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서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서학은 고대 이스라엘 민족과 그들의 역사를 기원부터 로마 시대까지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구약성서학, 신약성서학으로 나뉘며, 히브리어, 그리스어 등 원어 연구와 고고학, 역사학적 분석을 통해 성서의 내용과 배경을 탐구한다. 성서 비평은 성서 텍스트의 역사적, 문학적, 언어적 측면을 분석하여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고, 본문 비평을 통해 원본에 가장 가까운 텍스트를 복원하려는 노력을 한다. 18세기 이후 다양한 학문적 접근이 이루어졌으며, 현대에는 신화론적 언표 해석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서학 - 나그함마디 문서
    나그함마디 문서는 1945년 이집트에서 발견된 13권의 파피루스 코덱스로, 초기 기독교 영지주의 사상을 담고 있으며, 52편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언어로 번역 및 연구가 이루어졌다.
  • 성서학 - 엘로힘 문서
    엘로힘 문서는 기원전 8세기경 북이스라엘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며 하느님의 이름을 '엘로힘'으로 사용하고 아브라함 시점에서 이스라엘 역사를 시작하여 모세의 예언자적 역할을 강조하는 오경의 자료 중 하나이다.
  • 신학 - 언약신학
    언약신학은 창조, 타락, 구원, 종말에 걸쳐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를 언약(계약)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 신학 체계로, 행위 언약, 속죄 언약, 은혜 언약 등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설명하며 개혁파 신학의 핵심 요소로 간주된다.
  • 신학 - 성령
    성령은 기독교 삼위일체 중 한 위격으로, 구원의 은총을 사람에게 적용하며, 신자에게 영적 은사와 능력을 부여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하는 역할을 한다.
성서학
개요
학문 분야신학, 역사학, 문헌학, 고고학, 언어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등
연구 대상성경
주요 연구 방법역사비평, 문학비평, 사회과학적 접근, 해석학
관련 학문 분야고대 근동학, 헬레니즘 연구, 유대교 연구, 기독교 연구
주요 학술 단체성서학회
국제 구약 학회
스튜디오룸 비블리쿰 프란치스코눔
주요 학술지비블리카
구약 연구 저널
신약 연구
성서 문학 저널
세부 분야
구약성서학구약성경의 기원, 역사, 문학, 신학 등을 연구하는 분야
신약성서학신약성경의 기원, 역사, 문학, 신학 등을 연구하는 분야
성서신학성경 전체의 신학적 주제와 통일성을 연구하는 분야
성서해석학성경 본문을 해석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
역사
기원계몽주의 시대의 역사비평 방법론 발전과 함께 시작됨
주요 발전 단계19세기: 고등비평 방법론 발전
20세기: 형태비평, 전승사비평, 편집비평 등 다양한 방법론 등장
21세기: 사회과학적 접근, 문화인류학적 접근 등 새로운 시도
논쟁점
성경의 무오성 문제성경의 역사적, 과학적 정확성에 대한 논쟁
성경 해석의 다양성 문제다양한 해석 방법론과 신학적 관점에 따른 해석의 차이
역사비평 방법론의 한계역사비평 방법론의 주관성과 객관성 논쟁

2. 구약성서학

유대교에 의해 전해지고 그리스도교 교회가 정경으로 규정한 성서를 주요 대상으로 삼아, 그 형태, 내용,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광범위한 지역 및 관련 문헌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성서학은 그리스도교학의 일부이지만, 일반 인문과학의 방법론(언어학, 문예학, 고고학, 지리학, 역사학, 인류학, 사회학, 종교학 등)을 활용하여 성서의 여러 국면(언어, 지리, 역사, 사회, 전승, 문학, 사상)을 전문적 또는 종합적으로 파악한다.[16] 이를 통해 역사 종교로서 그리스도교의 기원과 특질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성서학은 요한 필립 가블러(1753~1826)가 문법적ㆍ역사적, 발생론적 학문으로서 성서(신)학을 교리(교의)신학에서 독립시킴으로써 성립되었다.[16] 오늘날에는 구약성서학과 신약성서학으로 분화되어 각각 전문적으로 심화되었다.[16]

2. 1. 연구 범위

성서학의 연구 범위는 역사적으로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의 이스라엘 민족과 그 운명을 기원으로 하여 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지리적으로는 동쪽으로는 인더스강, 북쪽으로는 카스피해 연안, 서쪽으로는 터키와 아라비아 반도를 포함한 지역과 그 문명권들을 시야에 넣어서 이루어졌다.[16]

전통적으로 구약학 고유의 과목으로는 제론, 석의, 신학이 있으며, 보조학이나 기초 학과로서 어학, 고고학, 역사(이스라엘사)를 들 수 있다. 히브리어, 아랍어는 직접적인 원어이며, 그 외에 많은 셈어 등이 관련 어학으로서 필요하다. 성서 고고학은 성서가 언급하는 역사적 사건, 제도, 문화에 직접·간접으로 관련된 자료를 계통적으로 제시하였는데 이스라엘사는 고고학 자료와 문헌 자료를 해석해서 재구성되었다.[16]

서론은 《구약성서》 전반에 관한 학적 성과를 비판적으로 통람하는데, 총설에서는 학설사, 정전 성립사, 본문(히브리어 본문 형성사, 여러 고대어역) 등을 취급하고, 각론에서는 구약 각서의 내용, 자료, 전승, 편집 과정, 사상에 관한 여러 설(諸說)을 논한다. 석의(釋義)는 서론적 지식을 전제로 본문 비평에 의한 본문의 확정, 문헌 비판, 형태 비판, 전승사, 편집사적 종합, 또는 문체 비판을 동원해서 구조와 의미의 확정에 노력하였으며 신학은 이상의 성과를 토대로 사상의 계통적 서술을 행한다.[16]

19세기 말, 벨하우젠은 문헌 자료를 발전 사관에 의해서 다시 나열해서 이스라엘 종교사로서 재구성하여 구약학의 시조가 되었는데, 그 무렵부터 발견된 많은 자료에 비추어서 환경 세계와 《구약성서》와의 유기적 파악을 주장한 종교사학파가 20세기 초부터 주류를 이루었다. 막스 베버의 《고대 유대교》는 사회학적 구조 연관을 밝히고, 게르하르트 폰 라트의 《구약성서 신학》과 《이스라엘의 지혜》는 이스라엘적 사고의 특징을 정리해서, 그 후의 학적 토론의 무대를 이루었다.[16]

『옥스퍼드 성서학 핸드북』은 이 분야를 일반적으로 성서로 알려진 고대 텍스트 모음에 대한 연구를 위한 다양하고, 경우에 따라 독립적인 일련의 학문으로 정의한다.[2] 이러한 학문에는 역사 비평, 고고학, 해석학, 본문 비평, 문화 인류학, 역사, 해석사, 사회학, 신학,[2] 및 교부학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구약성경의 본문이 되는 히브리어 성경은 (순서가 바뀌고 일부 책이 둘로 나뉘었지만) 성경 히브리어로 기록되었으며, 일부 장은 성경 아람어로 기록되었다. 일부 개신교 성경에서 구약성경에서 제외된 외경은 히브리어, 그리스어 또는 아람어로 다양하게 기록되었다. 신약은 코이네 그리스어로 기록되었으며, 가능한 예수아람어의 뉘앙스가 있었으며, 이는 히브리어 성경의 첫 번째 번역본인 칠십인역 또는 그리스어 구약성경과 같았다. 따라서 히브리어, 그리스어 및 때로는 아람어는 성서 연구에 강력한 프로그램을 갖춘 대부분의 대학교, 칼리지 및 신학교에서 계속 가르치고 있다.

오리지널 구약/히브리어 성경 필사본은 거의 없으며, 고대 번역본(예: 칠십인역)을 사용할 수 있지만, 원본 히브리어와 번역본을 비교하는 데 문제가 발생한다(원본이 있기 때문에). 이는 칠십인역과 같은 번역본의 신뢰성을 확립하는 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몇 안 되는 필사본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고, 이러한 결론을 사용하여 원본 텍스트와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사용 가능한 텍스트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을 고안했다.[11] 번역의 진위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히브리어 또는 다른 원어와 같은 근본 언어에서 번역되지 않은 고유한 키워드를 찾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번역본에 여러 다른 언어가 존재하며 마치 반복해서 재발명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를 보는 것은 정상이며, 이는 원본 저작물과 번역의 최종 결과의 차이를 보여준다. 성경은 원래 히브리어로 기록되었지만, 기원전 3세기에 처음으로 고대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다. 이것은 여전히 구약성경으로 번역되었다. 그러나 성경이 신약성경으로 번역되었을 때는 그리스어, 즉 성경 그리스어로도 알려진 코이네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다.[12]

2. 2. 연구 분야

성서학은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성서를 주요 대상으로 삼아, 그 내용과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광범위한 지역 및 관련 문헌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언어학, 문예학, 고고학, 지리학, 역사학, 인류학, 사회학, 종교학 등 다양한 인문과학 방법론을 활용하여 성서의 언어, 지리, 역사, 사회, 전승, 문학, 사상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한다.[16] 이를 통해 그리스도교의 기원과 특질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성서학은 요한 필립 가블러(Johann Philipp Gabler, 1753~1826)가 성서(신)학을 교리(교의)신학에서 독립시키면서 성립되었다. 오늘날에는 구약성서학과 신약성서학으로 분화되어 각각 전문적으로 심화되었다.[16] 연구 범위는 역사적으로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의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부터 로마 시대까지, 지리적으로는 동쪽의 인더스강, 북쪽의 카스피해 연안, 서쪽의 터키, 아라비아 반도를 포함한 지역과 그 문명권을 포괄한다.[16]

전통적으로 구약학의 고유 과목으로는 제론, 석의, 신학이 있으며, 보조학 및 기초학으로는 어학, 고고학, 역사(이스라엘사)가 있다. 헤브라이어와 아랍어는 원어 연구에 필수적이며, 셈어 등 관련 언어 연구도 필요하다. 성서 고고학은 성서의 역사적 사건, 제도, 문화와 관련된 자료를 제시하며, 이스라엘사는 고고학 및 문헌 자료를 해석하여 재구성된다.[16]

구약성서학의 서론은 학설사, 정전 성립사, 본문(헤브라이어 본문 형성사, 여러 고대어역) 등을 다루며, 각론에서는 구약 각서의 내용, 자료, 전승, 편집 과정, 사상에 관한 여러 학설을 논한다. 석의(釋義)는 본문 비평, 문헌 비판, 형태 비판, 전승사, 편집사적 종합, 문체 비판 등을 통해 본문의 의미를 확정한다. 신학은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사상을 체계적으로 서술한다.[16]

19세기 말, 웰하우젠은 문헌 자료를 발전사관에 따라 재구성하여 이스라엘 종교사를 제시하며 구약학의 시조가 되었다. 20세기 초부터는 환경 세계와 《구약성서》의 유기적 관계를 파악하려는 종교사학파가 주류를 이루었다. 막스 베버의 《고대 유대교》는 사회학적 구조 연관을 밝혔고, 게르하르트 폰 라트(Gerhard von Rad, 1901~71)의 《구약성서 신학》과 《이스라엘의 지혜》는 이스라엘적 사고의 특징을 정리하여 이후 학문적 토론의 기반을 마련하였다.[16]

『옥스퍼드 성서학 핸드북』은 성서학을 일반적으로 성서로 알려진 고대 텍스트 모음에 대한 연구를 위한 다양하고 독립적인 학문들의 집합으로 정의한다.[2] 이러한 학문에는 역사 비평, 고고학, 해석학, 본문 비평, 문화 인류학, 역사, 해석사, 사회학, 신학,[2] 및 교부학 등이 포함된다.

이 분야의 연구를 장려하는 학술 단체 및 협회로는 성서 문헌 학회(SBL), 유럽 성서학회, 캐나다 성서학회, 복음주의 신학회, 성서 연구소, 미국 동양 연구 학교, 가톨릭 성서 협회 등이 있다. SBL은 80개국 이상에 약 8,500명의 회원을 보유한 가장 큰 단체로, 주요 간행물인 ''성서 문헌 저널''을 포함하여 성서학 분야의 많은 책과 저널을 출판한다. SBL은 매년 북미와 국제 학술 회의를 개최하며, 더 작은 규모의 지역 회의도 개최한다.

2. 3. 주요 학자 및 학파

율리우스 벨하우젠은 문헌자료를 발전사관에 의해 재구성하여 구약학의 시조가 되었다.[16] 20세기 초부터는 환경세계와 《구약성서》와의 유기적 관계를 파악하려는 종교사학파가 주류를 이루었다.[16] M. 베버의 《고대 유대교》는 사회학적 구조 연관을 밝혔고, 라드(Gerhard von Rad, 1901~71)의 《구약성서 신학》과 《이스라엘의 지혜》는 이스라엘적 사고의 특징을 정리하여 이후 학문적 토론의 장을 마련하였다.[16]

비판적인 성서학자로는 율리우스 벨하우젠, 타가와 겐조 등이 있으며, 보수적인 성서학자로는 존 그레샴 메이첸, F.F. 브루스, 오야마 레이니, 우치다 카즈히코 등이 있다.

3. 신약성서학

J.P. 가블러가 시작한 신약성서학은 신약성서를 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형태와 내용,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관련 지역 및 문헌과의 관계를 폭넓게 연구한다. 그리스도교학의 일부이면서도, 언어학, 문예학, 고고학 등 일반 인문과학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신약성서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그리스도교의 기원과 특성을 파악하는 데 기여한다.[16]

신약성서는 1세기 중엽에서 2세기 초에 걸쳐 지중해 연안 여러 지역에서 작성된 27개의 문서를 4세기 말에 교회가 정경으로 묶은 것이다. 비판적 성서학은 신약성경의 신앙이 다양하며 모순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신약 성경은 이렇게 말한다"는 식의 포괄적인 설명은 불가능하며, 각 문서 저자별 신앙을 개별적으로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6]

3. 1. 연구 분야

성서의 내용을 개관하면, 먼저 신약성서 언어 연구가 있다. 신약은 헤브라이적 전통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사람들이 헬레니즘 세계의 공통어였던 그리스어(코이네)로 쓴 것으로, 의미론상의 특수성이 강하며 본문비평이 필요하다. 인쇄기가 없었던 당시 문서는 손으로 쓰여 확산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오류나 의도적인 교정이 이루어져 사본의 계통을 분류하고, 가장 오래되고 좋은 사본을 비교 검토하여 원문을 재건해야 했다.[16]

신약통론(서론)은 각 문서를 개별적으로 다룬다. 누가,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위해서, 어떤 사료를 이용해서 썼는지, 그 내용 또는 다른 문서와의 관계는 무엇인지, 그것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정경으로 확정되었는지 등을 연구한다. 석의는 개개의 본문을 분석, 검토하여 저자가 그 말, 구절, 문장에서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으로, 신약학 전반에 걸친 지식이 요구되는 중심 분야이다. 신약신학은 『신약성서』의 사상 내용, 즉 신, 그리스도, 인간, 역사, 죄, 구원, 교회, 윤리, 종말 등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가능한 한 체계적으로 서술하며, 《신약성서》 해석 방법론에 대한 반성도 포함한다. 그 외에 《신약성서》의 배경이 되는 유대 민족의 역사, 로마 지배하의 유대인의 생활, 신약에 영향을 미친 유대교 묵시문학이나 헬레니즘 종교 연구(시대사, 종교사)가 있다. 나아가 주요 개별 연구로서 예수의 언행 재구성과 해석(예수 연구), 바울의 생애와 사상 서술(바울 연구) 분야가 있다.[16]

신약 성경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전승의 흐름(계층 구조)

1. 나사렛 마을에서 태어난 예수 자신의 가르침 단계 (예수의 신 이해·신앙 내용)

2. 그것을 구전으로 전한 각 사회층 수준에서의 신앙 단계

3. 그 전승을 소재로 하여 각자의 신앙을 표현한 복음서 저자의 단계

4. 많은 기독교 문서 중에서 신약의 정경으로 발췌한 고대 교회의 단계

  • 시대, 지리, 환경, 종교적 상황의 차이

1. 서기 50년대 바울로의 편지

2. 서기 70년대 최초로 복음서라는 장르를 창조한 마르코 복음서

3. 서기 80년대 마태오 복음서, 루카 복음서

4. 서기 100년 전후 요한 복음서, 요한 묵시록, 바울로에게 가탁된 편지 등

이 각 단계의 신앙 내용이 어떠했는지를 분석·연구하여 명확히 한다.

비판적 성서학에서는 신약 성경이 나타내는 신앙이 다양하며, 그중에는 모순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신약 성경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라는 형태의 총괄은 불가능하며, "마르코의 신앙에서는 이와 같이 말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신앙에서는…"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J.P. 가블러(1753년~1826년)에 의해 시작되었다.

3. 2. 주요 연구 주제

성서의 내용을 개관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약성서 언어 연구가 있는데, 신약은 헤브라이적 전통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사람들이 헬레니즘 세계의 공통어였던 그리스어(코이네)로 쓴 것으로 의미론상의 특수성이 강하며 본문 비평의 대상이 된다. 인쇄기가 없었던 당시 문서는 손으로 베껴 쓰는 방식으로 확산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오류나 의도적인 교정이 이루어져 사본의 계통을 분류하고, 각각에서 가장 오래되고 좋은 사본을 비교 검토하여 원문을 재건해야 했다. 신약성서는 1세기 중엽에서 2세기 초에 걸쳐 지중해 연안 문화권의 동부에서 북부에 걸친 각지에서 각각 쓰여진 27개의 문서를 후대(4세기 말)의 교회가 편집해서 정경으로 구분한 것이다.[16]

신약통론(서론)은 각 문서를 개별적으로 다루며, 누가,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위해서, 어떤 자료를 이용해서 썼는지, 그 내용 또는 다른 문서와의 관계는 무엇인지, 그것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정경으로 결집되었는지 등을 연구한다. 석의는 개개의 본문을 분석·검토하고 저자가 그 말, 그 구절, 그 문장에서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으로, 신약학 전반에 걸친 지식이 요구되는 중심 분야이다. 신약신학은 『신약성서』의 사상 내용, 즉 거기에서의 신, 그리스도, 인간, 역사, 죄, 구원, 교회, 윤리, 종말 등이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를 가능한 한 체계적으로 서술하며, 《신약성서》 해석 방법론에 대한 반성도 포함한다. 그 외에 《신약성서》의 배경이 되는 유대 민족의 역사, 로마 지배하의 유대인의 생활, 신약에 영향을 미친 유대교 묵시문학이나 헬레니즘 종교 연구(시대사, 종교사)가 있다. 나아가 주요 개별 연구로서 예수의 언행 재구성과 해석(예수 연구), 바울의 생애와 사상 서술(바울 연구) 분야가 있다.[16]

신약 성경의 예를 들면, 전승의 흐름(계층 구조)은 다음과 같다.

# 나사렛 마을에서 태어난 예수 자신의 가르침 단계 (예수의 신 이해·신앙 내용)

# 그것을 구전으로 전한 각 사회층 수준에서의 신앙 단계

# 그 전승을 소재로 하여 각자의 신앙을 표현한 복음서 저자의 단계

# 많은 기독교 문서 중에서 신약의 정경으로 발췌한 고대 교회의 단계

이처럼 시대, 지리, 환경, 종교적 상황이 모두 달랐다.

# 서기 50년대의 바울로의 편지

# 서기 70년대에 최초로 복음서라는 장르를 창조한 마르코 복음서

# 서기 80년대의 마태오 복음서, 루카 복음서

# 서기 100년 전후 이후의 요한 복음서, 요한 묵시록, 바울로에게 가탁된 편지 등

각 단계의 신앙 내용이 어떠했는지를 분석·연구하여 명확히 밝힌다.

이와 같이, 비판적 성서학에서는 신약 성경이 나타내는 신앙이 다양하며, 그 중에는 모순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신약 성경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라는 형태의 총괄은 불가능하며, "마르코의 신앙에서는 이와 같이 말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신앙에서는…"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J.P. 가블러(1753년~1826년)에 의해 시작되었다.

4. 성서 비평

성서 비평은 성서 저작물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 및 조사를 의미한다.[3] 성서 텍스트를 일반적인 문학 작품으로 간주하여,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누구에 의해, 누구를 위해, 어떤 상황에서 텍스트가 만들어졌는지 등을 연구한다. 히브리 성경, 구약 성경, 신약 성경 등 연구 대상에 따라 접근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역사적 예수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단어의 의미와 사용 방식, 보존, 역사 및 완전성을 포함하여 물리적 텍스트도 다룬다. 성서 비평은 고고학, 인류학, 민속학, 종교 비교, 구전 전통 연구, 역사 및 종교 연구를 포함한 광범위한 학문 분야를 활용한다.

요한 필립 가블러(1753년~1826년)에 의해 시작되었다.

4. 1. 주요 방법론

성서 비평은 성서 텍스트를 일반적인 문학 작품처럼 간주하여,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누구에 의해, 누구를 위해, 어떤 상황에서 텍스트가 만들어졌는지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3] 히브리 성경, 구약 성경, 신약 성경 등 연구 대상에 따라 접근 방식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역사적 예수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서 비평은 고고학, 인류학, 민속학, 종교 비교, 구전 전통 연구, 역사 및 종교 연구 등 광범위한 학문 분야를 활용한다.

신약 성경과 구약 성경은 쓰여진 맥락이 다르기 때문에 수사학적 분석에 차이가 있다. 신약 성경은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수사학과 문학 사상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추가 자료가 존재한다. 반면, 구약 성경은 다양한 텍스트 스타일(잠언, 시, 찬양, 예언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사학 및 문학 연구에 참고할 추가 자료가 부족하다.[4]

신약 성경 텍스트 분석에는 외부 비평과 내부 비평이 사용된다. 외부 비평은 텍스트의 출처, 날짜, 유형(복음서, 서신 등)을, 내부 비평은 텍스트의 내용과 본질, 작가의 문체와 신학 등을 연구한다.[5]

본문 비평은 필사본과 인쇄본의 오류를 식별하고 제거하여 원본 텍스트(원문, 원형 또는 자필본)를 재구성하는 학문 분야이다. 절충주의, 계통학, 복사본 편집 등의 접근 방식이 있으며, 분지학 기술도 활용된다. "하위 비평"은 본문 비평을, "상위 비평"은 원본 텍스트의 저작, 날짜, 장소 등을 연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신약 성경의 경우, 전승의 흐름(예수의 가르침, 구전 전승, 복음서 저자, 정경 발췌)과 시대적, 지리적, 환경적, 종교적 상황(서기 50년대 바울로의 편지, 70년대 마르코 복음서, 80년대 마태오 복음서, 루카 복음서, 100년 전후 요한 복음서, 요한 묵시록 등)에 따라 신앙 내용이 어떻게 달랐는지 분석하고 연구한다.

비판적 성서학에서는 신약 성경의 신앙이 다양하고 모순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신약 성경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는 식의 총괄은 불가능하며, 각 복음서 저자의 신앙에 따른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J.P. 가블러(1753년~1826년)가 이러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4. 2. 비판적 성서학과 보수적 성서학

비판적 성서학은 성서 텍스트를 전통적인 관점처럼 다른 문학과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문학 작품으로 간주하여 연구한다.[3] 특정 텍스트가 언제, 어디서 기원했는지, 어떻게, 왜, 누구에 의해, 누구를 위해, 어떤 상황에서 제작되었는지, 제작에 어떤 영향이 작용했는지, 구성에 어떤 자료가 사용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는지를 묻는다.[3] 히브리 성경, 구약 성경, 신약 성경의 서신 또는 정경 복음서 중 어디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역사적 예수 탐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약 성경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전승의 흐름(계층 구조)
  • 나사렛 마을에서 태어난 예수 자신의 가르침 단계 (예수의 신 이해·신앙 내용)
  • 그것을 구전으로 전한 각 사회층 수준에서의 신앙 단계
  • 그 전승을 소재로 하여 각자의 신앙을 표현한 복음서 저자의 단계
  • 많은 기독교 문서 중에서 신약의 정경으로 발췌한 고대 교회의 단계
  • 시대, 지리, 환경, 종교적 상황의 차이
  • 서기 50년대의 바울로의 편지
  • 서기 70년대에 최초로 복음서라는 장르를 창조한 마르코 복음서
  • 서기 80년대의 마태오 복음서, 루카 복음서
  • 서기 100년 전후 이후의 요한 복음서, 요한 묵시록, 바울로에게 가탁된 편지 등


이 각 단계의 신앙 내용이 어떠했는지를 분석·연구하여 명확히 한다.

이와 같이, 비판적 성서학에서는 신약 성경이 나타내는 신앙은 다종다양하며, 그 중에는 모순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이 때문에 "신약 성경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라는 형태의 총괄은 불가능하며, "마르코의 신앙에서는 이와 같이 말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신앙에서는…"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J.P. 가블러(1753년~1826년)에 의해 시작되었다.

성서 신앙의 입장은 자유주의 신학과는 전제가 다르므로, 성서에 오류가 있다고 보지 않고, 자유주의에서 성서의 모순이라고 불리는 부분을 성서 현상이라고 부른다.[14][15]

5. 성서학의 역사

요한 잘로모 제믈러(Johann Salomo Semler, 1725~91)는 정전 결집의 역사를 연구하고, 성서가 영감에 의해서 한 번에 쓰여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16] D.F. 슈르타우스는 복음서의 초자연적 기적의 사실성을 부정했고, 페르디난트 크리스티안 바우어(Ferdinand Christian Baur, 1792~1860)는 초대교회에서의 율법주의와 복음주의의 대립을 그리고, 《바울 서간》 중 어느 것이 실제 바울에 의해서 쓰여졌는지를 논했다.[16] 하인리히 율리우스 홀츠만(Heinrich Julius Holtzmann, 1832~1910)은 '이사료설'( 마태와 누가는 마가와 예수어록 Q를 이용했다)을 완성했다.[16] 요하네스 바이스(Johannes Weiss, 1863~1914), A. 슈바이처는 예수에 대한 유대교 묵시문학의 영향을 나타내고, 브제(Wihelm Bousser, 1865~1920)는 신약과 헬레니즘 여러 종교의 관계를 강조했다.[16] 제2차 세계 대전 후, 양식사적 연구는 복음서가 단편적 구전을 모아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것을 밝히고, 1950년대 이후, 편집사적 연구는 복음서 기자의 가필과 신학사상을 추출했다.[16] 불트만은 성서(신약)의 신화론적 언표의 근저에 있는 실존이해를 명확화하는 해석법(비신화화)을 제창해서 성서학에서 신약사상 해석학의 기초를 구축했다.[16]

6. 현대 성서학

성서학은 유대교에서 전해지며, 그리스도교 교회가 정경으로 규정한 성서를 주요 대상으로 삼는다. 형태, 내용,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광범위한 지역 및 관계 문헌과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성서학은 그리스도 교학의 일부이지만, 일반 인문과학과 공통되는 방법을 사용한다. 언어학, 문예학, 고고학, 지리학, 역사학, 인류학, 사회학, 종교학 등 다양한 학문의 도움을 받아 성서의 여러 국면을 전문적 또는 종합적으로 파악한다.[16]

이를 통해 역사 종교로서 그리스도교의 기원과 특질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요한 필립 가블러(1753년~1826년)가 문법적ㆍ역사적, 발생론적 학문으로서 성서(신)학을 교리(교의)신학에서 독립시키면서 성립되었다. 오늘날에는 구약성서학, 신약성서학으로 분화되어, 방법론적으로 공통점은 있지만 각각 전문적으로 심화되었다.[16]

6. 1. 주요 연구 동향

신약 성경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 전승의 흐름(계층 구조)

# 나사렛 마을에서 태어난 예수 자신의 가르침 단계 (예수의 신 이해·신앙 내용)

# 그것을 구전으로 전한 각 사회층 수준에서의 신앙 단계

# 그 전승을 소재로 하여 각자의 신앙을 표현한 복음서 저자의 단계

# 많은 기독교 문서 중에서 신약의 정경으로 발췌한 고대 교회의 단계

  • 시대, 지리, 환경, 종교적 상황의 차이

# 서기 50년대의 바울로의 편지

# 서기 70년대에 최초로 복음서라는 장르를 창조한 마르코 복음서

# 서기 80년대의 마태오 복음서, 루카 복음서

# 서기 100년 전후 이후의 요한 복음서, 요한 묵시록, 바울로에게 가탁된 편지 등

이 각 단계의 신앙 내용이 어떠했는지를 분석·연구하여 명확히 한다.

이와 같이, 비판적 성서학에서는 신약 성경이 나타내는 신앙은 다종다양하며, 그 중에는 모순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약 성경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라는 형태의 총괄은 불가능하며, "마르코의 신앙에서는 이와 같이 말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신앙에서는…"과 같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J.P. 가블러(1753년~1826년)에 의해 시작되었다.

7. 한국의 성서학

(이전 출력이 비어있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과 동일하게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서적 Introduction to Biblical Studies, Second Edition 2004-10-27
[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2006-05-18
[3] 서적 Harper's Bible Dictionary 1985
[4] 학술지 Biblical Studies and Rhetorical Criticism: Bridging the Divide Between the Hebrew Bible and Communication http://www.tandfonli[...] 2023-05-11
[5] 학술지 The Achilles' Heel of New Testament Textual Criticism https://doi.org/10.2[...] 2002-01-01
[6] 학술지 Meister Eckhart's Christ and Medieval Biblical Exegesis http://www.tandfonli[...] 2023-05-09
[7] 학술지 Invitation to transcendence: The book of revelation http://www.tandfonli[...] 2023-05-09
[8] 학술지 The Bible, literature and communication: A theologian's view 2022-07-03
[9] 학술지 The Present State of Biblical Studies https://doi.org/10.1[...] 2000-11-01
[10] 학술지 The Mythic Mind Revisited. Myth and History, or Myth versus History, a Continuing Problem in Biblical Studies http://www.tandfonli[...] 2023-05-11
[11] 학술지 A Model for Distinguishing between Textual Variants and Translation Shifts in Old Testament Textual Criticism https://doi.org/10.1[...] 2020-07-02
[12] 학술지 The Linguistic-Textual Markers in the Late Medieval Slavonic Biblical Translations from Jewish Originals https://www.proquest[...] Firenze University Press 2024-04-29
[13] 서적 クリスチャンの和解と一致 地引網出版
[14] 서적 聖書の権威
[15] 서적 Explaining Inerrancy: A Commentary
[16] 서적 종교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