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뉴질랜드-페루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질랜드-페루 관계는 1972년 외교 관계 수립 이후 양국 수도에 상주 대사관을 개설하며 시작되었다. 이후, 대사관 폐쇄와 재개설을 반복했으며, 고위급 방문을 통해 관계를 발전시켜왔다. 뉴질랜드는 태평양 동맹의 옵서버로 참여하며 페루와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2016년 양국 간 무역액은 8,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현재 페루는 웰링턴에, 뉴질랜드는 산티아고 주재 대사관에서 페루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루의 양국 관계 - 대한민국-페루 관계
    대한민국과 페루는 1963년 외교 관계 수립 후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해 2011년 자유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2012년 전략적 동맹 관계를 맺었으며, 한류의 영향으로 문화적 교류 또한 활발히 진행 중이다.
  • 뉴질랜드의 양국 관계 - 뉴질랜드-영국 관계
    뉴질랜드-영국 관계는 19세기 초 영국인들의 뉴질랜드 정착을 시작으로 형성되어 경제, 안보, 문화 교류 등 다방면에서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양국 간의 외교, 역사, 문화, 경제 관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뉴질랜드-페루 관계
관계 개요
공식 명칭뉴질랜드-페루 관계
관계 시작1972년
정치
외교 관계1972년에 수립되었다.
뉴질랜드는 칠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와 함께 태평양 동맹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주페루 뉴질랜드 대사마르니 맥브린 (비상주)
주뉴질랜드 페루 대사마리아 엘레나 코르테스 (비상주)
경제
무역 규모 (2018년)1억 9천만 뉴질랜드 달러
주요 수출품 (뉴질랜드 -> 페루)유제품, 기계류, 조제 식품
주요 수입품 (페루 -> 뉴질랜드)과일, 견과류, 광물
문화 교류
협력 분야교육, 문화, 관광
비자뉴질랜드 시민은 페루에 최대 180일까지 비자 없이 체류할 수 있다. 페루 시민은 뉴질랜드에 비자가 필요하다.

2. 역사

1972년 뉴질랜드페루는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1] 각 수도에 상주 대사관을 개설했으나, 이후 양국은 대사관을 일시적으로 폐쇄하기도 했다. 페루알베르토 후지모리 대통령이 1998년 페루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뉴질랜드를 방문했고,[3] 이후 양국 정상 및 고위급 인사들의 교류가 이어졌다. 특히 APEC 정상 회담을 계기로 한 방문이 여러 차례 있었다.[4][5]

페루 외무부 장관 하비에르 곤잘레스-올라체아가 2024년 3월 20일 뉴질랜드 외무부 장관 윈스턴 피터스와 화상 회의를 하고 있다.


2012년부터 뉴질랜드는 페루, 콜롬비아, 칠레, 멕시코가 회원국인 태평양 동맹의 옵서버로 활동하며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2017년 6월 태평양 동맹과의 포괄적 자유 무역 협정(FTA) 협상을 시작했으며, 협상이 타결되면 뉴질랜드는 태평양 동맹의 준회원국이 될 예정이다.[6] 2018년 페루는 웰링턴 주재 대사관을 다시 열었다.[6]

2. 1. 외교 관계 수립 및 초기 교류

1972년 뉴질랜드페루는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1] 곧이어 양국은 각자의 수도인 웰링턴리마에 상주 대사관을 개설했다. 1974년에는 양국 간 기술협력협정이 체결되었다.[16]

그러나 1990년, 뉴질랜드는 리마에 있는 대사관을 폐쇄했다.[2] 이후 1998년 6월, 페루의 대통령 알베르토 후지모리가 페루 국가 원수로는 처음으로 뉴질랜드를 공식 방문했다.[3] 이 방문 기간 동안 양국은 고위급 협의협정과 교도통신협정을 체결했다.[16] 후지모리 대통령은 이듬해인 1999년 9월, 뉴질랜드에서 열린 제11차 APEC 정상 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다시 뉴질랜드를 방문했다.[4]

2. 2. 일시적 관계 단절 및 재개

1990년, 뉴질랜드는 리마에 있는 대사관을 폐쇄했다.[2] 1998년 6월, 페루의 대통령 알베르토 후지모리는 페루 국가 원수로는 처음으로 뉴질랜드를 공식 방문했다.[3] 후지모리 대통령은 이듬해인 1999년 9월, 뉴질랜드에서 열린 제11차 APEC 정상 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다시 뉴질랜드를 찾았다.[4]

2002년에는 뉴질랜드 외무부 장관 필 고프가 페루를 방문했다.[2] 2008년 11월, 뉴질랜드 총리 존 키리마에서 개최된 제20차 APEC 정상 회담 참석차 페루를 방문했다.[5] 2010년, 페루는 웰링턴 주재 대사관을 폐쇄했다.[2]

2016년 11월, 존 키 총리는 리마에서 열린 제28차 APEC 정상 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페루를 재방문했다. 2018년 2월, 페루는 웰링턴에 대사관을 다시 열었다.[6]

3. 고위급 방문

뉴질랜드페루 양국 간에는 정상 및 고위급 인사들의 상호 방문이 이루어져 왔다.

3. 1. 뉴질랜드의 페루 방문

페루 대통령 페드로 파블로 쿠친스키와 뉴질랜드 총리 존 키가 2016년 11월 리마에서 열린 제29차 APEC 정상 회의에 참석한 모습


뉴질랜드의 고위급 인사가 페루를 방문한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외무장관 돈 매키넌 (1998)
  • 외무장관 필 고프 (2002)
  • 총리 존 키 (2008 & 2016)

3. 2. 페루의 뉴질랜드 방문

1998년 6월, 알베르토 후지모리 페루 대통령이 페루 정상으로서는 처음으로 뉴질랜드를 공식 방문했다. 이듬해인 1999년 9월, 후지모리 대통령은 뉴질랜드에서 열린 제11차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다시 뉴질랜드를 찾았다.[14]

4. 양자 간 합의

뉴질랜드와 페루 양국은 다음과 같은 주요 양자 간 협정을 체결했다.[16][17]


  • 기술 협력 협정 (1974년)
  • 고위급 협의 협정 (1998년)
  • 공동 통신 협정 (1998년)
  • 워킹 홀리데이 협정 (2011년)
  • 항공 서비스 협정 (2018년)

5. 경제 관계

뉴질랜드페루는 꾸준한 무역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6년 양국 간 총 교역액은 8300만달러에 달했다.[18][9] 양국의 구체적인 수출입 품목은 하위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5. 1. 주요 수출입 품목

2016년 뉴질랜드페루 간의 교역액은 총 8300만달러에 달했다.[18][9] 양국의 주요 수출입 품목은 다음과 같다.[10][11]

구분주요 품목
뉴질랜드의 대 페루 수출품유제품, 식품 조제품, 기계류, 해산물
페루의 대 뉴질랜드 수출품유지 및 어유 농축물, 커피, 부채 조개, 망고, 브라질 너트, 아스파라거스 통조림, 퀴노아, 성형 목재


5. 2. 태평양 동맹과의 협력

2012년 이후 뉴질랜드페루, 콜롬비아, 칠레, 멕시코를 포함하는 태평양 동맹의 옵서버로 적극 활동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2017년 6월 태평양 동맹과 높은 수준의 포괄적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이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FTA가 발효되면, 뉴질랜드는 태평양 동맹의 준회원국이 될 예정이다.[15]

6. 외교 공관

뉴질랜드는 칠레 산티아고 주재 대사관에서 페루 관련 업무를 겸임하며, 리마에 명예 영사관을 운영하고 있다.[12][19] 페루는 웰링턴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13][19]

참조

[1] 웹사이트 Relaciones Bilaterales Perú - Nueva Zelanda http://www.rree.gob.[...]
[2] 문서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Peru and New Zealand (in Spanish) https://issuu.com/ap[...]
[3] 문서 State Luncheon in Honour of his Excellency Mr. Alberto Fujimori https://www.beehive.[...]
[4] 문서 1999 Leaders' Declaration https://www.apec.org[...]
[5] 문서 2008 APEC Summit https://www.apec.org[...]
[6] 문서 Disponen reabrir embajada del Perú en Nueva Zelanda (in Spanish) https://andina.pe/ag[...]
[7] 문서 Bilateral agreements of Peru: New Zealand (in Spanish) https://www.dipublic[...]
[8] 문서 New Zealand deepens connections with Peru at APEC Leaders’ Week https://www.beehive.[...]
[9] 문서 ¿Cuáles son las relaciones y oportunidades comerciales entre Perú y Nueva Zelanda? (in Spanish) http://mundonegocio.[...]
[10] 문서 CPTPP and Peru https://www.mfat.gov[...]
[11] 문서 ¿Qué exporta el Perú a Nueva Zelanda, nuestro rival rumbo al Mundial? (in Spanish) https://elcomercio.p[...]
[12] 문서 Embassy of New Zealand in Santiago, Chile https://www.mfat.gov[...]
[13] 문서 Embassy of Peru in Wellington https://www.mfat.gov[...]
[14] 문서 1999 Leaders' Declaration https://www.apec.org[...]
[15] 문서 Disponen reabrir embajada del Perú en Nueva Zelanda (in Spanish) https://andina.pe/ag[...]
[16] 문서 Bilateral agreements of Peru: New Zealand (in Spanish) https://www.dipublic[...]
[17] 문서 New Zealand deepens connections with Peru at APEC Leaders’ Week https://www.beehive.[...]
[18] 문서 ¿Qué exporta el Perú a Nueva Zelanda, nuestro rival rumbo al Mundial? (in Spanish) https://elcomercio.p[...]
[19] 웹인용 Embassy of Peru in Wellington https://www.mfat.gov[...] 2021-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