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얼 노이기얼러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얼 노이기얼러흐는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인물로,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아일랜드 최고 왕 목록에 포함되지만, 역사적 연대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다. 다양한 연대기 기록에 따르면 니얼의 통치 시기는 368년에서 411년 사이로 추정되며, 일부 학자들은 5세기 중반까지 생존했을 것으로 본다. 그는 울스터 왕국의 분열과 티르코넬, 티르 에오겐 왕국의 건국에 영향을 미쳤으며, 로마 멸망 이후의 브리튼을 공격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니얼은 여러 아들들을 두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다양한 왕조를 형성하여 아일랜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 넬 - 남 이 넬
남 이 넬은 니얼 노이기얼라크를 시조로 하는 아일랜드 씨족으로, 주요 인물들의 계보와 왕조 형성을 통해 아일랜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 넬 - 북 이 넬
북 이 넬은 아일랜드 북부 지역에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던 씨족 집단으로, 케넬 코나일에서 케넬 네오겐으로 권력 중심이 이동하며 아일레흐 왕국 지배, 바이킹 침략, 노르만족과의 복잡한 관계를 겪었고, 케넬 코나일과 케넬 네오겐 등의 주요 씨족은 북아일랜드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코나크타 국왕 - 메브
메브는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코노트의 여왕으로, 쿨리의 소 쟁탈을 일으키고 쿠 훌린과 대립하며 주권 여신으로 해석된다. - 코나크타 국왕 - 알릴 막 마타
알릴 막 마타는 아일랜드 신화에서 코나크트의 여왕 메브의 남편이자 코나크트의 왕으로, 모계 혈통을 통해 왕위를 주장했으며 메브와의 사이에서 여러 아들을 두었고, 《쿠얼레의 소 도둑》 원정을 주도했지만 페르구스를 질투하여 죽음에 이르게 한 후 코날 케르나흐에게 암살당했다. - 450년 사망 - 테오도시우스 2세
테오도시우스 2세는 408년부터 450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 시대를 거쳐 누이 풀케리아의 영향력 아래 통치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 설립과 테오도시우스 법전 제정 등의 내정 성과와 훈족과의 굴욕적인 평화협정, 신학 논쟁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평가가 엇갈리다 사냥 중 낙마 사고로 사망하여 동로마 제국의 권력 재편을 초래했다. - 450년 사망 - 갈라 플라키디아
갈라 플라키디아는 서로마 제국의 황족으로 서고트족의 아타울프, 콘스탄티우스 3세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으며, 아들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섭정으로 로마를 통치하다가 450년에 사망했다.
니얼 노이기얼러흐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니얼 노이기얼러흐 |
로마자 표기 | Niall Noígíallach |
발음 (IPA) | IPA: [ˈn͈ʲiːal͈ n͈oiˈɣʲiːal͈əx] |
통치 | |
칭호 | 에린의 지고왕 |
재위 시작 | 기원후 405년경 (27년) |
대관식 | 타라 |
선대 및 후대 | |
선임자 | 오하드 무그메돈 |
후임자 | 아말가드 막 피어크레 |
가계 | |
아버지 | 오하드 무그메돈 |
어머니 | 케어렌 카스두브 |
배우자 | 1. 리그나크 2. 인디우 |
기타 정보 | |
코나크타의 왕 재위 기간 | ? – 기원후 450년경 |
에린의 지고왕 재위 기간 (에린 왕국 연대기 기준) | 기원후 378년 – 405년 |
에린의 지고왕 재위 기간 (FFE 기준) | 기원후 368년 – 395년 |
2. 역사적 배경 및 연대
니얼 노이기얼러흐는 아들과 손자들의 중요성으로 볼 때 역사적인 인물로 추정되지만,[3] 초기 아일랜드 연대기 기록은 부족한 편이다.
다이시 오 호갠 교수는 니얼이 프랑스 아모리카 남동부(현 브르타뉴)에서 기원한 골족 해양 부족인 베네티의 후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다. 이들 중 일부는 콘월을 거쳐 아일랜드 남동부로 이주하여 베니(Venii)로 알려졌고, 세력을 키웠다. 이들은 숫양 신을 숭배했고, 자신들을 '''가이손리'''('창을 든 사람들')라고 불렀다. 남부 베니는 에오가나흐트로 알려졌고, 다른 그룹은 북쪽으로 이주하여 콘(Conn)이라는 지도자의 이름을 따 콘나흐타로 알려졌다. 콘나흐타는 세력을 확장하여 서기 300년경 타라에서 라기니의 왕권을 전복했다. 서기 400년에서 500년 사이에 켈트어가 아일랜드어로 바뀌면서 베니는 페니가 되었고, 자신들을 가이드힐(Gaídhil)이라고도 불렀다. '에오차이드 노예 지배자'의 아들인 니얼은 서기 5세기에 콘나흐타를 이끌었다.[8]
T. F. O'Rahilly는 니얼과 그의 아들들이 고대 울스터 왕국의 분열과 티르코넬 왕국, 티르 에오겐 왕국, 아르기알라 왕국의 건국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7] O'Rahilly와 번은 비록 늦고 왜곡되었지만 문헌 자료가 니얼이 로마 멸망 이후의 브리튼을 공격했고, 그 공격 중에 죽었다는 진정한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3][7]
2. 1. 초기 아일랜드 연대기
초기 아일랜드 연대기에는 니얼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다. ''이니시폴린 연대기''는 그의 사망 시기를 382년 이전으로, ''스코트 연대기''는 411년으로 기록한다.[4]2. 2. 후기 연대기
''네 명의 대가 연대기''는 니얼 노이기얼러흐의 통치 기간을 379년에서 405년으로 기록한다.[5] 제프리 키팅의 ''Foras Feasa ar Éirinn''는 그의 통치 기간을 368년에서 395년으로 기록한다.[6]2. 3. 연대기 문제점
초기 아일랜드 연대기는 니얼 노이기얼러흐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이니시폴린 연대기''는 그의 사망 시기를 382년 이전으로, ''스코트 연대기''는 411년으로 기록한다.[4] ''네 명의 대가 연대기''는 그의 통치 기간을 379년에서 405년으로 기록하고,[5] 제프리 키팅의 ''Foras Feasa ar Éirinn''은 368년에서 395년으로 기록한다.[6]그러나 초기 연대기는 429년에서 516년 사이에 그의 아들들의 활동을 기록하는데, 이는 한 세대에게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긴 기간이다. 캐슬린 휴즈[4]와 프랜시스 J. 번[3]과 같은 학자들은 5세기 후반의 사건들이 성 파트리치오의 도착을 가능한 한 이른 시기에 맞추기 위해 앞당겨졌고, 이로 인해 니얼의 시기가 최대 반 세기 정도 앞당겨졌다고 결론 내렸다. 휴즈는 "니얼 자신은 5세기 중반 이전에는 죽지 않았을 것이다."라고 말한다.[4] 번은 제임스 카니를 따라 그의 사망 시기를 대략 452년으로 추정한다.[3]
2. 4. 아일랜드 최고 왕 목록
니얼은 아일랜드 최고 왕 목록에 포함되지만,[3] 이 목록과 그 연대기는 현재 인위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최고 왕의 지위는 9세기에 와서야 현실이 되었으며, 니얼의 지위는 그가 세운 왕조의 정치적 중요성에 따라 부풀려졌을 가능성이 있다.[3]3. 전설적인 생애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왕 니얼 노이기얼러흐의 생애는 여러 기록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11세기의 "왕들의 목록"인 에린의 서(Lebor Gabála Érenn), 17세기에 편찬된 네 명의 대가들의 연대기(Annals of the Four Masters), 제프리 키팅(Geoffrey Keating)의 ''Foras Feasa ar Éirinn''(1634)과 같은 연대기들이 주요 자료이다. 또한 11세기의 "에오하이드 무그메돈의 아들들의 모험"과 "아홉 명의 인질의 니얼의 죽음"과 같은 전설적인 이야기들도 참고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자료들은 니얼의 시대보다 훨씬 후대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역사적 가치는 낮게 평가된다.
3. 1. 출생과 초기 생애
아일랜드의 최고 왕 에오하이드 무그메도인은 두 명의 부인을 두었다. 첫 번째 부인 몽핀드에게서 브리온, 아일릴, 피아크라, 페르구스 등 네 아들을 얻었고, 두 번째 부인 카이렌 카스두브에게서 니얼을 얻었다.[9][10] 몽핀드는 카이렌이 니얼을 임신했을 때 질투심에 사로잡혀 카이렌이 유산하기를 바라며 과도한 노동을 강요했다. 카이렌은 물을 긷다가 아이를 낳았지만, 몽핀드를 두려워하여 아이를 새들에게 노출된 채 땅에 버려두었다. 니얼은 토르나라는 시인에게 구조되어 길러졌고, 성장한 후 타라로 돌아와 어머니를 구했다.[9][10]니얼의 어머니가 색슨족이라는 것은 시대착오적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카이렌'이라는 이름이 라틴어 이름 카리나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녀가 로마-브리튼족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7]
3. 2. 왕위 계승
니얼 노이기얼러흐가 귀족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자, 몽핀드는 에오차이드 왕에게 후계자를 지명하라고 요구했다. 에오차이드는 이 임무를 드루이드인 시첸에게 맡겼고, 시첸은 형제들 사이에 대결을 벌이도록 했다. 시첸은 형제들을 불타는 대장간에 가두고, 그들에게 구할 수 있는 것을 구하라고 한 뒤, 무엇을 선택해서 구하느냐에 따라 평가했다. 모루를 들고 나온 니얼은 다른 형제들보다 뛰어나다고 여겨졌다.[9]시첸은 형제들을 대장장이에게 데려가 무기를 만들게 한 다음 사냥을 보냈다. 각 형제들은 차례로 물을 찾아 나섰고, 흉측한 마녀가 지키는 우물을 발견했다. 마녀는 물을 주는 대신 키스를 요구했다. 니얼은 그녀에게 키스했고, 그녀는 아일랜드의 주권을 상징하는 아름다운 처녀로 변했다. 그녀는 니얼에게 물뿐만 아니라 여러 대에 걸친 왕권을 부여하며, 그의 후손 26명이 아일랜드의 최고 왕이 될 것이라고 했다.[9]
이 "혐오스러운 여인" 모티프는 전 세계의 신화와 민속에 등장한다. 이 이야기의 변형은 초기 아일랜드 최고 왕인 루가이드 로이그데, 아서 왕 전설 등에서 나타난다. 가장 유명한 버전 중 하나는 제프리 초서의 바스의 아내 이야기와 관련 가웨인 로맨스, ''가웨인 경과 레이디 라그넬의 결혼''에 모두 등장하며, 존 고워의 중세 영어 시 ''사랑의 고백''에도 등장한다.[12]
다른 이야기에서는 에오차이드가 죽었을 때 후계가 정해지지 않아 몽핀드의 오빠인 크림탄이 최고 왕위를 차지한다. 하지만 그가 스코틀랜드 영토를 순방하러 간 사이, 몽핀드의 아들들이 아일랜드를 점령한다. 크림탄은 전투를 벌이기 위해 아일랜드로 돌아왔다. 몽핀드는 자신의 오빠와 아들들 사이에 평화를 이루려는 듯, 연회를 열어 크림탄에게 독이 든 술을 대접한다. 크림탄은 그녀도 마시지 않으면 마시지 않겠다고 했고, 둘 다 술을 마시고 죽었다. 니얼이 최고 왕위를 계승하고, 브리온은 그의 부관이 되었다.[11]
3. 3. 닐의 통치와 형제들
에오차이드 뭇메돈이 죽은 후, 몽핀드의 오빠인 크림탄이 최고 왕위를 차지했지만, 몽핀드의 아들들이 아일랜드를 점령한다.[1] 닐은 크림탄을 죽이고 최고 왕위를 계승했으며, 그의 형제들은 지역 왕으로 자리를 잡았다.[1] 브리온은 코나흐트 지방을 다스렸지만, 피아크라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죽었다.[1] 피아크레는 코나흐트의 왕이 되었지만, 문스터와의 전쟁에서 부상을 입고 죽었다.[1]3. 4. 죽음
《에린의 침략의 서》에 따르면, 니얼은 투아할 테크트마르가 렌스터에 부과했던 소 조공, 즉 '보라마'를 두고 렌스터의 왕 에나 케인살라흐와 전쟁을 벌였다.[14] 모든 기록에서 니얼을 살해한 것은 에나의 아들 에오차이드로 지목되지만, 그 정황은 다양하다. 그럼에도 모든 기록은 니얼이 아일랜드 밖에서 죽었다는 데 동의한다.[14]《에린의 침략의 서》의 초기 판본에서는 에오차이드가 영국 해협에서 니얼을 죽였다고 하며, 후기 판본에는 니얼이 브리타니를 침략하던 중이었다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제프리 키팅은 성 파트리치오의 라틴어 생애를 인용하여 니얼이 로마 브리튼을 습격했으며, 그 과정에서 파트리치오와 그의 누이들이 납치되었다고 전한다. 키팅은 이 습격을 길다스와 베다가 언급한 것과 연결 짓고, 일부 아일랜드 자료에서 파트리치오가 브리타니에서 납치되었다고 하므로 니얼의 습격이 유럽 대륙까지 미쳤을 것이라고 추론한다.[6]
"아홉 명의 인질 니얼의 죽음"이라는 사가에서는 에오차이드와 니얼의 갈등이 니얼의 시인 라이드켄 막 바르치드가 에오차이드에게 호의를 베풀기를 거부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에오차이드는 전쟁을 일으켜 시인의 요새를 파괴하고 그의 아들 레아트를 죽였다.[28] (키팅은 라이드켄이 드루이드였으며, 에오차이드가 그에게 비방적인 언어를 사용한 후 아들을 죽였다고 기록한다.)[6] 라이드켄은 1년 동안 렌스터에 곡물, 풀, 잎이 자라지 않도록 풍자하여 복수한다. 이후 니얼은 렌스터와 전쟁을 벌였고, 에오차이드를 넘겨받는 조건으로 평화가 맺어진다. 니얼은 에오차이드를 입석에 묶고 아홉 명의 전사를 보내 처형하려 했지만, 에오차이드는 족쇄를 풀고 아홉 명을 모두 죽인다. 그는 또한 이마에 박히는 돌을 던져 라이드켄을 죽이고, 니얼은 그를 스코틀랜드로 추방한다.
이후 이야기는 혼란스러워진다. 니얼은 알프스까지 유럽에서 전쟁을 벌였고, 로마인들은 그와 협상하기 위해 사절을 보낸다. 그러다 갑자기 니얼이 스코틀랜드의 픽트족 음유시인들 앞에 나타나고, 에오차이드가 계곡 반대편에서 쏜 화살에 맞아 죽는 것으로 이야기가 전환된다. 키팅은 에오차이드가 유럽 원정 중 루아르강 반대편에서 니얼을 쏘았다고 기록한다. 니얼의 부하들은 그의 시신을 고향으로 옮기면서 가는 길에 일곱 번의 전투를 벌였고, 그의 양아버지 토르나는 슬픔으로 죽는다. 그의 시신은 오찬에 묻혔다고 전해지는데, 현재는 미스주의 나반에서 서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조던스타운의 포간 힐로 알려져 있다.[13] 니얼의 왕위는 그의 조카 나스 이가 계승한다.
바인은 니얼의 죽음이 로마 브리튼을 습격하던 중 발생했다고 추정한다. 아일랜드 전통은 로마인들이 브리튼을 지배했다는 사실을 잊고, 제국과의 대결을 유럽 대륙으로 옮겨 브리튼의 옛 이름인 ''알바''를 알프스의 ''엘파''와 혼동하거나 스코틀랜드라는 후대의 의미로 이해했다.[3] 렌스터의 서에 실린 11세기 시인 키나드 우어 하르타칸의 시는 니얼이 브리튼을 일곱 번 습격했고, 마지막 습격에서 "이크티안 해(영국 해협)의 파도 위에서" 에오차이드에게 죽임을 당했다고 전한다.[3][15] ''레보르 나 후이데르''에 실린 같은 시인의 시는 니얼이 알프스에 일곱 번 갔다고 기록한다.[7]
4. 가족과 후손
키팅에 따르면 니얼에게는 두 명의 아내가 있었다. 루가이드의 딸인 인네는 피아쿠를 낳았고, 리그나흐는 로에가이레, 엔다, 마인, 에오간, 코날 굴반, 코날 크렘테인, 코르프레 등 일곱 아들을 낳았다.[6] 이들은 다양한 위 네일 왕조의 시조가 되었다.
에오간과 코날 굴반은 북부 위 네일을 구성했고, 피아쿠의 후손 케넬 피아카흐, 성 파트리치오가 개종시킨 로에가이레의 후손 케넬 로에가이레, 위 마인의 마인, 클란 콜마인과 실 네도 슬라인의 코날 크렘테인, 남부 위 네일을 구성하는 케넬 코르프리의 코르프레가 있었다.[3] 오히긴스 가문은 남부 위 네일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니얼의 후손으로는 성 콜룸바, 성 마엘 루바, 알레크 왕국의 왕, 티르 에오겐의 왕, 티르 코넬의 왕 등이 있다.[16] 스코틀랜드의 오터의 클랜 에웬, 길크리스트, 클랜 라몬트, 머니드레인의 맥소릴리,[17] 던니베그의 클랜 맥도날드(클랜 도날드의 분파), 클랜 맥라클란, 클랜 맥닐, 맥스윈은 1036년에 사망한 플라ith버타흐 우아 네일의 아들인 아드, 오닐 왕조의 왕자 안로탄 우아 네일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클랜 도날드의 수장들은 니얼의 가상 계통에서 2만 년 전에 갈라진 하플로그룹 R1a의 분파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모든 계통이 니얼의 시대와 관련 있는 것은 아니다.[18]
4. 1. Y 염색체 분석
2006년 무어 외 연구진은 Y 염색체 특징을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대중 과학 저널리스트와 유전자 검사 회사들은 수백만 명의 남성이 니얼의 혈통을 이어받았다는 이론을 홍보했다.[19][20]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의 유전학자들은 북서부 아일랜드 남성 21%, 아일랜드 전체 남성 8%, 서부 및 중부 스코틀랜드 남성 상당수, 그리고 뉴욕 남성의 약 2%가 동일한 Y 염색체 haplotype, 핵형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유전학자들은 약 200만~300만 명의 남성이 이 핵형을 가지고 있다고 추정했다. 무어 외 연구진은 이 남성들이 "단일 초기 중세 조상"으로부터 유래되었으며, 이것이 니얼의 왕조와 관련이 있다고 암시했지만, 니얼이 M222의 조상이라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언론인들은 재빨리 그 결론에 도달했다.[21][22] PBS 다큐멘터리 시리즈 ''뿌리를 찾아서(Finding Your Roots)''에 따르면, 빌 오라일리, 스티븐 콜베어, 콜린 퀸, 빌 마허, 그리고 쇼의 진행자인 헨리 루이스 게이츠 주니어 모두 아일랜드 모달 핵형과 일치하는 STR 마커를 나타냈다.[23]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더 이상 타당하지 않다. 니얼은 검사할 수 있는 검증 가능한 유해가 없으며, 해당 논문은 단 17개의 STR 유전자좌만을 조사했는데, 이는 하플로그룹과 서브클래스를 정의하는 SNPs와 같은 계통을 검증하는 신뢰할 수 있는 수단이 아니다.[24] 실제로, 최근 추정에 따르면 무어 외 연구진의 핵형으로 표시된 R1b-M222 서브클래스는 니얼이 살았다고 주장되는 시대보다 훨씬 이전인 기원전 2천 년기에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니얼이 역사적 인물이었다 하더라도 그의 후손은 이 그룹의 소수에 불과할 것이다.[25][26]
미들랜드 표본에서 M222 계통이 부족하다는 점은 M222를 니얼의 후손과 동일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27]
5. 별칭의 기원
니얼 노이기얼러흐가 "아홉 인질"이라는 별칭(Noígíallach)을 얻게 된 유래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아홉 명의 인질을 잡은 니얼의 죽음" 사가(saga)에서는 니얼이 아일랜드의 다섯 개 주(얼스터, 코노트, 레인스터, 먼스터, 미스)와 스코틀랜드인, 색슨족, 브리튼족, 프랑크족에게서 각각 한 명씩 인질을 받았다고 전한다.[28] 제프리 키팅은 아일랜드 다섯 개 주에서 다섯, 스코틀랜드에서 넷을 받았다고 다르게 기록했다.[6]
T. F. O'Rahilly는 아르기알라 왕국에서 아홉 인질을 받았다는 설을 제시한다. 아르기알라는 "인질 제공자"라는 뜻이며, 위 네일이 얼스터 정복 후 세운 위성 국가였다. 초기 아일랜드 법률 문서 ''Lebor na gCeart''(권리의 책)에는 아르기알라가 아일랜드 왕에게 아홉 인질을 바치는 것이 유일한 의무라고 적혀 있다.[7]
6. 가계도
굵은 글씨는 아일랜드의 최고 군주를 나타낸다. | ||||||||||||
---|---|---|---|---|---|---|---|---|---|---|---|---|
투어할 테크트마르 | ||||||||||||
페들리미드 레크트마르 | ||||||||||||
콩 케차하크 | ||||||||||||
아트 맥 쿤 (아들) | ||||||||||||
코르맥 막 아르트 | ||||||||||||
카르브르 라이프체르 | ||||||||||||
피아카 슈로이프틴 | ||||||||||||
뮈레다크 티레크 | ||||||||||||
몽핀드 | 에오차이드 뭇메돈 | 카이렌 | ||||||||||
브리온 | 피아크라 | 알릴 | 닐 노이기얼러흐 | 페르구스 | ||||||||
코날 굴반 | 엔다 (from Cenél Énda) | 에오간 | 코르브르 | 로에게르 | 마이네 | 코날 크렘타인 | 피아쿠 | |||||
뮈레다크 | 코르막 카에크 | 루가이드 막 로에구레 | 페르구스 케르벨 | 아르달 | ||||||||
뮈르케르타크 막 에르카 | 투어할 마엘가르브 | 디아르마이트 막 케르바일 |
참조
[1]
문서
'noí, nine; gíall, a human pledge or hostage; the possessive suffix -ach (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Compact Edition, 1990, pp. 360, 479–480; Rudolf Thurneysen, A Grammar of Old Irish, 1946, p. 220). Also spelt Noí nGiallach, Naígiallach, Naoighiallach etc'
[2]
웹사이트
Was Niall of the Nine Hostages a real person? – SidmartinBio
https://www.sidmarti[...]
2022-01-01
[3]
서적
Irish Kings and High-Kings
Four Courts Press
2001
[4]
간행물
"The church in Irish society, 400–800, in Dáibhí Ó Cróinín (ed.), A New History of Ireland Vol I: Prehistoric and Early Ire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
문서
Annals of the Four Masters
http://www.ucc.ie/ce[...]
[6]
문서
Foras Feasa ar Éirinn
http://www.ucc.ie/ce[...]
[7]
서적
Early Irish History and Mythology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1946
[8]
서적
"The Celts: A History"
2002
[9]
문서
"The Adventures of the Sons of Eochaid Mugmedon"
http://www.maryjones[...]
Ancient Irish Tales
1936
[10]
문서
Echtra Mac nEchach
The Celtic Heroic Age: Literary Sources for Ancient Celtic Europe & Early Ireland & Wales
2003
[11]
문서
"The Death of Crimthann son of Fidach"
http://www.maryjones[...]
[12]
서적
The Cycles of the Kings
1946
[13]
서적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1998
[14]
서적
Lebor Gabála Érenn Part V
Irish Texts Society
1956
[15]
문서
"Ochan"
http://www.ucc.ie/ce[...]
The Metrical Dindshenchas
1906
[16]
문서
Byrne 2001
[17]
문서
Black (2012); Sellar (1971)
[18]
웹사이트
Show Somerled People | Clan Donald USA, Inc
https://clandonaldus[...]
2021-07-16
[19]
간행물
A Y-Chromosome Signature of Hegemony in Gaelic Ireland
[20]
뉴스
“The genetic imprint of Niall of the Nine Hostages”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14-04-24
[21]
뉴스
If Irish Claim Nobility, Science May Approve
https://www.nytimes.[...]
2006-01-18
[22]
간행물
A Y-Chromosome Signature of Hegemony in Gaelic Ireland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3]
문서
Finding your Roots PBS
2016-01-12
[24]
웹사이트
Dubious commercial claims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9-11-12
[25]
문서
"A dated phylogenetic tree of M222 SNP haplotypes: exploring the DNA of Irish and Scottish surnames and possible ties to Niall and the Uí Néill kindred"
2011
[26]
문서
Accessed 11 October 2023
https://discover.fam[...]
[27]
서적
"Interlaced scholarship: genealogies and genetics in twenty-first century Ireland"
Four Courts Press
2013
[28]
문서
"The Death of Niall of the Nine Hostages"
http://www.maryjones[...]
Ancient Irish Tales
1936
[29]
문서
'noí, nine; gíall, a human pledge or hostage; the possessive suffix -ach (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Compact Edition, 1990, pp. 360, 479–480; Rudolf Thurneysen, A Grammar of Old Irish, 1946, p. 220). Also spelled Noí nGiallach, Naígiallach, Naoighiallach et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