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농촌사회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촌사회학은 농촌 지역 사회의 구조, 변화, 문제 등을 연구하는 사회학의 한 분야이다. 미국에서 시작되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라틴 아메리카,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발전해왔으며, 각 지역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주요 학설 및 이론, 현대 사회의 과제와 전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관련 학회로는 미국 농촌사회학회, 유럽 농촌사회학회, 국제 농촌사회학회 등이 있으며, 학술지 Rural Sociology, Sociologia Ruralis 등이 발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환경에 관한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에 관한 -
    땅은 지구의 단단한 표면을 의미하며 천연자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토지 피복, 수계, 지하수, 대기의 일부, 인간 활동의 결과 등을 포함하여 지구과학, 생명과학, 인문학적으로 연구되고, 지형 형성, 생태계, 토지 이용, 환경 문제와 관련되며, 문화권에 따라 의미와 중요성이 다양하게 해석된다.
  • 사회 및 사회과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사회 및 사회과학에 관한 - 평화 기호
    평화 기호는 고대부터 사용된 올리브 가지, 비둘기 외에도 1958년 핵무기 폐기 운동에서 처음 사용된 기호, 즉 핵무기 폐기를 뜻하는 수기 신호 'N'과 'D'의 조합 등을 포함하며, 전쟁 반대 및 평화 운동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 및 사회과학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농촌사회학
지도 정보
개요
분야사회학의 한 분야
주제농촌 지역 사회의 연구
주요 연구 영역
농촌 사회 구조농업
가족 구조
사회 계층
농촌 지역 사회
사회 변화도시화
산업화
세계화
이주
농촌 발전농업 기술
농촌 경제
지역 개발
농촌 문화농촌 전통
농촌 가치관
농촌 예술
주요 연구 방법
양적 연구통계 조사
설문 조사
질적 연구참여 관찰
심층 인터뷰
사례 연구
주요 개념
농촌성농촌 사회의 특징
농업 사회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
농촌 공동체농촌 지역의 사회 조직
농촌 개발농촌 지역의 경제 및 사회 발전
관련 분야
농업 경제학농업 경제 관련 학문
농촌 지리학지리적 관점에서 농촌 지역 연구
개발 사회학개발 과정과 사회 변동 연구
관련 인물
학자에밀 뒤르켐
막스 베버
칼 마르크스
페르디난트 퇴니스
피에르 부르디외
어빙 고프먼
기타
주요 학술지농촌 사회학 (Rural Sociology)

2. 역사

농촌사회학은 1920년대 이후 미국, 유럽, 일본, 라틴 아메리카, 아시아 등 여러 나라에서 활발하게 발전했다. 각 지역은 특수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고유한 농촌사회학의 발전 양상을 보여주었다.

아시아에서 농촌사회학에 대한 초기 연구는 19세기 중반과 20세기 초에 나타났지만, 농민과 농촌 공간에 대한 고대 사상의 기록은 훨씬 이전부터 존재한다.[59][60] 헨리 메인의 『고대법(Ancient Law)』(1861) 등 인도는 많은 농촌 지역 사회학 연구의 중심지였다.[59][61][62] 영국 동인도 회사와 관련된 저술들도 있었다.[59][61]

피티림 소로킨은 『농촌사회학 체계적 자료집』(1930)에서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의 농촌사회학 문헌과 사상을 다루었다.[60] 그는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중국, 이집트, 인도, 일본, 팔레스타인, 페르시아의 ‘고대 동양 자료’를 개괄하며, 고대 인도의 농업 이해에는 계급이, 중국 농업과 농촌 생활의 중요성 설명에는 정부와 그 구조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60]

아시아에서 농촌사회학은 20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학문 및 연구의 체계적인 분야로 등장했다. 1920년대 이후 여러 나라에서 연구가 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1930년대부터 유가 기자에몬의 지주(地主) 제도와 관련된 가족 제도 및 동족 조직 연구, 스즈키 에이타로의 농가 가족과 자연촌을 중심으로 한 농촌 사회 체계적 파악 등 일본 농촌에 집중된 독자적인 연구가 발전했다.[77]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동아시아 식민지·점령지에서 농촌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전후 공개된 중국 농촌 관행 조사가 잘 알려져 있다.

2. 1. 미국

미국에서 농촌사회학은 농장에서 생활하고 일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처음 등장한 개념이다.[2] 농촌사회학은 미국 사회학의 최초이자 한때 가장 큰 분야였으며,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인기를 끌었다.[3][4]

2. 2. 유럽

유럽의 농촌사회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학문 분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5] 전쟁 이전에는 유럽 사회학이 철학적 성격을 띠어 농촌과 도시의 차이를 크게 무시했기 때문이다. 1900년대 초 유럽 사회학은 유럽 학계 내에서 고립되어 대서양 건너 미국과의 교류가 거의 없었다. 미국의 실용적인 연구 방법은 순수 학문 분야에 속해 있던 유럽 사회학자들에게는 낯선 것이었다.[9]

전쟁 이후, 유럽 학계는 미국의 농촌사회학 연구가 유용하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10] 1940년대 후반, 마셜 플랜[11]을 통해 미국과 유럽 사회학자 간의 관계가 강화되었다. 이 계획은 미국을 전후 유럽에 대한 정보 및 경제 지침의 원천으로 공식화하고, 1000억달러에 해당하는 자금을 유럽, 특히 식량 시스템과 농업 생산 확대에 필요한 기계의 재건을 위해 배정했다.[12] 미국의 원조와 함께 농촌 성장과 농업 성공을 촉진하기 위한 경험적 농촌 연구가 유입되었다.

미국의 영향은 특히 통계학을 포함하여 미국 농촌사회학자들이 개척한 농촌사회학적 방법을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는 교육적 변화에 반영되었다. 사회학 전문 지식에 대한 정부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교육은 유럽 재건과 정책 결정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변화를 맞이했다.[13]

20세기 중반,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농촌사회학 연구는 정부의 요구에 의해 주도되었지만, 일반 대학에서는 드물었다.[14] 이는 부분적으로 대학 농업 프로그램이 부족하고 응용 과학에 대한 일반적인 저항 때문이었다.[15] 유럽의 농촌사회학 연구는 문화를 독립 변수로 다루는 방식에서 미국 모델과 차이를 보이기 시작했다.[16] 유럽 농촌사회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E.W. 호프스트레는 유럽에서 문화적 차이가 특히 중요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유럽에서는 여러 국가 사이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 내의 무수히 많은 지역적 또는 심지어 지역적 집단 간에도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며, 이는 그러한 집단의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유럽이 모든 곳에서 동일한 기본 문화를 보여주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며, 개인적으로는 그 시간이 매우 길기를 바랍니다."[17]

미국의 균질적인 농촌 문화에 대한 접근 방식과는 달리,[18] 유럽은 지역 사회 수준의 계획이 필요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했다.[19] 1950년대와 60년대에 유럽 농촌사회학이 사회문화적 연구에서 현대 농업 관행 촉진으로 이동하면서 이러한 차이는 다소 줄어들었다.[20] 이러한 변화는 정책 변화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낙후된 [유럽] 농민은 사회적, 문화적으로만 낙후된 것이 아니라 경제적, 기술적으로도 낙후되었다”는 인식에 의해 주도되었다.[21]

1970년대, 유럽 농촌사회학은 교육학, 초점, 방향에 대한 내부적인 의견 불일치에 직면했다.[22] 많은 사람들은 이 분야가 사회문화적 뿌리에서 너무 멀어졌고, 지나치게 경험적이며, 정부와 지나치게 연계되었다고 느꼈다.[16] 비평가들은 사회적 상호 작용과 문화에 대한 고려를 무시하는 것에 우려를 표하며, 지역 사회 구조를 중심으로 한 초기 농촌사회학 방식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 1980년대에 이 분야는 경험주의와 사회문화적 및 제도적 연구 사이의 균형을 회복했다.[20]

2. 3.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농촌사회학은 미국과 유럽에 비해 늦게 시작되었다. 1990년대가 되어서야 사회학자들이 농촌 생활을 연구하기 시작했다.[58] 초기에는 초국적 농업기업의 영향, 기술 변화, 환경 훼손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성, 정부 정책, 농촌 지역의 안전과 범죄 등 더 광범위한 사회학적 질문으로 연구 주제가 확장되었다. 최근에는 원주민의 경험을 통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 4. 아시아

아시아에서 농촌사회학에 대한 초기 연구는 19세기 중반과 20세기 초에 처음 등장했지만, 농민과 농촌 공간에 대한 고대 사상의 기록은 훨씬 더 이전에 나타난다.[59][60] 인도는 헨리 메인이 인도 농촌 사회의 일부 요소를 연구한 『고대법(Ancient Law)』(1861)을 저술하는 등 많은 농촌 지역 사회학 연구의 중심지였다.[59][61][62] 영국 동인도 회사와 관련된 사람들에 의해 유사한 저술들이 쓰여졌다.[59][61] 홀트 맥켄지와 찰스 메트칼프는 모두 인도의 촌락 공동체와 촌락 생활에 대해 저술했으며, 영국 동인도 회사는 19세기 중반과 20세기 초의 펀자브 지역과 같이 인도 영토에 대한 일반적인 보고서를 발표했다.[63][64][65][66]

인도 외에도 피티림 소로킨의 『농촌사회학 체계적 자료집』(1930)은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의 농촌사회학 문헌과 사상에 초점을 맞추었다.[60] 소로킨은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중국, 이집트, 인도, 일본, 팔레스타인, 페르시아의 ‘고대 동양 자료’를 개괄한다.[60] 그는 고대 인도의 농업을 이해하는 데 계급이 중요하며, 중국에서 농업과 농촌 생활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데 정부와 그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60] 소로킨은 이러한 국가들의 기록을 토대로 초기 농업 종사자들과 농촌 지역 사람들의 사회학에 대한 연구와 사상을 보여주는 결론을 내린다. 사용된 발췌문과 기록은 농업을 다른 직업과 비교, 사회 질서에서 경작자의 상대적 지위, 사회의 도덕적, 사회적 안녕을 위한 경제적 기반으로서 농업, 농업에 관한 다양한 법률, 고대 농업 기술, 토지 소유 및 점유 형태, 그리고 농업과 관련된 의례 등을 상세히 묘사한다.[67]

아시아에서 농촌사회학이 학문 및 연구의 체계적인 분야로 등장한 것은 20세기 중반에서 후반이었다. 1920년대 이후 여러 나라에서 연구가 시작되었고, 일본에서는 1930년대부터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일본 농촌에 집중된 독자적인 연구가 발전했다. 초기에는 유가 기자에몬 등에 의한 지주(地主) 제도와 관련된 가족 제도 및 동족 조직 연구, 스즈키 에이타로에 의한 농가 가족과 자연촌을 중심으로 한 농촌 사회의 체계적 파악 등이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동아시아의 식민지·점령지에서 농촌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특히 전후 공개된 중국 농촌 관행 조사는 잘 알려져 있다.

2. 4. 1. 인도

인도에서 농촌사회학은 1947년 독립 이후 정부의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발전했다.[68][69] 정부는 "극심한 빈곤, 인구 과잉, 그리고 전반적인 경제 저개발" 문제를 이해하는 데 농촌사회학의 도움이 필요했다.[70] 연구는 마을의 역할 변화, 독립 이후 농촌-도시 간 상호작용, 농촌 변화와 그 원인, 인구 통계 연구, 농촌 개발, 그리고 농촌 경제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68] 1953년, A. R. 데사이(A. R. Desai)는 《인도의 농촌사회학》(Rural Sociology in India) 제1판을 출판했다.[71] 이 책의 서문은 인도 정부가 "더 나은 사회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일관된 행동 방침"을 만들 수 있도록 사회의 각 측면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71] 데사이의 저서의 인기와 인도에서 농촌사회학 연구의 확장으로 인해, 이 신흥 분야의 새로운 연구 초점과 방법론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인도의 농촌사회학》 제2판과 제3판이 각각 1959년과 1961년에 출판되었다.[71] 20세기 중반의 다른 저명한 연구자로는 S. C. 두베(S. C. Dube), M. N. 스리니바스(M. N. Srinivas), 그리고 D. N. 마줌다르(D. N. Majumdar)가 있다.[72] 인도에서는 농촌사회학 연구와 정책이 21세기에도 계속해서 연결되어 왔다.[72]

2. 4. 2. 중국

1949년 이전 중국의 농촌사회학 연구는 주로 농촌 계급과 권력 구조에 초점을 맞추었다.[73] 페이샤오퉁과 같은 저명한 사회학자들의 지역 사회 연구는 미국 농촌사회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20세기 중반과 초반 중국에서도 인기를 끌었다.[74] 1952년 마오쩌둥에 의해 모든 사회학 프로그램이 중단되었으나,[75] 1979년 중국 사회학회가 재건되면서 사회학 연구가 다시 시작되었다.[75] 이 기간 동안 미국 사회학자들의 영향은 환영받았고 21세기까지 중국 농촌사회학 연구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75] 그러나 양민(Yang Min)과 쉬용(Xu Yong)과 같은 현대 중국 농촌사회학자들은 이러한 서구적 관점을 재고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76]

2. 4. 3. 일본

일본의 농촌사회학은 1930년대부터 활발하게 연구되어 일본 농촌에 집중된 독자적인 연구가 발전했다. 초기에는 유가 기자에몬(有賀喜左衛門) 등에 의해 지주(地主) 제도와 관련된 가족 제도 및 동족 조직 연구, 스즈키 에이타로(鈴木栄太郎)에 의한 농가 가족과 자연촌(自然村)을 중심으로 한 농촌 사회의 체계적 파악 등이 진행되었다.[77] 이 시기 다른 저명한 일본 농촌사회학 연구자로는 기타노 세이이치(北野精一), 야마모토 요조(山本洋三) 등이 있다.[79][80]

제2차 세계 대전(第二次世界大戦) 후, 농지개혁과 가족제도 폐지 등의 제도 개혁을 배경으로, 후쿠타케 나오시(福武直)를 중심으로 개혁 후에도 남아있는 봉건 유제의 해명과 농정의 침투 파악이 목표로 삼아져, 마을 구조, 농민 의식 등 다방면에 걸친 실증적인 조사 연구가 이루어졌다. 마을 구조에 관해서는, 동족 결합의 도호쿠형 농촌과 향조 결합의 세이난형 농촌의 두 가지 유형을 세우고, 전자에서 후자를 거쳐 민주적 농촌 사회를 전망한다는 이론 도식이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농촌의 변모가 격렬해짐에 따라 농촌사회학은 필연적으로 전환을 요구받게 되었다. 농촌의 변모가 일본 경제의 고도성장의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는 만큼, 마을 내적인 요인의 결합으로 농촌의 변동을 해명하려는 종래의 틀을 넘어서, 도시와의 관련이나 국가 정책과의 관련에서 변동을 밝히려 했다. 더 나아가 겸업화와 비농가와의 혼주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와 농촌을 포괄적으로 시야에 넣은 지역사회학 연구를 분화시키기에 이르렀다.

3. 한국의 농촌사회학

한국의 농촌사회학은 해방 이후 농촌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학문적, 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농촌사회의 구조와 문화를 이해하고, 농지개혁 등 농촌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1960년대 이후 산업화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농촌 인구 감소, 고령화, 농가 소득 감소, 지역 불균형 심화 등 농촌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특히, 1990년대 이후에는 농촌의 다원적 기능, 농촌 공동체의 복원, 귀농·귀촌 현상, 농촌 관광, 6차 산업화 등 새로운 농촌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농촌 지역의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증진하며, 농민의 소득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농촌사회학 연구에도 영향을 미쳐, 농촌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농민의 권익 보호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 주요 학설 및 이론

스즈키 에이타로(鈴木栄太郎)는 농가 가족과 자연촌(自然村)을 중심으로 농촌 사회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1] 아리가 키자에몬(有賀喜左衛門)은 지주(地主) 제도와 관련된 가족 제도 및 동족 조직을 연구했다.[1]

제2차 세계 대전(第二次世界大戦) 이후, 후쿠타케 나오시(福武直)를 중심으로 농촌 사회학은 개혁 후에도 남아있는 봉건 유제를 밝히고 농정의 침투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1] 마을 구조, 농민 의식 등 다방면에 걸친 실증적인 조사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동족 결합의 도호쿠형 농촌과 향조 결합의 세이난형 농촌의 두 가지 유형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민주적 농촌 사회를 전망하는 이론이 큰 영향을 미쳤다.[1]

주요 학설은 다음과 같다:


  • 스즈키 에이타로(鈴木栄太郎)의 「자연촌(自然村)」이론
  • 아리가 키자에몬(有賀喜左衛門)의 「가연합(家連合)」이론
  • 「이에·무라(イエ・ムラ) 이론」
  • 다케우치 토시미(竹内利美)의 강·조·년서 조직 연구
  • 나카무라 키치지(中村吉治)의 공동체론

5. 현대적 과제와 전망

농촌사회학은 현대 사회의 변화에 발맞춰 지속 가능한 개발, 기후 변화 적응, 농촌 생계 유지, 농촌-도시 관계, 농촌 지역의 사회적 불평등 해소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82] 특히,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 심화, 기후 변화로 인한 농업 생산의 불안정성 증대 등은 한국 농촌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과제이며, 농촌사회학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해결책 제시를 통해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미주리 대학교 농촌사회학과는 농촌사회학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도구를 사용하여 21세기의 과제, 즉 천연자원 보존, 증가하는 인구를 위한 안전하고 영양가 있는 식량 제공, 기후 변화 적응, 지속 가능한 농촌 생계 유지 등에 대처한다.[82]

위스콘신 대학교는 최초의 농촌사회학과 중 하나를 설립했지만, 현재는 "농촌"이라는 용어를 삭제하고 "지역사회 및 환경 사회학과"로 이름을 변경했다.[83] 켄터키 대학교의 농촌사회학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및 리더십 개발학과"로, 코넬 대학교의 농촌사회학과는 개발사회학과로 이름을 변경했다.[84][85]

농촌의 변모가 격렬해짐에 따라 농촌사회학은 필연적으로 전환을 요구받게 되었다. 특히 일본의 경우, 고도성장의 영향으로 농촌의 변동을 마을 내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도시와의 관련이나 국가 정책과의 관련에서 밝히려는 방향을 만들어냈다. 더 나아가 겸업화와 비농가와의 혼주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와 농촌을 포괄적으로 시야에 넣은 지역사회학 연구를 분화시키기에 이르렀다.

또한, 농촌사회학 고유의 관심으로서, 마을의 자치 기능과 토지 이용형 산업으로서의 농업에 대해 수행하고 있는 역할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는 마을 공동체의 부활이 아니라, 마을을 단위로 다양한 문제를 처리하거나 의사결정을 한다는 원리에 대한 평가로 나타났다.

6. 관련 학회


  • '''미국 농촌사회학회(RSS, Rural Sociological Society)'''는 미국 농촌사회학회(American Sociological Society)에서 분리되어 1937년에 설립되었다. 학술지인 ''Rural Sociology''를 분기별로 발행한다.[86] 코넬대학교 도서관의 역사적 농촌사회학 자료 온라인 공개 프로그램을 통해 1936년부터 1989년까지의 과월호를 온라인에서 열람할 수 있다.[87]

  • '''유럽 농촌사회학회(ESRS, European Society for Rural Sociology)'''는 1957년에 설립되었다. 본 회는 "농업 및 어업, 식량 생산 및 소비, 농촌 개발 및 변화, 농촌성, 문화유산, 농촌사회의 평등 및 불평등, 자연 및 환경 보호 연구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을 위한 유럽 최고의 단체"라고 소개하고 있다.[88]

  • '''국제 농촌사회학회(IRSA, International Rural Sociology Association)'''의 목표는 "농촌사회학의 발전을 촉진하고, 사회학적 조사를 농촌 삶의 질 향상에 적용하며, 농촌사회학자들이 대화와 유익한 교류를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회는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of Agriculture and Food''를 발행했다.[89]

  • '''국제 사회 및 자연자원 협회'''(IASNR,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ociety and Natural Resources)는 ''Society & Natural Resources'' 학술지를 발행한다.[90]

  • '''라틴 아메리카 농촌사회학회(ALASRU, Asociación Latinoamericana de Sociologia Rural)'''는 1969년에 설립된 단체로, 오늘날 라틴 아메리카에서 나오는 많은 농촌사회학 연구 결과는 라틴 아메리카 농촌사회학회(Asociación Latinoamericana de Sociologia Rural)의 연구 결과이다.[91] 정부 간 및 비정부기구의 공동 노력을 통해 ALASRU는 "지역의 농촌 개발을 촉진하고, 농촌사회학의 보급과 발전을 촉진하며, 현장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국가 센터 설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아시아 농촌사회학회(ASRA, Asian Rural Sociology Association)'''는 1996년에 설립되었다.[81] 본 회의 목표는 "농촌사회학 과학의 발전을 촉진하고, 과학적 조사 결과를 농촌 삶의 질 향상에 적용하고, 아시아 농촌 개발을 위한 의미 있는 과학적 기반을 교류하고 창출하는 것"이며, 비영리 단체로서 순수하게 과학 및 교육 목적으로만 활동한다.[92] ASRA는 1997년 3월 7일부터 9일까지 한국 서울에서 첫 번째 이사회를 개최했다.[81] 이 이사회에서 ASRA는 헌장을 비준하고 1999년 1월 태국에서 첫 번째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이 첫 번째 학술대회의 주제는 "세계화와 농촌 사회 변화"였으며, 11개국에서 200명의 참가자가 참석하여 33편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이후 학회의 첫 번째 학술지인 ''Journal of Asian Rural Sociology''에 게재되었다.[93] 본 학회는 총 6차례의 학술대회를 개최했으며, 마지막 학술대회는 2018년에 식량 시스템을 주제로 개최되었다.[94] 학술지는 1월과 7월에 연 2회 발행되고 있다.[95]

7. 관련 학술지

다음은 농촌사회학 분야 또는 밀접하게 관련된 분야에서 발행되는 학술지들이다.

참조

[1] 서적 Nelson, 1969
[2] 논문 Enacting Rural Sociology: Or what are the Creativity Claims of the Engaged Sciences? 2010
[3] 서적 Rural Sociology: Its Origins and Growth in the United States 1969
[4] 서적 The Growth of a Science: A Half-Century of Rural Sociological Research in the United States 1957
[5] 간행물 Rural Sociology in Europe Annual Meetings of the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62
[6] 법률 Act of July 2, 1862 (Morrill Act) Public Law 37-108
[7] 보고서 Report on the Country Life Commission https://www.fca.gov/[...] 1909
[8] 서적 W.E.B. Du Bois 2017
[9] 간행물 Rural Sociology in Europe Annual Meetings of the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62
[10] 간행물 Rural Sociology in Europe Annual Meetings of the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62
[11] 논문 Enacting Rural Sociology: Or what are the Creativity Claims of the Engaged Sciences? 2010
[12] 웹사이트 Marshall Plan (1948) https://www.archives[...] 2021-09-28
[13] 논문 Enacting Rural Sociology: Or what are the Creativity Claims of the Engaged Sciences? 2010
[14] 논문 Les études de sociologie rurale en Europe (Rural Sociologic Studies in Europe) 1960
[15] 간행물 Rural Sociology in Europe Annual Meetings of the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62
[16] 문서 Id.
[17] 논문 Rural sociology in Europe 1963
[18] 보고서 Report on the Country Life Commission https://www.fca.gov/[...] 1909
[19] 논문 Enacting Rural Sociology: Or what are the Creativity Claims of the Engaged Sciences? 2010
[20] 웹사이트 On Meaningful Diversity: Reflecting on 75 years of Rural Sociology at Wageningen University https://www.arc2020.[...] 2022-07-14
[21] 논문 Rural social organization 1960
[22] 논문 The Current Status of Rural Sociology 1975
[23] 논문 Enacting Rural Sociology: Or what are the Creativity Claims of the Engaged Sciences? 2010
[24] 웹사이트 Working groups {{!}} ESRS2023 - XXIXth European Society for Rural Sociology Congress - Crises and the futures of rural areas https://esrs2023.ins[...]
[25] 웹사이트 From Past Practices to Future Directions in European Studies https://www.europeno[...]
[26] 논문 Dramatic uneven urbanization of large cities throughout the world in recent decades 2020-10-23
[27] 웹사이트 Employment and growth - European Commission https://agriculture.[...] 2023-12-07
[28] 웹사이트 Rurality in Europe https://www.europeno[...]
[29] 웹사이트 Rurality in Europe https://www.europeno[...] Council for European Studies, Europe Now Journal 2020
[30] 논문 Rural Sociology – Does It Have a Future in Australian Universities? 1997
[31] 서적 Social structure and personality in a rural community Routledge & Kegan Paul 1954
[32] 서적 Smalltown: A study of social inequality, cohesion and belonging Sydney University Press 1990
[33] 서적 A man's town: Inequality between women and men in rural Australia Oxford 1992
[34] 서적 Politics in place: a study of power relations in an Australian country tow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5] 논문 A Failed Graft: Rural Sociology in New Zealand 1988
[36] 논문 Making Men: The Construction and Representation of Agriculture-Based Masculinitie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2009
[37] 논문 Rural sociology in New Zealand: Companion planting? https://search.infor[...] 2016
[38] 논문 A community issue? Rural women's feelings of safety and fear in New Zealand. 2004
[39] 논문 Are Conventional Farmers Conventional?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Orientations of Conventional New Zealand Farmers 2009
[40] 논문 Reversing the Gaze: Considering Indigenous Perspectives on Museums, Cultural Representation and the Equivocal Digital Remnant Aboriginal Studies Press 2013
[41] 보고서 Lower Waitaki Communities Study Ministry of Works and Development 1980
[42] 논문 From “Sustainable Rural Communities” to “Social Sustainability”: Giving Voice to Diversity in Mangakahia Valley, New Zealand 2000
[43] 논문 On the Moral Economy of Country Life 1991
[44] 논문 An Agenda for Australian Rural Sociology: Troubling the White Middle-Class Farming Woman 2022
[45] 논문 Reframing the Rural Experience in Aotearoa New Zealand: Incorporating the Voices of the Marginalised 2022
[46] 논문 Understanding the Pla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Building Enduring Community Resilience: Murupara Case Study 2016
[47] 논문 Waikato River of Life Otago University Press 2011
[48] 논문 Experiencing and Writing Indigeneity, Rurality and Gender: Australian Reflections 2009
[49] 논문 Leaching the Poison: The Importance of Process and Partnership in Working with Yolngu 2009
[50] 웹사이트 Chelsea Watego 2023
[51] 웹사이트 Aileen Moreton-Robinson 2023
[52] 웹사이트 Sandy O’Sullivan (0000-0003-2952-4732) - ORCID https://orcid.org/00[...] 2023-10-12
[53] 웹사이트 Barbara Pini Profile | Griffith University https://experts.grif[...] 2023-10-12
[54] 논문 Rural Sociology: Some Inter-American Aspects https://www.jstor.or[...] 1967
[55] 논문 Rural Sociologists in Latin America https://www.jstor.or[...] 1945
[56] 논문 Latin American sociology in the twentieth centrury https://unesdoc.unes[...] 1952
[57] 논문 The Rural Commun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Latin America https://www.proquest[...] 1958
[58] 논문 Reflections on Latin American Rural Studies in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Period: A New Rurality? 2008
[59] 웹사이트 Origin and Development of Rural Sociology in India (1463 Words) https://www.yourarti[...] 2023-11-05
[60] 서적 A Systematic Source Book In Rural Sociology Vol I http://archive.org/d[...] Minneapolis The University Of Ninnesota Press 1930
[61] 웹사이트 How Rural Sociology is Developed in India? https://www.yourarti[...] 2023-11-05
[62] 웹사이트 Ancient Law https://oll.libertyf[...] 2023-11-05
[63] 서적 General report on the administration of the Punjab territories, comprising the Punjab proper and the Cis- and Trans-Sutlej states, for the years 1851-52 and 1852-53. Calcutta: Calcutta Gazette Press, 1854 https://discovery.na[...] 1854
[64] 뉴스 The Myth of Self-Sufficiency Of the Indian Village https://www.epw.in/s[...] 1960-09-10
[65] 웹사이트 Village Community In India, Cooperative movement in India, Rural Sociology, Sociology Guide https://www.sociolog[...] 2023-11-05
[66] 논문 Holt Mackenzie's Memorandum https://www.jstor.or[...] 1946
[67] 서적 A Systematic Source Book in Rural Sociology Volume I https://archive.org/[...] Minneapolis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30
[68] 논문 Social Science Research in India: A Review https://www.jstor.or[...] 1992
[69] 웹사이트 Independence Day (India) https://www.britanni[...] 2023-11-05
[70] 서적 Social science Research in India: A Review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1992
[71] 서적 Rural Sociology in India https://handoutset.c[...] Vora & Co. Publishers
[72] 학술지 Rural Society and Development in India: Through a Sociological Lens http://www.ijciras.c[...] 2023-01-00
[73] 웹사이트 Rural sociology promotes reform and development in rural China-CSST http://www.csstoday.[...] 2023-11-05
[74] 학술지 Sociology in China: A Brief Survey https://www.jstor.or[...] 1962-00-00
[75] 학술지 Sociology in China 2008-00-00
[76] 웹사이트 New opportunities for rural sociology studies in China-CSST http://csstoday.com/[...] 2023-11-05
[77] 학술지 Japanese Sociology: Past and Present https://www.jstor.or[...] 1950-00-00
[78]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ology https://onlinelibrar[...] Wiley 2007-02-15
[79] 학술지 The Genealogy and Memorandum of Practical Rural Sociology in Kyushu, Chugoku and Shikoku District, Japan https://www.research[...] 2016-00-00
[80] 학술지 Continuity and Change in Japanese Soci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core.ac.uk/r[...] 1970-00-00
[81] 웹사이트 History https://arsasocio.wo[...] 2023-11-05
[82] 웹사이트 About Rural Sociolo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ttp://dass.missouri[...]
[83] 웹사이트 Who We Are http://www.dces.wisc[...]
[84] 웹사이트 The Department of Community and Leadership Development http://www.uky.edu/A[...]
[85] 웹사이트 Department of Development Sociology : Academic Units : Cornell Warren Hall http://warrenhall.ca[...] Warrenhall.cals.cornell.edu 2016-03-20
[86] 웹사이트 webpage http://onlinelibrary[...]
[87] 웹사이트 listing http://chla.library.[...]
[88] 웹사이트 homepage http://www.ruralsoci[...]
[89] 웹사이트 homepage http://www.irsa-worl[...]
[90] 웹사이트 homepage http://www.iasnr.org[...]
[91] 웹사이트 Latin American Rural Sociological Association {{!}} UIA Yearbook Profile {{!}}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s https://uia.org/s/or[...] 2023-10-27
[92] 웹사이트 Constitution https://arsasocio.wo[...] 2023-11-05
[93] 웹사이트 Asian Rural Sociology I https://arsasocio.wo[...] 2023-11-05
[94] 웹사이트 Conferences https://arsasocio.wo[...] 2023-11-05
[95] 웹사이트 Journal of Asian Rural Studies http://pasca.unhas.a[...] 2023-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