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비어는 주로 CV, VC, V 또는 CVC 구조를 갖는 음절 구조를 가지며, 강세는 단어의 의미를 바꿀 수 있다. 명사는 문법적 수에 따라 굴절되며, 형용사는 명사 뒤에 위치하고 명사와 수 일치를 하기도 한다. 소유 명사는 소유되는 명사 뒤에 위치하며, 'ta' 입자가 둘 사이에 놓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 케냐의 언어 - 오로모어
오로모어는 동아프리카에서 사용되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에티오피아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아프리카 전체에서 네 번째로 많은 사용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 및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1991년 라틴 문자 기반 쿠베 정서법이 채택되어 오로미아 주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 우간다의 언어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동아프리카 해안 지역의 반투어 기반 사바키어파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되고 탄자니아와 케냐의 공용어이자 동아프리카의 링구아프랑카이다. - 우간다의 언어 - 구자라트어
구자라트어는 인도 구자라트 주를 중심으로 약 6천만 명이 사용하는 인도아리아어로, 12세기부터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어휘를 가진, 인도 헌법 지정 언어이자 구자라트 주의 공용어이다.
누비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누비 아랍어 |
로마자 표기 | ki-nubi |
다른 이름 | 키누비 |
사용 국가 | 우간다 케냐 |
사용자 집단 | 우간다 누비족 케냐 누비족 |
추정 화자 수 | 50,100명 (2014-2019년) |
언어 계통 | 아랍어 기반 크리올 |
조상 언어 | 빔바시 아랍어 |
문자 | 아랍 문자 |
ISO 639-3 | kcn |
Glottolog | nubi1253 |
Glottolog 설명 | 누비 |
2. 음운론
킨누비의 음운 체계는 아랍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특징도 가지고 있다.
2. 1. 음절 구조
킨누비의 음절은 일반적으로 CV, VC, V, 또는 CVC 구조를 가진다.[3] VC 구조는 첫 음절에서만 나타나며, CC 구조는 skul|스쿨kcn ("학교") 또는 sems|셈스kcn ("해")와 같은 몇 가지 특정 단어에서만 제한적으로 나타난다.[3]2. 2. 강세
강세는 단어의 의미를 바꿀 수 있는데, 예를 들어 saba|사바kcn는 강세가 첫 번째 음절에 있는지 또는 두 번째 음절에 있는지에 따라 각각 "7" 또는 "아침"을 의미한다.[3] 강세가 없는 음절의 모음은 종종 생략되며, 수동 형태의 강세가 있는 마지막 "u"도 "m", "n", "l", "f" 또는 "b" 뒤에 삭제될 수 있다. 이것은 단어가 심지어 단어 전체에서 재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3]3. 문법
킨누비의 문법은 아랍어에 비해 단순화된 경향을 보인다.
3. 1. 명사
명사는 문법적 수에 의해서만 굴절되지만, 대부분의 명사에서는 이것이 형태론적 변화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조나단 오웬스는 명사의 5가지 광범위한 굴절 범주를 제시한다.[3]# 복수형이 형성될 때 강세 이동이 일어나는 명사.
# 모음 변화가 일어나는 명사.
# 접미사를 취하고 복수형에서 강세 이동이 일어나는 명사.
# 보충법에 의해 복수를 형성하는 명사.
# 단수 및 복수 형태에서 다른 접두사를 취하는 반투어군 차용어.
아래 표는 각 유형의 복수화의 예를 보여준다. 아포스트로피는 강세를 받는 음절 앞에 놓인다.[3]
복수화 | 단수 형태 | 복수 형태 | 영어 번역 |
---|---|---|---|
1 | yo'wele | yowe'le | boy(s) |
2 | ke'bir | ku'bar | big [thing(s)] |
3 | 'tajir | taji'rin | rich person(s) |
3 | 'seder | sede'ra | tree(s) |
4 | 'marya | nus'wan | woman / women |
5 | muze | waze | old man / old men |
Nuswan|누스완kcn은 유형 3처럼 접미사로 보충될 수 있으며, 따라서 nuswana|누스와나kcn는 ''"women"''을 의미할 수도 있다.[3]
3. 2. 형용사
형용사는 명사 뒤에 위치하며, 일부 형용사는 명사와 수 일치를 해야 한다. 형용사는 습관상을 나타내는 alkcn, alikcn, abkcn 또는 abukcn 접두사를 취할 수 있다.[3]3. 3. 소유격
소유 명사는 소유되는 명사 뒤에 오며, 그 사이에 ta|타kcn 입자가 놓인다. 양도 불가능 소유의 경우 이 입자는 생략된다.[3]참조
[1]
서적
The Nubi Language of Uganda: An Arabic Creole in Africa
BRILL
2005
[2]
서적
Modern Arabic: Structures, Functions, and Varieties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 P
2017-03-23
[3]
간행물
Creole Arabic
https://www.academia[...]
2006
[4]
서적
Deconstructing Creol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0-01-20
[5]
서적
Uganda Since Independence: A Story of Unfulfilled Hopes
https://books.google[...]
Africa World Press
1992-01-01
[6]
뉴스
Amin Buys Loyalty of Soldiers - the Washington Post
https://web.archive.[...]
2017-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