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낸시 피어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낸시 피어시는 미국의 작가이자 기독교 변증가이다.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코버넌트 신학대학교에서 성서학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케언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녀는 세계관 연구 학자, 칼럼니스트로 활동했으며, 기독교 세계관, 지적 설계 운동, 성과 젠더 문제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제시해왔다. 피어시는 기독교 세계관을 옹호하며, 성경의 무오성에 기반한 기독교적 지적 틀의 구축을 강조한다. 또한, 상호보완주의를 지지하며 남성과 여성의 뚜렷한 성 역할을 옹호한다. 그녀의 저작물은 생물학적 진화에 대한 과학적 이론과 유물론적 진화론의 철학을 혼동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Total Truth', 'Love Thy Body'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기독교 젊은 지구 창조론자 - 마이크 허커비
    마이크 허커비는 아칸소 주지사를 역임하고 두 차례 미국 대통령 선거에 공화당 후보로 출마한 미국의 정치인이자 침례교 목사, 방송인, 작가로,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입장과 기독교 근본주의 성향을 보이며 방송 활동과 저술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 미국의 기독교 젊은 지구 창조론자 - 커크 캐머런
    커크 캐머런은 미국의 배우이자 복음주의 기독교인으로, 《Growing Pains》에 출연했고, 기독교 영화에 출연하며, TBN에서 쇼를 진행하며, 어린이 책을 출판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 지적 설계 지지자 - 필립 E. 존슨
    필립 E. 존슨은 미국 법학자이자 지적 설계 운동의 주요 인물로서, 진화론 비판 및 지적 설계 옹호 활동, "쐐기 전략"을 통한 자연주의적 세계관 도전 등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 지적 설계 지지자 - 척 노리스
    척 노리스는 대한미국에서 무술을 접한 후 척 노리스 시스템을 창시한 미국의 무술가이자 배우, 영화 제작자로서, 액션 영화와 드라마 출연 외에도 킥스타트 키즈 재단 설립, 공화당 지지 등의 사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인터넷 유머인 '척 노리스 팩트'로도 알려져 있다.
낸시 피어시 - [인물]에 관한 문서
낸시 랜돌프 피어시

2. 교육

피어시는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커버넌트 신학교와 코버넌트 신학대학교에서 성서학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17][1] 그녀는 또한 캐나다 토론토에 있는 기독교학문 연구소(Institute for Christian Studies)와 기독교 연구소에서 철학에 대한 비 학위 연구를 수행했다.[17][2] 2007년 케언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

3. 경력

피어시는 세계 저널리즘 연구소(World Journalism Institute)에서 프란시스 쉐퍼 관련 연구 학자였다.[18][19] 2007년 9월, 펜실베이니아 주 랭혼에 있는 필라델피아 성경 대학교 대학 연구 센터에서 세계관 연구 학자로 선정되었다.[19][20] 2011-12년에는 리벤델 생츄어리(Rivendell Sanctuary)에서 교수직을 맡았다.[21] 2012년 휴스턴 크리스찬 대학교에서 학자로 재직했다.[22] 피어시는 보수적인 잡지인 ''휴먼 이벤트''의 칼럼니스트이다.[23]

1991년, 피어시는 찰스 콜슨과 함께 기독교 변증론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한 라디오 프로그램인 브레이크포인트 라디오(BreakPoint Radio)를 설립했다. 피어시는 1999년 11월까지 이 프로그램의 대본을 썼다.[4] 1996년부터 피어시는 콜슨과 함께 다수의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칼럼을 공동 집필했는데, 콜슨이 개요를 제공하고 피어시가 초고를 작성했다.[5][6] 피어시와 콜슨은 1999년에 ''이제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How Now Shall We Live?)''라는 책을 출판했다. 이 책에 대한 계약이 "공동 저작을 위한 것이지, 대필을 위한 것이 아니다"[4]라는 내용에도 불구하고, 피어시는 타인들 하우스 출판사(Tyndale House Publishers)와의 광범위한 협상 끝에 책의 광고와 표지 디자인에만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6]

4. 관점

낸시 피어시는 지적 설계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24] 디스커버리 연구소의 과학 문화 센터 연구원으로 활동하며,[11] 저술을 통해 지적 설계 운동을 홍보해 왔다. 키츠밀러 대 도버 교육구 재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지적 설계를 지지하는 중·고등학교 교재인 판다와 사람들에 기고했다.[25][3]

피어시는 기독교 세계관을 옹호하며, 성경의 무오성에 기반한 명확한 기독교적 지적 틀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모든 세계관은 자연의 기원, 고통과 타락의 근원, 인간의 구원 방법이라는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정의된다고 보았다.[1]

피어시는 상호보완주의를 지지하며 남성과 여성의 뚜렷한 성 역할을 주장한다. 그녀는 산업 혁명이 남성과 가정의 연결을 끊었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여성 참정권이 "여성의 선을 책임지는 남성에 대한 여성의 신뢰가 비극적으로 훼손된 것"을 의미하며,[13] 사회적 원자화와 전통적인 남성성의 쇠퇴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피어시는 성-젠더 구분에 반대하며, 트랜스젠더 정체성이 "몸과 자아 사이에 대립을 설정하여, 기본적인 생물학적 정체성으로부터 사람들을 소외시킨다"고 주장한다.[7]

4. 1. 지적 설계

피어시는 지적 설계 운동에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24] 디스커버리 연구소의 과학 문화 센터 연구원으로서,[11] 저술 활동을 통해 지적 설계 운동을 널리 홍보해 왔다. 키즈밀러 대 도버 학교 지역 판결에서 특징적으로 보여준 판다와 사람들이라는 지적 설계를 지지하는 중·고등학교 교재에 기고를 하였으며,[25] 논란이 많은 이 교과서의 여러 장을 집필했다. 판다와 사람들은 키츠밀러 대 도버 교육구 재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3]

4. 2. 기독교 세계관

피어시는 기독교 세계관을 옹호하며, 성경의 무오성에 기반한 명확한 기독교적 지적 틀의 구축을 강조한다. 각 세계관은 자연의 기원, 고통/타락의 근원, 그리고 인간이 어떻게 구원받을 것인가 등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정의된다.[1] 이러한 관점들은 상호 배타적이다.

"문화 전쟁은 단지 낙태, 동성애 권리, 또는 공교육의 쇠퇴에 관한 것이 아니다. 이것들은 단지 작은 충돌일 뿐이다. 진정한 전쟁은 세계관 간의 우주적 투쟁, 즉 기독교 세계관과 그것에 맞서는 다양한 세속적, 영적 세계관 간의 투쟁이다. 이것이 오늘날 세상을 복음화하고 창조주의 지혜를 반영하도록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려면 우리가 이해해야 할 것이다.”[12]

4. 3. 성과 젠더

피어시는 상호보완주의를 지지하며 남성과 여성의 뚜렷한 성 역할을 옹호한다. 그녀는 산업 혁명이 남성과 가정 간의 연결을 파괴했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그녀는 여성 참정권이 "공동선, 특히 여성의 선을 책임지는 남성에 대한 여성의 신뢰가 비극적으로 훼손된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하며,[13] 이러한 경향이 사회적 원자화와 전통적인 남성성의 쇠퇴로 이어졌다고 말한다. 이러한 경향에 맞서기 위해 그녀는 가정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영적 리더십을 강조하는 기독교 남성성의 의식적인 탈세속화를 주장한다.

피어시는 성-젠더 구분에 반대하며, 트랜스젠더 성이 "몸과 자아 사이에 대립을 설정하여, 남성과 여성으로서의 기본적인 생물학적 정체성으로부터 사람들을 소외시킨다"고 주장한다.[7]

5. 비판

바이오로고스 재단은 낸시 피어시의 저작에서 "생물학적 진화의 과학적 이론과 유물론적 진화론의 철학"을 혼동한다고 비판했다.[14]

6. 간행물

낸시 피어시( Nancy Pearcey영어)의 저서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낸시 피어시, 찰스 콜슨 (1993), 《A Dance With Deception: Revealing the Truth Behind the Headlines영어》, 댈러스: Word Pub.영어
  • 낸시 피어시, 찰스 콜슨 (1994), 《A Dangerous Grace: Daily Readings영어》.
  • 낸시 피어시, 찰스 B. 잭스턴 (1994), 《The Soul of Science: Christian Faith and Natural Philosophy영어》, Crossway영어.
  • 낸시 피어시, 해럴드 피켓, 찰스 콜슨 (1999), 《How Now Shall We Live?영어》.[12]
  • 낸시 피어시 (2005), 《Total Truth: Liberating Christianity from Its Cultural Captivity영어》, 휘튼: Crossway Books영어. ECPA 골드 메달리언 도서상 '기독교와 사회' 부문 수상.[15]
  • 낸시 피어시 (2010), 《Saving Leonardo: A Call to Resist the Secular Assault on Mind, Morals, and Meaning영어》, B&H Books영어.
  • 낸시 피어시 (2015), 《Finding Truth: 5 Principles for Unmasking Atheism, Secularism, and Other God Substitutes영어》, David C Cook영어.
  • 낸시 피어시 (2018), 《Love Thy Body: Answering Hard Questions About Life and Sexuality영어》, Baker Books영어.
  • 낸시 R. 피어시 (2023), 《The toxic war on masculinity: how Christianity reconciles the sexes영어》, 그랜드 래피즈, MI: Baker Books, a division of Baker Publishing Group영어.

참조

[1] 서적 Total Truth: Liberating Christianity from Its Cultural Captivity Crossway Publishers
[2] 웹사이트 Nancy Pearcey http://hbu.edu/Choos[...] 2013-07-19
[3] 웹사이트 Nancy Pearcey, MA https://hbu.edu/cont[...] 2020-12-14
[4] 웹사이트 Ghostwriting trend haunts Christian publishing world https://www.washingt[...] 2024-08-28
[5] 웹사이트 Who Writes Charles Colson's Columns? https://www.christia[...] 2024-08-28
[6] 웹사이트 Digging for the Truth in Colson's Column https://www.latimes.[...] 2024-08-28
[7] 웹사이트 How the Transgender Narrative Perpetuates Stereotypes https://www.christia[...] 2024-08-28
[8] 웹사이트 Worldview Thinkers Nancy Pearcey and J. Richard Pearcey to Join Faculty at Rivendell Sanctuary, Rivendell News, January 13, 2011 http://www.rivendell[...] 2011-05-28
[9] 간행물 Pearceys Resign From Rivendell Sanctuary, Pro-Existence, May 11, 2012 http://www.pearceyre[...]
[10] 웹사이트 Nancy Pearcey, Columnist Human Events http://www.humaneven[...] 2011-05-28
[11] 웹사이트 Nancy Pearcey https://www.discover[...] 2024-08-28
[12] 서적 How now shall we live? Tyndale House Publishers 1999
[13] 서적 The toxic war on masculinity: how Christianity reconciles the sexes Baker Books, a division of Baker Publishing Group 2023
[14] 웹사이트 The Bible, Rocks, and Time: Christians and an Old Earth https://biologos.org[...] 2024-08-28
[15] Citation Winners http://christianbook[...] Christian book expo
[16] 뉴스 Dangerous Influences: The New Yorker, Michele Bachmann, and Me http://www.humaneven[...] 2011-08-12
[17] 웹인용 Nancy Pearcey http://hbu.edu/Choos[...] 2013-07-19
[18] 웹인용 Nancy Pearcey, World Journalism Institute http://www.worldji.c[...] 2019-06-15
[19] 뉴스 Saving Leonardo: An Interview with Nancy Pearcey http://evangelicalou[...] 2010-09-01
[20] 간행물 Author Dr. Nancy Pearcey Named Worldview Scholar at Philadelphia Biblical University's Center for University Studies http://www.christian[...] ChristianNewsWire
[21] 웹인용 Worldview Thinkers Nancy Pearcey and J. Richard Pearcey to Join Faculty at Rivendell Sanctuary, Rivendell News, January 13, 2011 http://www.rivendell[...] 2019-06-15
[22] 간행물 Pearceys Resign From Rivendell Sanctuary, Pro-Existence, May 11, 2012 http://www.pearceyre[...]
[23] 웹인용 Nancy Pearcey, Columnist Human Events http://www.humaneven[...] 2019-06-15
[24] 서적 Creationism's Trojan Hors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5] 뉴스 Intelligent Decision: What the judge said about intelligent design in schools http://discovermagaz[...] Discover Magazine 2005-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