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라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자라트어는 산스크리트어에서 파생된 현대 인도아리아어이며, 6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인도아리아어의 역사적 단계를 따르거나 계통수 분기설에 따라 분류되며, 고어, 중세어, 현대어로 구분된다. 구자라트어는 아파브람샤에서 시작되어 헤마찬드라에 의해 문법이 정리되었으며, 나라신하 메헤타 등의 문학 작품을 통해 발전했다. 19세기에 알렉산더 포브스에 의해 근대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고, 표준 구자라트어를 포함한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구자라트어는 8개의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가지며, 구자라트 문자를 사용한다. 어휘는 산스크리트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영어 등에서 차용되었으며, 문법적으로는 SOV 어순과 3개의 성, 2개의 수를 가진다.
구자라트어(Gujarati, 때로는 ''Gujerati'', ''Gujarathi'', ''Guzratee'', ''Guujaratee'', ''Gujrathi'', ''Gujerathi''로도 표기)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발전한 현대 인도아리아어이다. 구자라트어의 발달 과정은 일반적으로 고대, 중세, 신 인도아리아어의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거나, 다른 인도아리아어로부터 점진적으로 분화된 계통으로 설명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4,600만 명이 사용하는 ગુજરાતી|구자라티guj는 세계에서 23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이 사용자 중 약 4,550만 명은 인도에 거주하며, 약 15만 명은 우간다, 약 5만 명은 케냐, 약 10만 명은 파키스탄에 거주하며 구자라트어를 사용한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방언'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2. 역사
2. 1. 기원 및 발전
구자라트어(Gujarati, 때로는 ''Gujerati'', ''Gujarathi'', ''Guzratee'', ''Guujaratee'', ''Gujrathi'', ''Gujerathi''로도 표기)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발전한 현대 인도아리아어이다. 전통적으로 인도아리아어는 다음 세 가지 역사적 단계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 고대 인도아리아어 (베다 및 고전 산스크리트어)
# 중세 인도아리아어 (다양한 프라크리트 및 아파브람샤)
# 신 인도아리아어 (힌디어, 펀자브어, 벵골어 등의 현대어)
다른 견해는 연속적인 계통수 분기설을 제시하는데, 이는 구자라트어가 다른 인도아리아어에서 네 단계로 분리되었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 인도아리아어는 북부, 동부, 서부로 나뉜다. 이는 파열음이 북부에서 유성음이 되는 것(산스크리트어 ''danta'' "이" > 펀자브어 ''dānd'')과 동부에서 치경음과 후치경음의 유음이 구개음과 합쳐지는 것(산스크리트어 ''sandhya'' "저녁" > 벵골어 ''śājh'')과 같은 혁신적인 특징에 근거한다.
# 서부는 중부와 남부로 나뉜다.
# 중부는 구자라트어/라자스탄어, 서부 힌디어, 펀자브어/라한다/신드어로 나뉘는데, 이는 구자라트어/라자스탄어의 조동사와 후치사의 혁신을 기반으로 한다.
# 구자라트어/라자스탄어는 15세기 동안 보조동사 ''ch''-와 소유격 표지 -''n''-과 같은 특징의 발전을 통해 구자라트어와 라자스탄어로 나뉜다.
중세 인도아리아어 단계에서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그 후 구자라트어는 관습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역사적 단계로 나뉜다.
'''구자라트어 고어''' (જૂની ગુજરાતી|주니 구자라티guj),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프라크리트에서 유래하여 현대 구자라트어와 라자스탄어의 조상이 되었다.[28] 이 언어는 구자라트, 펀자브, 라자스탄, 그리고 인도 중부에 거주하고 통치했던 구르자르족이 사용했다.[29][30] 12세기 초부터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이 시대의 텍스트는 직접/간접 명사 형태, 후치사, 조동사와 같은 구자라트어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보여준다.[31] 현대 구자라트어처럼 세 가지 성을 가지고 있었고, 1300년경에는 상당히 표준화된 형태가 등장했다. 일반적으로 구자라트어 고어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학자들은 구자라트어와 라자스탄어가 아직 구분되지 않았다는 주장에 기초하여 '''구자라트어 서부 고어'''라는 이름을 선호한다. 이러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친 것은 현대 라자스탄어가 중성을 산발적으로 표현한다는 믿음이었는데, 이는 비음 뒤의 남성 [o]에 대해 일부 지역에서 발음되는 [ũ]가 구자라트어의 중성 [ũ]와 유사하다는 잘못된 결론에 근거한 것이다.[32] 이 언어의 전신인 구르자르 아파브란샤의 문법은 자이나교 승려이자 저명한 학자인 헤마찬드라가 차우룩야 왕조 왕 자야심하 시다라자의 통치 기간 동안 아닐와라(파탄)에서 저술한 '''프라크리타 비아카라나'''에 기술되어 있다.[33]
'''중세 구자라트어''' (서기 1500년–1800년)는 라자스탄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ɛ과 ɔ 음소, 보조 어간 '-ch-', 소유격 접미사 '-n-'을 발달시켰다.[34] 고대 구자라트어에서 중세 구자라트어로의 전환을 특징짓는 주요 음운 변화는 다음과 같다.[35]
이러한 발달은 문법적 결과를 가져왔다. 예를 들어, -i로 끝나는 고대 구자라트어의 조작-처소격 단수는 동일화되어 사라졌는데, 이는 -ə로 끝나는 고대 구자라트어의 주격/목적격 단수와 같아졌다.[35]
가장 오래된 문학 작품은 구전으로 전해지는 것으로, 17세기의 크리슈나 신앙자이자 평등주의자인 나라신하 메헤타(Narasinh Mehta)에게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나라신하 메헤타 자신의 이야기는 프레마난다(Premananda)의 긴 이야기로 편집되었으며, 프레마난다는 "마하 카비"(위대한 시인)로 현대 언어사 연구자들에게 인정받고 있다. 그는 아마도 17세기 말에 살았을 것이다. 그 외에도 많은 시인들이 박티 운동이라고 불리는 힌두교 신앙 활동 속에서 활약했다. 프레마난다는 "비야키얀-카르"라고 불리는 음유시인으로, 주제를 자세하게 여러 행의 노래에 담아 이야기했다. 이러한 이야기 전달 방식은 인도의 오래된 베다 전통과 맥을 같이 한다.
구자라트 지역과 언어에 대한 근대적인 연구는 영국 행정관 알렉산더 포브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19세기에 그는 이 지역의 지난 천 년 역사를 조사하고 많은 필사본을 정리했다. 구자라트어를 다루는 학술 단체로, 그의 이름을 딴 파르바스 구자라티 사바(Farbas Gujarati Sabha)는 뭄바이에 본부를 두고 있다.
2. 2. 구자라트어 고어 (12~15세기)
구자라트어의 기원은 아파브란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아파브란샤는 프라크리트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문학 언어였으며, 후기에는 구자라트어의 초기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게 되었다.
자이나교 승려이자 저명한 학자인 헤마찬드라는 안힐와라(파탄)의 솔랑키 왕조 시대 왕 자야심하 시다라자 통치 기간 동안 아파브란샤의 문법을 기술하였다.
2. 3. 중세 구자라트어 (1500~1800년)
중세 구자라트어 시기(1500~1800년)는 문학적으로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이 시기 가장 오래된 문학 작품 중 일부는 구전으로 전해 내려왔으며, 그 기원은 17세기에 활동한 것으로 여겨지는 나라신하 메헤타(Narasinh Mehta)에게서 찾을 수 있다. 그는 크리슈나 신앙인이자 뛰어난 평등주의자로 평가받으며, 이러한 그의 사상은 훗날 간디의 사상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라신하 메헤타 자신의 이야기는 프레마난다(Premananda)에 의해 긴 이야기 시 형태로 편집되었다. 프레마난다는 17세기 말경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대 언어 역사 연구자들 사이에서 "마하 카비"(위대한 시인)로 인정받는 인물이다. 그는 "비야키얀-카르"라고 불리는 음유시인으로서, 다양한 주제를 상세하게 묘사하는 여러 행의 노래로 이야기를 풀어냈다. 그의 이야기는 매우 유창하여 수백 행에 달하는 긴 노래들도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 아침 예배 때까지 불리기도 했다. 이는 고대 베다 시대부터 이어져 온 인도의 풍부한 구전 전통이 상당히 오랫동안 지속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프레마난다를 포함한 많은 시인들은 당시 힌두교 내에서 일어난 신앙 부흥 운동인 박티 운동의 흐름 속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다.
2. 4. 현대 구자라트어 (1800년~현재)
구자라트 지역과 언어에 대한 근대적인 연구는 영국 행정관 알렉산더 포브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19세기에 그는 이 지역의 지난 천 년 역사를 조사하고 많은 필사본을 정리했다. 구자라트어를 다루는 학술 단체로, 그의 이름을 딴 파르바스 구자라티 사바(Farbas Gujarati Sabha)는 뭄바이에 본부를 두고 있다.
3. 분포 및 현황
구자라트어는 인도 구자라트주의 공용어이며, 인도 헌법 제8부속서에 명시된 22개의 지정 언어 중 하나로서 연방 차원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또한, 구자라트주와 인접한 연방 직할지인 다만과 디우દમણ અને દીવ|다만 아네 디브guj와 다드라와 나가르 하벨리દાદરા અને નગર હવેલી|다드라 아네 나가르 하벨리guj에서도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
영국과 북미에도 상당수의 구자라트어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미들랜드의 레스터와 런던 북부의 웸블리가 구자라트어가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역이다. 미국에서는 뉴저지주, 뉴욕주, 캘리포니아주, 텍사스주 등에서 구자라트어 사용 인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구자라트어 사용자가 널리 퍼져 있어, 비거주 인도인(Non Resident Indian: NRI)이라는 공식 용어 대신 비거주 구자라트인(Non Resident Gujarati: NRG)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구자라트어는 '인도의 아버지'로 불리는 마하트마 간디મહાત્મા ગાંધી|마하트마 간디guj와 '파키스탄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무함마드 알리 진나મોહમ્મદ અલી ઝિન્ના|모함마드 알리 진나guj의 모어이기도 하다.
4. 방언
5. 음운
5. 1. 모음
구자라트어는 /ə/, /a/, /i/, /u/, /e/, /ɛ/, /o/, /ɔ/의 8개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모음의 장단은 구분하지 않으며, 역사적으로 i와 ī, u와 ū는 각각 합쳐져 하나의 모음이 되었다.[55]
다음은 구자라트어의 모음 체계이다.
/e/, /o/를 제외한 6개의 모음은 비음화될 수 있다.[56]
구자라트어 모음의 특징 중 하나는 유성 마찰음(속삭임 소리) 모음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역사적으로 자음 /ɦ/ 또는 유성 성문 마찰음과 인접한 모음이 융합되어 만들어졌다. 속삭임 소리는 보통 위첨자 h로 표시하며, 다음과 같은 최소 대립쌍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57]
뜻 | 구자라트어 | 힌디어 |
---|---|---|
밖 | bāʰr | bahār |
열두 | bār | bārah[58] |
무게 | bhār | bhār |
5. 2. 자음
힌디어에는 없는 특징적인 자음으로 측음 /ɭ/이 있다. ḍ, ḍh는 모음 사이에서 힌디어와 유사하게 권설 탄음 계열인 /ɻ/, /ɻʱ/로 발음된다.[59]pʰ는 실제로는 마찰음화되어 /f/로 발음된다. 또한, 모음 사이에서는 다른 무성 유기음도 마찰음화하고, 유성 유기음은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 ʋ는 어두에서 /v/로, 모음 사이에서는 /v/ 또는 /w/로, 그 외에서는 /w/로 나타난다.[60]
colspan=2| | 입술소리 | 치음 / 치경음 | 권설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ɳ | ɲ | ||||
파열음 / 파찰음 | 무성 무기음 | p | t̪ | ʈ | tʃ | k | ||
유성 무기음 | b | d̪ | ɖ | dʒ | ɡ | |||
무성 유기음 | pʰ | tʰ | ʈʰ | tʃʰ | kʰ | |||
유성 유기음 | bʱ | dʱ | ɖʱ | dʒʱ | ɡʱ | |||
마찰음 | s | ʃ | ɦ | |||||
접근음 | ʋ | l | ɭ̆ | j | ||||
탄음 | ɾ |
6. 문자
다른 나가리 문자 계열 문자와 마찬가지로, 구자라트 문자는 아부기다이다. 구자라트어와 쿠치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데바나가리 문자(산스크리트어나 힌디어 표기에 사용)의 변형으로, 가장 큰 차이점은 문자 위의 특징적인 가로획(시로레카)이 없다는 점이다. 그 외 나머지 문자들에서도 약간의 변형이 있다.
7. 어휘
현대 인도아리아어군 단어는 크게 '타드바브(tadbhav)', '탓삼(tatsam)', 그리고 외래어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뉜다.[50]
- તદ્ભવ|타드바브guj(tadbhav): "그것의 성질의"라는 의미이다. 구자라트어는 산스크리트어(고대 인도-아리아어)에서 유래한 현대 인도-아리아어이며, 타드바브는 산스크리트어 기원의 단어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변화를 겪어 현대 인도-아리아어의 특징이 된 단어들을 가리킨다. 여기서 "그것"은 산스크리트어를 의미한다. 이 단어들은 주로 전문 용어가 아닌 일상적인 중요한 단어들로 구어체의 일부이다. 아래는 몇몇 구자라트어 타드바브 단어와 그 고대 인도-아리아어 어원을 보여주는 표이다.
고대 인도-아리아어 | 구자라트어 | ||
---|---|---|---|
나 | ahám | hũ | |
미끄러짐, 낙하 | khasati | khasvũ | 움직이다 |
움직이게 하다 | arpáyati | āpvũ | 주다 |
얻다 | prāpnoti | pāmvũ | |
호랑이 | vyāghrá | vāgh | |
같은, 유사한, 수평한 | samá | samũ | 옳은, 건전한 |
모든 | sárva | sau/sāv |
- તત્સમ|탓삼guj(tatsam): "그것과 같은"이라는 뜻이다. 산스크리트어는 구어로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중간 인도 아리아어군으로 변화했지만, 오랫동안 문학 및 의례어로 유지되었다. 탓삼은 거의 순수한 산스크리트어 형태를 유지한 차용어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구자라트어와 현대 인도 아리아어의 형식적, 기술적, 종교적 어휘를 풍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산스크리트어 어미와 표기를 통해 알아볼 수 있으며, 독립적인 문법 범주로 취급되기도 한다.
탓삼 | 영어 의미 | 구자라트어 타드바브 |
---|---|---|
lekhak | 작가 | lakhnār |
vijetā | 승자 | jītnār |
vikǎsit | 개발된 | vikǎselũ |
jāgǎraṇ | 각성 | jāgvānũ |
많은 오래된 탓삼 단어들은 의미가 변하거나 현대적인 의미로 채택되었다. 예를 들어, પ્રસારણ|프라사란guj(prasāraṇ)은 원래 "확산"을 의미했지만, 현재는 "방송"으로 사용된다. 또한 신조어도 있는데, 종종 역어 형태를 띤다. 예를 들어, 영어 'telephone'은 그리스어로 "먼 곳의 대화"를 의미하는데, 이를 દુરભાષ|두르바쉬guj(durbhāṣ)로 번역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ફોન|폰guj(phon)을 사용하므로, 신산스크리트어 어휘의 수용 정도는 다양하다.
따라서 구자라트어는 고유한 타드바브 단어 집합을 가지면서도, 다른 현대 인도 아리아어와 공통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탓삼 어휘를 공유한다. 또한 탓삼 단어와 그로부터 파생된 타드바브 단어가 한 언어에 공존할 수도 있는데, 때로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거나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탓삼 | 타드바브 | ||
---|---|---|---|
카르마 | 일 – 다르마적 종교 개념으로서, 신성한 결과가 이생이나 내생에서 경험되는 행위나 업. | kām | 일 [종교적 함축 없음]. |
kṣetra | 밭 – 지식이나 활동의 영역과 같은 추상적인 의미; khāngī kṣetra → 민간 부문. 물리적인 의미이지만, 더 중요하거나 특별한 의미; raṇǎkṣetra → 전장. | khetar | 밭 [농업적 의미]. |
- 외래어 (વિદેશી|비데쉬guj, videśī) 및 지역어 (દેશજ|데샤즈guj, deśaj): 외래어는 주로 페르시아어, 아랍어, 영어로 구성되며, 포르투갈어와 튀르크어의 흔적도 있다. 지역어는 위의 세 범주에 속하지 않는 토착 단어를 의미한다. 영어 차용은 비교적 최근 현상이지만, 페르시아-아랍어 차용은 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영어와 페르시아-아랍어의 영향은 탓삼처럼 전국적인 현상이며 공통 어휘 저장소 역할을 한다. 특히 페르시아-아랍어 어휘는 구자라트어의 특징적인 방식으로 동화되어 타드바브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페르시아-아랍어 차용어인도는 수세기 동안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통치자들, 특히 델리 술탄국과 무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로 인해 페르시아어와 많은 아랍어 단어가 구자라트어 어휘에 대규모로 유입되었다. 가장 기본적인 예로 페르시아어 접속사 'ke'(영어의 'that'에 해당)가 있다. 페르시아-아랍어는 어원적으로는 외래어이지만, 여러 경우 구자라트어 문법에 맞게 토착화되었다. 수세기 동안의 사용과 페르시아어 교육 및 공식 지위 상실로 인해, 이 차용어들은 외래어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구자라트어화되었다. 예를 들어, ''dāvo''(주장), ''fāydo''(이익), ''natījo''(결과), ''hamlo''(공격)는 모두 구자라트어 남성형 접미사 '-o'를 가지며, ''khānũ''(칸막이)는 중성 접미사 '-ũ'를 가진다. 일부 단어는 보조 동사 ''karvũ''와 결합하거나 완전히 동사화되기도 했다: ''kabūlvũ''(인정하다), ''kharīdvũ''(사다), ''kharǎcvũ''(쓰다), ''gujarvũ''(지나가다).
아래 표는 페르시아-아랍어 차용어의 예시이다. 구자라트어의 발음은 약 500년 전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에서 사용되던 페르시아어 발음과 유사할 수 있다.
명사 (남성) | 명사 (중성) | 명사 (여성) | 형용사 | ||||||||
---|---|---|---|---|---|---|---|---|---|---|---|
구자라트어 | 의미 | 어원 | 구자라트어 | 의미 | 어원 | 구자라트어 | 의미 | 어원 | 구자라트어 | 의미 | 어원 |
fāydo | 이득, 이점, 혜택 | 아랍어 | khānũ | 칸막이 | 페르시아어 | kharīdī | 구매(들), 쇼핑 | 페르시아어 | tājũ | 신선한 | 페르시아어 |
humlo | 공격 | 아랍어 | makān | 집, 건물 | 아랍어 | śardī | 감기 | 페르시아어 | judũ | 다른, 별개의 | 페르시아어 |
dāvo | 주장 | 아랍어 | nasīb | 운 | 아랍어 | bāju | 쪽 | 페르시아어 | najīk | 가까운 | 페르시아어 |
natījo | 결과 | 아랍어 | śaher | 도시 | 페르시아어 | cījh | 것 | 페르시아어 | kharāb | 나쁜 | 아랍어 |
gusso | 화 | 페르시아어 | medān | 평원 | 페르시아어 | jindgī | 인생 | 페르시아어 | lāl | 빨간 | 페르시아어 |
페르시아어는 산스크리트어 및 구자라트어와 같은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므로, 어떤 경우에는 동족어와 만났다.
페르시아어 | 인도아리아어 | 영어 의미 |
---|---|---|
marăd | martya | 인간, 필멸자 |
stān | sthān | 장소, 땅 |
ī | īya | (형용사 접미사) |
band | bandh | 닫힌, 묶인 |
shamsheri | aarkshak | 경찰 |
조로아스터교 페르시아 난민으로 알려진 파르시인들도 페르시아화된 형태의 구자라트어를 사용한다.
영어 차용어영국과의 관계 이후, 영어는 새로운 어휘의 주요 외국어 출처가 되었다. 영어는 영국 식민 통치를 통해 도입된 새로운 혁신과 개념, 그리고 인도 공화국에서 영어가 계속 지배적인 역할을 하면서 유입된 단어들을 포함하여 인도 언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새로운 개념 외에도, 이미 구자라트어에 상응하는 단어가 있지만 대체되거나 함께 사용되는 영어 단어들도 있다. 이는 현대 인도에서 교육, 지위, 이동성의 언어로서 영어의 지속적인 역할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인도의 구어에는 영어 단어와 표현이 섞여 사용되며, 때로는 문장 전체가 영어로 바뀌기도 한다(힌글리시, 코드 스위칭 참조).
음운적으로 영어의 치경음은 구자라트어에서 치경구개음으로 변환되는 경향이 있다. 영어의 /æ/와 /ɔ/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두 개의 새로운 문자가 구자라트어에 추가되었다. 구자라트어화 수준은 다양하여, 일부 단어는 영어 원어와 매우 유사하게 들리는 반면 다른 단어는 여러 방식으로 변형된다.
영어 차용어는 비교적 새로운 현상이므로, 탓삼 단어가 산스크리트어 문법을 따르는 것처럼 영어 문법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기본적인 변화는 일어나는데, 많은 영어 단어는 영어의 복수형 's' 대신 구자라트어의 복수형 접미사 '-o'를 사용한다. 또한, 성이 없는 영어 단어는 구자라트어의 세 가지 성 중 하나를 부여받는데, 이는 종종 단어의 모음 종류나 의미의 성격에 따라 결정된다.
포르투갈어 차용어포르투갈은 인도 전역에 걸쳐 제한적인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구자라트어는 여러 단어를 포르투갈어에서 차용했다. 포르투갈의 영향은 특히 해안 지역 언어에 더 컸으며, 차용어는 포르투갈어 원어에 더 가까운 경향이 있다. 차용된 단어의 발음은 초기 포르투갈어 발음을 반영하는 경우도 있다.
구자라트어 | 원어 | 영어 의미 | 구자라트어 음역 | 원어 표기 | 원어 의미 |
---|---|---|---|---|---|
ચાguj | 중국어 | tea | cā | 茶 | |
ટુવાલguj | 영어 | towel | tuvāl | ||
મિસ્ત્રીguj | 포르투갈어 | carpenter | mistrī | mestre | master |
સાબુguj | 포르투갈어 | soap | sābu | sabão | |
અનાનસguj | 포르투갈어 | pineapple | anānas | ananás | |
પાદરીguj | 포르투갈어 | Catholic priest | pādrī | padre | father |
오늘날 사용되는 구자라트어는 다른 인도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5세기에 걸친 이슬람교도 술탄(Sultan)의 통치로 인해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하고 있으며, 이는 주로 세속적이거나 비종교적인 분야에서 나타난다.
8. 문법
구자라트어는 종결어미가 문장 끝에 오는, 즉 좌방향 분기(left-branching) 언어이다. 형용사는 명사 앞에 오고, 목적어는 동사 앞에 온다. 또한 조사가 사용된다. 구자라트어의 어순은 SOV이며, 세 가지 성과 두 가지 수가 있다.[54] 정관사나 부정관사는 없다. 동사는 어근에 접미사를 붙여 상(aspect)과 일치를 표시하는 주형(main form)으로 표현되며, '이다' 동사에서 유래한 조동사가 앞에 붙어 시제와 법을 나타내고 일치를 보여줄 수도 있다. 사역(최대 두 번 중첩 가능)과 수동태는 형태론적 기반을 갖는다.
참조
[1]
웹사이트
Scheduled Languages in descending order of speaker's strength – 2011
http://www.censusind[...]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2]
서적
A simplified grammar of the Gujarati language
https://archive.org/[...]
1892
[3]
서적
A simplified grammar of the Gujarati language
https://archive.org/[...]
1892
[4]
서적
Linguistic Survey of India, Vol IX: Indo-Aryan Family, Central Group, Part II: Specimens of the Rājasthānī and Gujarātī
Superintendent Government Printing
[5]
문서
Kacchi
[6]
서적
A simplified grammar of the Gujarati language
https://archive.org/[...]
1892
[7]
서적
Linguistic Survey of India, Vol IX: Indo-Aryan Family, Central Group, Part II: Specimens of the Rājasthānī and Gujarātī
Superintendent Government Printing
[8]
문서
Kacchi
[9]
문서
Die Klassifikation der indogermanischen Sprachen
http://homepages.fh-[...]
2006
[10]
웹사이트
51st Report of the Commissioner for Linguistic Minorities in India
https://web.archive.[...]
Ministry of Minority Affairs
2015-07-15
[1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 Chapter 1: Founding Provisions
http://www.gov.za/do[...]
2014-12-06
[12]
웹사이트
Language, England and Wales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https://www.ons.gov.[...]
2024-02-14
[13]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14]
웹사이트
Scheduled Languages in descending order of speaker's strength – 2011
http://www.censusind[...]
Registrar General and Census Commissioner of India
[15]
웹사이트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http://www.ne.se/spr[...]
[16]
웹사이트
What census data reveals about use of Indian languages
https://www.deccanhe[...]
2023-11-16
[17]
웹사이트
Hindi Added 100Mn Speakers In A Decade; Kashmiri 2nd Fast Growing Language
https://www.indiaspe[...]
2018-06-28
[18]
웹사이트
Hindi fastest growing language in India, finds 100 million new speakers
https://www.business[...]
[19]
웹사이트
Hindi grew rapidly in non-Hindi states even without official mandate
https://www.indiatod[...]
2023-11-16
[20]
뉴스
Situationer: The future of Gujarati language in Pakistan
https://www.dawn.com[...]
Dawn
2017-01-20
[21]
뉴스
Hindi and Gujarati fastest growing Indian languages in the US
https://www.american[...]
The American Bazaar
2013-08-14
[22]
뉴스
Punjabi among top three immigrant languages in Canada
https://www.hindusta[...]
2017-08-03
[23]
웹사이트
Gujarati today
http://www.bbc.co.uk[...]
BBC
[24]
서적
Uganda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25]
웹사이트
Indian South Africans
http://www.sahistory[...]
South African History Online
[26]
웹사이트
Gujarati Community in Hong Kong organizes grand reception in the honour of Gujarat CM
http://gujaratindia.[...]
Gujarat Government
[27]
뉴스
Indians make up over 1 per cent of Australia's population
http://indianexpress[...]
2014-06-27
[28]
서적
[29]
서적
Revealing India's past: recent trends in art and archaeology
Aryan Books International
[30]
서적
Medieval Indian literature: an anthology, Volume 3
https://books.google[...]
Sahitya Akademi
[31]
서적
[32]
서적
Facts about the world's languages: An encyclopedia of the world's major languages, past and present
New England Publishing Associates
[33]
서적
Translating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08
[34]
서적
[35]
서적
[36]
논문
Towards Hind Svaraj: An Interpretation of the Rise of Prose in 19th-century Gujarati Literature
[37]
저널
Gandhi and the Standardisation of Gujarati
https://www.jstor.or[...]
2009-01-01
[38]
서적
Encyclopedia of Post-Colonial Literatures in Englis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11-30
[39]
웹사이트
Muhammad Ali Jinnah (1876–1948)
http://www.storyofpa[...]
2007-05-12
[40]
뉴스
With a handful of subbers, two newspapers barely keeping Gujarati alive in Karachi
https://www.thenews.[...]
2017-01-14
[41]
뉴스
Jinnah didn't know Urdu, was fluent in Gujarati
https://timesofindia[...]
2018-02-18
[42]
뉴스
French island La Reunion is home to several Gujaratis
https://timesofindia[...]
2022-02-11
[43]
서적
Language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문서
Linguistic Survey of India
[45]
웹사이트
51st Report of the Commissioner for Linguistic Minorities in India
http://nclm.nic.in/s[...]
Ministry of Minority Affairs
2018-02-15
[46]
서적
A simplified grammar of the Gujarati language
https://archive.org/[...]
[47]
백과사전
Kacchi
[48]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49]
서적
Linguistic Survey of India, Vol IX: Indo-Aryan Family, Central Group, Part II: Specimens of the Rājasthānī and Gujarātī
Superintendent Government Printing
[50]
서적
Teach Yourself Beginner's Hindi Script
Hodder & Stoughton
[51]
웹사이트
Bungalow
http://www.etymonlin[...]
[52]
웹사이트
Coolie
http://www.etymonlin[...]
[53]
웹사이트
Tank
http://www.etymonlin[...]
[54]
웹사이트
Facts about Gujarat
http://www.mapsofind[...]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