[...] 2011-09-25
[52] 뉴스 Colossal squid comes out of ice http://news.bbc.co.u[...] 2015-08-02
[53] 웹사이트 The Colossal Squid Exhibition – The Squid Files – How big is the colossal squid? http://squid.tepapa.[...] 2020-03-09
[54] 웹사이트 Colossal Squid Revealed http://www.radionz.c[...] Radio New Zealand 2014-10-14
[55] 웹사이트 Massive squid may be just a babe https://blog.tepapa.[...] 2008-04-30
[56] 웹사이트 World's biggest squid reveals 'beach ball' eyes http://www.terradail[...] AFP 2008-04-30
[57] 웹사이트 The Colossal Squid https://www.tepapa.g[...] 2019-05-14
[58] 웹사이트 Colossal Squid https://oceana.org/m[...] 2020-03-10
[59] 웹사이트 Colossal Squid ~ MarineBio Conservation Society https://marinebio.or[...] 2017-05-18
[60] 뉴스 ダイオウホウズキイカの低消費生活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16-06-12
[61] 뉴스 350キロの巨大イカ、南極沖で発見 体内には卵も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4-09-17
[62] 웹인용 남극하트지느러미오징어 http://portal.nfrdi.[...] 국립수산과학원 2012-10-06
[63] 웹인용 거대 오징어의 비밀_신비에 싸인 바다생물 거대 오징어에 대한 놀라운 사실 http://popsci.hankoo[...] 한국일보 파퓰러사이언스 2012-10-06
[64] 웹인용 Mesonychoteuthis hamiltoni Robson, 1925 http://www.marinespe[...] 2012-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