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잉글랜드초원뇌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잉글랜드초원뇌조는 큰초원멧닭의 아종으로, 한때 미국 동부 지역에 서식했으나 1932년 멸종되었다. 형태적으로는 대평원의 큰초원멧닭과 유사하나, 약간 더 작고 뚜렷한 줄무늬를 가진다. 뉴잉글랜드초원뇌조는 미국 독립 전쟁 이전 버지니아에서 메인 주까지 분포했으나,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했다. 1908년 보호구역 지정과 사냥 금지에도 불구하고, 화재, 질병, 포식자 등의 요인으로 개체수가 급감하여 결국 멸종되었다. 뉴잉글랜드초원뇌조의 멸종은 작은 개체군이 여러 위협에 취약하며, 서식지 보존뿐 아니라 질병 관리 등 다각적인 보존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생물 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꿩과 - 콩고공작
콩고공작은 콩고민주공화국 고유종 조류이자 국조이며, 공작과 메추라기과의 특징을 지닌 새로, 서식지 감소와 사냥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 꿩과 - 추카
추카는 아시아 원산의 꿩과 새로, 바위 언덕에 서식하며 시끄러운 울음소리를 내고, 이라크와 파키스탄의 국조이자 펀자브 지역 사랑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식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바이지
바이지, 즉 양쯔강돌고래는 인간 활동으로 멸종된 최초의 고래목 동물로 추정되지만, 멸종 선언 이후에도 목격담이 보고되어 IUCN 레드 리스트에서 절멸위급종으로 분류되어 소수 개체의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식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청상아리
청상아리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빠른 속도로 헤엄치는 상어 종으로, 두족류 등을 먹고 사람에게 위험하지만 공격 사례는 드물며, 어업 대상종으로 이용되지만 사육은 매우 어렵다. - 1500년 이후 절멸한 새 - 슈아죌비둘기
슈아죌비둘기는 솔로몬 제도의 초이설 섬에 서식했던 멸종된 비둘기 종으로, 회색빛 깃털과 수컷의 선명한 색깔이 특징이며, 외래종 포식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1500년 이후 절멸한 새 - 도도아과
도도아과는 날지 못하는 거대한 몸집의 도도와 로드리게스도도를 포함하는 비둘기과의 아과로, 인간의 남획으로 멸종되어 생태계 보존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니코바르비둘기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뉴잉글랜드초원뇌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절멸 (GX) |
절멸 시기 | 1932년 |
상태 시스템 | TNC |
상태 참고 | NatureServe |
상태 2 | 절멸 (EX) |
상태 2 시스템 | IUCN3.1 |
상태 2 참고 | BirdLife International |
속 | 소우겐라이초우속 |
종 | 소우겐라이초우 |
아종 | 뉴잉글랜드소우겐라이초우 |
학명 | Tympanuchus cupido cupido |
명명자 | (Linnaeus, 1758) |
영어 이름 | Heath Hen |
2. 분류
애팔레치아 산맥 동쪽의 뉴잉글랜드 지방에 서식했던 초원멧닭의 아종이다. 미국 독립 전쟁 이전에는 버지니아주에서부터 메인주까지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했으며, 당시에는 상당히 흔한 새였다.
미국 독립 전쟁 이전에는 버지니아주에서 메인주까지 널리 서식하며 매우 흔한 새였다. 1620년 플리머스에 도착한 청교도들의 첫 추수감사절 식탁에 오른 새는 야생 칠면조가 아닌 뉴잉글랜드초원멧닭이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정착민들은 이들을 식용으로 과도하게 사냥했고, 1791년 일부 정치인들이 수렵 기간 제한을 시도했으나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과도한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19세기 중반에는 뉴잉글랜드 본토에서 지역 절멸했다.[10]
1870년경 뉴잉글랜드초원뇌조는 마서스 비니어드 섬을 제외한 모든 서식지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섬에 남은 개체수는 19세기 중반 약 200마리에서 1907년에는 50마리(다른 기록에는 77마리)까지 줄어들었다. 이 시기에 이르러서야 사람들은 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했고, 모금 활동 등을 통해 보호 운동이 일어났다.
[1]
웹사이트
Tympanuchus cupido cupido - Heath Hen
https://explorer.nat[...]
2021-02-05
뉴잉글랜드초원뇌조는 일반적으로 큰초원뇌조(*Tympanuchus cupido*)의 아종(*Tympanuchus cupido cupido*)으로 분류된다. mtDNA D-루프 단일 배형 비교를 통해 뉴잉글랜드초원뇌조 표본과 다른 초원뇌조 아종들을 비교한 연구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왔다. 연구된 모든 뉴잉글랜드초원뇌조 표본들은 본토의 큰초원뇌조와는 유전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그룹을 형성했으며, 오히려 위스콘신 지역의 큰초원뇌조와 가장 유사한 유전적 특징을 보였다. 존슨(Johnson)과 던(Dunn)이 수행한 후속 연구 역시 이 결과를 확인했지만, 뉴잉글랜드초원뇌조가 계통학적으로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대해서는 다른 해석을 제시하며, 작은초원뇌조(*Tympanuchus pallidicinctus*)와 더 가까운 관계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러한 유전적 분석 결과 해석에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작은초원뇌조는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유전적으로 작은초원뇌조만큼 뚜렷한 뉴잉글랜드초원뇌조 역시 별도의 종으로 분류될 자격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5] 하지만 병목 현상을 겪은 작은 개체군에서는 mtDNA 단일 배형이 실제 분류학적 지위보다 더 큰 유전적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존슨과 던의 연구에 사용된 뉴잉글랜드초원뇌조 표본들은 모두 마서스 비니어드 섬에서 유래했는데, 이 섬은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본토와의 유전자 교환이 제한적이었고, 서식지의 수용력 또한 수천 마리를 넘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뉴잉글랜드초원뇌조에서 관찰된 낮은 유전적 다양성과 뚜렷한 유전적 차이는, 제한된 지역의 작은 개체군에서 얻어진 소수의 표본에 의한 결과일 수 있다.
형태학적으로도 뉴잉글랜드초원뇌조는 본토의 큰초원뇌조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큰초원뇌조와 비교했을 때 몸집이 더 작고, 깃털 색이 더 어두우며, 몸 전체의 줄무늬가 더 뚜렷했다. 이는 큰초원뇌조보다 작고 가벼우며 줄무늬가 덜 뚜렷한 작은초원뇌조와도 대조되는 특징이다. 이러한 뚜렷한 형태적 차이는 뉴잉글랜드초원뇌조가 독립적인 분류군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뉴잉글랜드초원뇌조에 대한 연구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우선, 현재 남아있는 표본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특히 본토에서 채집된 표본이나 채집 지역 정보가 불분명한 표본들은 뉴잉글랜드초원뇌조라고 확신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명확하게 뉴잉글랜드초원뇌조의 것으로 확인된 알은 단 7개만이 공공 컬렉션에 보존되어 있는데, 이는 매우 적은 수에 해당한다. 또한, 초원뇌조가 속한 ''Tympanuchus'' 속 자체가 비교적 빠르게 진화하는 경향을 보여, 아종 간 형태적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는 반면 유전적 차이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는 현상도 연구를 복잡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뉴잉글랜드초원뇌조가 멸종한 이후, 본토의 큰초원뇌조를 과거 뉴잉글랜드초원뇌조의 서식지에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이는 뉴잉글랜드초원뇌조가 과거 서식했던 동부 해안의 더 습하고 대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 숲 가장자리 환경에 특수하게 적응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단순히 유전적으로 가까운 아종을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성공적인 복원이 어려울 수 있으며, 오히려 현존하는 다른 초원뇌조 아종의 보존 노력에 필요한 자원을 분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뉴잉글랜드초원뇌조의 정확한 분류학적 위치와 생태적 특징을 밝히기 위해서는 남아있는 본토 표본에 대한 분자적, 형태적 분석을 포함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3. 형태
대평원의 다른 큰 초원뇌조 아종과 매우 유사하지만, 약간 더 작았다. 새의 길이는 약 43cm이고 무게는 약 0.9kg였다. 알렉산더 윌슨이 약 1.36kg의 표본을 주장했지만, 이 수치는 이후 조류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지 않았다.
몇 가지 주요 깃털 특징으로 뉴잉글랜드초원뇌조와 대평원 초원뇌조를 구별할 수 있었다. 뉴잉글랜드초원뇌조는 일반적으로 특히 모이주머니 부위에서 깃털에 강한 붉은빛을 띠었다. 몸에는 갈색의 짙고 옅은 줄무늬가 있었으며, 특히 가슴과 옆구리에는 더 두꺼운 가로 줄무늬가 나타났다. 수컷은 뾰족한 핀나(뿔)와 회갈색 꼬리, 주황색의 볏과 목 양쪽의 주머니를 가지고 있었다.
4. 분포 및 서식지
1620년 플리머스에 도착한 청교도들의 첫 추수감사절에 쓰였던 새는 야생 칠면조가 아니라 뉴잉글랜드초원멧닭이었다. 그러나 유럽에서 온 정착민들은 이들을 식용으로 삼았고, 총기를 이용한 무분별한 사냥이 성행했다. 1791년 일부 정치인들이 수렵 기간을 도입하려 했으나, 당시에는 사람들의 비웃음을 살 정도로 사냥 규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
결국 과도한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뉴잉글랜드초원멧닭은 19세기 중반 뉴잉글랜드 본토에서 멸종했다. 이후 소수의 개체만이 매사추세츠주 코드곶 인근의 작은 섬인 마서스 비니어드(Martha's Vineyard)에 살아남았다. 19세기 중반 섬에는 약 200마리 정도만 살아남았으나, 1907년에는 겨우 50마리만 남을 정도로 개체 수가 급감했다. 결국 뉴잉글랜드초원멧닭은 멸종되었다.
5. 멸종
이후 뉴잉글랜드초원멧닭은 매사추세츠주 앞바다의 작은 섬인 마서스 비니어드에만 약 300마리가 살아남았다. 그러나 이마저도 들고양이의 습격과 밀렵 등으로 인해 1890년에는 120~200마리, 19세기 말에는 약 70마리, 1907년에는 50마리까지 급감했다.
뒤늦게 보호 여론이 형성되어 1908년, 섬의 일부(약 6.48km2)가 "헤스 헨 보호구역"(현재 마누엘 F. 코렐루스 주립 산림)으로 지정되고 사냥이 금지되었다. 보호 노력 덕분에 개체수는 빠르게 회복되어 1916년에는 2,000마리까지 늘어났고, 이들의 과시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 관광 명소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모든 개체가 단 하나의 작은 섬에만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재난에 매우 취약한 상태였다. 안타깝게도 개체수가 최고조에 달했던 1916년 번식기에 섬의 약 3분의 1을 태우는 대규모 화재가 발생했다. 이 화재로 둥지를 지키던 암컷들을 포함하여 개체수의 약 80%가 소실되었고, 약 100마리 정도만 살아남았다.[7][8] 살아남은 개체들도 대부분 수컷이어서 성비 불균형이 심각해졌다. 설상가상으로 그해 겨울은 유난히 혹독했고, 천적인 참매가 섬으로 유입되면서 개체수는 더욱 줄어들었다.[8] 또한, 가축 칠면조를 통해 흑두병이라는 가금류 질병이 섬에 퍼지면서 많은 수가 폐사했다.[16] 인공 번식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8]
결국 1927년에는 수컷 11마리와 암컷 2마리, 총 13마리만이 남았고, 그해 말에는 암컷이 모두 사라지고 수컷 몇 마리만 남게 되었다. 1928년 12월 8일 이후로는 단 한 마리의 수컷만이 생존했다. 이 마지막 개체는 "부밍 벤(Booming Ben)"이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조류학자 알프레드 오토 그로스(Alfred Otto Gross)는 마지막 남은 이 새를 연구하며 1931년 4월에는 띠를 부착하기도 했다. 부밍 벤은 1932년 3월 11일, 마서스 비니어드의 전통적인 과시 장소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후 8살 정도의 나이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써 뉴잉글랜드초원멧닭은 공식적으로 멸종했다.[9] 당시 지방 신문은 "생존자는 없다. 미래도 없다. 이런 종류로 재창조되는 생명은 더 이상 없을 것이다."라고 보도하며 멸종을 알렸다.
뉴잉글랜드초원멧닭은 미국에서 멸종 위기로부터 구하려 했던 최초의 조류 종 중 하나였지만, 그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 멸종 사례는 단일 개체군을 보호할 때 개체수뿐만 아니라 서식지 분산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교훈을 남겼다.[17] 또한, 보호구역 설정 당시 화재 생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오히려 화재 진압 노력이 1916년의 대형 화재를 초래했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4] 현재는 보존된 세포의 DNA를 이용하여 뉴잉글랜드초원멧닭을 복원하려는 연구가 미국의 비영리 단체 리바이브 & 리스토어 등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11][12][13][14][15]
6. 보존 노력과 교훈
다행히 보호 노력은 효과를 보여, 섬의 일부(648ha)가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후 뉴잉글랜드초원뇌조의 개체수는 1915년 800마리, 1916년에는 2,000마리까지 회복되었다. 그러나 문제는 이 아종의 전체 개체군이 이 작은 섬 하나에만 고립되어 서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개체군 일부를 다른 섬이나 본토로 옮기려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는 뉴잉글랜드초원뇌조 전체가 재난에 매우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실제로 개체수가 최고조에 달했던 1916년, 섬 전역에서 발생한 큰 화재로 번식지가 파괴되었다. 공교롭게도 화재 발생 시기는 번식기와 겹쳤고, 둥지를 지키려던 암컷 대부분과 알들이 불에 타면서 겨우 105마리만 살아남았다. 생존 개체는 대부분 수컷이었다. 설상가상으로 다음 해 겨울은 유난히 추웠고, 천적인 참매까지 섬에 들어와 개체수는 더욱 줄어들었다. 이후 간신히 600마리까지 회복하기도 했지만, 섬에 도입된 가축 칠면조로부터 흑두병(검은머리병)이라는 가금류 질병이 퍼지면서 다시 큰 타격을 입었다[16] .
결국 1932년 3월 11일, '부밍 벤'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마지막 수컷 한 마리가 죽음을 맞이하면서 뉴잉글랜드초원뇌조는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이 사건은 특정 개체군을 보호할 때 단순히 개체 수를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서식지가 좁은 범위에 한정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17] .
7. 갤러리
참조
[2]
간행물
Tympanuchus cupido
https://www.iucnredl[...]
2020-12-10
[3]
웹사이트
The Original "Thanksgiving Turkey" is Now Extinct
https://www.idausa.o[...]
2023-08-10
[4]
학술지
The Forest Primeval in the Northeast – A Great Myth?
[5]
문서
In this case, the correct nomenclature for the greater prairie chicken would be Tympanuchus pinnatus pinnatus, Tympanuchus pinnatus attwateri for [[Attwater's prairie chicken]], and the heath hen would be a [[monotypic]] species Tympanuchus cupido.
[6]
웹사이트
A Memorial Sculpture to the Last Heath Hen Ever Seen
https://www.atlasobs[...]
[7]
서적
Golden Wings & Hairy Toes
http://dx.doi.org/10[...]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2016-02-01
[8]
학술지
The Life and Death of the Heath Hen
https://digitalcommo[...]
2023-12-14
[9]
웹사이트
The Heath Hen and Other Early Ornithological Films of Alfred Otto Gross
https://www.bowdoin.[...]
2023-06-07
[10]
문서
"The bill was entitled, 'An Act for the preservation of Heath-Hen, and other game.' The honest Chairman of the Assembly — no sportsman, I suppose — read the title, 'An Act for the preservation of Heathen, and other game' !" ([Alexander Wilson], Thomas Mayo Brewer, ed. ''Wilson's American Ornithology: with notes by Jardine...'', 1840: 257).
[11]
웹사이트
2020 ANNUAL REPORT - Revive & Restore
https://reviverestor[...]
2021-10-24
[12]
뉴스
De-Extinction and the Looming Resurrection of the Heath Hen
https://undark.org/2[...]
2016-10-17
[13]
뉴스
Heath Hen Tops De-Extinction List
https://vineyardgaze[...]
2016-07-28
[14]
뉴스
Bringing Back The Heath Hen
https://www.texassta[...]
2015-10-29
[15]
웹사이트
The Booming Call of De-extinction
https://www.the-scie[...]
2022-03-22
[16]
서적
プロジェクトチーム編、[[世界自然保護基金|WWF Japan]]監修 『失われた動物たち 20世紀絶滅動物の記録』P80、広葉書林、1996年。ISBN 4-906646-00-X
[17]
서적
今泉忠明 『絶滅野生動物の事典 5版』 [[東京堂出版]]、2006年、189-190頁。
[18]
웹인용
Tympanuchus cupido cupido - Heath Hen
https://explorer.nat[...]
2021-02-05
[19]
간행물
Tympanuchus cupido
https://www.iucnredl[...]
2020-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