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시우스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오도시우스 2세는 408년부터 450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이다. 그는 7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민정 총독 안테미우스와 누나 풀케리아의 섭정을 받았다. 테오도시우스 2세는 서예에 능했고 학문을 장려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를 설립하고 테오도시우스 법전을 편찬하는 등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훈족의 침략, 사산 왕조와의 전쟁 등 외부의 위협에 직면했으며, 네스토리우스파와 관련된 종교적 논쟁에도 휘말렸다. 테오도시우스 2세는 사냥 중 사고로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황위는 누나 풀케리아와 결혼한 마르키아누스가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01년 출생 - 레오 1세 (동로마 제국)
레오 1세는 아스파르에 의해 동로마 황제로 추대되어 권력 투쟁 끝에 그를 제거하고 서로마 제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반달 왕국 원정 실패 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대관식을 거행한 최초의 황제이다. - 401년 출생 -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철학자 레온티우스의 딸로 태어나 고전 교육을 받고 기독교로 개종 후 동로마 제국의 황후가 된 아일리아 에우도키아는 문학 활동 장려와 예루살렘 순례 등으로 제국에 영향을 미쳤으나, 만년에 궁정을 떠나 예루살렘에서 여생을 보내며 저술 활동에 집중했고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450년 사망 - 갈라 플라키디아
갈라 플라키디아는 서로마 제국의 황족으로 서고트족의 아타울프, 콘스탄티우스 3세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으며, 아들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섭정으로 로마를 통치하다가 450년에 사망했다. - 450년 사망 - 니얼 노이기얼러흐
니얼 노이기얼러흐는 아일랜드의 전설적인 인물로 왕위 계승 시험과 경쟁을 거쳐 왕이 되었으며, 에오차이드 막 에나에 의해 살해당했고, "아홉 명의 인질"이라는 별칭과 Y 염색체 분석으로 직계 후손이 확인되었다. - 고대의 입법자 - 클레이스테네스
클레이스테네스는 기원전 6세기 아테네의 정치가로, 참주를 몰아내고 민주정 개혁을 주도하여 부족 체제를 개편하고 다양한 제도를 도입했으며 페르시아와 관계를 맺었다. - 고대의 입법자 - 함무라비
함무라비는 기원전 1792년 메소포타미아를 통일한 아모리인 출신 바빌론 왕으로, 함무라비 법전을 제정하여 법치주의를 강조하고 강력한 제국을 건설했으나 사후 제국은 쇠퇴했다.
테오도시우스 2세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Flavius Theodosius |
그리스어 표기 | Θεοδόσιος |
그리스어 음역 | Theodosios |
즉위 | 408년 5월 1일 |
퇴위 | 450년 7월 28일 |
전임자 | 아르카디우스 |
후임자 | 마르키아누스 |
섭정 | 호노리우스 (408–423) 프리스쿠스 아탈루스 (로마, 409–410) 콘스탄티누스 3세 (갈리아, 409–411) 콘스탄스 2세 (갈리아, 409–411) 콘스탄티우스 3세 (서방, 421) 요한네스 (423–425) 발렌티니아누스 3세 (425–455) |
출생일 | 401년 4월 10일 |
사망일 | 450년 7월 28일 (49세) |
매장지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 사도 교회 |
배우자 | 아일리아 에우도키아 |
자녀 | 리키니아 에우독시아 플라킬라 아르카디우스 (추정) |
왕조 | 테오도시우스 왕조 |
아버지 | 아르카디우스 |
어머니 |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
종교 | 니케아 기독교 |
칭호 |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플라비우스 테오도시우스 아우구스투스 (라틴어) 아우토크라토르 카이사르 플라비오스 테오도시오스 아우구스토스 (그리스어) |
성인 칭호 | 정교회 성인, 로마 제국 황제 |
축일 | 7월 29일 |
숭배되는 교회 | 동방 정교회 |
통치 | |
통치 기간 | 408년 5월 1일 – 450년 7월 28일 |
정치 체제 | 동로마 제국 황제 |
기타 정보 | |
기타 |
2. 생애
아르카디우스와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사이에서 401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태어났다. 408년 아버지가 죽자 7세의 나이로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24] 어린 황제를 대신하여 민정 총독 안테미우스가 섭정을 맡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테오도시우스 성벽을 건설하는 등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24]
414년 안테미우스가 사망한 후, 테오도시우스 2세의 누나 풀케리아가 섭정을 맡아 '황후'(''Augusta'') 지위로 권력을 행사했다.[24]
421년 테오도시우스 2세는 아테네 출신의 아일리아 에우도키아와 결혼하여[6][7][8][9][10] 이듬해 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를 낳았다. 리키니아 에우독시아는 훗날 서로마 제국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다. 이 두 사람의 결혼은 동방과 서방의 황제의 어설프나마 결합을 의미한다.
테오도시우스 2세는 서예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능서가"라는 별명을 얻었으며,[24] 신학과 학문에 열중하여 정치는 주로 중신들이 담당했다. 그는 그림을 그리고 필사본을 만드는 취미가 있었고 종교보다는 철학과 라틴, 그리스 사상에 심취했다. 그는 ''칼리그라포스'' 즉, 서예가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그는 사냥을 즐겼으며 오늘날의 폴로에 해당하는 페르시아의 추칸이라는 경기를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421년, 사산 왕조와의 사이에 가 발발했다.
테오도시우스 2세의 통치 시대에는 훈족의 아틸라가 여러 차례 침입했지만, 사산 왕조도 425년부터 에프탈의 침입에 시달렸다. 이 전쟁은 1년 만에 종결되었고, 평화 조약에 따라 "전쟁 전 상태"로 회복되었다.
그 후 발발한 동로마-사산 전쟁 (440년)을 반달족의 침입으로 신속하게 종결시킨 후, 테오도시우스 2세는 사산 왕조의 야즈디게르드 2세와 441년에 상호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다.
450년 테오도시우스 2세는 사냥을 나갔다가 낙마 사고로 죽었다.[20][24]
그의 사후 황위는 누나 풀케리아와 결혼한 마르키아누스가 계승했다.[21][24]
2. 1. 초기 통치
아르카디우스와 아일리아 에우독시아 사이에서 태어난 테오도시우스 2세는 408년 아버지가 죽자 7세의 나이로 동로마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24] 어린 황제를 대신하여 민정 총독 안테미우스가 섭정을 맡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테오도시우스 성벽을 건설하는 등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24]
414년 안테미우스가 사망한 후, 테오도시우스 2세의 누나 풀케리아가 섭정을 맡아 '황후'(''Augusta'') 지위로 권력을 행사했다.[24] 풀케리아는 자매들과 함께 영원한 정절을 서약하고, 동생의 후견인 역할을 하였다.
421년 테오도시우스 2세는 아테네 출신의 아일리아 에우도키아와 결혼하여[6][7][8][9][10] 이듬해 딸 리키니아 에우독시아를 낳았다. 리키니아 에우독시아는 훗날 서로마 제국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다.
테오도시우스 2세는 서예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능서가"라는 별명을 얻었으며,[24] 신학과 학문에 열중하여 정치는 주로 중신들이 담당했다.
2. 2. 학문과 종교 활동
테오도시우스 2세는 그림, 필사본 제작, 서예 등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종교보다는 철학과 고전 사상에 심취했다. 425년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를 설립하여 법학, 철학, 의학, 산술, 기하학, 천문학, 음악, 수사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의 아내 에우도키아는 신플라톤주의의 중심지였던 아테네 출신으로, 뛰어난 지성을 바탕으로 대학교 설립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429년, 테오도시우스 2세는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의 모든 법률을 집대성하고 체계화하기 위한 위원회를 임명했다. 이 계획은 완성되지 못했지만, 이후 소집된 두 번째 위원회가 438년에 ''테오도시우스 법전''을 편찬하여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의 기초를 마련했다.
2. 3. 죽음
450년 테오도시우스 2세는 사냥을 나갔다가 낙마 사고로 죽었다.[20][24] 그는 콘스탄티누스 1세와 그의 여러 후계자들처럼 성사도교회(Church of the Holy Apostles)에 안치되었는데, 10세기 콘스탄티누스 7세가 《데 체레모니이스》에서 묘사한 자주색 석관에 묻혔다.[22] 테오도시우스 2세는 동방 정교회에서 7월 29일 기념된다.[23]그의 사후 황위는 누나 풀케리아와 결혼한 마르키아누스가 계승했다.[21][24] 마르키아누스는 영향력 있는 장군 아스파르 휘하의 도메스티쿠스였다. 환관 크리사피우스는 새로운 황제 부부에 의해 얼마 후 처형되었다.[21]
3. 테오도시우스 법전
테오도시우스 2세는 학자들을 모아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 편찬된 모든 로마법을 집대성하는 작업을 추진했다. 425년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를 설립하여 법학, 철학, 의학 등 다양한 학문을 가르치도록 했다. 429년에는 위원회를 임명하여 콘스탄티누스 1세 이후의 모든 법률을 수집하는 계획을 세웠으나 미완성으로 남았다. 이후 다시 소집된 위원회의 작업을 통해 438년 《테오도시우스 법전》(Codex Theodosianus)이 공표되었는데, 이는 국법전(Corpus Juris Civilis)의 기초가 되었다.
4. 네스토리우스파와의 관계
427년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로 임명된 네스토리우스는 열성적으로 아리우스파를 배척했고 그리스도 예수가 니케아 신경에서처럼 단일한 위격(位格)을 가진 것이 아니라 인간의 위격과 신의 위격, 서로 다른 두개의 위격을 가지고 있다고 설교했다. 그의 설교는 급격히 대중의 호응을 얻어 세력을 확대해 갔는데 알렉산드리아 교구의 주교인 성 키릴루스의 반대를 받았다.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네스토리우스의 주장에 찬동했으나 키릴루스는 풀케리아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였고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에서 네스토리우스는 파문당했다. 테오도시우스는 435년 네스토리우스를 아라비아의 페트라로 유배보냈다.
테오도시우스 2세는 예수 그리스도의 성품에 관한 교리적 논쟁을 해결하려는 시도를 자주 했다. 시리아(지역) 방문 중 테오도시우스는 유명한 설교가인 수도사 네스토리우스를 만났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대주교로 임명된 네스토리우스는 두 그룹 간의 그리스도론 논쟁에 휘말렸다. 한 그룹은 그리스도 안에서 신이 사람으로 태어났다는 것을 근거로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하느님의 어머니")라고 불렀고, 다른 그룹은 하느님은 영원하므로 태어날 수 없다는 것을 근거로 그 칭호를 거부했다. 네스토리우스의 타협안인 ''크리스토토코스''("그리스도의 어머니")라는 칭호는 거부되었고, 그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분리하여 "두 그리스도"를 만들었다는 비난을 받았는데, 이는 나중에 네스토리우스파로 불리는 교리이다. 황제는 네스토리우스의 요청에 따라 431년 에페소 공의회를 소집하여 네스토리우스가 키릴의 이단 혐의에 대해 반박할 수 있도록 했다. 공의회는 키릴파와 네스토리우스파로 나뉘었고, 테오도시우스는 궁극적으로 키릴파를 지지했다. 공의회는 ''테오토코스''라는 칭호를 확인하고 네스토리우스를 단죄했으며, 그는 시리아의 수도원으로 돌아갔고 결국 이집트의 외딴 수도원으로 유배되었다.
거의 20년 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수도원장 에우티케스가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하나라는 단성론적 견해를 주장함으로써 신학적 논쟁을 다시 불붙였다. 칼케돈 그리스도교는 이 결정에 반대했고, 교황 레오 1세는 이 공의회를 "강도 공의회"라고 불렀다. 테오도시우스는 그 결과를 지지했지만, 450년 그의 사후 칼케돈 공의회에 의해 뒤집혔다.
5. 훈족, 반달족, 페르시아와의 전쟁
테오도시우스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훈족, 반달족,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420년 페르시아의 기독교 박해로 로마와 사산조 페르시아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동로마 제국은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전쟁](421~422년)을 선포했다.[17][18] 이 전쟁은 훈족이
6. 평가
6. 1. 긍정적 평가
6. 2. 부정적 평가
참조
[1]
서적
Age of Spirituality: Late Antique and Early Christian Ar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77
[2]
웹사이트
Portrait head of Emperor, Theodosius II (?). Unknown provenance. Fifth century.
http://laststatues.c[...]
2012
[3]
문서
PLRE
https://archive.org/[...]
[4]
문서
Chronicon Paschale
https://archive.org/[...]
[5]
웹사이트
Byzantine-Iranian relations
http://www.iranicaon[...]
1990-12-15
[6]
서적
The noble heritage: Jerusalem and Christianity, a portrait of the Church of the Resurrection
Longman
[7]
서적
Sisterhood is global: the international women's movement anthology
https://archive.org/[...]
Feminist Press
[8]
서적
Empress of Byzantium
Coward-McCann
[9]
서적
Mediaeval Greec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0]
서적
Popular belief and practice: Volume 8 of Studies in church history
https://archive.org/[...]
CUP Archive
[11]
논문
Chapter 1 Rethinking Theodosius
[12]
서적
From Rome to Byzantium AD 363 to 565: The Transformation of Ancient Rom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3]
논문
Imperial politics at the court of Theodosius II
Ashgate
[14]
논문
Chapter 2 Men Without Women: Theodosius' Consistory and the Business of Government
[15]
논문
Chapter 11 Theodosius II and his legacy in anti-Chalcedonian communal memory
[16]
논문
Chapter 1 Rethinking Theodosius
[17]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Roman Eastern Frontier and the Persian Wars Part II AD 363–630: A Narrative Sourcebook
Routledge
[19]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Dover
[20]
서적
II, 64
https://books.google[...]
[21]
문서
Chronicon Paschale
https://archive.org/[...]
[22]
학술지
Imperial Porphyry Sarcophagi in Constantinople
https://lucazavagno.[...]
1848
[23]
웹사이트
ФЕОДОСИЙ II, ИМПЕРАТОР - Древо
http://drevo-info.ru[...]
2022-07-15
[24]
웹사이트
世界遺産オンラインガイド - テオドシウスの城壁 イスタンブルの歴史地区
https://worldheritag[...]
2024-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