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주름상어과에 속하는 연골어류의 일종으로, 2009년 학명 ''Chlamydoselachus africana''로 공식 기재되었다. 앙골라 남부 해안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까지 분포하며, 뱀과 같은 긴 몸과 넓고 납작한 머리를 가지고 있어 주름상어와 유사하다. 아프리카톱꼬리상어와 같은 작은 상어를 주로 먹으며, 무태반태생으로 추정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를 관심대상 종으로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름상어과 - 주름상어속
주름상어속은 뱀장어처럼 긴 몸과 주름 모양 아가미 덮개를 가진 주름상어와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 2종의 현존하는 상어와 여러 멸종된 종을 포함하는 속으로, 일부 멸종된 종은 치아 형태학적 차이로 인해 롤포돈속으로 재분류되기도 한다.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학명 | Chlamydoselachus africana |
명명자 및 연도 | Ebert & Compagno, 2009 |
속 | ラブカ속(Chlamydoselachus) |
종 | 미나미아프리리카부카 (C. africana) |
영어 이름 | Southern African frilled shark(남방 아프리카 주름 상어) |
보존 상태 | |
IUCN | LC (관심 필요) |
평가 연도 | 2019 |
분포 | |
![]() |
2. 분류
주름상어(''C. anguineus'')는 오랫동안 주름상어과와 주름상어속의 유일한 현존 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88년 2월 남아프리카 해역에서 새로운 종이 발견되면서 이러한 분류에 변화가 생겼다. 이 신종은 2009년 데이비드 에버트와 레너드 콤파그노의 논문을 통해 공식적으로 기재되기 전까지 ''Chlamydoselachus'' "sp. A"로 불렸다.[8]
2. 1. 발견 및 명명
주름상어(''C. anguineus'')는 오랫동안 주름상어과와 주름상어속의 유일한 현존 종으로 여겨져 왔다. 1988년 2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탐사 연구선 아프리카나(Africana) 호가 나미비아 뤼데리츠 앞바다에서 주름상어속(''Chlamydoselachus'')의 새로운 종으로 의심되는 표본을 잡았다. 이 표본은 기존에 알려진 주름상어(''C. anguineus'') 성어보다 작은 수컷이었으며, 추가 연구를 통해 이 지역 주름상어와 주름상어 사이에 일관된 차이점이 밝혀졌다. 이 새로운 종은 데이비드 에버트와 레너드 콤파그노가 2009년 국제동물분류 학술지 'Zootaxa'에 논문을 발표하여 공식적으로 기재하기 전까지 ''Chlamydoselachus'' "sp. A"로 불렸다. 정기준표본(holotype)은 나미비아 쿠네네강 앞바다 수심 409m에서 연구 탐사선 벵구엘라(Benguela) 호가 잡은 몸길이 117cm의 미성숙 암컷이다.[8]3. 분포 및 서식지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앙골라 남부 해안에서 나미비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까지 발견된다.[3][7]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케이프주 해안의 1230m~1400m 깊이, 콰줄루나탈 주 해안의 300m 깊이에서도 잡혔는데, 이 표본들이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가 맞는지 확인이 필요하다.[3][6] 서식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한 표본은 용존 산소가 낮고 영양분이 많은 부드러운 모래 바닥, 425m 깊이에서 잡혔다.[2][6]
4. 형태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주름상어와 매우 유사하게 생겼으며, 긴 뱀과 같은 몸과 넓고 납작한 머리를 가지고 있다. 2009년 데이비드 이버트(David Ebert)와 레너드 컴파뇨(Leonard Compagno)가 국제동물분류 학술지 'Zootaxa'에 논문 발표를 통해 공식 기재되기 전까지는 ''Chlamydoselachus'' "sp. A"로 명명되었다.[8]
주름상어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비율적 차이점을 보이며, 내부적인 차이점도 존재한다.
4. 1. 주름상어와의 유사점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긴 뱀과 같은 몸과 넓고 납작한 머리를 가지고 있어 주름상어와 매우 유사하게 생겼다. 눈은 크고 둥글다. 덩치가 큰 입은 뭉툭한 주둥이 끝에 위치하며, 위턱에 약 30개의 치열, 아래턱에 27개의 치열이 있다. 각 이빨은 가늘고 매끄럽고 뒤로 굽은 세 개의 첨두를 가지며, 그 사이에 작은 소첨두가 있고, 뒤쪽 이빨과 맞물리는 밑부분을 가지고 있다. 여섯 쌍의 긴 아가미 구멍이 있으며, 첫 번째 쌍은 목 위에서 만난다. 가슴 지느러미는 넓고 둥글며, 여섯 번째 아가미 구멍 바로 뒤에서 시작된다. 골반 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기저부가 길고 가장자리가 굽어 있다. 단일 등지느러미는 몸 뒤쪽에 뒷지느러미 위에 위치하며, 짧은 기저부를 가지고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낮고 다소 삼각형이며, 아래쪽 엽은 없다.[2]주름상어와 비교했을 때,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머리와 아가미 구멍이 더 길고, 눈과 콧구멍 사이가 더 넓으며, 입이 더 넓고, 머리와 가슴 지느러미 사이의 거리가 더 멀다는 몇 가지 비율적 차이점을 보인다. 알려진 가장 큰 암컷은 미성숙한 개체로 117cm이며, 알려진 가장 큰 수컷은 99cm이다. 살아있는 상태에서 상어는 짙은 회색이지만, 얇은 막으로 덮여 있어 균일한 짙은 갈색을 띤다.[2]
겉모습은 주름상어와 비슷하지만, 두 종 사이에는 몇 가지 내부적인 차이점이 있다.[3]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척추 중심체가 더 적고(147개 vs 160-171개), 단일 척추 전방 중심체(MP)에서 이중 척추 전방 중심체(DP)로의 전환이 더 일찍 일어난다(가슴 지느러미 끝의 18번째 중심체 vs 골반 지느러미 주변의 72-75번째 중심체). 또한 나선형 창자 밸브가 더 적다(26-28개 vs 35-49개). 표본 크기는 제한적이지만,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또한 다른 가슴 지느러미 골격 구조(예: 더 많은 방사형 분절을 가짐)를 가지고 있으며, 뒷지느러미에 더 많은 방사형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3]
4. 2. 주름상어와의 차이점
주름상어와 비교했을 때,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머리와 아가미 구멍이 더 길고, 눈과 콧구멍 사이가 더 넓으며, 입이 더 넓고, 머리와 가슴 지느러미 사이의 거리가 더 멀다는 몇 가지 비율적 차이점을 보인다.[2] 알려진 가장 큰 암컷은 미성숙한 개체로 117cm이며, 알려진 가장 큰 수컷은 99cm이다.[2] 살아있을 때 짙은 회색이지만, 얇은 막으로 덮여 있어 균일한 짙은 갈색을 띤다.[2]겉모습은 주름상어와 비슷하지만, 두 종 사이에는 몇 가지 내부적인 차이점이 있다.[3]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척추 중심체가 147개로 주름상어(160-171개)보다 적고,[3] 창자의 나선판막 수도 주름상어가 35-49개인 데 반해 26-28개로 적다. 또한 가슴지느러미와 엉덩이지느러미의 골격 구조도 다르다.[2][3]
5. 생태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턱과 배가 신축성이 커서 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 뾰족한 돌기가 많은 뒤집힌 이빨은 먹이가 도망치는 것을 막는다.[6] 고양이상어속의 아프리카톱상어 등 소형 상어를 포식하며, 몸길이 92cm인 개체가 자신 몸길이의 40%나 되는 톱상어속의 일종을 삼킨 기록도 있다.[6]
주름상어와 마찬가지로 무태반성 태생으로 추정된다. 수컷은 몸길이 91.5cm 정도에서 성성숙한다.[6]
5. 1. 먹이
위 내용물 분석 결과,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는 주로 아프리카톱꼬리상어와 같은 작은 상어를 먹는다. 턱, 구강, 복부는 매우 잘 늘어나 큰 먹이를 통째로 삼킬 수 있다. 바늘 모양의 안쪽으로 굽은 이빨은 먹이가 도망치는 것을 막는다.[2] 92cm 길이의 표본에서 몸길이의 40%에 달하는 유령고양이상어를 삼킨 것이 발견되었다.[2]5. 2. 생식
성체 암컷 표본은 없지만, 주름상어와 마찬가지로 무태반태생일 것으로 추정된다. 수컷은 91.5cm 정도의 길이에서 성적으로 성숙한다.[2]6. 보존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남방아프리카주름상어를 관심대상(LC) 종으로 평가했으며,[1] 적색 목록에서는 관심 필요 종으로 지정했다.[5]
참조
[1]
간행물
"''Chlamydoselachus africana''"
2019
[2]
저널
"''Chlamydoselachus africana'', a new species of frilled shark from southern Africa (Chondrichthyes, Hexanchiformes, Chlamydoselachidae)"
http://www.mapress.c[...]
2009
[3]
서적
A field guide to the Sharks of the world
Collins
2005
[4]
서적
ほぼ命がけサメ図鑑
[5]
간행물
"''Chlamydoselachus africana''"
2019
[6]
저널
"''Chlamydoselachus africana'', a new species of frilled shark from southern Africa (Chondrichthyes, Hexanchiformes, Chlamydoselachidae)"
http://www.mapress.c[...]
2009
[7]
서적
A field guide to the Sharks of the world
Collins
2005
[8]
저널
"''Chlamydoselachus africana'', a new species of frilled shark from southern Africa (Chondrichthyes, Hexanchiformes, Chlamydoselachidae)"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