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투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투어군은 '사람들'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된 명칭으로, 아프리카 중남부 지역에서 3억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군이다. 19세기 유럽 언어학자들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좁은 반투어, Ntu 언어 등의 용어로도 불린다. 반투조어에서 기원하여 카메룬 지역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반투족 팽창을 통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언어학적으로는 다양한 접두사를 활용하는 명사 부류 체계가 특징이며,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가진다. 반투어군 언어는 성조 언어이며, 반복법을 통해 동작의 빈도나 강도를 나타낸다. 서양 문화에는 보마, 침팬지, 하쿠나 마타타 등 다양한 반투어 단어가 차용되었으며, 라틴 문자 외에도 므왕고 문자, 만돔베 문자 등 고유의 문자 체계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합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프랑코프로방스어는 프랑스 중동부, 스위스 서부, 이탈리아 북서부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프랑스어, 오크어,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받아 여러 방언으로 분화되었으며, 아르피탄어라고도 불린다. - 종합어 - 바스크어
바스크어(에우스카라)는 서유럽의 유일한 비인도유럽어족 언어로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로마 시대 아키타니아어와의 연관성이 제기되며, 스페인과 프랑스에 걸쳐 사용되고 부활 운동을 거쳤으나, 능격-대격 체계와 복잡한 동사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고립어이다.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반투어군 | |
---|---|
언어 정보 | |
이름 | 반투어 |
다른 이름 | 좁은 의미의 반투어 |
사용 민족 | 반투족 |
어족 | 니제르콩고어족 |
어파 | 대서양콩고어파 |
어군 | 베누에콩고어군 |
어계 | 남부 반토이드어군 |
조어 | 반투 조어 |
분포 | |
![]() | |
사용 지역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 |
언어 코드 | |
ISO 639-2 | bnt |
ISO 639-5 | bnt |
Glottolog | narr1281 |
Glottolog 명칭 | 좁은 의미의 반투어 |
하위 분류 |
2. 명칭
'사람들'을 의미하는 '반투(bantu)'라는 단어를 공유하는 데서 유래했다. 엄밀하게 말해 반투어군은 일부 반투제어군(Bantoid)의 언어들을 포함하는 '광의의 반투어군'과는 대조되는 '협의의 반투어군'이다.[11]
반투어군의 조어(Proto-Bantu)인 반투조어는 니제르콩고어족 계통의 언어로서 대략 카메룬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의 주류설에 의하면, 약 2000~3000년 전부터 동남부로의 대량 이주가 시작되어 토착 언어는 대부분 사라지고 현재와 같이 사하라 이남의 넓은 지역에서 반투어 계통의 언어가 쓰이게 되었는데, 이 역사적 과정을 반투족 팽창(Bantu expansion)이라고 한다. 반투 팽창에는 농업의 확산이 동반되었고, 북방의 쿠시어파 또는 나일사하라어족 관련 민족의 영향으로 유목이 받아들여지기도 했다.[21] 일부 다른 자료에서는 반투족 이동이 기원전 3000년경에 시작되었다고 추정한다.[23] 현재 동·남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코이산 제어를 비롯한 여러 작은 언어들은 반투 팽창 이전에 존재하던 토착 언어가 살아남은 경우로 추정된다.
반투어군에 속하는 언어들은 매우 다양하다. 그래서 보통 알파벳과 숫자를 조합하여 지리적으로 구분하는 거스리의 반투어군 분류를 사용한다.
분산된 반투어의 유사성은 17세기에 이미 관찰되었다.[11] 1857년 또는 1858년 빌헬름 블리크는 이 집단을 지칭하는 "반투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발견(''Bâ-ntu''로)하였고, 1862년 저서 ''비교 문법''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2] 그는 이 용어가 느슨하게 재구성된 원시 반투어에서 "사람"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아챘다. 복수 명사 부류 접두사 ''*ba-''는 "사람"을 분류하고, 어근 ''*ntʊ̀-''는 "어떤 (실체), 무엇이든"을 의미한다(예: 코사어 ''umntu'' "사람", ''abantu'' "사람들"; 줄루어 ''umuntu'' "사람", ''abantu'' "사람들").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고유 용어는 없다. 왜냐하면 그들이 하나의 민족 집단이 아니기 때문이다.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에는 유럽의 언어학자들이 19세기에 명명한 더 큰 언어학적 계통에 대한 고유한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민족 내부 명칭으로 자신들의 언어를 지칭한다. 블리크의 식별은 "사람" 또는 "진정한 사람들"로 자주 자칭하는 집단에 대한 인류학적 관찰에서 영감을 받았다(예를 들어, ''코이코이''라는 용어가 그렇지만, 이것은 민족 이름이 아닌 ''kare'' "찬양 주소"이다).[13]
말콤 구스리 (1948)에 의해 반토이드어로 분류된 언어를 제외한 용어인 ''좁은 반투어''는 1960년대에 도입되었다.[14]
접두사 ''ba-''는 구체적으로 사람들을 지칭한다. 내부 명칭으로는 언어를 포함한 문화적 대상에 대한 용어가 ''ki-'' 명사 부류 (응구니 ''ísi-'')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키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 언어 및 문화), 이시줄루 (줄루어 언어 및 문화) 및 키간다 (간다 종교 및 문화)가 있다.
1980년대에 남아프리카 언어학자들은 이러한 언어를 ''키누투''라고 지칭할 것을 제안했다. ''kintu''라는 단어는 일부 지역에 존재하지만, "언어"라는 개념과 관련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15] 또한 1984년 아프리카 남부 언어 협회 회의에서 대표자들은 일부 지역에서 ''Kintu''라는 용어가 경멸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보고했다.[16] 이는 ''kintu''가 "것"을 의미하며, 존엄성을 잃은 사람들을 비인간화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때문이다.[17]
''킨투''는 일부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이다.[18]
1990년대에는 ''킨투''라는 용어가 남아프리카 언어학자들에 의해 여전히 가끔 사용되었다.[19] 그러나 현대의 탈식민지 남아프리카 언어학에서는 ''Ntu 언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19]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반투어"라는 단어를 둘러싼 치열한 논쟁 속에서, 자이덴슈티커 (2024)는 "순수한 기술적 [용어]가 비언어적 함의 없이 언어, 문화, 사회, 인종을 무차별적으로 지칭하는 지칭으로 변형되는 심오한 개념적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한다.[20]
Bantu라는 말은 독일의 언어학자 Wilhelm Bleek|빌헬름 블리크영어(1827-1875)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많은 언어에서 사람을 나타내는 -ntu (또는 -tu)와 몇몇 언어에서 복수를 나타내는 ba- (즉, ba-ntu는 "사람들"의 의미)에서 만들어졌다. 19세기 후반에 블리크와 칼 마인호프가 반투어의 비교 문법을 연구했으며, 이어서 다른 아프리카 중부 및 서부 언어와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졌다. 반투어군은 약 2000년 전에 나이지리아 동부, 카메룬 부근에서 농경민에 의해 확산되었다는 견해가 유력하다.
반투어군을 사용하는 민족을 통칭하여 반투계 민족이라고 부른다.
3. 역사
분산된 반투어의 유사성은 17세기에 이미 관찰되었다.[11] 이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인 "반투어"는 1857년 또는 1858년 빌헬름 블리크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되어(''Bâ-ntu''로) 그의 1862년 저서 ''비교 문법''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2] 그는 이 용어가 느슨하게 재구성된 원시 반투어에서 "사람"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아챘다. 복수 명사 부류 접두사 ''*ba-''는 "사람"을 분류하고, 어근 ''*ntʊ̀-''는 "어떤 (실체), 무엇이든"을 의미한다.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고유 용어는 없다. 왜냐하면 그들이 하나의 민족 집단이 아니기 때문이다.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유럽인과의 접촉 이전에는 유럽의 언어학자들이 19세기에 명명한 더 큰 언어학적 계통에 대한 고유한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민족 내부 명칭으로 자신들의 언어를 지칭한다.
4. 분류
반투어는 현재 카메룬에 있던 중앙 아프리카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통 원시 반투어에서 파생되었다.[21] 약 2,500~3,000년 전(기원전 1000년~기원전 500년)에 원시 반투어를 사용하던 사람들은 동쪽과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고, 농업 기술도 함께 전파했다. 이 반투족 이동은 카메룬 동쪽의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를 지배하게 되었으며, 이 지역은 현재 반투족이 거의 전체 인구를 차지하고 있다.[21][22] 일부 다른 자료에서는 반투족 이동이 기원전 3000년경에 시작되었다고 추정한다.[23]
기술적인 용어인 반투는 "인간" 또는 단순히 "사람들"을 의미하며, 이 개념은 이 그룹의 많은 언어에 반영되어 있다. 빌헬름 블레크(1827–1875)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반투어의 공통적인 특징은 "인간" 또는 간단히 "사람"을 의미하는 ''muntu'' 또는 ''mutu''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언어에서 ''mu-''(1류)로 시작하는 인간 명사의 복수 접두사는 ''ba-''(2류)이므로 "사람들"에 대해 ''bantu''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블레크와 이후 카를 마인호프는 반투어의 문법 구조를 비교하는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류는 말콤 거스리가 1948년 반투어군 분류에서 개발한 영숫자 코딩 시스템이다. 이는 주로 지리적이다. "좁은 반투어"라는 용어는 거스리가 인정한 반투어와 거스리가 반투어로 인정하지 않은 반토이드어군을 구별하기 위해 ''베누에-콩고 워킹 그룹''에서 만들어졌다.[24] 최근 좁은 반투어와 다른 남부 반토이드어군 간의 뚜렷한 차이에 의문이 제기되었지만,[25] 이 용어는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좁은) 반투어군의 진정한 계통 분류는 없다. 최근까지 대부분의 분류 시도는 전통적인 좁은 반투어군에 속하는 언어만 고려했지만, 관련 남부 반토이드어군과의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6]
더 넓은 수준에서, 이 어족은 일반적으로 원시 반투어의 음성 패턴 반사에 따라 둘로 나뉜다. 많은 반투어 연구가들은 A 구역부터 D 구역까지의 일부(범위는 저자에 따라 다름)를 ''북서 반투어'' 또는 ''숲 반투어''로 묶고 나머지를 ''중앙 반투어'' 또는 ''사바나 반투어''로 묶는다.
Grollemund (2012)의 반투어군의 북서부 분파 단순 계통수는 다음과 같다:[30]
반투어군에 대한 다른 계산적 계통 분류 분석에는 Currie et al. (2013),[31] Grollemund et al. (2015),[32] Rexova et al. 2006,[33] Holden et al., 2016,[34] 및 Whiteley et al. 2018이 있다.[35] Glottolog ('''2021''')은 거스리(Guthrie)의 이전 지리적 분류를 최근 언어학 연구에 기반한 지속적인 분류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기며, 반투어를 반투 A-B10-B20-B30, 중앙-서부 반투, 동부 반투, 맘-부베-자라완의 네 개의 주요 분기로 나눈다.[36]
4. 1. 거스리의 반투어군 분류 (지리적 구분)
말콤 거스리가 1948년 개발한 영숫자 코딩 시스템은 반투어군 언어를 분류하는 데 널리 사용되며, 주로 지리적 기준을 따른다.[24] "좁은 반투어"라는 용어는 거스리가 인정한 반투어와 거스리가 반투어로 인정하지 않은 반토이드어군을 구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24]
최근에는 좁은 반투어와 다른 남부 반토이드어군 간의 뚜렷한 차이에 의문이 제기되었지만,[25] 이 용어는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좁은) 반투어군의 진정한 계통 분류는 아직 없지만, 최근까지 대부분의 분류 시도는 전통적인 좁은 반투어군에 속하는 언어만 고려했고, 관련 남부 반토이드어군과의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6]
반투어군은 일반적으로 원시 반투어의 음성 패턴 반사에 따라 북서 반투어(또는 숲 반투어)와 중앙 반투어(또는 사바나 반투어)로 나뉜다. 북서 반투어는 A 구역부터 D 구역까지의 일부를 포함하며, 중앙 반투어는 나머지 구역을 포함한다. 이 두 그룹은 서로 반대되는 음성 체계를 가진다. 북서 반투어가 동족어에 높은 음을 가지면 중앙 반투어는 일반적으로 낮은 음을 가지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북서 반투어는 중앙 반투어보다 내부적으로 더 분기되어 있으며, 비 반투어 나이저-콩고어군과의 접촉으로 인해 덜 보수적일 수 있다. 중앙 반투어는 분지학적으로 혁신적인 계통일 가능성이 높다. 북서 반투어는 일관된 어족이 아니지만, 중앙 반투어조차도 역사적으로 유효한 그룹이라는 증거는 거의 없는 어휘적 증거가 있다.
거스리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상세한 유전적 분류에 대한 또 다른 시도는 1999년 바스틴, 쿠페, 만의 "테르부렌" 제안이다.[27] 그러나 이것은 어휘통계학에 의존하는데, 공유 혁신보다는 전체적인 유사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가까운 관련이 없는 보수적인 언어의 가짜 그룹을 예측할 수 있다.
''에스놀로그''는 거스리가 간과한 언어를 거스리 분류에 추가하는 동시에 Mbam어군 (A 구역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일부 언어를 그룹 간에 이동시켰다(예: D 구역과 E 구역의 대부분을 새로운 J 구역으로, L 구역의 일부를 K로, M 구역의 일부를 F로). 이는 반투어군을 구별하는 몇 안 되는 명확한 방법 중 하나에 혼란을 야기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Nurse & Philippson (2006)은 반투어군의 하위 그룹에 대한 많은 제안을 평가했지만, 그 결과는 어족 전체의 완전한 묘사가 아니다.[24][12] ''글로토로그''는 이 중 많은 것을 자체 분류에 통합했다.[28]
달의 법칙을 공유하는 언어는 유효한 그룹인 북동 반투어군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반투어군뿐만 아니라 나이저-콩고어군의 많은 분파에 대한 엄격한 계통 분류 개발은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방해받고 있다.[29][14]
반투어군의 언어가 주로 사용되는 지역은 나이지리아 남부부터 시작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우간다, 케냐, 소말리아 남부까지 이른다. 반투어군에 속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가봉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마요트 | 말라위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부룬디 | 소말리아 | 수단 | 스와질랜드 |
앙골라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짐바브웨 | 카메룬 | 케냐 | 코모로 | 콩고 공화국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5. 언어 구조
반투어군 언어들은 접사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장 큰 문법적 특징이다. 각 명사는 명사 부류에 속하며, 이는 유럽어의 성이나 한국어의 분류사와 유사하다. 언어마다 명사 부류의 수는 다르며, 명사에 붙는 접두사로 표시된다. 이 접두사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나 절의 동사에도 일치 표지로 나타난다. 복수형은 별도의 부류로 취급되어 부류 접사를 바꿔 표시한다.[49] 동사는 여러 접두사가 붙을 수 있으며, 서부 언어들에서는 별도의 단어로 취급되기도 한다.[37]
반투어군 언어의 단어는 주로 CV(자음-모음) 형태의 개음절로 이루어진다. 스와힐리어 등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대부분 성조 언어이며, 2~4개의 평탄성조를 가진다.
반투어의 가장 두드러진 문법적 특징은 접사의 광범위한 사용이다. 각 명사는 분류에 속하며, 각 언어는 유럽 언어의 문법적 성과 다소 유사하게 여러 개의 번호가 매겨진 분류를 가질 수 있다. 이 분류는 명사의 일부인 접두사로 표시되며, 명사와 관련된 동사 및 수식어 어근에 대한 일치 마커로도 표시된다. 복수성은 접두사가 변경되면서 분류의 변화로 표시된다.[19][14] 모든 반투어는 교착어이다.
예를 들어 스와힐리어의 ''Kitoto kidogo kimekisoma''(쇼나어의 ''Kamwana kadoko karikuverenga'')는 '작은 아이가 그것[책]을 읽었다'를 의미한다. 'kitoto'(아이)는 형용사 접두사 ''ki-''(축소형)와 동사 주어 접두사 ''a-''를 지배한다. 그 다음은 완료 시제 ''-me-''와 'kitabu'(책, 아랍어 'kitab'에서 유래)에 일치하는 목적어 마커 ''-ki-''가 온다. '어린이'를 복수화하면 ''Vitoto vidogo vimekisoma'' (쇼나어로는 ''Vana vadoko varikuverenga'')가 되고, '책'('vitabu')을 복수화하면 ''vitoto vidogo vimevisoma''가 된다.[23]
반투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CV(자음-모음) 유형의 열린 음절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언어는 이 유형의 음절만 사용한다. 그러나 반시나가 기록한 부숑어에는 최종 자음이 있고,[38] 말라위의 통가어에서는 마지막 음절의 흐릿함(쓰여졌지만)이 흔한 것으로 보고된다.[39] 반투어 단어의 형태학적 형태는 일반적으로 CV, VCV, CVCV, VCVCV 등이다. 즉, (시작 부분에 V-음절이 있을 수 있는) CV의 조합이다. 거의 모든 단어가 모음으로 끝난다.[42][26]
영어 등 다른 언어에서 단어를 차용할 때, 자음군을 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체와어에서 영어 "school"은 ''sukulu''로 변형되는데, ''sk-''는 삽입 ''-u-''로 분리되고 단어 끝에도 ''-u''가 추가된다. "bread"는 ''buledi''가 된다. 일본어 등 다른 CV 언어의 차용어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쇼나어[40]와 마쿠아어[41]에서는 음절 시작 부분의 음소 클러스터링이 관찰된다.
스와힐리어와 루토로어를 제외하면 반투어는 성조어이며 2~4개의 음역조를 가진다.
반복법은 반투어군 언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형태론적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반복되지 않은) 동사 어간이 나타내는 동작의 빈도나 강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42] 예를 들어 스와힐리어에서, ''piga''는 "치다"를 의미하고, ''pigapiga''는 "반복해서 치다"를 의미한다.
반복법을 사용하는 잘 알려진 단어와 이름에는 바파나 바파나(Bafana Bafana), 칩폴로폴로(Chipolopolo), 에릭 젬바-젬바(Eric Djemba-Djemba), 로마나 루알루아(Lomana LuaLua) 등이 있다.
반복은 사용되는 맥락에서 반복되는 단어를 강조한다. 예를 들어, "Mwenda pole hajikwai"는 "천천히 가는 사람은 넘어지지 않는다"를 의미하고, "Pole pole ndio mwendo"는 "느리지만 꾸준한 걸음이 경주에서 이긴다"를 의미한다. 후자는 속도의 일관된 느림을 강조하기 위해 "pole"을 반복한다.
또 다른 예로, "Haraka haraka"는 "그저 서두르기 위한 서두름" (무모한 서두름)을 의미하며, "Njoo! Haraka haraka" [이리 와! 서둘러, 서둘러]와 같이 사용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부 언어에서는 반복법이 정반대의 의미를 갖는 단어가 있다. 보통 짧은 지속 시간, 또는 동작의 낮은 강도를 나타내며, 몇 번의 반복이나 약간의 추가 동작을 의미하기도 한다.
- 예시 1: 총가어(Xitsonga)와 쇼나어(Shona language|(Chi)Shona)에서, ''famba''는 "걷다"를 의미하는 반면, ''famba-famba''는 "주변을 걷다"를 의미한다.
- 예시 2: 줄루어(isiZulu)와 스와티어(SiSwati)에서 ''hamba''는 "가다"를 의미하며, ''hambahamba''는 "조금 가다, 하지만 그리 많이는 가지 않다"를 의미한다.
- 예시 3: 위의 두 언어 모두에서 ''shaya''는 "치다"를 의미하고, ''shayashaya''는 "가볍게 몇 번 더 치다, 하지만 세게 치거나 너무 많이 치지는 않다"를 의미한다.
- 예시 4: 쇼나어(Shona)에서 ''kwenya''는 "긁다"를 의미하고, ''Kwenyakwenya''는 "과도하게 또는 많이 긁다"를 의미한다.
- 예시 5: 루히야어(Luhya)에서 ''cheenda''는 "걷다"를 의미하며, ''cheendacheenda''는 "산책하다, 하지만 멀리 가지는 않다"를 의미하며, 어떤 일이 준비되거나 상황이나 때가 맞을 때까지 시간을 벌 때 사용된다.
반투어군의 명사 부류는 다음과 같다.[43]
단수 부류 | 복수 부류 | 전형적인 의미 | ||
---|---|---|---|---|
번호 | 접두사 | 번호 | 접두사 | |
1 | *mʊ- | 2 | *ba- | 인간, 생물 |
3 | *mu- | 4 | *mi- | 식물, 무생물 |
5 | *dɪ- | 6 | *ma- | 다양함; 부류 6은 액체 (질량 명사) |
7 | *ki- | 8 | *bɪ- | 다양함, 축소형, 방식/방법/언어 |
9 | *n- | 10 | *n- | 동물, 무생물 |
11 | *du- | colspan="2" | | 추상 명사 | |
12 | *ka- | 13 | *tu- | 축소형 |
14 | *bu- | colspan="2" rowspan="6" | | 추상 명사 | |
15 | *ku- | 부정사 | ||
16 | *pa- | 장소 (근접, 정확) | ||
17 | *ku- | 장소 (원거리, 대략) | ||
18 | *mu- | 장소 (내부) | ||
19 | *pɪ- | 축소형 |
거의 모든 반투어군 언어는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가지며, 카메룬의 넨어와 같이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갖는 일부 예외가 있다.[44]
반투어군에서는 국명, 민족명, 사람, 언어를 나타낼 때 접두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보츠와나는 Botswana, 민족명은 바츠와나(Batswana), 한 사람은 Motswana, 언어는 세츠와나(Setswana)가 된다.
첩어가 자주 나타나며, 동작의 반복이나 강조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반투어군은 음운론적으로 일본어와 비슷하다. 전형적으로 개음절 CV (자음 + 모음)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어는 CV, VCV, CVCV, VCVCV 등으로 구성되어 항상 모음으로 끝난다. 단독의 비음도 접두사 등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가나로 쓰면 ン으로 시작하는 인명·지명이 많다. 비음 외의 겹자음은 일반적으로 없으므로,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외래어의 겹자음·말음 자음에는 모음이 삽입되어 school이 sukulu (체와어), brush가 burashi (스와힐리어)와 같이 변한다.
5. 1. 음운론
대부분의 반투어군 언어들의 자음은 무성, 유성 파열음과, 제한된 종류의 마찰음, 파열음과 함께 나타나는 비음, 그리고 유음(l|l영어, r|r영어)과 반모음(y|y영어, w|w영어)으로 이루어져 있다.대부분의 반투어군은 5개(i|i영어, e|e영어, a|a영어, o|o영어, u|u영어) 또는 7개(i|i영어, e|e영어, ɛ|ɛ영어, a|a영어, ɔ|ɔ영어, o|o영어, u|u영어)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다.[3]
반투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CV(자음-모음) 유형의 열린 음절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언어는 이 유형의 음절만 사용한다. 그러나 반시나가 기록한 부숑어에는 최종 자음이 있고,[38] 말라위의 통가어에서는 마지막 음절의 흐릿함(쓰여졌지만)이 흔한 것으로 보고된다.[39] 반투어 단어의 형태학적 형태는 일반적으로 CV, VCV, CVCV, VCVCV 등이다. 즉, (시작 부분에 V-음절이 있을 수 있는) CV의 조합이다. 이 언어족의 거의 모든 단어가 모음으로 끝난다는 특징이 있다.[42][26]
일부 위치에서 자음군을 피하려는 경향은 단어가 영어 또는 다른 비반투어에서 유래한 차용어일 때 두드러진다. 체와어에서 영어 단어 "school"은 ''sukulu''로, "bread"는 ''buledi''로 변형된다. 이는 일본어 등 다른 비아프리카 CV 언어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쇼나어[40]와 마쿠아어[41]에서는 음절 시작 부분의 음소 클러스터링이 관찰된다.
스와힐리어와 루토로어와 같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반투어는 성조어이며 2~4개의 음역조를 가지고 있다.
반복법은 반투어군 언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형태론적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반복되지 않은) 동사 어간이 나타내는 동작의 빈도나 강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42] 예를 들어 스와힐리어에서 ''piga''는 "치다"를 의미하고, ''pigapiga''는 "반복해서 치다"를 의미한다.
반복법을 사용하는 잘 알려진 단어와 이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바파나 바파나(Bafana Bafana), 축구팀
- 칩폴로폴로(Chipolopolo), 축구팀
- 에릭 젬바-젬바(Eric Djemba-Djemba), 축구 선수
- 로마나 루알루아(Lomana LuaLua), 축구 선수
반복은 사용되는 맥락에서 반복되는 단어를 강조한다. 예를 들어, "Mwenda pole hajikwai"는 "천천히 가는 사람은 넘어지지 않는다"를 의미하고, "Pole pole ndio mwendo"는 "느리지만 꾸준한 걸음이 경주에서 이긴다"를 의미한다. 후자는 속도의 일관된 느림을 강조하기 위해 "pole"을 반복한다.
또 다른 예로, "Haraka haraka"는 "그저 서두르기 위한 서두름" (무모한 서두름)을 의미하며, "Njoo! Haraka haraka" [이리 와! 서둘러, 서둘러]와 같이 사용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일부 언어에서는 반복법이 정반대의 의미를 갖는 단어가 있다. 보통 짧은 지속 시간, 또는 동작의 낮은 강도를 나타내며, 몇 번의 반복이나 약간의 추가 동작을 의미하기도 한다.
- 예시 1: 시총가어(Xitsonga)와 쇼나어(Shona language|(Chi)Shona)에서, ''famba''는 "걷다"를 의미하는 반면, ''famba-famba''는 "주변을 걷다"를 의미한다.
- 예시 2: 줄루어(isiZulu)와 시스와티어(SiSwati)에서 ''hamba''는 "가다"를 의미하며, ''hambahamba''는 "조금 가다, 하지만 그리 많이는 가지 않다"를 의미한다.
- 예시 3: 위의 두 언어 모두에서 ''shaya''는 "치다"를 의미하고, ''shayashaya''는 "가볍게 몇 번 더 치다, 하지만 세게 치거나 너무 많이 치지는 않다"를 의미한다.
- 예시 4: 쇼나어(Shona)에서 ''kwenya''는 "긁다"를 의미하고, ''Kwenyakwenya''는 "과도하게 또는 많이 긁다"를 의미한다.
- 예시 5: 루히야어(Luhya)에서 ''cheenda''는 "걷다"를 의미하며, ''cheendacheenda''는 "산책하다, 하지만 멀리 가지는 않다"를 의미하며, 어떤 일이 준비되거나 상황이나 때가 맞을 때까지 시간을 벌 때 사용된다.
반투어군은 음운론적으로 일본어와 비슷하다. 전형적으로 개음절 CV (자음 + 모음)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어는 CV, VCV, CVCV, VCVCV 등으로 구성되어 항상 모음으로 끝난다. 단독 비음도 접두사 등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가나로 쓰면 ン으로 시작하는 인명·지명이 많다. 비음 외의 겹자음은 일반적으로 없으므로,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외래어의 겹자음·말음 자음에는 모음이 삽입되어 school이 sukulu (체와어), brush가 burashi (스와힐리어)와 같이 변한다.
기본적으로 성조 언어였던 것으로 여겨지며, 현재에도 일부 성조 언어가 있다.
5. 2. 명사 부류
반투어군 언어들의 가장 큰 문법적 특징은 다양한 접사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각 명사는 하나의 명사 부류(유럽어의 성 개념, 한국어와 중국어 등의 분류사와 유사)에 속하며, 부류의 수는 언어마다 다르다. 부류는 명사에 붙은 접두사로 표시되며, 명사의 수식어와 절의 동사에 붙는 일치 표지로도 드러난다. 각 부류의 복수는 별도의 부류로 취급되므로, 복수형은 부류 접사를 바꿔서 표시한다.[49]다음은 반투어군에서 나타나는 명사 부류의 목록이다.[50][43]
단수 부류 | 복수 부류 | 전형적인 의미 | ||
---|---|---|---|---|
번호 | 접두사 | 번호 | 접두사 | |
1 | *mʊ- | 2 | *ba- | 인간, 생물 |
3 | *mu- | 4 | *mi- | 식물, 무생물 |
5 | *dɪ- | 6 | *ma- | 다양함; 부류 6은 액체 (질량 명사) |
7 | *ki- | 8 | *bɪ- | 다양함, 축소형, 방식/방법/언어 |
9 | *n- | 10 | *n- | 동물, 무생물 |
11 | *du- | colspan="2" | | 추상 명사 | |
12 | *ka- | 13 | *tu- | 축소형 |
14 | *bu- | colspan="2" rowspan="6" | | 추상 명사 | |
15 | *ku- | 부정사 | ||
16 | *pa- | 장소 (근접, 정확) | ||
17 | *ku- | 장소 (원거리, 대략) | ||
18 | *mu- | 장소 (내부) | ||
19 | *pɪ- | 축소형 |
5. 3. 통사론
반투어군의 언어들은 명사가 분류에 따라 여러 개의 접사를 가지는 교착어적 특징을 보인다. 각 명사는 유럽 언어의 문법적 성과 유사하게 번호가 매겨진 분류에 속하며, 이 분류는 명사의 접두사로 표시된다. 또한, 명사와 관련된 동사 및 수식어에도 일치하는 접두사가 붙는다. 복수는 접두사의 변화를 통해 나타낸다.[19][14]동사는 여러 개의 접두사를 가질 수 있지만, 서부 언어에서는 종종 독립적인 단어로 취급된다.[37] 예를 들어 스와힐리어로 ''Kitoto kidogo kimekisoma''( 쇼나어로는 ''Kamwana kadoko karikuverenga'')는 '작은 아이가 그것[책]을 읽었다'를 의미한다. 여기서 'kitoto'(아이)는 형용사 접두사 ''ki-''(축소형)와 동사 주어 접두사 ''a-''를 지배한다. 뒤이어 완료 시제 ''-me-''와 'kitabu'(책, 아랍어 'kitab'에서 유래)에 일치하는 목적어 마커 ''-ki-''가 온다. '어린이'를 복수화하면 ''Vitoto vidogo vimekisoma'' (쇼나어로는 ''Vana vadoko varikuverenga'')가 되고, '책'('vitabu')을 복수화하면 ''vitoto vidogo vimevisoma''가 된다.[23]
반투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CV(자음-모음) 유형의 열린 음절로 구성되며, 대부분 이 유형의 음절만 사용한다. 반시나가 기록한 부숑어에는 최종 자음이 있고,[38] 말라위의 통가어에서는 마지막 음절의 흐릿함(쓰여졌지만)이 흔한 것으로 보고된다.[39] 반투어 단어의 형태는 CV, VCV, CVCV, VCVCV 등으로, (시작 부분에 V-음절이 있을 수 있는) CV의 조합이다. 즉, 대부분의 기록된 언어에서 닫힌 음절(CVC)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거의 모든 단어가 모음으로 끝난다.[42][26]
영어 등 비반투어에서 단어를 차용할 때, 자음군을 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체와어에서 영어 "school"은 ''sukulu''로 변형되는데, ''sk-''는 삽입 ''-u-''로 분리되고 단어 끝에도 ''-u''가 추가된다. "bread"는 ''buledi''가 된다. 일본어 등 다른 비아프리카 CV 언어의 차용어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쇼나어[40]와 마쿠아어[41]에서는 음절 시작 부분의 음소 클러스터링이 관찰된다.
스와힐리어와 루토로어 등을 제외하면 반투어는 성조어이며 2~4개의 음역조를 가진다. 거의 모든 반투어군은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가지지만, 카메룬의 넨어처럼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갖는 예외도 있다.[44]
6. 서양 문화에 유입된 반투어
7. 문자 체계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 표기법 외에도, 반투어군 언어에 사용되는 몇 가지 현대적인 고유 문자 체계가 있다.
참조
[1]
LPD
3
[2]
EPD
18
[3]
간행물
"Bantu Languages"
http://www.ethnologu[...]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006
[4]
서적
The Power of Babel
Freeman-Times-Henry Holt, New York
2001
[5]
서적
Kabwa orthography statement
https://www.sil.org/[...]
2024-02-16
[6]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6 Revision – Key Findings and Advance Tables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7-06-26
[7]
웹사이트
Swahili
https://www.ethnolog[...]
[8]
학술지
AmaXhosa
https://gal-dem.com/[...]
2023-07-20
[9]
웹사이트
Ethnologue: Shona
https://www.ethnolog[...]
2017-03-06
[10]
웹사이트
Statistical Summaries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2-06-29
[11]
서적
Archaeology, Language, and the African Past
https://books.google[...]
2006
[12]
학술지
A note on the term 'Bantu' as first used by W. H. I. Bleek
1968-01
[13]
서적
Language in South Africa
https://books.google[...]
2002
[14]
간행물
Studies in African Linguistics
Department of Linguistics and the African Studies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69
[15]
서적
The Ontological and Normative Structure in the Social Reality of a Bantu Society: A Systematic Study of Ganda Ontology and Ethics
1978
[16]
학술지
Addendum
1984-01-01
[17]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Religion
https://books.google[...]
2009
[18]
서적
The Historical Tradition of Busoga, Mukama and Kintu, The Concept of Botho and HIV/AIDS in Botswana
https://books.google[...]
1972
[19]
서적
A Manual of Comparative Kintu Studies
Zulu Language and Literature, University of Natal
1994
[20]
학술지
Pikunda-Munda and Batalimo-Maluba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of the Iron Age Settlement History of the Western and Northern Congo Basin
https://link.springe[...]
2024-03-28
[21]
서적
World Civilizations: To 1700 Volume 1 of World Civilizations
Cengage Learning
2007
[22]
서적
Movements, borders, and identities in Africa
University Rochester Press
2009
[23]
학술지
Genetic and Demographic Implications of the Bantu Expansion: Insights from Human Paternal Lineages
http://mbe.oxfordjou[...]
Oxford Journals
[24]
서적
Linguistics for the use of African history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Bantu pottery vocabulary
2004
[25]
문서
(cf. Piron 1995, Williamson & Blench 2000, Blench 2011)
[26]
학술지
The Prehistorical Implications of Guthrie's Comparative Bantu. Part II: Interpretation of Cultural Vocabulary
1976-01
[27]
웹사이트
Maho 2002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Narrow Bantu
https://glottolog.or[...]
2020-12-02
[29]
서적
The Bantu Languages of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Published for the International African Institute
1959
[30]
학위논문
Nouvelles approches en classification : Application aux langues bantu du Nord-Ouest
http://www.evolution[...]
Université Lumière Lyon 2, Lyon
2012
[31]
학술지
Cultural phylogeography of the Bantu Languages of sub-Saharan Africa
http://rspb.royalsoc[...]
2013
[32]
학술지
Bantu expansion shows that habitat alters the route and pace of human dispersals
http://www.pnas.org/[...]
2015
[33]
학술지
Cladistic analysis of Bantu languages: a new tree based on combined lexical and grammatical data
2006
[34]
서적
Comparison of MP and Bayesian Bantu Trees
2016
[35]
학술지
Revising the Bantu tree
amnh.org
2018
[36]
웹사이트
Glottolog 4.5 – Narrow Bantu
https://glottolog.or[...]
2020-12-02
[37]
서적
Tense and aspect in Bantu
2008
[38]
간행물
Esquisse de Grammaire Bushong
Commission de Linguistique Africaine, Tervuren, Belgique
1959
[39]
서적
Tumbuka–Tonga$1–$2 $3ictionEnglish Dictionary
Hetherwick Press, Blantyre, Malawi
1952
[40]
서적
A Comparative Study in Shona Phonetics
University of Witwatersrand, Johannesburg
1931
[41]
간행물
Relatório do I Seminário sobre a Padronização da Ortografia de Línguas Moçambicanas
NELIMO, Universidade Eduardo Mondlane
1989
[42]
논문
Verbal extensions in Bantu (the case of Swahili and Nyamwezi)
https://web.archive.[...]
Göteborg University
2002
[43]
웹사이트
Les classes nominales en bantu
http://www.bantu-lan[...]
2005-04-26
[44]
서적
Tense and Aspect in Bantu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08-07-03
[45]
웹사이트
According to Ethnologue
Ethnologue.org
2012-06-29
[46]
웹사이트
Article 7. National, Official and Other Languages
https://blog.afro.co[...]
2024-11-03
[47]
문서
South African National Census of 2011
[48]
서적
The Bantu Speaking Heritage of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Center for Afro-Americ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2014-09-07
[49]
서적
Tense and aspect in Bantu
2008
[50]
웹인용
Les classes nominales en bantu
http://www.bantu-l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