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클리어 피직스 (학술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uclear Physics는 1956년에 창간된 학술지이다. 1967년에 Nuclear Physics A와 Nuclear Physics B로 분리되었으며, 1987년에는 Nuclear Physics B: Proceedings Supplements가 창간되었다. Nuclear Physics A는 핵물리학, 하드론 물리학 등을, Nuclear Physics B는 입자물리학, 고에너지 물리학 등을 다룬다. Nuclear Physics B: Proceedings Supplements는 학술 논문 프로시딩스를 출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 창간 - 크리스처니티 투데이
빌리 그레이엄 목사가 1956년 창간한 미국의 복음주의 기독교 잡지 크리스채너티 투데이는 극단적인 입장을 지양하는 복음주의적 관점을 지향하며 주류적이고 지적인 중도적 복음주의 간행물로 평가받고, 사회적 이슈에 대한 논평을 제시하기도 한다. - 1956년 창간 - 브라보 (잡지)
브라보는 1956년 창간되어 영화, 텔레비전, 연예, 음악, 성 상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독일 청소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독일의 청소년 잡지이다. - 물리학 학술지 - 물리학 연보
물리학 연보는 1790년 창간되어 아인슈타인이 기적의 해 논문들을 발표하며 명성을 얻은 독일의 물리학 학술지로, 독일 재통일 이후 영어로 통일되어 현재 Wiley-VCH에서 출판되고 있다. - 물리학 학술지 - 피지컬 리뷰 레터
피지컬 리뷰 레터는 미국의 물리학 학술지로서, 물리학의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물리학 발전에 기여한 주요 논문들을 게재해왔다. - 영어 학술지 - 네이처
1869년 노먼 로키어가 창간한 영국의 과학 저널 《네이처》는 다양한 과학 분야를 다루며 과학적 지식의 발전과 과학자 간 토론 촉진을 목표로, 획기적인 논문들을 게재하며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인종차별적 논란 등의 비판도 있었으며, 현재는 스프링거 네이처의 일부로서 다수의 자매지를 발행한다. - 영어 학술지 - 미국 사회학 저널
미국 사회학 분야의 학술지인 《미국 사회학 저널》은 1895년 창간되어 사회이론과 사회심리학 연구를 중심으로 미국 사회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매년 우수 논문에 로저 V. 골드 상을 수여한다.
| 뉴클리어 피직스 (학술지) | |
|---|---|
| 학술지 정보 | |
| 제목 | 뉴클리어 피직스 |
| 분야 | 핵물리학 |
| 언어 | 영어 |
| 약칭 | Nucl. Phys. |
| 기타 약칭 | Nucl. Phys. A Nucl. Phys. B Nucl. Phys. B (Proc. Suppl.) |
| 출판사 | 엘제비어 |
| 역사 | 1956–1967: Nucl. Phys. 1967–현재: Nucl. Phys. A 1967–현재: Nucl. Phys. B 1987–현재: Nucl. Phys. B (Proc. Suppl.) |
| ISSN (Nucl. Phys. A) | 0375-9474 |
| CODEN (Nucl. Phys. A) | NUPABL |
| ISSN (Nucl. Phys. B) | 0550-3213 |
| CODEN (Nucl. Phys. B) | NUPBBO |
| ISSN (Nucl. Phys. B Proc. Suppl.) | 0920-5632 |
| CODEN (Nucl. Phys. B Proc. Suppl.) | NPBSE7 |
| 편집 정보 | |
| 편집자 | (정보 없음) |
| 개방 접근 | (정보 없음) |
| 라이선스 | (정보 없음) |
| 학술지 영향력 | |
| 영향력 지수 (Nucl. Phys. A) | 1.695 (2019년) |
| 영향력 지수 (Nucl. Phys. B) | 2.817 (2019년) |
| 영향력 지수 (Nucl. Phys. A, 2020년) | 1.683 |
| 영향력 지수 (Nucl. Phys. B, 2020년) | 2.759 |
| 웹사이트 및 추가 정보 | |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 링크 1 | (정보 없음) |
| 링크 2 | (정보 없음) |
| RSS | (정보 없음) |
| Atom | (정보 없음) |
| JSTOR | (정보 없음) |
| OCLC | (정보 없음) |
| LCCN | (정보 없음) |
2. 잡지의 종류
''Nuclear Physics''는 1956년 창간되어 여러 종류로 분리 및 발전되어 왔다.
| 잡지명 | 약칭 | 발행 연도 | 영역 | |
|---|---|---|---|---|
| Nuclear Physics | Nucl. Phys. | 1956년 - 1967년 | 외부 링크 | |
| Nuclear Physics A | Nucl. Phys. A | 1967년 - (발행 중) | 핵물리학, 하드론 물리학, 중간 에너지・고에너지 중이온 물리, 우주 핵물리 | 외부 링크 |
| Nuclear Physics B | Nucl. Phys. B | 1967년 - (발행 중) | 입자물리학, 고에너지 물리학, 우주론, 우주물리학, 중력, 하드론 물리학, 수치 시뮬레이션, 양자장론, 수리물리학 | 외부 링크 |
| Nuclear Physics B: Proceedings Supplements | Nucl. Phys. B (Proc. Suppl.) | 1987년 - (발행 중) | 프로시딩스지 | 외부 링크 |
- ''Nuclear Physics''는 1956년에 창간되었고, 1967년에 ''Nuclear Physics A''와 ''Nuclear Physics B''로 분리되었다.
- ''Nuclear Physics B: Proceedings Supplements''는 1987년에 창간되어 학술 회의 프로시딩스를 출판한다.
2. 1. Nuclear Physics
''Nuclear Physics''는 1956년부터 1967년까지 발행된 학술지이다. 약칭은 ''Nucl. Phys.''이다. 외부 링크2. 2. Nuclear Physics A
''Nuclear Physics A''는 1967년부터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는 학술지로, 핵물리학, 하드론 물리학, 중간 에너지·고에너지 중이온 물리, 우주 핵물리 등을 다룬다.| 약칭 | Nucl. Phys. A |
|---|---|
| 발행 연도 | 1967년 - (발행 중) |
| 영역 | 핵물리학, 하드론 물리학, 중간 에너지・고에너지 중이온 물리, 우주 핵물리 |
| 외부 링크 | [http://www.elsevier.com/wps/find/journaldescription.cws_home/505715/description] |
2. 3. Nuclear Physics B
1967년부터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으며, 입자물리학, 고에너지 물리학, 우주론, 우주물리학, 중력, 하드론 물리학, 수치 시뮬레이션, 양자장론, 수리물리학 등을 다룬다.[1]외부 링크
2. 4. Nuclear Physics B: Proceedings Supplements
1987년부터 현재까지 발행되고 있으며, 학술 회의 프로시딩스를 출판한다.[4]3. 초록 및 색인
''Nuclear Physics A''와 ''Nuclear Physics B''는 Current Contents/물리학, 화학 및 지구과학에 색인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uclear Physics
http://www.sciencedi[...]
ScienceDirect.com
2015-02-17
[2]
웹사이트
Nuclear Physics B - Proceedings Supplements
http://www.sciencedi[...]
ScienceDirect.com
2024-03-07
[3]
웹사이트
SCOAP3 Journals: APCs and articles
http://scoap3.org/sc[...]
SCOAP3
2014-09-15
[4]
웹인용
Nuclear Physics
http://www.sciencedi[...]
ScienceDirect.com
2015-02-17
[5]
웹인용
Nuclear Physics B - Proceedings Supplements
http://www.sciencedi[...]
ScienceDirect.com
2014-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