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즈냐야퉁구스카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은 예니세이강의 두 번째로 큰 우안 지류로, 투루한스크 근처에서 예니세이강과 합류하는 러시아의 강이다. 길이는 2,989km이며, 유역 면적은 473,000km²이다. 강 상류는 넓은 계곡을 따라 흐르며, 중류는 중앙시베리아 고원의 퉁구스카 고원을 가로지르는 좁고 깊은 계곡을 형성한다. 하류는 석회암 바위 사이를 흐르며, 급류와 소용돌이가 특징이다. 이 강은 동시베리아의 중요한 교통로로, 역사적으로 모피 무역, 어업, 자원 운송에 이용되었으며, 현재는 항해와 목재 뗏목 운송이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레나강과의 운하 건설이 제안되기도 했으며, 투루한스크 수력 발전소 건설 계획이 논의되었으나, 환경적 영향과 경제적인 이유로 실현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니세이강의 지류 - 헴치크강
- 예니세이강의 지류 - 아바칸강
아바칸강은 서사얀산맥에서 발원하여 미누신스크 분지를 지나 예니세이강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볼쇼이 아바칸강과 말리 아바칸강의 합류로 형성된다. - 이르쿠츠크주의 강 - 레나강
레나강은 바이칼 산맥에서 발원하여 랍테프 해로 흐르는 시베리아의 대표적인 강으로, 넓은 유역 면적과 하구 삼각주를 가지며, 경제 활동의 기반이 되지만 기후 변화와 광산 개발로 인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이르쿠츠크주의 강 - 비류사강
비류사강은 정확한 실체가 밝혀지지 않은 강으로, 그 존재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연구 필요성을 주장하고 국민의힘은 비판적인 입장을 보인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강 - 빌류이강
빌류이강은 중앙시베리아 고원에서 발원하여 레나강으로 합류하는 러시아의 강으로, 17세기 시베리아 정복 시기부터 알려졌고 1950년대 다이아몬드 광맥 발견 이후 광산 개발과 함께 발전했으며, 빌류이스크 등의 도시가 위치하고 철갑상어, 연어 등의 어업이 활발하며, 빌류이석이 특징적이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강 - 예니세이강
예니세이강은 몽골에서 발원하여 시베리아 중앙부를 거쳐 북극해로 흐르는 러시아의 주요 강으로, 수운과 수력 발전 등 경제적 중요성과 독특한 생태계를 지니고 있으나 방사능 오염 문제도 안고 있다.
니즈냐야퉁구스카강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니즈냐야 퉁구스카 강 |
다른 이름 | 퉁구스카 강 Нижняя Тунгуска (러시아어) Nizhnyaya Tunguska (영어) |
위치 | 러시아 |
지방 |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이르쿠츠크 주 |
도시 | 투르한스크 투라 에르보가첸 |
지리 | |
발원지 | 앙가라 산맥, 중앙 시베리아 고원 |
발원지 위치 | 이르쿠츠크 주 우스티쿠츠키 군 |
발원지 좌표 | 58.031, 105.702 |
발원지 고도 | 521m |
하구 | 예니세이 강 |
하구 위치 | 투르한스크, 투루한스키 군 |
하구 좌표 | 65.771, 87.952 |
하구 고도 | 1m |
길이 | 2,989km |
유역 면적 | 473,000km2 |
수문 정보 | |
평균 유량 | 3,680m3/s |
평균 유량 위치 | 예니세이 강 합류점 |
최대 유량 | 112,000m3/s |
최소 유량 | 1m3/s |
지류 | |
오른쪽 지류 | 코체춤 강 |
2. 지리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은 예니세이강의 지류 중 두 번째로 큰 강으로, 투루한스크 근처에서 예니세이강과 합류한다. 강의 길이는 2989km이며, 유역 면적은 473000km2이다.[2]
강의 특성과 강 계곡, 강둑의 구성에 따라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첫 번째 부분은 강의 발원지에서 Преображенка|프레오브라젠카|한국어 발음ru (구 프레오브라젠스코예) 마을까지 이어진다.
- 두 번째 부분은 이 마을 하류의 협곡 지형에 위치한다.[3]
(하위 섹션인 "수계"에서 상류와 하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만 언급한다.)
2. 1. 수계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은 예니세이강의 두 번째로 큰 우안 지류이며, 투루한스크 근처에서 예니세이강과 합류한다. 길이는 2989km이고, 유역 면적은 473000km2이다.[2] 강의 특성에 따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상류: 발원지에서 Преображенка|프레오브라젠카|한국어 발음ru (구 프레오브라젠스코예) 마을까지 이어지는 구간이다. 이 구간은 580km 길이의 평평한 경사면을 가진 넓은 계곡을 따라 흐르며, 모래와 점토 퇴적물로 형성되어 있다. 뗏목에서의 유속은 에서 정도이다. 이 강 구간은 레나강에 매우 근접하며, 키렌스크 마을 부근에서는 두 강 사이의 거리가 15km에 불과하다. 상류 전체는 이르쿠츠크주에 속한다.
- 하류: 프레오브라젠스코예 마을 하류부터는 중앙시베리아 고원의 퉁구스카 고원을 가로지르며, 높고 바위가 많은 둑이 있는 좁고 깊은 계곡을 흐른다. 이 지역의 풍경은 시베리아 트랩의 화산 기원을 가지며, 지형은 강의 흐름을 서쪽으로 바꾼다. 강에는 길이가 20km 이상인 호수와 같은 넓은 곳이 많다.[4] 결정질 층이 가까운 곳에는 ''"삭코"'', ''"비빈스키"'', ''"우참스키"'', ''"볼쇼이"''(Большой|볼쇼이|큰ru) 등의 급류가 나타나며, 유속은 에서 에 이른다. 급류 하류에는 최대 수심이 60m 에서 100m에 이르는 깊은 곳도 있다. 지류인 세베르나야강과 합류한 후에는 석회암 바위 사이를 흐르며, 유속은 에서 로 증가한다.
강의 하류 채널과 유속은 몇 가지 고유한 특징을 보인다.
- 베체브니크(Bechevnik): 해안선을 따라 물 근처에 뻗어 있는 10cm 에서 40cm 크기의 돌 조각들이다. "견인로"를 뜻하는 러시아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매년 봄 얼음 이동과 강의 범람으로 형성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조약돌이 닳아 자갈길을 형성한다.
- 코르가(Korga): 강의 협곡 경사면에서 발생한 산사태로 인해 생긴 직경 1.5m의 바위 돌 무더기이다. 하류에 잔잔한 역류 구역을 만든다.
- 소용돌이: 채널이 반대편 둑으로 흐르는 절벽 하류에서 발생하는 소용돌이이다. 수심이 100m까지 이를 수 있으며, 초여름 홍수기에 자주 발생한다.[5]
2. 2. 지류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의 주요 지류는 오른쪽에서 합류하는 예이카강, 코체춤강, 얌부칸강, 비비, 투톤차나강, 에라치모강, 세베르나야강이다. 왼쪽에서 합류하는 지류는 네파, Большая Ерёма|볼샤야 예레마강ru, 테테야강, 일림페야강, 니딤강, 타이무라강, 우차미강이다.[6]가장 두드러진 지류는 코체춤강으로, 투라 근처 북쪽에서 본류와 합류한다. 코체춤강의 연평균 유량은 600m3/s이며, 유역 면적은 거의 100000km2에 달한다.[6]
전반적으로,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의 오른쪽 지류가 왼쪽 지류보다 우세하며 더 많은 물을 공급한다. 이 강 유역 내에 큰 호수는 없으며, 가장 큰 호수는 면적이 229km2인 비비 호수이다. 니즈냐야퉁구스카강으로의 유입은 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한다.
2. 3. 수문학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은 러시아에서 11번째로 큰 강으로, 하구에서의 연간 유량은 3680m3/s이다.[4] 1967년에 관측된 최소 유량은 2861m3/s였으며, 최대 유량은 1974년에 4690m3/s였다.[4] 강의 하구에서는 각각 약 3093m3/s와 약 5070m3/s였다.[4]강물은 눈이 녹은 물과 여름철 강우로 공급된다.[4] 겨울철에는 니즈냐야퉁구스카강 유역이 영구 동토 지역에 위치해 있고 지하수원이 없어 유량이 적다.[4] 52년간의 수문 관측 결과, 1969년 3월의 최소 월평균 유량은 27.8m3/s였는데, 이는 예외적으로 건조한 겨울이었다.[7] 반면, 최대 유량은 1959년 6월로 31500m3/s였다.[7]
볼쇼이 포로그(Большой Порог) 교역소에서 52년간 관측된 월평균 유량은 다음과 같다:[7][8]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유량 (m³/s) | 313m3/s | 237m3/s | 197m3/s | 195m3/s | 6567m3/s | 19330m3/s | 5024m3/s | 2902m3/s | 3286m3/s | 1729m3/s | 608m3/s | 459m3/s |
연간 전체 수량의 73%가 봄-여름철에 발생한다.[1] 니즈냐야퉁구스카강 하류의 수위 변동 폭은 러시아의 주요 강들 중에서 가장 크다.[3] 강 협착 지점에서는 계절적인 유빙으로 인해 유빙이 막히면서 일시적인 댐이 형성되어 정상적인 유수를 막고 수위를 평균보다 30m에서 35m까지 상승시킨다.[3] 여름철의 해빙과 유빙의 이동은 매우 격렬하게 진행되며, 뿌리째 뽑힌 나무와 깎인 바위 형태의 흔적을 남긴다.[3] 봄 홍수 기간 동안 강의 유량은 74000m3/s에서 112000m3/s까지 최고조에 달할 수 있으며, 계절적 범람 시기에 예니세이강 하류에 물의 50~60%를 공급한다.[9][10]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의 하류 채널과 유속은 강의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 해안선을 따라 물 근처에 뻗어 있는 10cm에서 40cm 크기의 돌 조각들인 ''베체브니크''(bechevnik)는 매년 봄 얼음 이동 및 강의 범람 기간 동안 형성된다.[5] 일부 지역에서는 이러한 종류의 조약돌이 닳아 함께 눌려 자체적인 자갈길을 만든다.[5]
- 강의 협곡 경사면은 진화 과정에서 산사태를 겪어 직경이 1.5m나 되는 개별 바위의 돌 무더기를 형성했다.[5] 이 미끄럼 경사면은 현지 이름 ''코르가''(корга)를 가지며 하류에 잔잔한 역류 구역을 만든다.[5]
- 니즈냐야퉁구스카강 채널의 물줄기는 때때로 소용돌이를 형성한다.[5] 이것들은 채널이 반대편 둑으로 흐르는 절벽 하류에서 발생하며, 수심이 100m까지 이를 수 있다.[5] 이러한 소용돌이는 초여름의 홍수기에 가장 자주 발생한다.[5]
3. 역사
니즈냐야퉁구스카강 유역은 역사적으로 모피 무역, 어업, 상품 및 광물 자원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사냥과 모피 무역은 여전히 이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3. 1. 러시아의 시베리아 식민화
17세기와 18세기부터 시작된 러시아의 서시베리아 평원 식민화 역사는 이 강의 다양한 이름에 반영되었다.[15][16] 어떤 시기에는 '''트로이츠카야 퉁구스카'''(Троицкая Тунгуска|트로이츠카야 퉁구스카ru), '''모나스티르스카야 퉁구스카'''(Монастырская Тунгуске|모나스티르스카야 퉁구스카ru), 그리고 '''망가제이스카야 퉁구스카'''(Мангазейская Тунгуска|망가제이스카야 퉁구스카ru, 망가제야 참조)라고 불렸다.3. 2. 경제적 이용
니즈냐야퉁구스카강과 그 지류는 빽빽한 강과 시냇물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이는 동시베리아의 넓은 열곡 계곡을 통과하는 편리한 여름철 통로를 만든다. 역사적으로 이 강은 모피 무역, 어업, 상품 및 광물 자원 운송에 사용되었다. 사냥과 모피 무역은 여전히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니즈냐야퉁구스카강의 수로는 많은 여울, 급류 및 소용돌이로 인해 항해가 어렵다. 큰 배와 바지선은 봄 홍수 기간에 통과할 수 있으며, 특정 연도의 우천 시에는 여름 말이나 가을 초에 짧은 기간 동안 항해가 가능하다.[11] 선박의 안전한 항해에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강의 하구에서 128km 떨어진 곳에 있는 급류인 ''볼쇼이''이다. 1927년에 최초의 증기선이 이 급류를 통과했으며, 이는 투루한스크에서 투라까지의 강에서 현대 항해의 시작으로 간주된다. 2010년 기준으로 예니세이강 증기선 노선 (Енисейское речное пароходство|예니세이스코예 레치노예 파로호츠보ru)의 해운 노선에는 하구에서 1155km 떨어진 키슬로칸 마을이 포함된다.[11] 강 전체 구간에서 목재 뗏목 운송이 가능하다.
1911년에는 레나강과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을 키렌스크 인근에서 연결하는 운하 건설이 제안되었고 일부 연구가 수행되었다.[3] 이 지역 근처에서 두 강은 15km 이하의 거리로 분리되어 있지만, 이 지점에서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은 항해 불가능하며 해발 329.7m 높이로 흐르고, 레나강은 해발 245.3m 높이로 흐른다.[12][13] 20세기 초에 이 운하 프로젝트는 복잡성과 높은 비용으로 인해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3. 3. 운하 건설 시도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의 수로는 여울, 급류, 소용돌이가 많아 항해가 어렵다. 큰 배와 바지선은 봄철 홍수 때나, 비가 많이 오는 해에는 여름 말이나 가을 초의 짧은 기간 동안만 통과할 수 있다.[11] 특히 하구에서 128km 지점에 있는 '볼쇼이' 급류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에 큰 어려움을 준다. 1927년 최초의 증기선이 이 급류를 통과하면서 투루한스크에서 투라까지 강에서 현대적인 항해가 시작되었다.[11]1911년, 레나강과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을 키렌스크 근처에서 연결하는 운하 건설이 제안되어 일부 연구가 진행되었다.[3] 두 강은 이 지역에서 15km 이내로 가깝지만,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은 항해가 불가능하고 해발 329.7m 높이로 흐르는 반면, 레나강은 해발 245.3m 높이로 흐른다.[12][13] 결국 20세기 초, 이 운하 프로젝트는 복잡성과 높은 비용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 현대
니즈냐야퉁구스카 강은 여울, 급류, 소용돌이가 많아 배가 다니기 어렵다. 큰 배와 바지선은 봄철 강물이 불어날 때와 비가 많이 오는 여름철 말이나 가을철 초에만 다닐 수 있다.[11] 1927년 최초의 증기선이 '볼쇼이' 급류를 통과하면서 투루한스크에서 투라까지 현대적인 항해가 시작되었다. 2010년 기준 예니세이강 증기선 노선은 하구에서 1155km 떨어진 키슬로칸 마을까지 운항한다.[11] 강 전체 구간에서 목재 뗏목 운송이 가능하다.
소련 초기부터 댐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생태학자들의 비판을 받았고, 소련 붕괴 이후 경제적 이유로 불가능해졌다. 2005~2010년 투루한스크 수력 발전소 건설이 다시 논의되었으나,[14] 정확한 시작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다.
프로젝트 완료시 니즈냐야퉁구스카 강은 댐으로 막혀 약 10000km2의 숲과 툰드라가 물에 잠긴다. 침수 지역에는 핵 폐기물이 매장되어 있고, 에벤크족 이주 문제도 발생한다. 발전소 건설 비용은 130억달러로 추정되며, 생산된 전기는 3500km 길이의 송전선을 통해 유럽 러시아로 공급될 예정이다.[10][14]
뱌체슬라프 시시코프의 소설 ''어두운 강''에 이 강이 묘사되어 있다.[16]
세베르나야 강 어귀에서 연평균 유량은 300m3/s로 알려져 있지만,[17] 실제 어귀에서의 평균 유량은 3700m3/s에서 3900m3/s 범위로 추정된다.[18]
4. 1. 항해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은 수많은 여울과 급류, 소용돌이 때문에 배가 다니기 어렵다. 큰 배와 바지선은 봄철 강물이 불어나는 시기에만 다닐 수 있고, 특정 해에는 비가 많이 오는 여름철 말이나 가을철 초에 짧은 기간 동안 배가 다닐 수 있다.[11] 배가 안전하게 다니는 데 가장 큰 문제는 강의 하구에서 128km 떨어진 곳에 있는 '볼쇼이' 급류이다. 1927년에 최초의 증기선이 이 급류를 통과했고, 이는 투루한스크에서 투라까지 강에서 이루어지는 현대적인 항해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2010년 기준으로 예니세이강 증기선 노선 (Енисейское речное пароходство|예니세이스코예 레치노예 파로호츠보ru)의 해운 노선에는 하구에서 1155km 떨어진 키슬로칸 마을까지 포함된다.[11] 강 전체 구간에서는 목재 뗏목 운송이 가능하다.4. 2. 투루한스크 수력 발전소 건설 계획
소련 초기부터 니즈냐야퉁구스카 강을 댐으로 만들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여러 생태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소련 붕괴 이후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댐 건설이 불가능해졌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이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다시 활발해졌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투루한스크 수력 발전소 건설이 2010년에 시작될 예정이었다.[14] 그러나 정확한 시작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2010년에서 2020년 사이에 시작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이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니즈냐야퉁구스카 강은 댐으로 막히게 되고, 약 10000km2의 숲과 툰드라가 물에 잠기게 된다. 이는 레바논이나 하와이 섬의 크기와 비슷하다. 침수 지역에는 매장된 핵 폐기물도 일부 포함되어 있으며, 원주민인 에벤크족을 이주시켜야 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발전소 건설 비용은 130억달러로 추정되며, 여기에는 송전선 건설 비용도 포함된다. 발전소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지역에서 루스하이드로(RusHydro)가 건설하고 운영할 예정이며, 생산된 전기는 3500km 길이의 송전선 시스템을 통해 유럽 러시아로 공급될 것이다.[10][14]
4. 3. 문학 작품
뱌체슬라프 시시코프의 소설 ''어두운 강''에 묘사되어 있다.[16] 20세기 전반의 이 작가는 1911년 탐험 중에 이 강을 방문했으며, "어두운 강"이라는 이름은 시베리아 노래에서 따온 것이다.4. 4. 유량 과소평가
기존 자료에 따르면 지류인 세베르나야 강 어귀에서 연평균 유량은 300m3/s이다.[17] 이 강이 수문 관측소 ''"볼쇼이 포로그"'' 하류에서 니즈냐야퉁구스카강과 합류하기 때문에, 니즈냐야퉁구스카 강 어귀에서 알려진 평균 유량은 상당히 과소평가된 것이다. 이 값은 3700m3/s에서 3900m3/s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18]참조
[1]
웹사이트
Нижняя Тунгуска
http://otpusk-info.r[...]
[2]
GVR
Река Н.ТУНГУСКА
[3]
웹사이트
Глава 23. Восточная Сибирь // Гидрография СССР. — 1954 г.
http://www.abratsev.[...]
1954 г.
[4]
서적
Great Soviet Encyclopedia, 2ed, v. 43. — pp. 392-393
http://bse.sci-lib.c[...]
Москва: ПГК им.Молотова, 13.08.1956 г.
2020-06-21
[5]
웹사이트
Примечательные места Нижней Тунгуски
http://tvsh2004.naro[...]
[6]
웹사이트
Плато Путорана
http://fortis.mami.r[...]
[7]
웹사이트
Nizhnyaya Tunguska at Fakt`Bolshoy Porog
http://webworld.unes[...]
[8]
문서
Toungouska inférieure
[9]
웹사이트
"Нижняя Тунгуска" в Большой Советской Энциклопедии
http://bse.sci-lib.c[...]
[10]
웹사이트
ОВОС Эвенкийского гидроузла на реке Нижняя Тунгуска
http://www.rushydro.[...]
[11]
웹사이트
Нижняя Тунгуска - судоходство и грузоперевозки
http://www.e-river.r[...]
[12]
웹사이트
Lena at Zmeinovo
http://webworld.unes[...]
[13]
웹사이트
Nizhnyaya Tunguska at Podvoloshino
http://webworld.unes[...]
[14]
뉴스
Balancing Growth and Environment
http://www.themoscow[...]
The Moscow Times
2008-07-25
[15]
웹사이트
Нижняя Тунгуска
http://www.outdoors.[...]
[16]
웹사이트
«В неизведанные края. Путешествия на Север 1917 – 1930 гг»
http://www.skitalets[...]
[17]
웹사이트
Северная
http://bse.sci-lib.c[...]
[18]
서적
Лоцманская карта реки Н. Тунгуска от факт. Кислокан до устья. Фарватер 1964 г.
РСФСР, Министерство речного флота, Главводпуть, Енисейское бассейновое управление пути. — г. Красноярск: 1965 г.. — С. 71.
[19]
웹사이트
"НИ́ЖНЯЯ ТУНГУ́СКА"
http://slovari.yan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